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206A -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206A
KR20140007206A KR1020120074648A KR20120074648A KR20140007206A KR 20140007206 A KR20140007206 A KR 20140007206A KR 1020120074648 A KR1020120074648 A KR 1020120074648A KR 20120074648 A KR20120074648 A KR 20120074648A KR 20140007206 A KR20140007206 A KR 20140007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ntral axis
eyeglass
glasse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아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아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아이웍스
Priority to KR1020120074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206A/ko
Publication of KR2014000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전방프레임과 안경다리에서 각각 연장되는 원통부와 이들이 감싸면서 회동 결합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힌지를 사용함으로서 미관상 수려하고 고장 및 파손 가능성이 낮은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용 힌지는 원통형상의 중심축;
상기 측면부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을 감싸는 전방프레임원통부; 및
상기 안경다리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을 감싸는 안경다리원통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EYEGLASS HINGE AND EYEGLASS FRAME}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전방프레임과 안경다리에서 각각 연장되는 원통부와 이들이 감싸면서 회동 결합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힌지를 사용함으로서 미관상 수려하고 고장 및 파손 가능성이 낮은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거나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눈에 착용되던 일종의 광학기구이다. 안경은 흔히들 ‘안경알’(10)이라고 불리는 렌즈부분과 상기 안경알(10)을 감싸는 전방프레임(20) 및 상기 전방프레임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안경다리(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경은 렌즈를 장착한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를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40)를 구비하는데, 이 힌지는 대부분 용접, 볼트와 너트 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안경다리는 그 접히는 구조적 특성상 그 주변부위에 스크래치가 쉽게 발생하여 미관상 좋지 않고, 특히 도금된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때문에, 근래에는 안경이 일회용품이 되었다 할 만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는 사람이 없고, 쉽게 싫증을 느껴 오래 사용하지 않은 안경을 버리고 새로 구입하는 등 낭비적인 요소도 큰 문제가 되었다.
또한, 안경다리가 접히는 구조적 특성상 힌지를 고정하는 볼트 혹은 나사가 장시간 사용시 느슨해지면서 풀려 분실되는 현상, 그로 인한 안경 착용 불가의 문제, 볼트 혹은 나사 풀림시 이를 다시 조여야 하는 문제, 또 안경의 특성상 볼트 혹은 나사가 아주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전용 공구(소형 드라이버)가 요구되므로 아무 장소에서나 조일 수 없고 부득이 하게 안경점을 재 방문하여 A/S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지속되어 왔다.
이에 실용성과 미적감각을 겸비한 다양한 안경 프레임이 출시되었는데, 종래의 나사를 이용한 안경 프레임은 미적 감각을 표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전방프레임과 안경다리에서 연장되는 원통부와 이들을 감싸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힌지를 사용함으로서 미관상 수려하고 고장 및 파손 가능성이 낮은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용 힌지는 원통형상의 중심축;
상기 측면부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을 감싸는 전방프레임원통부; 및
상기 안경다리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을 감싸는 안경다리원통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은
안경알을 감싸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전방 프레임, 한쌍의 안경다리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안경다리를 피봇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원통형상의 중심축;
상기 측면부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을 감싸는 전방프레임원통부; 및
상기 안경다리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을 감싸는 안경다리원통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전방프레임원통부는 측면부의 말단에 2개로 분할되어 연장되고, 상기 안경다리원통부는 안경다리의 말단에서 2개로 분할되어 연장되며, 상기 전방프레임원통부가 상기 중심축의 중간부분을 감싸고 상기 안경다리말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원통부의 외측을 감싼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안경 프레임은 안경다리 말단에 형성된 2개의 안경다리원통부 사이에 돌출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2개의 전방프레임원통부의 사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중심축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측면부와 이에 연결된 전면부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프레임의 구조를 변경시켜서 종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한다.
