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931B1 - 일렉트로-슬랙 주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렉트로-슬랙 주조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931B1
KR0119931B1 KR1019890702155A KR890702155A KR0119931B1 KR 0119931 B1 KR0119931 B1 KR 0119931B1 KR 1019890702155 A KR1019890702155 A KR 1019890702155A KR 890702155 A KR890702155 A KR 890702155A KR 0119931 B1 KR0119931 B1 KR 0119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oduct
electrode
electro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640A (ko
Inventor
딘 브람블레트 존
Original Assignee
노먼 브루스 모룸
더 브로큰 힐 프러프라이어터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먼 브루스 모룸, 더 브로큰 힐 프러프라이어터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노먼 브루스 모룸
Publication of KR90070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3/00Cast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2D1/00 - B22D21/00
    • B22D23/06Melting-down metal, e.g. metal particles, in the mould
    • B22D23/10Electroslag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5/00Slag welding, i.e. using a heated layer or mass of powder, slag, or the like in contact with the material to be joined
    • B23K25/005Welding for purposes other than joining, e.g. built-up we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16Remelting metals
    • C22B9/18Electroslag reme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일렉트로-슬랙 주조 장치 및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실시예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좀더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제1도는, 주형 및 그 하부에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일렉트로-슬랙 주조장치 바닥 부품의 정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상기 바닥 부품의 정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3-3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주형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1도의 해당 부품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5-5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1도의 6-6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1도의 부품인, 잭 스크류 및 그 베어링 배열의 확대 종축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2도의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전극 고정장치 및 아답터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1도의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품 고정장치 및 아답터의 제8도의 유사도이다.
제10도 내지 제15도는, 심재를 외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그 작동의 여러 단계를 나타내는 제1-9도 장치의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렉트로-슬랙(electro-slag) 정제 공정에 관한 것이다.
간략히 말하면, 일렉트로-슬랙 정제 방법은 금속성 욕조내에 전도성 용융 슬랙의 푸울(pool)을 마련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슬랙 푸울에 전류가 통과하는 소모성 전극을 공급하여 용융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금속은 전극으로부터 용융하여 욕조의 바닥에 방울 상태로 떨어지는 동안에 정제되며, 쇠똥 및 불순물은 푸울의 표면에 부상한다. 통상적으로 모든 정제 금속은 전극으로부터 유도되나, 이것은 필수적이 아니며 다른 구체예에서는 전극외에 봉재등이 슬랙에 공급될 수 있다.
욕조의 바닥이, 응고된 플러그가 발출될 수 있는 냉각 출구 통로를 갖고 있으면(일렉트로-슬랙 욕조와 상기 통로를 구성하는 구조와의 결합을 이하 주형이라 한다), 전극 공급 및 플러그 발출 속도의 전류량을 조정 및 조절하여 정제 금속의 인고트를 연속적으로 주조할 수도 있다. 발출되는 인고트는 통로의 횡단면형에 해당하는 모양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통로를 완전히는 아니나 실질적으로 막고 있는 가열 심재가 적절한 속도로 주형을 통하여 이동하면, 심재와 함께 통로로 들어오는 정제 금속은 용융되어 통로 형태에 해당하는 표면층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밀롤과 같은 용도에 적합한 인코트를 원료 금속으로부터 제조하는 방법이나, 표면층을 마모된 밀롤일 수 있는 심재에 적용하여 재생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종전 기술의 설명]
오스트레일리아 특히 명세서 466334(영국 철강 연구 협회)는 일렉트로-슬랙 공정에 의한 관상 인고트 제조 및 롤형 심축의 표면 외장을 개시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에 심축과 주형의 상대적인 이동은 심축 주위에 주형을 상승시킴으로써 일어난다. 플럭스(flux)를 통한 전류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극이 상승 및 하강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주형에 대한 소모성 전극의 여하한 상대적인 이동에 관하여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외장이 진행될 때 심축은 그 자신의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코일이 주형을 둘러쌓고 있는데, 이것을 주형내의 플럭스 및 용융 금속 푸울의 교반을 촉진하기 위하여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을 뿐 더 이상 자세한 것이나 코일의 매개 변수는 전혀 없다.
