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753B1 -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753B1
KR102465753B1 KR1020200094611A KR20200094611A KR102465753B1 KR 102465753 B1 KR102465753 B1 KR 102465753B1 KR 1020200094611 A KR1020200094611 A KR 1020200094611A KR 20200094611 A KR20200094611 A KR 20200094611A KR 102465753 B1 KR102465753 B1 KR 10246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joint
temples
block
te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686A (ko
Inventor
장한수
Original Assignee
(주) 명진아이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명진아이웨어 filed Critical (주) 명진아이웨어
Priority to KR102020009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7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의 양단과 안경다리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탄성 힌지구조로 연결하여서, 상기 안경다리의 탄력적인 절첩 및 전개를 도모하고, 특히 안경다리의 전개시 안경다리의 상하 유동발생을 억제하여 향상된 착용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Hinge assembly for glasses frame}
본 발명은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의 양단과 안경다리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탄성 힌지구조로 연결하여서, 상기 안경다리의 탄력적인 절첩 및 전개를 도모하고, 특히 안경다리의 전개시 안경다리의 상하 유동발생을 억제하여 향상된 착용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근시, 원시 등 시력을 보완하거나 선글라스와 같이 유해광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근래에는 개인의 개성을 나타내는 패션소품으로도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는 림과 림을 착용자의 안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코받침과 안경다리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안경다리와 렌즈고정림은 힌지 조립체을 통해 결합되어 안경다리를 절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안경은 림과 안경다리가 주로 외부에 노출되므로서 주로 림과 안경다리의 디자인이 안경선택의 기준이 된다.
즉, 안경은 렌즈를 고정하는 림과 안경다리의 디자인이 안경디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안경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의 차이를 소비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주요디자인 요소이므로 소비자의 안경디자인 판단의 주요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 안경테의 프론트와 안경다리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힌지구조로 연결하는 힌지 조립체는,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을 형성시켜 안경다리가 외측 방향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지편 및 안경다리의 걸림홈에 끼움 결합 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편을 구성시키되, 상기 걸림편에는 안경다리가 내측 방향으로 일정구간 회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경다리가 안경테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가이드가 굴곡 되게 형성된 박판 형상의 안경테와, 끝단의 측면 일측으로 걸림편이 삽입되어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홈이 형성된 박판 형상의 안경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힌지 조립체는 안경다리 선단 및 후단부가 걸림홈을 기준으로 상하로 유동하여 착용시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10-2009-0008481 20-0454255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단과, 안경다리의 선단에 형성된 절첩 이음단 사이에, 힌지편과, 상기 힌지편과 일렬로 상하 교번되게 정렬하여 힌지축부를 통해 이음되는 힌지구조로 이음되는 힌지 연결구조와, 상기 힌지 연결구조에 의해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선회하여 절첩 및 전개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는,
프론트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부와;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안경다리의 선단에 형성되는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힌지 이음부와 힌지 연결부를 상하 관통하여 프론트의 양단에 다리를 힌지구조로 조립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이음부는, 프론트 본체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편과; 상기 힌지 이음편에 고정되며 상하 관통하는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다리의 선단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안경다리의 선단에 상하 절개하여 형성된 3개의 자유단편을 포함하되,
상기 3개의 자유단편 중,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자유단편은 단부에 힌지 이음부를 구성하는 힌지블록의 힌지공과 상하 일렬로 정렬되는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단부를 형성하여 관통하는 힌지축부를 통해 힌지블록과 힌지구조로 이음되고,
나머지 중앙부에 형성된 자유단편은, 힌지블록에 외접하여 회전하면서 힌지블록의 외경면과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경다리를 탄력적으로 절첩 및 전개하는 탄성 지지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 이음부의 힌지블록과 상기 힌지 연결부의 힌지단부는 힌지축부가 힌지 이음부의 힌지 이음편과 안경다리의 내측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 연결부의 힌지단부는 안경다리의 선단에 절개하여 형성된 3개의 자유단편 중,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자유단편의 단부를 후크형상으로 각각 절곡한 커링형 중공체로 구성하고,
상기 커링형 중공체와 힌지블록이 형성된 힌지 이음편의 단부 사이에 설정간격의 역틸팅 유격을 형성하여,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등각 선회한 커링형 중공체를 포함하는 힌지 연결부는 힌지 이음편과 역틸팅 유격을 통해 외측으로 설정각도로 탄성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판상몸체로 이루어진 안경다리의 선단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자유단을 형성한 힌지단부에, 프론트의 단부에 형성된 힌지 이음부에 정형화되게 조립되는 독특한 조립구조를 마련함으로써, 힌지단부와 힌지블록 사이의 정형화된 힌지조립이 구현되고, 결과적으로 얇은 안경다리를 채택하면서도 안정된 절첩 및 전개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안경다리의 전개시 탄성 지지단에 의해 힌지 이음부와 규합된 상태를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착용시 다리가 상하로 유동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향상된 착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절첩 및 전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절첩 및 전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테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절첩 및 전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절첩 및 전개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안경테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1)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경테(100)를 구성하는 프론트(110)와 상기 프론트(110)의 양단에 힌지구조로 조립되어 착용자의 귀부위에 견착되는 안경다리(120) 사이에 형성되어서, 상기 안경다리(120)의 선단을 프론트(110)의 양단에 힌지구조로 정형화되게 연결하는 수단이다.
