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576Y1 - 절첩안경 - Google Patents

절첩안경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576Y1
KR0119576Y1 KR2019950003760U KR19950003760U KR0119576Y1 KR 0119576 Y1 KR0119576 Y1 KR 0119576Y1 KR 2019950003760 U KR2019950003760 U KR 2019950003760U KR 19950003760 U KR19950003760 U KR 19950003760U KR 0119576 Y1 KR0119576 Y1 KR 0119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legs
hinge
lens
hi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338U (ko
Inventor
김길신
Original Assignee
김길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신 filed Critical 김길신
Priority to KR2019950003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576Y1/ko
Publication of KR960032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576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절첩된 렌즈부의 외부로 감싸지도록 다리의 절첩을 이루게 하여,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휴대시 렌즈를 보호하는 절첩 안경이 개시된다.
좌,우측 렌즈테가 분리,연결되고, 좌측 및 우측 다리가 각각 전,후방으로 제1 및 제2 다리로 분리,연결되며, 그 렌즈테와 좌,우측 다리가 제2경첩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첩안경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렌즈테가 서로 마주하여 절첩되도록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착용상태에서 그 착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형성된 제1경첩; 그리고 상기 분리된 제1 및 제2다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여, 절첩상태에서 좌,우측 다리가 서로 겹치지 않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여 절첩되는 좌,우측 렌즈테의 외부를 감싸도록 절첩되며, 착용상태에서는 그 착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형성된 한 쌍의 제3경첩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휴대의 간편과 휴대시나 취급시에 상기 절첩된 다리에 의한 렌즈보호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 안경
제1도(a)내지(c)는 종래의 절첩 안경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 안경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 A부의 상세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5도(a)(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 안경의 절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 안경의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안경2,2',12,12' : 렌즈테
3,13' : 제1경첩4a,4a',14,18 : 제1다리
4b,4b',14',18' : 제2다리5,5',17,17' : 제2경첩
6,6',15,15' : 제3경첩14a,14a' : 조립단부
11,11' : 렌즈14c,14c',15a',15a,15b',15b : 통공
14b,14b',15c'15c : 경사면15a,15b : 헤드
15d,15d' : 조립홈16,16' : 힌지축
19 : 받침돌조
본 고안은 렌즈부 및 다리의 절첩을 동시에 이루는 절첩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된 렌즈부의 외부로 감싸지도록 다리의 절첩을 이루게 하여, 콤팩트(compact)하면서도 휴대시 렌즈를 보호하는 절첩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양측 렌즈테가 일체화되고, 좌,우측 다리는 각각 일체로 되어 렌즈테에 경첩에 의해 연결되며, 착용하지 않을 시에는 다리를 렌즈테의 안쪽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접게 되는 구성을 이룬다.
따라서, 렌즈테와 수직을 이루어 전개된 양측 다리만을 접게 할 뿐, 절첩되지 않는 양측 렌즈테의 길이는 변화시킬 수 없게 되어 휴대시에는 상당히 큰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렌즈부의 안쪽으로 접어진 다리에 의하여 렌즈의 내면은 상기 접어진 다리에 의하여 커버된 상태에 있게 되지만, 렌즈의 외면은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 놓이게 되어, 안경 케이스의 사용없이는 잘못 취급되는 때에는 노출된 렌즈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안경이 안게 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렌즈부의 절첩과 다리의 이중절첩을 이루게 하여 보다 축소되는 절첩 안경이 제안되고 있는바, 그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3a),(3b)을 이룬 제1경첩(3)이 렌즈테(2)와 렌즈테(2')를 힌지 연결시키며, 통상의 제2경첩(5),(5')이 분할된 제1다리(4a),(4a')와 렌즈테(2)(2')를 각각 힌지연결시키며, 통상의 제3경첩(6),(6')이 상기 분할된 제1다리(4a),(4a')와 제2다리(4b),(4b')를 각각 힌지 연결시켜 절첩 안경(1)의 구성을 이룬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절첩식 안경(1)의 절첩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제3경첩(6),(6')을 중심으로 분할된 제2다리(4b),(4b')를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접은 후, 제1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경첩(5),(5')을 중심으로 제2다리(4b),(4b')가 절첩을 이루고 있는 제1다리(4a),(4a')를 각각 화살표 방향, 즉 렌즈테(2),(2')의 내면상에 절첩시키며, 제1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제1경첩(3)의 양측 힌지축(3a),(3b)을 중심으로 제1다리(4a),(4a')와 제2다리 (4b),(4b')가 절첩된 상태를 이루고 있는 렌즈테(2),(2')를 각각 화살표(a),(a')방향으로 절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절첩 방법으로 안경다리 및 양측 렌즈테는 약 2분의 1로 줄어든 길이를 갖게 되며, 상당히 축소된 체적을 이루게 됨에 따라, 휴대가 간편해지며 취급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주게 된다.
