KR0120010B1 - 쇼 케이스 - Google Patents

쇼 케이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010B1
KR0120010B1 KR1019940023598A KR19940023598A KR0120010B1 KR 0120010 B1 KR0120010 B1 KR 0120010B1 KR 1019940023598 A KR1019940023598 A KR 1019940023598A KR 19940023598 A KR19940023598 A KR 19940023598A KR 0120010 B1 KR0120010 B1 KR 012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owcase
attached
wall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194A (ko
Inventor
히데야 이께다
도시아끼 구보따
가즈오 데쯔까와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5000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39Cases or cabinets of the open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쇼케이스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단면 대략 ㄷ자형의 단열벽(2)의 양측부에 사이드 프레임(28)을 부착하고, 단열벽(2) 내부에 구성한 저장실(11)내에 복수단의 선반을 가설하고, 사이드 프레임(28)을 상하로 연장하는 지주 프레임(46)과, 지주 프레임(46)의 상하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하 프레임(48)의 세 부품으로 구성되며, 지주 프레임(46)의 전방면에는 선반을 유지하는 브래킷을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 구멍(29)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쇼 케이스
제1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의 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의 쇼케이스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의 단열벽 측부의 평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의 사이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쇼케이스의 단열벽 측부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쇼케이스 2 : 단열벽
4 : 구획판 10 : 배면 구획판
11 : 저장실 28 : 사이드 프레임
29 : 결합 구멍 31 : 브래킷
32 : 선반 46 : 지주 프레임
47 : 상부 프레임 48 : 하부 프레임
본 발명은 단면 대략 ㄷ자형의 단열벽의 양측부에 사이드 프레임을 부착한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쇼케이스는 예를 들면 실용신안 공개 평 4-129084호 공보(F25D 17/0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ㄷ자형의 단열벽의 양측면에 측판을 부착하고, 상기 단열벽의 내측에는 간극을 두어 구획판을 설치함으로써 그 내측을 저장실로 구성하는 동시에 외측의 단열벽과의 사이를 덕트로 하고 있다. 한편, 단열벽의 개구 상하 모서리에는 덕트에 연통한 토출구와 흡입구를 각각 형성하는 동시에 배면에 위치하는 덕트내에는 냉각기를, 하방에 위치하는 덕트내에는 송풍기를 각각 배치하고, 이 송풍기에 의해 냉각기와 열교환한 냉기를 토출구로부터 흡입구를 향해 토출하고, 개구에 에어 커텐을 형성하면서 저장실을 냉각하고 있었다.
또, 단열벽의 양측부 내측에는 통상 강판제의 사이드 프레임이 부착되고, 단열벽을 보강하고 있다. 제5도는 종래의 쇼케이스(100)의 양측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대략 단면 ㄷ자형의 단열벽(101)(또, 이 단열벽(101)의 양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측판이 부착된다.)의 양측부의 내측에는 사이드 프레임(102)가 부착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102)는 비교적 두꺼운 강판으로 구성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부(104)와 이 후방 프레임부(104)의 상단에 미리 용접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도시하지 않은 상부 프레임부와, 후방 프레임부(104)의 하단에 마찬가지로 미리 용접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하부 프레임부(106)으로 대략 ㄷ자형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볼트(103)에 의해 각부를 단열벽(101)의 내벽에 고정하고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102)의 후방 프레임부(104)의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선반을 가설하기 위한 지주(107)이 외측면으로부터 나사(108)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지주(107)의 전방면에는 상기 선반 혹은 선반을 유지하는 브래킷이 결합하는 결합구멍(109)가 뚫려 있다. 이 지주(107)의 내측면에는 부착판(111)이 나사(112)로 고정되고, 이 부착판(111)에는 배면 구획판(113)이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고정된다. 