상기 프론트(110)는, 좌우 양측에 코받침대(113)가 형성된 브릿지(111)의 양측에 렌즈(L)가 장착되는 림(112)이 각각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코받침대(113)를 통해 착용자의 코부위에 지지되어 장착된 각 렌즈(L)를 착용자의 안구 전방에 정위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안경다리(120)는 절첩을 통해 프론트(110)의 배면으로 눕혀져 휴대 보관상태를 형성하며, 또 전개를 통해 착용자의 귀부위를 견착하여 착용자의 안면에 거치된 프론트(110)가 착용자의 두부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110)는, 금속판을 절삭 가공하여 브릿지(111)의 양편에 림(112)이 각각 형성된 절삭 가공품으로 구성하고, 상기 안경다리(120)는 상기 프론트(110)를 구성하는 금속판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금속강판을 레이저나 프레스 등으로 커팅한 절단 성형품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금속강판으로 이루어진 안경다리(120)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굽힙 및 복원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프론트(110)와 안경다리(120) 사이에 안경다리(120)의 재질특성을 이용한 독특한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1)를 마련하여서, 안경다리(120)의 정형화된 조립과, 절첩 및 전개를 구현하고, 특히 절첩 및 전개된 안경다리(120)가 임의로 절첩 또는 전개되는 현상이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론트(110)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부(10)와; 안경다리(120)의 선단에 형성되는 힌지 연결부(20, 30); 및 상기 힌지 이음부(10)와 힌지 연결부(20, 30)를 상하 관통하여 힌지 이음부(10)와 힌지 연결부(20, 30)를 힌지구조로 이음하는 힌지축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이음부(10)는, 상기 프론트(110)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편(11)과; 상기 힌지 이음편(11)에 고정되며 상하 관통하는 힌지공(12a)이 형성된 힌지블록(12)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 이음편(11)의 내벽에 힌지블록(11)을 용접을 통해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이음부(10)를 구성하는 힌지블록(12)은 다이캐스팅이나 절삭 가공을 통해 제조된 블록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몸체의 중앙부에는 힌지축부(40)가 관통하는 힌지공(12a)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고 외경면에는 후술되는 힌지 연결부(20, 30)의 탄성 지지단(23, 33)이 탄력적으로 외접하여 탄성 굽힘되는 편심 돌출부(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경다리(120)의 선단에 형성되는 힌지 연결부(20, 30)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다리의 선단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안경다리(120)의 선단에 상하 절개하여 형성된 3개의 자유단편(20a, 20b, 20c; 30a, 30b, 30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경다리의 선단에 형성된 3개의 자유단편(20a, 20b, 20c; 30a, 30b, 30c) 중,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자유단편(20a, 20b; 30a, 30b)은 단부에 힌지 이음부(10)를 구성하는 힌지블록(12)의 힌지공(12a)과 상하 일렬로 정렬되는 힌지공(22a, 33a)이 형성된 힌지단부(21, 31)를 형성하여 관통하는 힌지축부(40)를 통해 힌지블록(12)과 힌지구조로 이음된다.
그리고, 상기 나머지 중앙부에 형성된 자유단편(20c, 30c)은 힌지블록(12)에 외접하여 안경다리(120)를 탄력적으로 절첩 및 전개하는 탄성 지지단(23, 33)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와 하부의 자유단편(20a, 20b)의 단부 내벽에, 힌지공(22a)이 상하로 형성된 이음블록(22)을 용접을 통해 고정하여 이음블록(22)으로 이루어진 힌지단부(21)를 각각 형성하여서, 상기 힌지블록(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적층하여 힌지공(12a, 22a)들이 상하 연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와 하부의 자유단편(30a, 30b)의 단부를 후크형으로 절곡한 커링형 중공체(32)로 이루어진 힌지단부(31)를 자유단편(30a, 30b)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힌지블록(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적층하여 커링형 중공체(32)의 힌지공(12a, 32a)들이 상하 연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이음부(10)를 구성하는 힌지블록(12)은 상부와 하부에 적층된 이음블록(22)의 힌지공(22a), 또는 커링형 중공체(32)의 힌지공(32a)을 따라 관통하는 힌지축부(40)에 의해, 안경다리(120)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 연결부(20)를 힌지구조로 조립한다.