그러나, 이중절첩된 다리는 절첩된 렌즈테의 안쪽, 즉 렌즈가 개재된 양측 렌즈테(2),(2')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까닭에, 렌즈테에 개재된 양 렌즈의 외표면은 각각 양측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됨에 따라, 절첩된 상태에서 잘못 취급되는 때에는, 렌즈의 노출된 외표면에 의해 렌즈에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특히, 렌즈의 외표면에 이룬 볼록한 곡률이 심할 경우에는 렌즈의 손상 빈도가 더욱 높아지게 됨은 당연하다.
또한, 양측 다리는 렌즈테의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까닭에, 이중 절첩을 이룬 양측 다리가 다시 양측 렌즈테에 감싸인 상태로, 절첩시에는, 절첩된 양측 다리가 서로 겹치지 않게 절첩되기 보다는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절첩되기가 쉬워 그만큼 절첩폭 내지 두께가 크게 되거나 불안정한 절첩상태로 놓이게 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분할된 다리를 연결시키는 제3경첩(6),(6')은 다리를 안쪽으로 절첩시키기 위하여 다리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까닭에, 착용시 상기 돌출설치된 제3경첩(6),(6')으로 인하여 안면을 압박하거나 착용의 거북함을 일으키게 되는 요인을 안기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절첩식 안경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 즉 다리가 렌즈테의 안쪽으로만 절첩되어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므로써 렌즈가 손상되기 쉽고, 절첩되는 양측 다리가 재절첩을 이루게 될시 서로 겹쳐지게 되어 콤팩트하게 절첩되지 못하며, 또한 분할된 다리의 연결을 위한 경첩은 내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착용시 안면을 불편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양측 다리는 서로 겹치지 않게 절첩되게 하므로써 안정된 절첩상태를 이루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분할된 다리의 연결 및 절첩을 위한 경첩설치는 다리의 폭과 높이로 일치되게 하므로써 착용시 안면장애 요인을 제거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과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좌,우측 렌즈테가 분리, 연결되고, 좌측 및 우측 다리가 각각 전,후방으로 제1 및 제2다리로 분리, 연결되며, 그 렌즈테와 좌,우측 다리가 제2경첩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첩안경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렌즈테가 렌즈의 외면이 서로 마주하여 절첩되도록 각각 회전가능하게 한쌍의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며, 착용상태에서 그 착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형성된 제1경첩; 및 상기 분리된 제1 및 제2 다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여, 절첩상태에서 좌,우측 다리가 서로 겹치지 않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여 절첩되는 좌,우측 렌즈테의 외부를 감싸도록 절첩되며, 착용상태에서는 그 착용상태를 유지하는유지수단이 형성된 한 쌍의 제3경첩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렌즈테에 연결되는 좌,우측 다리중 어느 일측 다리가 다른 일측 다리보다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좌,우측 다리가 절첩된 렌즈테의 외부를 감싸면서 절첩될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절첩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안경을 제공한다.