일렉트로­슬랙 장치에 있어서, 가열 전류는 전극(들)으로부터 주형까지 최단 거리를 취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종전 기술의 명세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치된 전극(들)로 보아, 욕조 전체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발생시키는데 요구되는 교반의 정도는 실제적으로 얻기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특허 명세서535772(닙폰 스틸 코포레이션)도 또한 일렉트로-슬랙 공정에 의한 원통형 심재의 외장을 개시하고 있다. 이 명세서는 또한 주형이 심재 주위에서 상승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바에 의하면 심재가 그 자신의 축을 회전하여 슬랙내에서 주위에 균일한 온도 분표를 얻었다. 주형과 공작물 사이의 마찰을 감소하기 위하여주형은 바람직하게는 심재와 동시에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종전 기술의 명세서(이것들은 본 출원인에게 알려진 가장 관련된 문헌이다)는 모두 슬랙내에서 균일한 온도 분표의 필요성을 가르치고 있으며 주형의 상대적인 이동 및 발출 제품을 생성하기 위하여 주형이 상승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실제로, 완전히 형성된 인고트, 즉 완전히 형성되고 바르게 결합된 표면층을 얻기 위하여는 몇 개의 매개 변수를 동시에 결정 또는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들 매개변수에는 주형과 제품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속도, 전류의 크기, 심재의 온도, 전극(emfd)의 공급 속도, 주형 내의 액상 금속-플럭스 계면의 수위 및 플럭스층의 깊이가 포함되는데, 이들 모두는 상호 종속 관계를 이룬다.
전극(들)으로부터 욕조로 매우 많은 전류가 유지되어야 하고, 많은 주형 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하고, 및 별도의 플럭스가 때때로 욕조에 첨가되어야 한다는 점을 상기하면, 주형을 이동하고 사용 가능케 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 및 그 조절 시스템이 바람직하지 않게 복잡하다는 것이 놀라운 일도 아니다.
실제로, 종전 기술의 또 하나의 주요 결점은, 전극(들)의 불규칙한 용융의 원인이 되며 또 그 결과로 인하여 초래되는 플럭스내의 저 저항로 변동 때문에, 플럭스, 금속 푸울, 심재(존재할 경우) 및 발출 제품내에 가열 지점 및 온도 분포상 기타 변화가 생성됨으로써 발생된다. 이와 같은 온도 변화는 최종 제품의 형태에 변화를 야기하여 밀롤로서의 용도에 부적합하게 한다.
본 발명을 유도하는 실험에서는, 비록 전극과 주형 벽면 사이의 공칭 간격이 모든 지점에서 동일한 경우라도, 제품만이나 또는 주형과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 상기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이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전 기술의 결점을 극복 또는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장치 및 그 작동의 단순화라는 첫째 목적은 주형이 고정된 높이 및 위치에 유지되고 응고된 제품이 하방으로 취출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제품, 심재(존재할 경우), 및 주형을 일치하게 진동시킴으로써 둘째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주형과 전극(들)사이의 공간적인 관계(전류 통로)의 변화를 평준화시키고, 관성 파동 및, 진동 부품들의 회전 방향이 역전에 따라 그 내부에 유도되는 점성 전단력의 방향 변화로 인하여 플럭스 및 용융 금속 푸울을 효과적으로 교반시키게 된다.