나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그 결합 및 분해시 안경용으로 제작되는 소형 드라이버가 필요하지 않고, 단순히 뽀족한 것만 있으면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고장시 수리하기가 편리하고, 수리를 위하여 안경점을 방문할 필요가 없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전방프레임원통부와 안경다리원통부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나사 사용시와 같이 힘을 받는 부분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아서 비교적 고장 및 파손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은 안경의 착용시에는 전방프레임원통부와 안경다리원통부가 안경의 외관을 완전히 감싸서 외부에서는 안경알이 있는 부분에서 안경다리까지 매끄럽게 연결된 형상만이 보이므로, 미적 감각이 살아있는 제품이다.
도 1은 종래의 안경의 피봇 결합 부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에서 힌지 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중심축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갈라진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에서 힌지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은 전방프레임(100), 안경다리(200) 및 힌지(300)를 포함한다.
전방프레임(100)은 전면부(110)와 측면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부(110)는 통상적으로 안경알을 감싸는 부분이다. 도 2과 도 3에서는 전방프레임(100)이 안경알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의 프레임을 시도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만 감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측면부(120)는 전면부(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전방프레임(100)은 일반적인 안경에 사용되는 부분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전방프레임(100)은 측면부(120)와 측면부(120)에 접하는 전면부(110)가 도 2(a)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도 2(b)와 같이 상단부(150)와 하단부(160)의 2개로 갈라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중심축(310)을 제거하면 안경알을 감싸고 있는 전방프레임(100)은 상단부(150)와 하단부(160)의 사이가 갈라지면서 안경알(10)을 분리하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중심축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갈라진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경우에는 안경알(1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안경다리(200)는 일반적인 안경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힌지(300)는 전방프레임(100)에 안경다리(200)를 피봇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힌지(300)는 중심축(310), 전방프레임원통부(320) 및 안경다리원통부(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프레임(100)과 안경다리(200)에서 연장되는 전방프레임원통부(320)와 안경다리원통부(330)를 중심축(310)에 서로 엇갈리게 결합시켜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방프레임(100)과 안경다리(200)를 피봇연결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힌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중심축(310)은 원통형상으로서 실질적으로 전방프레임원통부(320)와 안경다리원통부(330)를 결합시키는 피봇역할을 한다.
전방프레임원통부(320)는 전방프레임(100)의 측면부(120) 말단에서 돌출되는 부분이며, 이는 원통형상의 중심축(310)을 감쌀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말려진 형상을 가지며, 이 부분은 전방프레임(100)과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경다리원통부(330)도 안경다리(200)의 말단에서 원통형상의 중심축(310)을 감쌀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말려진 부분이며, 이 부분은 안경다리(200)와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프레임원통부(320)와 안경다리원통부(330)는 중심축(310)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다.
여기서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전방프레임원통부(320)는 측면부(120)의 말단에서 2개로 분할하여 연장되고, 안경다리원통부(330)도 안경다리(200)의 말단에서 2개로 분할하여 연장되며, 양자는 서로 엇갈리게 결합시킨다. 예를들어, 전방프레임원통부(320)가 중심축(310)의 중간부분을 감싸면, 안경다리말단부가 중심측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하고, 안경다리말단부가 중심축(310)의 중간부분을 감싸면, 전방프레임원통부(320)가 중심축(3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경프레임이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힘을 받을 경우에도 힌지(30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안경프레임의 말단에는 스토퍼(350)를 추가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된 전방프레임원통부(320)와 안경다리원통부(330)가 중심축(310)을 감싸는 형태로만 제작될 경우에는 안경다리(200)가 안경프레임의 외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안경다리(200)가 안경프레임의 외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경다리(200)의 말단에서 직선으로 돌출된 스토퍼(350)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350)는 안경다리(200) 말단에 형성된 2개의 안경다리원통부(330) 사이에 형성되며, 전방프레임(100) 측면부(120)에는 스토퍼(350)가 수용될 수 있는 형태의 빈공간이 형성된다.
스토퍼(350)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안경다리(200)는 안경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지 않게 된다.
