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556B1 - 접이식 휴대안경 - Google Patents

접이식 휴대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556B1
KR101041556B1 KR1020110005349A KR20110005349A KR101041556B1 KR 101041556 B1 KR101041556 B1 KR 101041556B1 KR 1020110005349 A KR1020110005349 A KR 1020110005349A KR 20110005349 A KR20110005349 A KR 20110005349A KR 101041556 B1 KR101041556 B1 KR 101041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arring
glasses
overlapp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림
Original Assignee
(주)이노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플러스 filed Critical (주)이노플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6Collapsib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wavelength separation, e.g. using anaglyph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면적에 얇은 두께로 접을 수 있고, 렌즈를 덮는 형태로 접어 보관하여 렌즈의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하다가 언제 어디서든 필요할 때마다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휴대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각각 렌즈(11)를 구비하여 서로 연결되는 좌안 및 우안의 렌즈부(10), 서로 연결된 렌즈부(10)의 양측에 하나씩 연결되며 연결부위에 근접한 부분을 접을 수 있게 한 연결부(20), 및 양측 연결부(20)의 끝단에 하나씩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게 한 귀걸이부(30)를 각각 판의 형태로 구성하며, 각각의 연결부위를 수평힌지(40)로 겹치기이음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되, 좌안 및 우안 렌즈부(10) 간을 겹치기이음할 때와 연결부(20)를 렌즈부(10)에 겹치기이음할 때에 동일한 방향으로 단차를 갖게 겹치기이음하여, 회동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갖추게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휴대안경{FOLDING TYPE PORTABLE GLASSES}
본 발명은 접이식 휴대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면적에 얇은 두께로 접을 수 있고, 렌즈를 덮는 형태로 접어 보관하여 렌즈의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간편하게 휴대하다가 언제 어디서든 필요할 때마다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휴대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교정용 외에도 입체영상용, 색안경용, 눈 보호용 등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형태를 보면 항상 착용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착용하고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 주머니에 휴대 보관하기도 한다.
최근 제작 및 보급이 늘어나고 있는 입체영상물을 보기 위해서는 입체영상용 안경을 착용하여만 하는데, 이러한 입체영상용 안경은 개인별로 착용해야 하므로 언제 어디서든 입체영상을 볼 수 있으려면 개인적으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안경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마트폰 및 테블릿 등의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급증하고 있어서 이들을 통해 입체영상물을 보려면 입체영상용 안경의 휴대성 및 간편성이 요구된다. 이런 경우에,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쉽게 넣고 다닐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안경에 대한 기술들을 살펴보면, 일본 공개특허 제2000-180798호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6581호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한쌍의 렌즈를 서로 겹치게 하고 다리를 이단으로 접은 후에 렌즈에 포개어서 작은 부피로 휴대 보관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접어 포개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서 힌지수단을 견고하게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을 갖으며, 이에 따라, 두께도 증가하고 부피도 커져서 지갑이나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넣기 어려웠다.
한편, 상기한 일본 공개특허 제2000-180798호는 다리를 접어 렌즈의 외측면에 포갤 수 있어서 렌즈를 조금이나마 보호할 수는 있었으나, 다리를 렌즈에 포갤 때에 렌즈를 누르게 되고, 주머니나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넣으면 포개지는 방향으로 다리가 눌려서 렌즈를 파손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종래기술이 책장을 덮듯이 포개는 구조로 이루어졌기에 수반되는 문제였다. 특히, 안경 다리에서 귀에 걸리는 부분은 얇은 굵기로 제작되는 데 이에 의한 눌림으로 렌즈가 파손되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미국 공개특허 제2010-0073626호는, 한쌍의 렌즈를 렌즈의 평면상으로 수평회전시켜 접철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기술은 얇게 제작 가능하여 보관하기 쉬운 장점과 렌즈끼리 눌려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추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안경 다리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지 아니하여서, 안경 다리까지 얇게 접철하는 안경으로서 활용할 수 없었다.