하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용융 플럭스 푸울과 밑에 놓여 있는 정제 액상 금속 푸울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용조 및 하방으로 뻗어 있는 출구 통로를 포함하고 있는 일렉트로-슬랙 주형, 상기 욕조에 원료 금속인 소모성 전극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전극 운반대 수단, 및 전극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전극으로부터 풀럭스 푸울을 통하여 가열 전류를 통과시키는 동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장치류에 있어서,
(a) 주형으로부터 하방으로 주물을 취출하기 위한 제품 이송 수단, 및
(b) 제품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극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주형, 이송수단 및 제품을 회전 진동 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슬랙 연속 주조장치로 구성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일렉트로-슬랙 주형을 용융 플럭스로 충진하고, 플럭스에 원료 금속인 소모성 전극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플럭스의 용융 상태를 유지시키고 점진적으로 전극을 용융시키기 위하여 전극으로부터 플럭스를 통하여 전류를 통과시키고, 및 주형의 바닥을 통하여 응고된 제품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류에 있어서, 전극에 대하여 제품의 축 주위로 주형 및 제품을 일치하게 회전 진동시키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주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주형은 하중 운반 회전 테이블에 의하여 지지되며, 제품 운반 수단은 회전 테이블의 하부에 견고히 매달려 있다.
또한 이들 수단은 제품이 주조됨에 따라 주형으로부터 하방으로 제품을 취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형을 통하여 심재가 외장되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예시한 장치는 큰 밀롤과 같은 심재의 외장에 사용하기 적합한데, 따라서 이하에는 설명할 것이나, 적절한 주형크기, 전극 및 아답터를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변형을 가하지 않고도 신제품을 연속적으로 주조하는 데 있어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시한 장치는 일렉트로-슬랙 주형(7)을 포함한다. 주형(7) 자체는 종래의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간단히 설명하면, 그것은 중공벽형, 수냉각식의 구리로 제조된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부 대직경부, 하부 소직경부 및 짧은 중간부의 테퍼부를 갖고 있는 내공을 형성하고 있다. 사용할때에는 플럭스 푸울은 상부에 유지되는데 이곳으로 전극이 연장되며 하부는 응고된 주물에 의하여 막히게 된다. 전극으로부터 용융된 금속은 테퍼부에 모이며, 심재와 함께 하부로 들어와 제품이 점진적으로 취출됨에 따라 주형의 하부에 있는 제품상에 표면층으로 응고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구리나 기타 열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된 내열 흑연 또는 세라믹 상부와 수 냉각 하부를 갖고 있는 복합 주형도 사용될 수 있다. 양쪽 어느예에서도, 주형은 바람직하게는 다중 세그먼트의 수냉각, 구리 주형인데, 각각의 세그먼트는, 주형의 개폐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단위화된 그룹을 진동시킬 수 있는 지지수단에 의하여 2개의 단위로 그룹을 이룬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주형이 사용될 수 있다. 중공형 제품의 생산 편의를 위하여 별도의 수냉각 맨드렐이 주형이 중심에 첨가될 수 있다.
주형(7)은, 3개의 원추형 지지롤러(9)와 접촉을 이루고 있는 트랙을 구성하고 있는 하부상에, 경사를 이룬 주변 에찌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있는 견고히 구조된 회전 테이블(8)상에 지지된다. 롤러(9)는 차례로 철구조물(10)에 의하여 지지된다. 롤러(9)중 2개는 아이들러(idler)롤러이나 제3롤러는 기어식 롤러(11)에 의하여 구동된다. 고정된 수직축 주위의 회전을 위하여 설치된, 지지롤러(9)에 인접한 가이드 롤러(도시되지 않음)는 회전 테이블(8)의 테두리를 지탱하여 회전 테이블이 구동 롤러(9)에 의하여 회전될 때 중심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역 모터(11)는 회전 테이블(8)이 이리 저리 진동되도록 조절 배열된다. 지금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은 대규모의 장치의 경우에는, 회전 테이블을 360。나 그 보다 약간 큰 각도로 분당 1회전의 속도로 진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무리 제품을 하강시키는데 뿐만 아니라 단부상에 설치된 대형 회전 밀롤과 같은 심재를 상승시키는데 적합한 제품 이송 수단은 회전 테이블(8)에 견고히 매달려 있다.
이들 이송 수단은 4개의 원주형 행거(12), 십자형 베이스(13) 및 엘리베이터 운반대(14)를 포함한다.