한편, 중심축(310)은 이를 감싸는 전방프레임원통부(320)와 안경다리원통부(330)가 중심축(310)에 대하여 회전운동시 과도하게 자유롭게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안경다리(200)가 안경 착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회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중심축(3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3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들 돌기는 중심축(310)을 감싸는 전방프레임원통부(320)와 안경다리원통부(330)의 회전시 다소의 저항으로 작용하여 안경다리(200)가 안경착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350)는 도면에서와 같이 중심축(310)의 전체에 걸쳐서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중심부분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들어, 금속, 프라스틱, 고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가공상의 편리성 및 내구성을 고려할 때는 금속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전방프레임 110:전면부
120:측면부 200:안경다리
300:힌지 310:원통부
320:전방프레임원통부 330:안경다리원통부

Claims (6)

  1. 안경알을 감싸는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전방 프레임(100)과 한쌍의 안경다리(200)를 연결하는 안경프레임용 힌지(300)에 있어서,
    상기 힌지(300)는 원통형상의 중심축(310),
    상기 측면부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310)을 감싸는 전방프레임원통부(320), 및
    상기 안경다리(200)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310)을 감싸는 안경다리원통부(3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용 힌지.
  2. 안경알을 감싸는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전방 프레임(100), 한쌍의 안경다리(200) 및 상기 전방 프레임(100)과 안경다리(200)를 피봇연결하는 힌지(300)를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으로서,
    상기 힌지(300)는 원통형상의 중심축(310),
    상기 측면부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310)을 감싸는 전방프레임원통부(320), 및
    상기 안경다리(200)의 말단에서 돌출되어 중심축(310)을 감싸는 안경다리원통부(3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원통부(320)는 측면부의 말단에 2개로 분할되어 연장되고, 상기 안경다리원통부(330)는 안경다리(200)의 말단에서 2개로 분할되어 연장되며, 상기 전방프레임원통부(320)가 상기 중심축(310)의 중간부분을 감싸고 상기 안경다리(200) 말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원통부(320)의 외측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프레임은 안경다리(200) 말단에 형성된 2개의 안경다리원통부(330) 사이에 돌출된 스토퍼(3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350)는 상기 2개의 전방프레임원통부(320)의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31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연결된 전면부(110)는 상단부(150)와 하단부(160)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KR1020120074648A 2012-07-09 2012-07-09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 KR20140007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48A KR20140007206A (ko) 2012-07-09 2012-07-09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48A KR20140007206A (ko) 2012-07-09 2012-07-09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06A true KR20140007206A (ko) 2014-01-17

Family

ID=5014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648A KR20140007206A (ko) 2012-07-09 2012-07-09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2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686A (ko) * 2020-07-29 2022-02-07 (주) 명진아이웨어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686A (ko) * 2020-07-29 2022-02-07 (주) 명진아이웨어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127B2 (en) Eyeglass frame with temples having two orthogonal axes of rotation and forming a case when folded
US20150085244A1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MX2022001999A (es) Monturas giratorias para anteojos.
CN217521446U (zh) 一种镜框与镜腿的连接结构及眼镜
KR20140007206A (ko) 안경프레임용 힌지 및 이를 채용한 안경 프레임
KR101113422B1 (ko) 안경용 힌지
KR101233660B1 (ko) 비정형 안경테(무테 안경테)
JP5801392B2 (ja) オフセットスプリングを有する伸縮ヒンジを備えたメガネフレーム
CN202975516U (zh) 无框式光学套镜
CN207718102U (zh) 快速翻转眼镜
KR200455234Y1 (ko) 플라스틱 안경테용 탄성힌지
JP3167304U (ja) 老眼鏡兼用拡大鏡
CN201955569U (zh) 一种遮光眼镜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20170083808A (ko) 템플 탈착형 안경
CN206020838U (zh) 一种弹性眼镜铰链
KR101582845B1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KR101117610B1 (ko) 쇼케이스형 접이식 안경
CN215678953U (zh) 一种太阳眼镜的单独戴置装置
CN209070244U (zh) 套镜
JP3244909U (ja) 複数の効果を有する改良型ダブルリム眼鏡
CN211014894U (zh) 一种双镜框可翻转眼镜
CN203217196U (zh) 遮阳近视眼镜
CN209657016U (zh) 一种可更换镜腿的眼镜
CN201035234Y (zh) 折叠式护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