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507Y1 - 노이즈 감소회로 - Google Patents

노이즈 감소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507Y1
KR0119507Y1 KR2019940007774U KR19940007774U KR0119507Y1 KR 0119507 Y1 KR0119507 Y1 KR 0119507Y1 KR 2019940007774 U KR2019940007774 U KR 2019940007774U KR 19940007774 U KR19940007774 U KR 19940007774U KR 0119507 Y1 KR0119507 Y1 KR 0119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riable
frequency characteristic
control signal
pas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369U (ko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7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507Y1/ko
Publication of KR950031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3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481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optimisa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이즈 감소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신호를 로우패스필터링하는 로우패스필터; 입력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필터특성이 가변되는 가변 하이패스필터; 및 상기 로우패스된 신호와 상기 가변 하이패스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회로구성이 간단하고 디지탈 신호처리에 보다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노이즈 감소회로
제1도는 돌비 서라운드 인코더를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돌비 프로로직 서라운드 디코더를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종래의 노이즈 감소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노이즈 감소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출력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제6도는 본 고안의 노이즈 감소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본 고안은 노이즈 감소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돌비 프로로직 서라운드 디코더에서 서라운드신호의 노이즈를 감소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비 서라운드로 인코딩된 정보를 재생할 때에 돌비 프로로직 서라운드 디코더를 거쳐야만 본래 돌비 서라운드의 참맛을 느낄 수 있다. 이때, 돌비 프로로직 서라운드 디코더의 출력으로는 좌, 우, 중앙, 서라운드 등의 4채널이 나오게 된다. 이들 신호 중에서 서라운드 신호는 추가적인 신호처리를 한다.
본 발명은 돌비 서라운드 재생시에 사용되는 변형 B타입 노이즈 감소회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돌비 서라운드 인코더에서는 중앙채널신호(C)를 제1-3dB감쇄기(10)를 거쳐서 감쇄한 다음, 감쇄된 중앙채널신호(C)를 좌채널신호(L)와 제1가산기(12)를 통해 가산하고, 또한 우채널신호(R)와 제2가산기(14)를 통해 가산한다. 서라운드 채널신호(S)는 제2-3dB감쇄기(16), 밴드패스필터(18), 돌비 노이즈감소 인코더(20)을 거쳐서 위상시프터기(22)에 입력된다. 위상시프터기(22)에서 +90도 시프트된 신호와 상기 제1가산기(12)의 출력신호가 제3가산기(24)를 통해 가산되어 돌비 서라운드 인코딩된 좌채널신호(Lt)로 출력되고 위상시프터기(22)에서 -90도 시프트된 신호와 상기 제2가산기(14)의 출력신호가 제4가산기(26)를 통해 돌비 서라운드 인코딩된 우채널신호(Rt)로 출력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돌비 프로로직 서라운드 디코더에서는 돌비 서라운드 인코딩된 좌우채널신호(Lt,Rt)를 입력평형제어기(30)에 각각 입력하여 매트릭스동작이 최적으로 되도록 입력레벨에러를 조정하고 노이즈시퀀서(32)에서 제공되는 신호는 스피커사이의 밸런스를 조정한다. 합성기(34,36)은 입력제어평형기(30)와 노이즈시퀀서(32)의 스위칭 역활을 담당한다. 입력제어평형기(30)에서 입력신호의 레벨에러가 보정된 후, 돌비 프로로직 적응 매트릭스(38)에 인가된다. 매트릭스(38)에서는 2채널의 입력신호를 4채널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분리된 신호중 좌, 우 및 중앙채널신호들은 직접 볼륨제어기(48)에 공급되나 서라운드채널신호는 안티 애리어스필터(40), 오디오시간 지연기(42), 7KHz로우패스필터(44)를 거쳐서 변형 B타입 돌비 노이즈 감소회로(46)에 인가되어 노이즈 감소처리된 다음에 볼륨제어기(48)에 공급된다.
종래의 노이즈 감소회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신호를 하이패스필터(50) 및 가변 하이패스필터(52)를 거친 필터링된 신호와 가산기(58)에서 입력신호와 가산하고 가산된 신호를 위상보정기(60)로 보정한 다음 출력한다. 상기 가변 하이패스필터(52)는 필터링된 신호의 레벨을 레벨검출기(54)에서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를 적분기(56)를 통해서 가변 하이패스필터의 가변제어신호로써 공급하여 가변 하이패스필터의 턴오버주파수값을 가변시킨다. 즉, 필터링된 신호의 레벨이 증가하면 턴오버주파수를 위로 이동시켜서 고주파수신호성분을 점진적으로 감쇄시켜서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레벨이 낮아지면 턴오버주파수를 아래로 이동시켜서 필터링된 신호의 주파수특성이 하이패스필터(50)의 주파수특성에 의해서만 결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노이즈 감소회로는 회로구성이 복잡하고 디지탈신호를 처리하는 데는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로구성이 간단하고 디지탈 신호처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노이즈 감소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회로는 입력신호를 로우패스필터링하는 로우패스필터; 입력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필터특성이 가변되는 가변 하이패스필터; 및 상기 로우패스된 신호와 상기 가변 하이패스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수단은 입력신호를 평활시키는 평활필터와, 상기 평활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신호의 계수를 보정하여 가변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계수보정기를 구비한다.
상기 가변 하이패스필터는 상기 가변제어신호가 제1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에는 제1주파수 특성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변제어신호가 제2기준 신호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2주파수 특성으로 고정되며 상기 가변제어신호가 상기 제1 및 제2기준 신호들의 사이인 경우에는 가변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주파수 특성과 제2주파수 특성 사이에서 가변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제1주파수 특성은 상기 로우패스필터의 주파수 특성의 레벨과 차단주파수가 동일하고 상기 제2주파수 특성의 레벨은 상기 로우패스필터의 주파수 특성의 레벨보다는 낮고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노이즈 감소회로는 입력신호를 로우패스필터(70)을 통하여 로우패스 필터링하고 또한, 입력신호의 레벨을 검출수단(90)을 통하여 검출하여 가변제어신호(S)를 발생한다. 또한, 입력신호는 상기 검출수단의 가변제어신호(S)에 응답하여 필터특성이 가변되는 가변 하이패스필터(72)를 통하여 필터링된다. 상기 로우패스필터링된 신호와 상기 가변 하이패스필터링된 신호는 가산기(80)를 통하여 가산되어 출력된다.
상기 검출수단(90)은 입력신호를 평활시키는 평활필터(74)와, 상기 평활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기(76)와, 상기 검출된 신호의 계수를 보정하여 가변제어신호(S)를 발생하는 계수보정기(78)를 구비한다.
상기 가변 하이패스필터(72)는 상기 가변제어신호(S)가 제1기준 신호(Hth)보다 큰 경우에는 제1주파수 특성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변제어신호(S)가 제2기준 신호(Lth)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2주파수 특성으로 고정되며 상기 가변제어신호(S)가 상기 제1 및 제2기준 신호들(Hth, Lth)의 사이인 경우에는 가변제어신호(S)의 크기에 응답하여 상기 제1주파수 특성과 제2주파수 특성사이에서 가변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 즉 가변제어신호(S)의 레벨이 제1기준 신호(Hth)보다 높으면(200단계) 가변 하이패스필터(72)의 주파수 특성을 제1하이패스 주파수 특성으로 고정하고(208단계) 이 하이패스필터링된 신호와 로우패스필터된 신호를 가산해서 출력하고(210단계), 가변제어신호(S)의 레벨이 제2기준 신호(Lth)보다 낮으면(202단계) 가변 하이패스필터(72)의 주파수 특성을 제2하이패스 주파수 특성으로 고정하고(204단계) 이 하이패스필터링된 신호와 로우패스필터링된 신호를 가산해서 출력하고(210단계),가변제어신호(S)의 레벨이 제1기준 신호(Hth)와 제2기준 신호(Lth)의 사이이면 가변 하이패스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제1주파수 특성과 제2주파수 특성사이에서 가변시키면서 필터링하고(206단계) 이 가변 하이패스필터링된 신호와 로우패스필터링된 신호를 가산해서 출력한다(210단계).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간단한 하이패스필터와 로우패스필터의 합으로 구성하여 만듬으로써 구성요소가 간단하고 디지탈 신호처리로 쉽게 적용할 수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입력신호를 로우패스 필터링하는 로우패스필터; 입력신호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필터특성이 가변되는 가변 하이패스필터; 및 상기 로우패스된 신호와 상기 가변 하이패스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감소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입력신호를 평활시키는 평활필터와, 상기 평활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신호의 계수를 보정하여 가변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계수보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감소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하이패스필터는 상기 가변제어신호가 제1기준 신호보다 큰 경우에는 제1주파수 특성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변제어신호가 제2기준 신호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2주파수 특성으로 고정되며 상기 가변제어신호가 상기 제1 및 제2기준 신호들의 사이인 경우에는 가변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주파수 특성과 제2주파수 특성사이에서 가변되는 주파수 특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감소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 특성은 상기 로우패스필터의 주파수 특성의 레벨과 차단주파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감소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파수 특성의 레벨은 상기 로우패스필터의 주파수 특성의 레벨보다는 낮고 차단주파수는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감소회로.
KR2019940007774U 1994-04-14 1994-04-14 노이즈 감소회로 KR0119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774U KR0119507Y1 (ko) 1994-04-14 1994-04-14 노이즈 감소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774U KR0119507Y1 (ko) 1994-04-14 1994-04-14 노이즈 감소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69U KR950031369U (ko) 1995-11-22
KR0119507Y1 true KR0119507Y1 (ko) 1998-08-01