또한, 좌,우측 다리가 절첩된 렌즈테의 외부를 감싸면서 절첩될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렌즈테에 연결되는 좌,우측 다리중 어느 일측 다리가 다른 일측 다리보다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 대신에, 한쌍의 힌지축을 포함하는 제1내지 제3경첩의 힌지축중의 어느 하나이상이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경첩 및 제3경첩은, 상기 제1및 제2다리와 좌,우측 렌즈테를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한쌍의 힌지축용 좌우 통공이 형성된 상하 헤드와, 좌우측으로 대칭 경사면을 이루고 그 경사면 좌우측으로 조립홈을 이루도록 상기 상하 헤드를 고정되게 연결시키는 분리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 상기 상하 헤드의 통공에 힌지축을 개재하여 연결하기 위한 힌지축용 통공과, 상기 제3및 제1경첩의 분리대의 대칭 경사면의 각각과 함께 상기 착용상태에서의 유지수단을 구성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및 제3경첩은, 그 폭과 높이가 그 좌우측에 힌지 연결되는 좌,우측 다리의 폭과 높이로 일치되게 하여, 착용시 상기 제1및 제3경첩에 의한 안면 장애요인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 안경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 A부의 상세한 분해 사시도이며, 제4도는 제1도의 측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절첩 안경(10)은 제1경첩(13)의 양측 힌지축(16),16')에 힌지 연결되고, 렌즈(11)를 개재시킨 렌즈테(12),(12')와, 양분되어 제3경첩(15),(15')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렌즈테(12),(12')의 측면에서 통상적인 제2경첩(17),(17')에 힌지 연결된 다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경첩(13) 및 제3경첩(15),(15')은, 좌우측 통공(15a'),(15a),(15b'),(15b)에 힌지축(16),(16')을 개재한 상하헤드(15a'),(15a),(15b'),(15b)에 힌지축(16),(16')을 개재한 상하헤드(15a),(15b)가, 양측으로 각각 약 45도의 경사면(15c'),(15c)이 대칭을 이룬 분리대(15c)에 지지되며, 그 경사면(15c'),(15c)의 좌우측으로 조립홈(15d),(15d')을 이룬다.
상기 제1다리(14),(18)의 일단은 약 45도 경사면을 이루며, 타단은 상기 제1경첩(15),(15')의 분리대(15c) 일측에 이룬 경사면(15c')과 동일한 경사면(14b)과, 통공(14c)을 형성하여, 제3경첩(15),(15')의 조립홈(15d)에 삽입되어지도록 조립단부(14',a)를 이룬다.
상기 렌즈테(12),(12')의 연결단부 역시 전술한 다리의 연결단부 형상의 조립단부를 이루며, 이곳에서의 렌즈테 연결부 및 제1경첩(13)은 외향으로 만곡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경첩(13)의 길이상의 크기는 렌즈테 두께의 약3배로 하며, 제3경첩(15),(15')의 길이상의 크기는 렌즈테 두께의 약 4배로 한다.
상기 양측 다리중 어느 일측의 다리는 다른 일측다리의 폭의 크기보다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도록 렌즈상에 힌지연결시킨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절첩순서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5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렌즈테(12),(12')를 화살표 방향으로 절첩시키게 되면, 상기 렌즈테(12),(12')는 각각 제1경첩(13)의 힌지축(3a),(3b)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포개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양측 다리중 오른쪽 다리(18),(18')가 왼쪽다리(14),(14')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가닭에, 양측 다리는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왼쪽다리(14),(14')는 오른쪽 다리(18),(18')의 위쪽으로 교차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경첩(17),(17')을 중심으로 제1다리 (14),(18)를 접게 되면, 상기 제1다리(14),(18)는 먼저 절첩을 이루고 있는 렌즈테(12),(12')의 바깥표면상으로 각각 절첩된다.