베이스(13)는 마루 바닥에 취부된 부동 베어링(15)으로 돌출하는 (또는 그 반대로)중앙 저부 샤프트를 갖고 있는데 이 샤프트는 이송 수단이 횡방향을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나 회전 테이블(8), 이송수단, 주형(7) 및 심재의 중량이 롤러(9)에 걸리도록 한다.
베이스(13)는 가역 기아식 모터(16)를 가지고 있는데, 이 모터는 전달 샤프트(17) 및 기아 박스(18)에 의하여, 베이스(13)상에 있는 각각의 베어링 어셈블리(20)로부터 회전 테이블(8)상에 있는 대응 베어링 어셈블리(21)로 뻗어 있는 2개의 잭 스크류(19)를 일치되게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잭 스크류(19)는 운반대(14)상에 취부된 저마찰 넛트(22)를 통하여 뻗는데, 넛트는 스크류(19)와 정렬되나 함께 회전하지는 않도록 되어 있다. 각 넛트(22)는 스크류의 나선줄과 물리는 내마찰성 롤러를 갖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종류의 것이다.
이와 같은 넛트는 종래의 것으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잭 스크류(19)가 회전하면 모터(1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운반대(14)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운반대(14)는 레일로서 2개의 행거(12) 위를 활주하는 바퀴(23)를 갖고 있는 운반대상의 대차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한다. 대차의 바퀴(23)는 측면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보충되어 운반대(14)가 어느 방향으로도 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운반대(14)는 수력식 걸쇠 볼트(25)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운반대(14)에 고정되어 있는 제품 고정 장치(24)를 갖추고 있다.
제9도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렌지(26), 관상 심축(27), 상판(28) 및 칼라형 플러그(29)를 포함하는 제품 아답터가 스페이서(30) 및 플렌지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제품 고정 장치(24)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마모된 밀롤(31)은 롤의 저부축(33)의 일단으로 뻗는 고정 나사(32)에 의하여 아답터에 고정되어 플러그 칼라(29)가 롤(31)의 몸체의 동축 연장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플러그 칼라(29)는 재생 롤에 요구되는 것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며 주형(7)의 하부 내공내에 적절히 맞추어진다. 플러그 칼라(29)는 외장 작업의 출발시에 주형을 플러그하는 역할을 한다.
롤(31)의 맞은편 저부 축은 리프팅 아이(35, lifting eye)가 장치되어 있는 보호 격판(34)을 갖고 있어서, 롤(31)이 작업 출발시에 설치될 수 있고 작업의 종료시에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재생 작업의 출발시에, 운반대(14)가 심재를 상승시킬 때, 넛트(22)는 잭 스크류(19)상에 하향하중을 부과하게 된다. 그러나, 재생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운반대(14)가 주물을, 즉 이 경우에는 새로이 의장딘 심재를 하방으로 끌어들여 주형(7)으로부터 축출할 필요가 있으며 스크류(19)상의 하중 방향은 역전된다.
길고 가느다란 잭 스크류(19)는 압축 하중을 지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인장 응력이 걸릴 때 응력이 하중 방향의 변화에 따라 운반대(14)상하의 각각의 잭스크류(19)부분으로 전달되지 않아서, 각 스크류상의 모든 축 방향 하중이, 하중이 적용되는 방향으로 단부에 있는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고, 베어링과 넛트 사이의 스크류 부분이 인장 응력을 받고 스크류의 나머지 부분은 응력을 받지 않도록, 회전 테이블(8)과 베이스(13)에 대하여 스크류의 상대적인 축 방향으로의 제한된 운동을 의식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각 베어링 어셈블리(20 및 21, 제7도 참조)는 고정 외부 하우징(36) 및 부동 내부 하우징(37)을 포함한다. 각각의 내부 하우징(37)은 반경 방향 하중 및 스크류(19)로부터의 축방향 추력을 지탱하기에 적합한 테이퍼부 롤러 베어링(38)을 수용하는 중앙 내공을 갖고 있다. 베어링(38)은 종래의 것이다.