JP 2000-180798 A 2000.06.30. US 2010-0073626 A1 2010.03.25. KR 20-0296581 Y1 2002.11.2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렌즈와 한쌍의 다리를 포개어 보관할 수 있되, 힌지수단을 간편하게 구성하여 보다 얇은 두께로 접철하듯이 포갤 수 있으며, 아울러, 포개는 과정 중에나 아니면 포갠 후에 렌즈를 다리로 누르지 아니하는 구조를 갖추어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접이식 휴대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귀에 걸리는 부분이 렌즈에 닿지 아니하게 하는 접이식 휴대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 렌즈(11)를 구비하여 서로 연결되는 좌안 및 우안의 렌즈부(10), 서로 연결된 렌즈부(10)의 양측에 하나씩 연결되며 연결부위에 근접한 부분을 접을 수 있게 한 연결부(20), 및 양측 연결부(20)의 끝단에 하나씩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게 한 귀걸이부(30)를 각각 판의 형태로 구성하며, 각각의 연결부위를 수평힌지(40)로 겹치기이음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되, 좌안 및 우안 렌즈부(10) 간을 겹치기이음할 때와 연결부(20)를 렌즈부(10)에 겹치기이음할 때에 동일한 방향으로 단차를 갖게 겹치기이음하여, 회동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갖추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귀걸이부(30)는, 연결부(20)의 양면 중에서, 렌즈부(10)를 겹치기이음한 면에 겹쳐 겹치기이음함을 특징으로 한다.
좌안 및 우안 렌즈부(10) 간을 겹치기이음할 때와, 렌즈부(10)와 연결부(20) 간을 겹치기이음부할 때에, 수평힌지(40)를 렌즈부(10)의 상하 폭의 중심에 형성하고, 연결부(20)의 상하 폭을 귀걸이부(30)로 갈수록 작게 하되, 하부측을 절개하여 상하 폭을 작게 하는 형태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11)는, 입체영상을 보기 위한 애너글리프(anaglyph) 방식의 안경 필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힌지(40)는, 리벳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판 상으로 형성한 우측 귀걸이부, 우측 연결부, 우안 렌즈부, 좌안 렌즈부, 좌측 연결부 및 좌측 귀걸이부를 일렬로 연이어지도록 수평힌지를 이용한 겹치기이음하되, 특히, 우측 연결부, 우안 렌즈부, 좌안 렌즈부, 좌측 연결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단차를 갖도록 겹치기이음하여서, 외부 힘의 눌림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부로 렌즈부를 덮듯이 접철하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눌림힘에 의한 렌즈의 파손을 렌즈부로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방향이 동일하여 간편하게 접이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부와 귀걸이부를 연결부의 동일 면에 겹치기이음하여, 귀걸이부의 만곡을 연결부에 엇갈리게 걸칠 수 있으므로, 귀걸이부의 회동 없이 휴대 보관할 수 있으며, 귀걸이부의 만곡이 렌즈에 닿지 아니하게 하기도 하여서 만곡의 눌림에 의한 렌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의 펼쳐진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의 펼쳐진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의 상면도 및 겹치기이음한 부분의 확대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을 일반 안경에 걸쳐 착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을 휴대 보관하기 위해서, 렌즈부(10), 연결부(20) 및 귀걸이부(30)가 서로 겹쳐지게 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의 펼쳐진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의 펼쳐진 정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은, 렌즈(11 : 11a, 11b)를 구비한 좌안 및 우안의 렌즈부(10 : 10a, 10b)와, 귀에 걸 수 있게 한 두개의 좌우측 귀걸이부(30 : 30a, 30b)와, 귀걸이부(30)를 렌즈부(10)에 연결하는 두개의 좌우측 연결부(20 : 20a, 20b),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우측 귀걸이부(30b),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좌측 연결부(20a) 및 좌측 귀걸이부(30a)의 순서로 겹치기이음(lap joint)되어 있어서, 펼쳐 놓으면 일렬로 연결된 모양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0 : 10a, 10b), 연결부(20 : 20a, 20b) 및 귀걸이부(30 : 30a, 30b)는 각각 판 형태로 형성되며, 휴대성을 위해서 판지나 아니면 플라스틱판과 같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이라고 한 방향은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입장에서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안경은 대칭구조를 갖추므로, 좌측과 우측의 구성을 구분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도면부호 '10', '20' 및 '30'에 'a' 또는 'b'도 병기하면서 기재하였음을 유의해야한다.