이 배면 구획판(113)은 단열벽(101)의 내측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고, 전방에 저장실(114)를, 후방에 덕트(116)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덕트(116)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냉각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저장실(114)내로 순환시켜서 냉각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쇼케이스(100)에서는 사이드 프레임(102)가 미리 ㄷ자형으로 용접 조립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운반 및 보관상 취급이 번잡했다. 또, 대형이고 무겁기 때문에 단열벽(101)에 조립할 때에도 취급이 극히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또, 후방 프레임부(104)의 전방면에 지주(107)을 부착하는 나사(108)로는 후에 도시하지 않은 측판을 부착할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취급이 곤란한 평나사를 사용해야하며, 결국 조립 작업성이 현저히 악화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사이드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쇼케이스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쇼케이스(1)은 단면 대략 ㄷ자형의 단열벽(2)의 양측부에 사이드 프레임(28)을 부착하고, 단열벽(2)의 내부에 구성한 저장실(11)내에 복수단의 선반(32)를 가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사이드 프레임(28)을 상하로 연장하는 지주프레임(46)과 이 지주 프레임(46)의 상하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47,48)의 세 부품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지주 프레임(46)의 전방면에는 선반(32), 혹은 선반(32)을 유지하는 부재(브래킷)(31)을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구멍(29)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쇼케이스(1)에 따르면, 단열벽(2)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사이드 프레임(28)을 지주 프레임(46)과 이 지주 프레임(46)의 상하에 부착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47,48)의 세 부품으로 구성하였으므로, 개개의 크기는 축소되고, 또 형상도 단순화되고, 운반 및 재고 관리상의 취급이 간단해진다. 또, 양호하게는 단열벽(2)에 조립될때 상부 및 하부 프레임(47,48)을 지주 프레임(46)에 부착하므로 개개의 프레임(46,47 및 48)을 별개로 단열벽(2)에 고정할 수 있고, 조립상의 취급도 극히 용이해진다.
또, 지주 프레임(46)의 전방면에는 선반(32), 혹은 선반(32)를 유지하는 부재(브래킷)(31)을 부착하기 위한 결합 구멍(29)를 형성하였으므로 별도의 지주를 부착할 필요도 없어지며, 결국 쇼케이스(1)의 조립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다음에,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쇼케이스(1)의 사시도, 제2도는 쇼케이스(1)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쇼케이스의 단열벽(2) 측부의 평단면도, 제4도는 사이드 프레임(28)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쇼케이스(1)은 단면 대략 ㄷ자형의 단열벽(2)와, 이 단열벽(2)의 양측면에 부착된 측판(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열벽(2) 내측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구획판(4,6)이 설치되고, 이들 구획판(4 및 6)사이를 내층 덕트(7)로, 외측의 구획판(6)과 단열벽(2) 사이를 외층덕트(8)로 하고 있다.
내측의 구획판(4)를 구성하는 배면 구획판(10)의 하단 전방에는 저판(9)가 단열벽(2)의 저벽(2A)와의 사이에 덕트용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으며, 구획판(4) 및 저판(9) 내측을 저장실(11)로 하고 있다. 단열벽(2)의 전면 개구(12)의 상부 모서리에는 하니컴 부재(13,14)가 각각 부착된 내층 토출구(16) 및 외층 토출구(17)이 병설되어 있으며, 이들 내층 토출구(16) 및 외층 토출구(17)은 내층 덕트(7) 및 외층 덕트(18)에 각각 연통하고 있다. 개구(12)의 하부 모서리에는 내층 흡입구(18)와 외층 흡입구(19) 병설되어 있으며, 양 흡입구(18,19)에는 복수의 슬릿(21···)이 뚫려 있는 흡입구 카바(2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저판(9) 하방 후부에는 단열벽(2)의 저벽(2A)상에 팬 케이스(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팬 케이스(23)에는 송풍기(24)가 내충용 및 외충용으로 복수대 부착되어 있다. 또, 저판(9) 하방의 공간은 구획 부재(26)에 의해 두 개의 덕트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내층 흡입구(18)은 내층용 송풍기(24)를 거쳐서 내층덕트(7)에, 상기 외층 흡입구(19)는 외층용 소웅기(24)를 거쳐서 외층 덕트(8)에 연통되어 있다.