그들은 스크류 샤프트 상의 종래의 접합 넛트(39)에 의하여 스크류(19)의 단부를 놓치지 않게 된다.
각각의 내부 하우징(37)은 비교적 두꺼운 마루층의 컵 형태의 외부 하우징(36)내에서 간극으로 활주 할 수 있는 스피곳(spigot)을 포함한다.
제7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37) 및 스크류(19)는 내부 하우징(37)과 하우징(36)의 마루 사이의 간극(A 및 B)을 유지하며 중심 위치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마치 스크류(19)의 축방향 추력을 완전히 상쇄하고 있는 듯이 간주되는 것과 같이 어느 정도 인위적이다. 실제로는 스크류(19) 및 내부 하우징(37)은, 간극의 합계가 A+B에 해당하는 행정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를 채택한다.
본 구체예에서 각 스크류(19)의 지지되지 않은 길이는 약 6~7m일 수 있으며 총 간극(AB)은 약 4mm이다. 이것은 넛트(22)에 의하여 스크류(19)상에 부과한 하중이 단지 하나의 베어링(38)에 의하여 지탱되게할 뿐만 아니라(하중이 방향에 따라),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스크류의 어떤 열팽창도 이를 굽히는 일이 없도록 한다.
레이스와 어떤 베어링(38)도 항상 하중이 경감되어 있는 롤러 사이의 불필요한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스터드 볼트(43) 상에 달려 있으며 마루(41)와, 스터브 볼트가 활주할 수 있는 본 베어링의 하우징(37) 상의 원주 프렌지 사이에 압착된 벨레빌레(Belleville) 와샤(42)에 의하여 각 베어링이 예비 적재 된다.
주형(7)의 욕조로 전극을 저지 및 공급하기 위하여 전극운반 수단이 마련된다. 이들 전극 운반수단(제2도 및 3도 참조)은 수직 피봇트 식으로 설치된 마스트(37)를 지지하는 고정탑 구조물(36)을 포함하는 회전 데리크(derrick)와 유사한데, 마스트는 직각 트러스(38)의 하나의 주현이 되며 트러스의 다른 주형은 전극 지지 운반대가 이동할 수 있는 본질적으로 찬넬 단면형의 트랙 부재(39)가 된다.
트러스는 회전 작동기(40)의 작용에 의하여 회전하여 전극지지 운반대를 주형(7)위의 작업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 운반대 수단은 제3도의 위치(B 및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2셋트의 바닥 밑 부품 및 주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전극의 적재 및 처분대(A 및 B)와 일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극지지 운반대는 트랙 부재(39)내에 포촉된 바퀴와 롤러를 갖고 있는 보우기(bogie, 41) 및, 전극 아답터(45)를 분리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력 작동식 걸쇠 볼트(44)가 설비된 관상 전극 고정 장치(43)가 있는 돌기 아암(42)을 포함하고 있다.
전극 아답터(45)는 관상 몸체(46), 걸쇠 볼트(44)와 결합하기 위한 배치 프렌지(47), 몸체(46)에 볼트로 연결되어 있으나 그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조립 베이스 구조물(48) 및 테이퍼 소켓(49)을 포함한다. 소켓(49)은 갈라진 관상 전극(51)의 일단에 용접된 단부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테이퍼 스터드(50)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소켓(49) 및 스터드(50)는 모두 그들을 관통하는 키 구멍을 갖고 있으며 그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는 테이퍼 키는 소켓과 스터드의 접합면을 고압 접촉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시에 있어서, 전극(5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냉각 유연성 동력 케이블의 터미널 플래그(flag)가 베이스 구조물(48)에 볼트로 연결될 수 있다.
심재가 외장될 때에는 주형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심재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상 전극 또는 덜 바람직하게는, 원형 배열의 환봉과 같은 전극이 요구된다.