상기 렌즈부(10)는, 판 상의 몸체에 구멍을 형성하여 안경테의 역할을 하게 하고 구멍에 렌즈(11)를 고정하였으나, 렌즈(11)의 종류에 따라서는 테 없이 렌즈(1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11)는 입체영상용 렌즈, 색안경용 렌즈, 시력 교정용 렌즈, 아니면 눈 보호용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갑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있는 휴대성을 갖추므로, 상기 렌즈(11)를 입체영상용 렌즈로 구성하여서, 영상물 중에서 최근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입체영상물을 보기 위한 안경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입체영상용 렌즈는 애너글리프(anagliph) 방식 렌즈, 편광방식 렌즈 및 시분할방식 렌즈로 구분되는 데, 본 발명의 휴대성을 충분히 활용하기에 적합한 애너글리프 방식을 채용한 렌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너글리프 방식은 좌안 렌즈를 적색 렌즈로 구성하고 우안 렌즈를 청색 렌즈로 구성하는 방식으로서, 통상 셀로판지로도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0)는 좌안과 우안에 대응되게 좌안 렌즈부(10a)와 우안 렌즈부(10b)로 구성되어 단부를 서로 겹쳐지게 한 후에 겹쳐진 부분에 수평힌지(40)로 관통시켜 고정하는 겹치기이음(lap joint)으로 연결되므로, 좌안 렌즈부(10a)와 우안 렌즈부(10b)가 서로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연결부(20)는, 두개가 마련되어서 서로 연결된 좌안 렌즈부(10a)와 우안 렌즈부(10b)로 구성되는 렌즈부(1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겹치기이음으로 연결되며, 렌즈부(10)를 착용시에 귀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렌즈부(10)에 겹치기이음되는 부위에 접이선(21)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접이선(21)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형태로서, 통상적인 방식, 예를 들면, 장요홈 형태로 형성하는 방식이나 아니면 긴 날을 한번 눌러주는 방식으로 조성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부(30)는, 상기 두개의 연결부(20)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되, 각 연결부(20)의 끝단에 겹치기이음으로 연결되며, 귀에 걸 수 있도록 끝단을 하부로 만곡(31)되게 한 형태를 갖춘다.
한편, 좌안 렌즈부(10a)와 우안 렌즈부(10b) 간의 겹치기이음, 렌즈부(10)와 연결부(20) 간의 겹치기이음, 및 연결부(20)와 귀걸이부(30) 간의 겹치기이음은, 수평힌지(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좌안 및 우안 렌즈부(10) 간을 겹치기이음할 때와, 렌즈부(10)와 연결부(20) 간을 겹치기이음부할 때에, 수평힌지(40)를 렌즈부(10)의 상하 폭 중심에 형성하여서, 후술하는 도 6과 같이 서로 어긋나지 않게 적층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20)의 상하 폭은 귀걸이부(30)가 연결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럴 경우에 후술하는 도 6과 같이 적층되게 접으면, 귀걸이부(30)와 함께 렌즈부(10)를 덮으면서도 렌즈부(1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귀걸이부(30)는 귀에 걸리는 부분이므로 폭을 좁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의 상면도 및 겹치기이음한 부분의 확대 상면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된 겹치기이음(lap joint)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은 우측 귀걸이부(30b),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좌측 연결부(20a) 및 좌측 귀걸이부(30a)의 순서로 연결되되, 수평힌지(40)를 이용한 겹치기이음 방식이 채용된다. 여기서, 수평힌지(40)를 이용한 겹치기이음(lap joint)은, 양쪽 부재의 끝이 겹쳐지게 한 후에 수평힌지(40)를 겹쳐진 부위에 관통시켜 고정하는 이음 방식으로서, 수평힌지(40)에 의해서 어느 한쪽 부재를 기준으로 다른 쪽 부재를 수평힌지(40)를 축으로 회동시켜 양쪽 부재를 서로 겹쳐지게 할 수 있는 이음 방식이다. 이때, 상기 겹치기이음(lap joint)은 이음 방식의 간편성을 위해서, 그리고,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 리벳 이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양쪽 부재의 겹쳐진 부분에 리벳을 관통시켜 장착하되 느슨한 리벳 이음이 되게 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겹치기이음 방식은 양쪽 부재의 겹치기 형태에 따라 2가지 이음방식(A, B)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제1 이음방식(A)은 좌안 렌즈부(10)와 우안 렌즈부(10) 간을 겹치기이음할 때, 및 연결부(20)를 렌즈부(10)에 겹치기이음할 때에 적용된다. 