배면 구획판(10) 후방의 내층 덕트(7)내에는 냉각 장치의 냉각기(27)이 세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층용 송풍기(24)가 운전되면 냉각기(27)과 열교환한 냉기는 제2도 중 파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층 덕트(7)내를 상승하고, 내층 토출구(16)으로부터 내층 흡입구(18)를 향해 토출된다. 그리고, 내층 흡입구(18)로부터 흡입된 냉기는 다시 송풍기(24)에 의해 가속된다. 한편, 상기 외층용 송풍기(24)가 운전되면 외층 덕트(8)내의 공기는 제2도 중 실선 화살표와 같이 외층 덕트(8)내를 상승하여 외층 토출구(17)로부터 외층 흡입구(19)를 향해 토출된다. 그리고, 외층 흡입구(19)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다시 송풍기(24)에 의해 가속된다. 이로써 개구(12)에는 전후 이중의 에어 커텐이 형성되고, 내측의 냉기 에어 커텐의 일부가 저장실(11)내로 순환되어 저장실(11)은 냉각된다.
한편, 단열벽(2)의 저벽(2A)의 상면은 팬 케이스(23)의 전방을 향해 낮게 경사져 있으며, 그 최하부에 드레인 받침(41)이 형성되고, 드레인 받침(41)에는 배수호스(42)에 연통한 배수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냉각기(27)에 성장한 착상은 도시하지 않은 제상 히터에 의해 가열 융해되고, 이 제상수는 저벽(2A) 상면을 흘러 내려서 드레인 받침(41)에 모이고, 배수 구멍(43)으로부터 배수 호스(42)로 유입하여 폐기된다. 또, 내층 흡입구(18) 및 외층 흡입구(19)로부터 흘러 내린 결로수등도 그 하방의 드레인 받침(41)에 모이고, 마찬가지로 배수된다.
또, 단열벽(2)의 천정벽(2B)의 전방단에는 반사판(33)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반사판(33)에는 브래킷(34)에 의해 상하 두 개의 형광등(36,37)이 좌우로 걸쳐서 부착되고, 반사판(33)의 전방면에는 온도계(38)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형광등(36,37)의 전방네는 반투명 셰이드(39)가 부착되고, 형광등(36,37)은 점등하여 저장실(11)내를 조명하는 동시에 전방의 셰이드(39)를 후방으로부터 비춘다.
그런데, 단열벽(2)의 양측부 내측에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은 비교적 두꺼운 강판제의 사이드 프레임(28)이 부착되고, 단열벽(2)의 고강이 도모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28)은 단열벽(2)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하로 연장되는 지주 프레임(46)과, 이 지주 프렘임(46)의 전방면 상하 단부에 부착되고 단열벽(2)의 천정벽(2B) 및 저벽(2A)의 내측에 각각 위치하여 전방으로 연장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47,48)의 세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28)을 단열벽(2)에 부착할 때는 우선, 지주 프레임(46)을 볼트(51)로 단열벽(2)의 후벽에 고정하는 동시에 다음에 상부 및 하부 프레임(47,48)을 볼트(52)로 지주 프레임(46)의 전면에 고정하고 그 후 각 프레임(47,48)을 단열벽(2)의 천정벽(2B) 혹은 저벽(2A)에 도시하지 않은 마찬가지의 볼트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드 프레임(28)에 따르면 각 프레임(46,47 및 48)을 각각 별개로 단열벽(2)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ㄷ자형으로 용접된 것에 비해 개개의 중량 및 크기를 현저히 축소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조립상 취급이 극히 용이해진다. 또, 각 프레임(46,47 및 48)의 크기가 작아지며, 중량도 가볍고, 또 형상도 단순해짐으로써 운반이나 보관하는 경우에도 취급 관리가 극히 용이해진다.