그러나 빌리트가 주조되는 경우에는 중앙에 배치된 단일 환봉형의 전극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 소직경의 밀롤이 재생될 때 낡은 롤이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낡은 롤이 사실상 용융되어 재형성된다. 다른 예에서는 별도의 관상 전극이 사용된다 하여도 소직격의 밀롤이 전체적으로 용융될 수 있다.
전극 지지 운반대는 전극 지지 운반대상의 저마찰 넛트를 통하여, 변속 모터(54)에 의하여 구동되는 기어 박스(53)로부터 부재(39)의 유효거리 만큼 뻗어 있는 잭 스크류(52)에 의하여 조절된 속도로 트랙 부재(39)를 따라, 이송 운반대(14)에 대한 대웅 배열 만큼 이동하게 된다.
초기에 플럭스를 용융하여 주형(7)에 넣기 위하여, 종래의 경사 유도 가열로(55)가 구비되어 있다.
트러스(38)는, 흡입 통풍식 연무 배출 장치의 일부로서 주형(7) 위에 위치할 수 있는 후드(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재의 예열에는 심재를 주형(7)에 넣기 직전에 그 피부를 유도 가열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 단계는 주형(7)의 바로 위에 위치한 유도 가열 코일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심재의 표면층의 예열 정도 및 따라서 그 층의 용융 정도 및 적용된 피복에 의한 침투 정도가 외장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용융 깊이로 가열되는 방법이 사용될 경우, 외장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심재내에 발생되는 열이 과잉 용융을 때때로 일으키며, 특정 합금층이 사용될 때, 외장 합금이 심재의 기재 금속으로 불필요하게 희석되는 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으나, 주형에 삽입하기 직전에 심재 피부를 유도가열에 의하여 예열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예열 정도가 상기 불필요한 작용을 피하는데 필요한 만큼 용이하게 저하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유도 예열 코일은, 본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전극(51)내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분할 전극을 통하여 트랜스포머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캔틸레버 휜(fin)의 단부에 있는 그 자신의 공급 트랜스포머로부터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예의 작용은 제10도-15도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아답터 및 보호판에 맞추어진 마모된 밀롤이 크레인에 의하여 제1도에 상세히 도시된 이송 수단인 엘리베이터 운반대(14) 상에 강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주형(7)의 두 부분이 분리되어 있고 유도가열 코일(56)이 옆에 별도로 회전하고 있다.
제11도는, 정위치에 있는 유도 코일과 주형 위에 위치한, 제2, 3도 및 8도에 의한 전극 이송 수단에 걸려 있는 분할 관상 전극(51)을 동반하고 있는 주형부를 도시하고 있다.
제12도에서, 마모된 롤은 상승되어 그 예열이 개시된다.
제13도는, 주형이 경사로(55)로부터 예비 용융된 플럭스로 충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14도는, 외장 공정을 도시한다. 전극은 주형내의 플럭스 속으로 강하되고, 재생된 롤은 하방으로 취출되며, 본 발명의 특성에 따라, 회전 테이블(8) 및 운반된 재생 롤을 포함한 모든 부품이, 이리저리 회전 진동된다.