즉, 상기 제1 이음방식(A)은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및 좌측 연결부(20a)를 일렬로 배치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겹치기이음할 때에 적용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연이어지게 겹치기이음할 때에 동일한 방향으로 단차를 갖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및 좌측 연결부(20a)를 연이어 겹치기이음함에 따라 우측 연결부(20b)에서 시작하여 좌측 연결부(20a) 방향으로 향하여 오름 계단식의 단차를 갖게 하였으나, 역으로 내림 계단식의 단차를 갖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이음방식(B)은 귀걸이부(30)를 연결부(20)의 끝단에 겹치기이음할 때에 적용되는 방식으로서, 판 형태의 연결부(20) 양면 중에서 렌즈부(10)를 겹치기이음한 면의 끝단에 귀걸이부(30)의 단부를 겹쳐서 겹치기이음을 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연결부(20)의 양면 중에서 어느 한 면의 양단에 렌즈부(10) 및 귀걸이부(30)의 단부를 겹쳐서 겹치기이음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이음방식(A)을 채용한 겹치기이음으로 인해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및 좌측 연결부(20a) 중에 어느 하나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것들을 회동시켜서 어느 하나에 적층하듯이 겹치게 하면, 후술하는 도 6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및 좌측 연결부(20a)의 순서로 적층되어서, 렌즈부(10 : 10a, 10b)를 연결부(20 : 20a, 20b)로 덮는 형태로 된다. 그리고, 제2 이음방식(B)의 겹치기이음으로 연결된 귀걸이부(30 : 30a, 30b)는 폭이 좁게 형성된 귀걸이부(30)의 만곡부(31)를 후술하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20)에 걸치게 하여 회동을 제한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만곡부(31)가 렌즈부(10)의 렌즈(11)에 닿지 아니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의 착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귀걸이부(30b),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좌측 연결부(20a) 및 좌측 귀걸이부(30a)를 일렬로 펼친 상태에서 연결부(20)를 접이선(21)을 기준으로 후방, 즉, 사람의 귀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귀걸이부(30)를 귀에 걸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를 일반 안경에 걸쳐 착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는 상기 도 4에서 보여준 상태에서 귀걸이부(30)를 수평힌지(40)를 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켰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귀걸이부(30)를 연결부(20) 기준으로 하부로 절곡하듯이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일반 안경의 전방에 렌즈부(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귀걸이부(30)를 일반 안경의 다리 안쪽으로 끼워 연결부(20)를 일반 안경의 다리에 걸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입체영상용이나 색안경용, 아니면 눈 보호용으로 제작할 경우에 시력보호용 일반 안경을 착용한 사람도 일반 안경에 걸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이 귀걸이부(30)를 하부로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휴대안경에서, 렌즈부(10), 연결부(20) 및 귀걸이부(30)가 서로 겹쳐지게 하여 휴대하기 편하게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도 6의 a는, 우측 귀걸이부(30b) 및 우측 연결부(20b)를 회동시켜 우안 렌즈부(10b)의 뒤면에 겹쳐놓은 상태이며, 이후에 설명하는 좌측 연결부(20a) 및 좌측 귀걸이부(30a)를 좌안 렌즈부(10a)의 정면에 겹쳐놓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도 6의 a는, 우측 귀걸이부(30b) 및 우측 연결부(20b)를 겹쳐놓은 우안 렌즈부(10b)를 좌안 렌즈부(10a)의 배면에 겹쳐놓기도 하였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좌측 연결부(20a)를 기준으로 좌측 귀걸이부(30a)를 하부로 회동시키는 과정 중에(도 6의 a) 좌측 귀걸이부(30a)의 만곡(31)을 전방으로 들쳐내어서 만곡(31)이 좌측 연결부(20a)의 전면에 놓이게 한다(도 6의 b). 