즉, 제1다리(14)는 렌즈테(12')의 외표면에 포개지며, 제1다리(14')는 렌즈테(12)의 외표면에 포개지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5도 (b)에 도시)
이러한 상태에서 나머지 절첩되지 않는 제2다리(4b),(4b')를 절첩시키게 되는데, 먼저 제3경첩(15),(15')의 힌지축(16')을 중심으로 제3경첩(15),(15')을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3경첩(15),(15')은 이미 절첩을 이루고 있는 렌즈테(12),(12')의 두께상으로 포개지게 되며, 다시 제3경첩(15),(15')의 힌지축(16)을 중심으로 나머지 절첩되지 않는 제2다리(14'),(18')를 회동시키게되면, 상기 제2다리(14'),(18')는 렌즈테(12),(12')의 외표면에 각각 포개지는 상태로 절첩을 이루게 된다.
즉, 제2다리(14')는 렌즈테(12)상에, 제2다리(18')는 렌즈테(12')상에 절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첩된 제2다리(14'),(18')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된 렌즈테(12),(12')의 외표면 각각에 이미 절첩되어 포개져 있는 제1다리(14),(18)와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상태로 절첩되는데,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측 다리중 어느 일측다리는 다른 일측다리의 폭의 크기보다 위 또는 아래에 설치되는 까닭이다.
이와 같은 절첩순서 및 절첩방법으로 절첩된 안경(10)은, 이중절첩을 이룬 양측 다리가 각각 안경테의 내측 표면으로 절첩되는 종래의 절첩 안경과는 달리, 이중 절첩되는 다리가 이미 절첩되어있는 양측 렌즈테의 외표면으로 각각 감싸지는 절첩을 이루게 되는 까닭에, 상기 렌즈테에 개재된 렌즈(11),(11')는 상기 감싸지게 절첩을 이루고 있는 양측 다리에 의하여 보호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절첩된 상태에서의 휴대시에나 취급잘못이 있을지라도 렌즈에 손상을 주는 일이 완화되거나 해소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렌즈부를 감싸는 상태로 절첩된 양측 다리는 서로 겹치지 않는 상태로 절첩되는 까닭에, 절첩된 상태의 절첩폭을 줄일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렌즈 보호의 폭을 확대시키게 되며, 또한 안정된 절첩상태를 이루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이중절첩을 이루기 위하여 분리된 다리에 힌지 연결된 경첩은 다리의 폭과 높이의 크기를 지녀 상기 다리의 전후 및 상하로 돌출되어 짐이 없기 때문에, 착용시 다리에 사용된 경첩에 의하여 안면의 압박과 같은 불편이 없게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제1내지 제3경첩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힌지를 절첩시 좌,우측 다리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경사지게 하거나, 각각의 경첩의 높이를 다르게 하는 상술한 실시예와 조합하는 등에 의해서 본 고안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잇는 바,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으로 기술하였을 뿐이고,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이루는 절첩 안경의 구성이 실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좌,우측 렌즈테(12,12')가 분리, 연결되고, 좌측 및 우측 다리(14,14'; 18,18')가 각각 전,후방으로 제1 및 제2다리(14,18;14',18')로 분리, 연결되며, 그 렌즈테(12,12')와 좌,우측 다리(14,14';18,18')가 제2경첩(17,17')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절첩안경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렌즈테(12,12')가 렌즈의 외면이 서로 마주하여 절첩되도록 각각 회전가능하게 한쌍의 힌지축(16),(16')에 의해 연결되며, 착용상태에서 그 착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형성된 제1경첩(13); 및 상기 분리된 제1 및 제2다리(14,18;14',18')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여, 절첩상태에서 좌,우측 다리(14,14';18,18')가 서로 겹치지 않는 상태로, 서로 마주하여 절첩되는 좌,우측 렌즈테(12,12')의 외부를 감싸도록 절첩되며, 착용상태에서는 그 착용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형성된 한 쌍의 제3경첩(15,15')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렌즈테(12,12')에 연결되는 좌,우측 다리(14,14';18,18')중 어느 일측 다리가 다른 일측 다리보다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좌,우측 다리(14,14';18,18')가 절첩된 렌즈테(12,12')의 외부를 감싸면서 절첩될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절첩을 이루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첩 