제15도는 외장 공정이 완료되고 전극의 잔여 부분이 상승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Claims (5)

  1. 용융 플럭스 푸울과 정제 액상 금속을 위한 하부 푸울을 유지하기 위한 욕조와, 하방으로 뻗어 있는 출구 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렉트로 슬랙 주형(7)과 상기 욕조에 원료 금속인 소모성 전극(51)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 운반대 수단(도2)과, 전극으로부터 상기 플럭스 푸울로 가열 전류를 통과시켜 전극을 용융시키는 동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일렉트로 슬랙 연속 주조장치에 있어서,
    (a) 상부에 상기 주형을 지지하는 회전 테이블과(8);
    (b) 상기 회전 테이블로부터 하부로 뻗는 복수개의 기둥형 행거(12)와, 상기 행거의 하단부에 고정된 베이스(13)와, 이들 행거의 적어도 2개위를 상하로 활주하는 엘리베이터 운반대(14)와, 각각 상기 회전 테이블 및 베이스상에 있는 베어링 어셈블리(21,22)로부터 상기 운반대(14) 상의 너트(22)를 통하여 각각 확장되는 적어도 2개의 잭 스크류(19)와, 상기 잭 스크류가 일치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가열 모터(16)와, 그리고 상기 운반대(14) 상의 주물 제품을 유지하기 위한 제품 고정 장치(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품 이송 수단과; 그리고
    (c) 상기 제품의 축을 중심으로 주형, 이송 수단 그리고 제품을 회전 진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테이블을 지지하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롤러(9)와 상기 롤러 중 적어도 하나에 동력을 공급하는 가역 모터(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 슬랙 연속 주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잭 스크류에 대한 베어링 어셈블리가 축방향으로 스크류의 제한된 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 슬랙 연속 주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이송수단이 제품 아답터(26,27,28,29)와 결합하는 제품 고정 장치(24)를 포함하고 제품 아답터가 주형 플러그(2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 슬랙 연속 주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외장을 위한 심재(33)이며, 상기 엘리베이터 운반대(14)에 의하여 상기 심재가 주형(7)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심재에 예열을 가하기 위한 유도 가열 코일(56)을 더욱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 슬랙 연속 주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운반대 수단은 선회 가능하여 복수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기 주형과 이와 결합되는 상기 제품 이송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을 지원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로 슬랙 연속 주조장치.
KR1019890702155A 1988-03-31 1989-03-30 일렉트로-슬랙 주조 장치 및 방법 KR01199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I756988 1988-03-31
AUPI7569 1988-03-31
PCT/AU1989/000136 WO1989009291A1 (en) 1988-03-31 1989-03-30 Electro-slag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640A KR900700640A (ko) 1990-08-16
KR0119931B1 true KR0119931B1 (ko) 1997-10-22

Family

ID=377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155A KR0119931B1 (ko) 1988-03-31 1989-03-30 일렉트로-슬랙 주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46976A (ko)
EP (1) EP0407428A4 (ko)
KR (1) KR0119931B1 (ko)
CN (1) CN1037290A (ko)
CA (1) CA1329692C (ko)
WO (1) WO19890092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696C (zh) * 1996-03-26 2001-01-17 杨兆顺 空心冶炼、轧制不锈无缝钢管工艺
ES2206916T3 (es) 1997-03-18 2004-05-16 ZAKRYTOE AKTSIONERNOE OBSCHESTVO "ELMET-ROL-GRUPPA MEDOVARA" Procedimiento de recubrimiento por electroescoria.
CN100368572C (zh) * 2006-05-22 2008-02-13 东北大学 在t形结晶器中采用双极串联电渣重熔的固态启动方法
EA013186B1 (ru) * 2008-06-30 2010-02-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едприятие Урал"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тых заготовок
CN102534677A (zh) * 2012-01-04 2012-07-04 饶云福 全截面熔焊修复电解铝阳极钢爪设备
CN102560551B (zh) * 2012-01-04 2016-05-04 饶云福 电解铝阳极钢爪修复设备
CN104846212B (zh) * 2015-06-08 2016-09-21 重庆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真空自耗炉冶炼方法
CN104976888B (zh) * 2015-06-08 2017-03-08 重庆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真空自耗冶炼炉
CN109604564A (zh) * 2019-01-11 2019-04-12 潍坊市众诚佳合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电渣重熔的轧辊修复工艺
CN111774550B (zh) * 2020-07-30 2021-11-23 安徽工业大学 一种改善大钢锭结晶质量的电渣补缩装置
KR102250822B1 (ko) * 2020-11-24 2021-05-12 주식회사 세아창원특수강 일렉트로드 슬래그 재용해 공정용 슬라이딩 컨택트 장치