즉, 좌안 렌즈부(10a)와 좌측 귀걸이부(30a)는 좌측 연결부(20a)의 배면에 겹치기이음되었으므로, 좌측 귀걸이부(30a)의 겹치기이음된 부분을 좌측 연결부(20a)의 배면에 있게 하고 좌측 귀걸이부(30a)의 만곡(31)을 좌측 연결부(20a)의 정면에 있게 하여서, 좌측 귀걸이부(30a)가 좌측 연결부(20a)에 걸쳐지며 고정되는 것이다. 만약, 좌안 렌즈부(10a)와 좌측 귀걸이부(30a)를 좌측 연결부(20a)의 동일면에 겹치기이음하지 아니하면, 즉,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 참조할 때에 좌측 귀걸이부(30a)를 좌측 연결부(20a)의 정면에 겹치기이음하면 좌측 귀걸이부(30a)가 360°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좌측 귀걸이부(30a)를 좌측 연결부(20a)에게 고정할 수 없게 되는 데, 본 발명은 좌측 귀걸이부(30a)를 좌측 연결부(20a)에게 고정할 수 있어서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좌측 귀걸이부(30a)를 좌측 연결부(20a)에 고정한 상태에서, 좌측 연결부(20a)를 회동시켜(도 6의 c) 좌안 렌즈부(10a)의 정면에 겹쳐놓으면(도 6의 d)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및 좌측 연결부(20a)가 순차적으로 겹쳐진 상태가 되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여기서, 우측 귀걸이부(30b)와 좌측 귀걸이부(30a)는 각각 우측 연결부(20b)와 좌측 연결부(20a)에 고정되므로 휴대할 시에 귀걸이부(30 : 30a, 30b)의 회동으로 인한 불편함을 갖지 아니한다.
한편, 좌안 및 우안 렌즈부(10) 간을 겹치기이음할 때와, 렌즈부(10)와 연결부(20) 간을 겹치기이음부할 때에, 수평힌지(40)를 렌즈부(10)의 상하 폭의 중심에 형성하였으므로, 우측 연결부(20b), 우안 렌즈부(10b), 좌안 렌즈부(10a) 및 좌측 연결부(20a)를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하였을 때에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0 : 10a, 10b)를 4각형에 가깝게 제작하고 연결부(20 : 20a, 20b)를 렌즈부(10 : 10a, 10b)의 4각틀 내에 들어가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20)의 상하 폭을 귀걸이부(30)로 갈수록 작게 하되, 하부측을 절개하여 상하 폭을 작게 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부(20)는 펼쳐놓은 상태에서 상변을 렌즈부(10)의 상변에 맞추고 하변을 사선에 가깝게 절개하되 귀걸이부(30)로 갈수록 상하폭을 작게 할 절개 사선 방향을 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균일한 폭으로 제작되는 귀걸이부(30)를 회동시켜 연결부(20)에 걸치면 상기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부(30)도 렌즈부(10)의 4각 테두리 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아니한다.
또 한편, 상기 도 6의 d에 도시된 상태로 하면, 렌즈부(10)를 연결부(20) 및 귀걸이부(30)로 감싸는 형태로 되어 렌즈부(10)의 렌즈(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휴대시에 렌즈(11)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렌즈부 10a : 좌안 렌즈부 10b : 우안 렌즈부
11 : 렌즈 11a : 좌안 렌즈 11b : 우안 렌즈
20 : 연결부 20a : 좌측 연결부 20b : 우측 연결부
21 : 접이선
30 : 귀걸이부 31 : 만곡 40 : 수평힌지

Claims (4)

  1. 각각 렌즈(11)를 구비하여 서로 연결되는 좌안 및 우안의 렌즈부(10), 서로 연결된 렌즈부(10)의 양측에 하나씩 연결되며 연결부위에 근접한 부분을 접을 수 있게 한 연결부(20), 및 양측 연결부(20)의 끝단에 하나씩 연결되어 귀에 걸 수 있게 한 귀걸이부(30)를 각각 판의 형태로 구성하며,
    각각의 연결부위를 수평힌지(40)로 겹치기이음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되, 좌안 및 우안 렌즈부(10) 간을 겹치기이음할 때와 연결부(20)를 렌즈부(10)에 겹치기이음할 때에 동일한 방향으로 단차를 갖게 겹치기이음하여, 회동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갖추게 하고,

    좌안 및 우안 렌즈부(10) 간을 겹치기이음할 때와, 렌즈부(10)와 연결부(20) 간을 겹치기이음부할 때에, 수평힌지(40)를 렌즈부(10)의 상하 폭의 중심에 형성하고,
    연결부(20)의 상하 폭을 귀걸이부(30)로 갈수록 작게 하되, 하부측을 절개하여 상하 폭을 작게 하는 형태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안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부(30)는,
    연결부(20)의 양면 중에서, 렌즈부(10)를 겹치기이음한 면에 겹쳐 겹치기이음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안경.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11)는,
    입체영상을 보기 위한 애너글리프(anaglyph) 방식의 안경 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힌지(40)는,
    리벳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휴대안경.