이때, 상기 힌지축부(40)는 도 2 내지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일렬 정렬된 힌지공(12a, 22a; 12a, 32a)들을 따라 하향 진입하며 상단에 두부(41a)가 형성된 너트관 부재(41)와; 상하 일렬 정렬된 힌지공(12a, 22a; 12a, 32a)들을 따라 상향 진입하여 너트관 부재(41)에 체결되며, 하단에 두부(42a)가 형성된 볼트축 부재(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이음부(10)를 구성하는 힌지블록(12)과, 안경다리(20)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 연결부(20, 30)의 힌지단부(21, 31)는, 상하 일렬로 정렬된 힌지공(12a, 22a; 12a, 3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힌지축부(40)에 의해 힌지구조로 이음되어서, 안경다리(120)의 절첩 및 전개를 도모한다.
이때, 상기 힌지 연결부(20, 30)를 구성하는 힌지단부(21, 31)는 너트관 부재(41)의 두부(41a)와, 볼트축 부재(42)의 두부(42a)에 의해 상하 압착되어 힌지축부(40)는 힌지 연결부(20, 30)와 함께 등각 회전함으로써, 안경다리(120)의 반복적인 절첩 및 전개에 의해 너트관 부재(41)와 볼트축 부재(42) 사이의 풀림 발생이 억제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상기 힌지블록(12)의 상부에 적층된 상부에 형성된 이음블록(22)의 상부에는 다각의 규합홈(22b)을 하향 요입되게 형성하고, 너트관 부재(41)의 두부(41a)는 다각의 규합홈(22b)에 규합된 다각형상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너트관 부재(41)는 이음블록(22)에 규합되어 이음블록(22)과 함께 등각 회전하고, 결과적으로 볼트축 부재(42)와의 풀림 발생이 보다 안정되게 예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연결부(20, 30)의 탄성 지지단(23, 33)과 외접하는 힌지 이음부(10)의 힌지블록(12)의 외경면에는 편심 돌출부(12b)가 구간 돌출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경다리(120)의 절첩 및 전개시 탄성 지지단(23, 33)은 도 4 내지 도 6, 그리고 도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심 돌출부(12b)와의 간섭에 의해 외형 절곡되면서 안경다리(120)의 탄력적인 절첩과 전개를 도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축부(40)를 통해 외측으로 등각 선회하여 전개된 안경다리(120)의 선단이 프론트(110)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부(10)와 정형화되게 규합하여서, 착용시 안경다리(120)의 상하 유동발생이 억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110)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편(11)의 단부에 규합홈(11a)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지지단(23, 33)의 단부에는 내향 절곡된 규합돌기(23a, 33a)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안경다리가 힌지축부(4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여 전개되면, 도 4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경다리(120)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 연결부(20, 30)의 탄성 지지단(23, 33)은 규합돌기(23a, 33a)를 힌지 이음편(11)의 단부에 형성된 규합홈(11a)에 진입하여서 힌지 이음편(11)과 규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규합에 의해 힌지 조립체(1)와, 상기 힌지 조립체(1)를 통해 이음된 프론트(110), 및 안경다리(120)의 상하 유동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구현함에 있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유단편(20a, 20b)의 단부를 후크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커링형 중공체(32)와; 힌지블록이 형성된 힌지 이음편의 단부 사이에 설정간격의 역틸팅 유격(G)을 형성하여서, 힌지축부(4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등각 선회한 커링형 중공체(32)를 포함하는 힌지 연결부(30)는 힌지 이음편(11)과 역틸팅 유격(G)을 통해 외측으로 설정각도로 탄성 틸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안경다리(120)는 역틸팅 유격(G)을 통해 역방향으로 틸팅하여 착용자의 두부를 탄력적으로 압박하여서, 안경테(100)의 보다 정형화된 착용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도 2b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이음부(10)를 구성하는 힌지 이음편(11)에 별도의 힌지블록을 용접을 통해 고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힌지 이음편(11)의 단부를 후크형상으로 절곡한 절곡형 중공체(12')를 일체 형성하여서, 힌지 연결부(20, 30)를 구성하는 힌지단부(21, 31)와 힌지축부(40)를 통해 힌지 이음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될 뿐 아니라, 상기 탄성 절곡된 힌지 이음부(10)의 절곡형 중공체(12')와, 힌지 연결부(20, 30)를 구성하는 탄성 지지단부(23, 33) 사이의 탄성에 의해 보다 안경다리의 부드러운 탄성 전개와 탄성 절첩이 구현될 수 있다.