Family

ID=1938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774U KR0119507Y1 (ko) 1994-04-14 1994-04-14 노이즈 감소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5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69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0929A (en) Signal processor for sound image enhancement
US5241604A (en) Sound effect apparatus
KR101097851B1 (ko) 텔레비전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설정가능한 필터
US5263086A (en) Audio accessory circuit
EP1692912A1 (en) Selective audio signal enhancement
KR0119507Y1 (ko) 노이즈 감소회로
JP3275133B2 (ja) 中央サウンドイメージ回路をもつステレオ効果増強装置
US7035413B1 (en) Dynamic spectral matrix surround system
JP5045366B2 (ja) 音量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音量制御方法
JPH05145991A (ja) 低音域特性補正回路
EP0630168A1 (en) Improved Dolby prologic decoder
JP3991372B2 (ja)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US7894609B2 (en) Ster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946884B2 (ja) 低音域特性補正回路
JPH0126575B2 (ko)
JP3108198B2 (ja) 雑音低減装置
JPH05292592A (ja) 音質補正装置
JPH1141699A (ja) 音響処理回路
JP3560215B2 (ja) 信号レベルの圧縮を用いた音像定位処理装置
KR20050073928A (ko) 실시간 동적 음장 처리 시스템
JPH03131117A (ja) 音響再生装置
JP3022628B2 (ja) 輪郭強調回路
JP3277518B2 (ja) 音場処理装置
JPH02206230A (ja) Fmステレオチューナのノイズリダクション装置
JP2000332557A (ja) ゲインコントロール回路及びそのホールド時間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