이런 지주 프레임(46)의 전방면(46A)에는 상하로 복수의 결합 구멍(29...)가 뚫려 있으며, 이 지주 프레임(46)의 내측면에는 부착판(54)가 나사(56)로 고정되고, 이 부착판(54)에 전술한 배면 구획판(10)이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 프레임(46)의 결합 구멍(29...)에는 복수의 브래킷(31...)의 후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 한쌍의 브래킷(31,31)상에는 각각 선반(32)가 부착되어 저장실(11)내에 가설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지주 프레임(46)은 선반(32)를 가설하기 위한 지주를 겸하게 되므로 별도의 지주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지며, 부품 갯수의 삭감이 도모되는 동시에 종래에 비해 현저히 조립 작업성의 개선이 도모된다.
한편, 지주 프레임(46)에 결합 구멍(29)를 형성함으로써 지주 프레임(46)의 전면(46A)는 저장실(11)에 노출하게 된다. 따라서, 지주 프레임(46)에는 표면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생기지만 이 경우에도 상부 및 하부 프레임(47,48)은 별개의 부재이므로 그들에도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즉, 무용한 표면 처리 작업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실시예의 쇼케이스(1)에서는 내외 이층의 덕트(7,8)을 형성하여 개구(12)에 이층 에어 커텐을 형성하였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덕트(7)만으로 일층만의 에어 커텐을 형성해도 좋다. 또, 실시예에서는 결합 구멍(29)에 결합하는 브래킷(31)을 거쳐서 선반(32)를 가설하였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선반(32)를 직접 결합구멍(29)에 결합시켜도 지장은 없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벽의 양측부에 부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지주 프레임과 이 지주 프레임의 상하에 부착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세 부품으로 구성하였으므로 개개의 크기는 축소되고, 또 형상도 단순화된다. 따라서, 운반 및 재고 관리상의 취급을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양호하게는 단열벽에 조립할 때에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지주 프레임에 부착하므로 각각의 프레임을 별개로 단열벽에 고정할 수 있고, 조립상의 취급도 극히 용이해진다.
또, 지주 프레임의 전면에는 선반, 혹은 선반을 유지하는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결합 구멍을 형성하였으므로 별도 지주를 부착할 필요도 없어지며, 결국 쇼케이스의 조립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대략 ㄷ자형의 단면을 갖는 단열벽의 양측부에 사이드 프레임을 부착하고, 단열벽 내부에 구성한 저장실 내에 복수단의 선반을 가설하여 이루어지는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하로 연장되는 지주 프레임과, 이 지주 프레임의 상하에 부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세 부품으로 구성되고, 지주 프레임의 전방면에는 상기 선반, 혹은 선반을 유지하는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KR1019940023598A 1993-09-22 1994-09-16 쇼 케이스 KR0120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5259095A JP3101472B2 (ja) 1993-09-22 1993-09-22 ショーケース
JP93-259095 1993-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194A KR950009194A (ko) 1995-04-21
KR0120010B1 true KR0120010B1 (ko) 1997-10-22

Family

ID=1732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598A KR0120010B1 (ko) 1993-09-22 1994-09-16 쇼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01472B2 (ko)
KR (1) KR01200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01472B2 (ja) 2000-10-23
JPH0788025A (ja) 1995-04-04
KR950009194A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2237B1 (en) Panel frame to draw air around light fixtures
KR2007007825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20010B1 (ko) 쇼 케이스
RU2011939C1 (ru) Охлаждаемая витрина
KR930005735Y1 (ko) 냉각 장치
KR100218390B1 (ko) 오픈 쇼케이스의 냉기 순환 구조
JPH0332914Y2 (ko)
JPS6146381Y2 (ko)
JPS6212230Y2 (ko)
JP2755873B2 (ja) 冷却装置
JP4121240B2 (ja) ショーケース
JP4179757B2 (ja) ショーケース
JPH0614828A (ja) ショーケースの棚装置
JPS627164Y2 (ko)
JPH0442691Y2 (ko)
JPS637818Y2 (ko)
JPS6038136Y2 (ja) オ−プンシヨ−ケ−ス
JP2714326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930005615B1 (ko) 저온쇼케이스
JP2771739B2 (ja) ショーケース
JPH0347185Y2 (ko)
JP3540434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3695885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H06300430A (ja) 冷気循環形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デッキ構造
JP3548697B2 (ja) 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