1.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10. 힌지 이음부 11. 힌지 이음편
12. 힌지블록 12a. 힌지공
12'. 절곡형 중공체
12b. 편심 돌출부
20. 힌지 연결부 20a, 20b, 20c. 자유단편
21. 힌지단부 22. 이음블록
22a. 힌지공 22b. 규합홈
23. 탄성 지지단
30. 힌지 연결부 30a, 30b, 30c. 자유단편
31. 힌지단부 32. 커링형 중공체
32a. 힌지공 33. 탄성 지지단
40. 힌지축부 41. 너트관 부재
41a. 두부 42. 볼트축 부재
41b. 두부
100. 안경테 110. 프론트
111. 브릿지 112. 림
113. 코받침대 120. 안경다리

Claims (3)

  1. 프론트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부와;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안경다리의 선단에 형성되는 힌지 연결부; 및 상기 힌지 이음부와 힌지 연결부를 상하 관통하여 프론트의 양단에 다리를 힌지구조로 조립하는 힌지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 이음부는, 프론트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편과; 상기 힌지 이음편에 고정되며 상하 관통하는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다리의 선단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안경다리의 선단에 상하 절개하여 형성된 3개의 자유단편을 포함하되,
    상기 3개의 자유단편 중,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자유단편은 단부에 힌지 이음부를 구성하는 힌지블록의 힌지공과 상하 일렬로 정렬되는 힌지공이 형성된 힌지단부를 형성하여 관통하는 힌지축부를 통해 힌지블록과 힌지구조로 이음되고,
    나머지 중앙부에 형성된 자유단편은, 힌지블록에 외접하여 회전하면서 힌지블록의 외경면과의 간섭에 의해 생성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안경다리를 탄력적으로 절첩 및 전개하는 탄성 지지단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편의 단부에 규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지지단의 단부에는 내향 절곡된 규합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안경다리가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선회하여 전개되면, 상기 안경다리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 연결부의 탄성 지지단은 규합돌기가 힌지 이음편의 단부에 형성된 규합홈에 관통 진입되어서 힌지 이음편과 규합하여,
    상기 힌지축부를 통해 외측으로 등각 선회하여 전개된 안경다리의 선단이 프론트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 이음부와 정형화되게 규합하여서, 착용시 안경다리의 상하 유동발생이 억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 이음부의 힌지블록과 상기 힌지 연결부의 힌지단부는 힌지축부가 힌지 이음부의 힌지 이음편과 안경다리의 내측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 연결부의 힌지단부는 안경다리의 선단에 절개하여 형성된 3개의 자유단편 중,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자유단편의 단부를 후크형상으로 각각 절곡한 커링형 중공체로 구성하고,
    상기 커링형 중공체와 힌지블록이 형성된 힌지 이음편의 단부 사이에 설정간격의 역틸팅 유격을 형성하여,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등각 선회한 커링형 중공체를 포함하는 힌지 연결부는 힌지 이음편과 역틸팅 유격을 통해 외측으로 설정각도로 탄성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200094611A 2020-07-29 2020-07-29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KR102465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611A KR102465753B1 (ko) 2020-07-29 2020-07-29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611A KR102465753B1 (ko) 2020-07-29 2020-07-29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86A KR20220014686A (ko) 2022-02-07
KR102465753B1 true KR102465753B1 (ko) 2022-11-11

Family

ID=8025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611A KR102465753B1 (ko) 2020-07-29 2020-07-29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7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07646B (zh) 2005-01-25 2010-06-1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0454255Y1 (ko) 2009-04-28 2011-06-23 박대석 조립식 안경
KR20140007206A (ko) * 2012-07-09 2014-01-17 주식회사 디자인아이웍스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
KR20170130916A (ko) * 2016-05-20 2017-11-29 유규진 안경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86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9667U (ja) 折り畳みメガネ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102282966B1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KR101786440B1 (ko) 안경 프레임
KR102465753B1 (ko)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CA2141896C (en) Folding frameless eyeglasses
CN210514813U (zh) 一次成型镜片的折叠眼镜
KR102004619B1 (ko) 탈,착식 안경경첩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JP3071524U (ja) 鼻当てパッド
KR102047239B1 (ko) 안경테용 탄성 힌지 조립체
CN210982943U (zh) 可拆卸镜腿结构以及含该结构的眼镜
KR200490801Y1 (ko)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체
KR200455234Y1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KR101992268B1 (ko) 안경테 조립구조
KR101871898B1 (ko) 손목결합 선글라스
JP7199094B2 (ja) オーバーグラス
KR200177361Y1 (ko) 절첩식 안경
TWI670542B (zh) 鏡片定位結構(一)
JPH11344687A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110008302U (ko) 안경용 조립식경첩
CA2435604A1 (fr) Lunettes du type sans entourage
TWI609210B (zh) Eyeglasses for easy replacement of temples
KR20230143330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체결구조
KR10194140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