KR1020110005349A 2010-06-09 2011-01-19 접이식 휴대안경 KR101041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4321 2010-06-09
KR1020100054321 2010-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556B1 true KR101041556B1 (ko) 2011-06-15

Family

ID=4440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349A KR101041556B1 (ko) 2010-06-09 2011-01-19 접이식 휴대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5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3416S1 (en) 2018-02-09 2019-10-15 Bunny Eyez, LLC Convertible glasses
JP2019179108A (ja) * 2018-03-30 2019-10-17 格 堀川 折り畳み可能な眼鏡フレーム
US10663758B2 (en) 2018-02-09 2020-05-26 Bunny Eyez, LLC Spectacles with dual salon and traditional configurations
US10996489B2 (en) 2018-02-09 2021-05-04 Bunny Eyez, LLC Spectacles with dual salon and traditional configur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798A (ja) 1998-12-17 2000-06-30 Nobusuke Niwa 折畳式眼鏡
US6783236B2 (en) * 2003-01-22 2004-08-31 Pin Chou Foldable glasses
US20090190088A1 (en) 2006-10-25 2009-07-30 Ld Strobel, Inc. Multi-function, folding reading glasses
US20100073626A1 (en) * 2008-09-25 2010-03-25 Engstrom John A Folding glasses and enclosure with light sour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798A (ja) 1998-12-17 2000-06-30 Nobusuke Niwa 折畳式眼鏡
US6783236B2 (en) * 2003-01-22 2004-08-31 Pin Chou Foldable glasses
US20090190088A1 (en) 2006-10-25 2009-07-30 Ld Strobel, Inc. Multi-function, folding reading glasses
US20100073626A1 (en) * 2008-09-25 2010-03-25 Engstrom John A Folding glasses and enclosure with light sour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3416S1 (en) 2018-02-09 2019-10-15 Bunny Eyez, LLC Convertible glasses
US10663758B2 (en) 2018-02-09 2020-05-26 Bunny Eyez, LLC Spectacles with dual salon and traditional configurations
US10996489B2 (en) 2018-02-09 2021-05-04 Bunny Eyez, LLC Spectacles with dual salon and traditional configurations
JP2019179108A (ja) * 2018-03-30 2019-10-17 格 堀川 折り畳み可能な眼鏡フレーム
JP7201331B2 (ja) 2018-03-30 2023-01-10 格 堀川 折り畳み可能な眼鏡フレー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8028B2 (en) Spectacle-type wireless communicator
US9939650B2 (en) Wearable display system
US9645410B2 (en) Foldable glasses with magnifier
KR101041556B1 (ko) 접이식 휴대안경
US8096652B1 (en) Headband eyeglasses
US20130077041A1 (en) Eyeglasses having replaceable and foldable temples
CN203786392U (zh) 帽型头戴显示设备
US20170242267A1 (en) Foldable glasses with magnifier
US20180017803A1 (en) Accessory and lens system
US20140268005A1 (en) Collapsible eyeglasses
KR101688313B1 (ko)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커버조립체
US8992008B2 (en) Foldable eyewear
US20220099997A1 (en) Eyeglasses
KR20150004634U (ko) 카드형 회전접이 휴대안경
TWI479224B (zh) 3d眼鏡結構
CN210720880U (zh) 一种ar眼镜
US11543677B2 (en) Eyewear having deployable auxiliary devices
CN205374895U (zh) 一种手机折叠3d眼镜
KR101344621B1 (ko) 휴대용 3d 안경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JP7201331B2 (ja) 折り畳み可能な眼鏡フレーム
USD655732S1 (en) Arcuate eyeglass lens with semi-hexagonal aperture
CN201522586U (zh) 一种眼镜镜片框替换结构
KR101117610B1 (ko) 쇼케이스형 접이식 안경
US20150241716A1 (en) Protective lens for people with presbyop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