및 제3경첩(13,15,15')은, 상기 제1 및 제2다리와 좌,우측 렌즈테(12,12')를 연결시키기 위한 상기 한쌍의 힌지축(16),16')용 좌우 통공(15a'15a,15b',15b)이 형성된 상하 헤드(15a,15b)와, 좌우측으로 대칭 경사면(15c,15c')을 이루고 그 경사면(15c,15c') 좌우측으로 조립홈(15d,15d')을 이루도록 상기 상하 헤드(15a,15b)를 고정되게 연결시키는 분리대(15c)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다리(14,18;14',18')와 상기 좌,우측 렌즈테(12,12')의 연결부분에는, 각각 상기 상하 헤드(15a,15b)의 통공(15a',15a,15b',15b)에 힌지축(16,16')을 개재하여 연결하기 위한 힌지축용 통공(14c,14c')과, 상기 제3 및 제1경첩의 분리대(15c)의 대칭 경사면(15c,15c')의 각각과 함께 상기 착용상태에서의 유지수단을 구성하는 경사면(14b,14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경첩(13,15,15')은, 그 폭과 높이가 그 좌우측에 힌지 연결되는 좌,우측 다리(14,14';18,18')의 폭과 높이로 일치되게 하여, 착용시 상기 제1 및 제3경첩(13,15,15')에 의한 안면 장애요인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테(12,12')에 연결되는 좌,우측 다리(14,14';18,18')중 어느 일측 다리가 다른 일측 다리보다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 대신에, 좌,우측 다리(14,14';18,18')가 절첩된 렌즈테(12,12')의 외부를 감싸면서 절첩될 때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쌍의 힌지축(16),(16')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3경첩(13,15,15')의 힌지축중의 어느 하나이상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안경.
KR2019950003760U 1995-03-06 1995-03-06 절첩안경 KR0119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760U KR0119576Y1 (ko) 1995-03-06 1995-03-06 절첩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760U KR0119576Y1 (ko) 1995-03-06 1995-03-06 절첩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338U KR960032338U (ko) 1996-10-24
KR0119576Y1 true KR0119576Y1 (ko) 1998-07-01

Family

ID=6086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760U KR0119576Y1 (ko) 1995-03-06 1995-03-06 절첩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5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13B1 (ko) * 2021-09-17 2022-09-23 박민규 안경 프레임 브릿지의 접이식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13B1 (ko) * 2021-09-17 2022-09-23 박민규 안경 프레임 브릿지의 접이식 구조
WO2023043273A1 (ko) * 2021-09-17 2023-03-23 박민규 안경 프레임 브릿지의 접이식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338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410A (en) Foldable eyeglasses
US5448317A (en) Combination of foldable glasses and rigid compact container
KR100232262B1 (ko) 접는 안경
US5028126A (en) Foldable spectacle frame
US3049974A (en) Eyeglass frames and the like
JP3153092B2 (ja) 眼 鏡
KR0119576Y1 (ko) 절첩안경
KR101041556B1 (ko) 접이식 휴대안경
DE69903120T2 (de) Faltbrille
KR930004096Y1 (ko) 절첩식 안경
KR200220771Y1 (ko) 휴대가 용이한 안경
KR200388895Y1 (ko)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JPH0990286A (ja) 折り畳み式メガネフレーム
KR940007529Y1 (ko) 절첩식 합성수지제 안경
KR200184081Y1 (ko) 접는 안경
KR102465753B1 (ko)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CN212658900U (zh) 一种可折叠眼镜
JPH07209614A (ja) 折り畳み式眼鏡フレーム
CN218675547U (zh) 一种便携式眼镜
CN211043839U (zh) 一种便于携带使用的眼镜
JPS622583Y2 (ko)
JP7165854B2 (ja) メガネレンズ返却方法
KR0112473Y1 (ko) 레저용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구조
KR100293308B1 (ko) 절첩가능한케이스수납형안경
KR200177361Y1 (ko) 절첩식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