CN112536428B (zh) * 2020-12-04 2022-07-15 东北特殊钢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φ1600mm~φ1850mm大型抽锭式电渣锭生产方法
CN117444354B (zh) * 2023-12-20 2024-03-19 新乡县建城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钢筋对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98147A (ko) * 1968-12-26 1970-06-29
BE794079A (fr) * 1972-01-17 1973-05-16 Mitsubishi Heavy Ind Ltd Perfectionnements apportes ou relatifs a la fabrivation de corps tubulaires
BE794346A (fr) * 1972-02-04 1973-05-16 Mitsubishi Heavy Ind Ltd Procede et appareil pour la fabrication de corps tubulaires
BE795688A (fr) * 1972-03-01 1973-06-18 Mitsubishi Heavy Ind Ltd Perfectionnements apportes et/ou relatifs a la fabrication d'articles metalliques
BE795689A (fr) * 1972-03-06 1973-06-18 Mitsubishi Heavy Ind Ltd Fabrication d'articles metalliques
SU473427A1 (ru) * 1973-01-02 1980-06-15 Ордена Ленина И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сварки Им.Е.О.Патона Ан Украинской Сср Печь электрошлакового переплава
JPS5257020A (en) * 1975-11-05 1977-05-11 Hitachi Shipbuilding Eng Co Electrooslag casting
SE443311B (sv) * 1979-12-29 1986-02-24 Nippon Steel Corp Sett vid pasvetsning av ett arbetsstycke med cylindrisk yta genom elektroslaggforfarande och anordning for genomforande av settet
US4280550A (en) * 1980-02-11 1981-07-28 Consarc Corporation Electroslag remelting furnace with improved power connection
DE3047214A1 (de) * 1980-12-15 1982-07-15 Leybold-Heraeus GmbH, 5000 Köln Elektroschlackeumschmelzofen fuer abschmelzelektroden mit einem elektrodenan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640A (ko) 1990-08-16
US5146976A (en) 1992-09-15
CN1037290A (zh) 1989-11-22
EP0407428A4 (en) 1991-03-20
EP0407428A1 (en) 1991-01-16
CA1329692C (en) 1994-05-24
WO1989009291A1 (en)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9931B1 (ko) 일렉트로-슬랙 주조 장치 및 방법
CN106029254B (zh) 用于制造具有较大横截面的较长铸锭的方法和设备
US4211270A (en)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lic strands at exceptionally high speeds
CN1102469C (zh) 复合轧辊的连续铸造装置及其方法
US5833455A (en) Dry roll furnace arrangement
US47367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lic strands at exceptionally high speeds using an oscillating mold assembly
US1102079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foundry ingots from metal
CN108941493A (zh) 一种实验室用小方坯立式连铸机辊列及其使用方法
AU587867B2 (en) 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RU2304484C2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лить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тяжки слитка
US4307770A (en) Mold assembly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lic strands at exceptionally high speeds
JPH03503660A (ja) エレクトロ‐スラグ鋳造装置及び方法
KR200337464Y1 (ko) 비와류 금형주조장치
RU2139155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способ электрошлаковой наплавк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шлаковой наплавки и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электрошлаковой наплавки чугунных прокатных валков
CA119646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metallic strands at exceptionally high speeds using oscillating mold assembly
CN115044776B (zh) 一种液态电渣重熔装置及冶炼工艺
CN217889487U (zh) 一种中间合金锭浇铸分流装置及其安装结构
EP2501507B1 (en) Continuous casting nozzle for a rod, wire or pipe in upward vertical metal casting
JP4392284B2 (ja) アルミニウム用竪型連続鋳造装置
KR100568765B1 (ko) 비와류 금형주조방법
KR810000829B1 (ko) 강철주괴를 제조하는 방법
JPH05237614A (ja) 環状鋼製品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連続鋳造装置
CA1076179A (en) Installation for electroslag melting of heavy-weight metal ingots
FI62777B (fi) Rullanordning foer anvaendning vid kontinuerlig gjutning av mealler
CN115805296A (zh) 一种快换冷料框及快换作业中铸坯质量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