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403Y1 -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 Google Patents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403Y1
KR0119403Y1 KR2019950034995U KR19950034995U KR0119403Y1 KR 0119403 Y1 KR0119403 Y1 KR 0119403Y1 KR 2019950034995 U KR2019950034995 U KR 2019950034995U KR 19950034995 U KR19950034995 U KR 19950034995U KR 0119403 Y1 KR0119403 Y1 KR 0119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protective ring
screw portion
thin plate
elastic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063U (ko
Inventor
박선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4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403Y1/ko
Publication of KR970025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403Y1/ko

Links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접센서의 나사부와 감지부를 보호할 수 있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끝단면에는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가 소정거리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근접센서(23)가 설치되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근접센서(23)의 나사부(2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0)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박판(31)의 외측에 환형주름부(32)를 형성하고, 그 암나사부(30)의 외주를 감싸는 내측보호링(40)과 상기 탄성박판(31)의 외측 끝단부를 감싸는 외측보호링(41)을 각기 내외측에서 소정의 이격거리(C1)를 두고 이격되게 설치하며, 상기 외측보호링(41)의 외주면상에 판넬(P)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50)의 내측단에 끼워지는 환형요홈(4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제1도는 종래 근접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근접센서 러버그로멧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감지부11 : 나사부
22 : 플랜지부22D : 외경
23 : 근접센서30 : 암나사부
30a,40a : 끝단면31 : 탄성박판
32 : 환형주름부32a,32b.32c : 변형공간부
40 : 내측보호링41 : 외측보호링
41d : 내경42 : 환형요홈
50 : 관통구멍55 : 걸럼부
C1 : 이격거리P : 센서브라켓
본 고안은 근접센서 러버그로멧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접센서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감지를 보호하면서 별도의 너트 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근접센서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10)의 일측 끝단면에는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가 소정거리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단부에는 상기 감지부(11)에 접속된 신호선(14)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근접센서(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통 별도로 제작되는 센서브라켓(15)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센서브라켓(15)에는 그 중앙에 상기 근접센서(10)의 나사부(12)가 끼워지는 체결용 관통구멍(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용 관통구멍(16)을 통해 끼워지는 나사부(12)의 진입방향의 반대편측에서 너트(17)를 이 나사부(12)에 결합시켜 근접센서(1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근접센서(10)는 긁힘에 비교적 약한 나사부(12)와 감지부(11)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나 그 밖의 물체가 노출된 나사부(12)와 감지부(11)에 충돌할 경우에 표면이 쉽게 손상되어 부정확한 센싱이 이루어지거나 망가진 나사부(12)로부터 너트(17)를 분리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근접센서(10)의 교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근접센서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가공라인(18)에 설치된 근접센서(10)가 턴-오버되는 판넬(19)의 정지위치 어긋남을 센싱하는 과정에서 판넬(19)의 흔들리이나 기계 본체의 진동에 의해 감지부(11)와 나사부(12)의 표면에 쉽게 손상을 입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근접센서의 나사부와 감지부를 보호할 수 있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 끝단면에는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가 소정거리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근접센서가 설치되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근접센서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0)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박판의 외측에 환형주름부를 형성하고, 그 암나사부의 외주를 감싸는 내측보호링과 상기 탄성박판의 외측 끝단부를 감싸는 외측보호링을 각기 내외측에서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설치하며, 상기 외측보호링의 외주면상에 센서브라켓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의 내측단에 끼워지는 환형요홈을 형성하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끝단면에는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가 소정거리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근접센서(23)가 설치되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근접센서(23)의 나사(2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0)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박판(31)의 외측에 환형주름부(32)를 형성하고, 그 암나사부(30)의 외주를 감싸는 내측보호링(40)과 상기 탄성박판(31)의 외측 끝단부를 감싸는 외측보호링(41)을 각기 내외측에서 소정의 이격거리(C1)를 두고 이격되게 설치하며, 상기 외측보호링(41)의 외주면상에 센서브라켓(P)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50)의 내측단에 끼워지는 환형요홈(42)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박판(31)은 예를 들어 얇은 강판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외측보호링(40)(41)은 각각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같이 연질의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보호링(41)의 내경(41d)을 상기 근접센서(23)가 가진 플랜지부(22)의 외경(22D)보다 크게 형성하여 플랜지부(22)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도면 제2도의 도면중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암나사부(30)의 끝단면(30a)이 상기 내측보호링(40)의 끝단면(40a)보다 안쪽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근접센서(23)의 감지부(20)가 내측보호링(40)의 끝단면(40a)보다 안쪽에 위치되었을 경우에 내측보호링(40)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외측보호링(41)에 매립되는 상기 탄성박판(31)의 외측끝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부(55)를 형성하여 탄성박판(31)이 외측보호링(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환형주름부(32)의 횡단면 모양은 여러개의 변형공간부(32a)(32b)(32c)를 갖는 사행형상(蛇行形狀)으로 형성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근접센서(23)를 센서브라켓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근접센서(23)에 마련되어 있는 나사부(21)를 탄성박판(31)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30)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근접센서(23)의 감지부(20)가 내측보호링(40)의 끝단면(40a)보다 안쪽에 위치되며, 근접센서(23)의 플랜지부(22)는 내측보호링(40)의 끝단면(40a) 반대편측 끝단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내측보호링(40)의 끝단면(40a)과 근접센서(23)의 감지부(20)를 서로 동일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하려면 내측보호링(40)의 끝단면(40a)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면 된다.
한편, 암나사부(30)에 결합된 근접센서(23)의 감지부(20)와 나사부(21)를 향해 물체가 접근하면서 오버-린 하였다고 가정할 경우에 물체가 감지부(20)에 부딪히는 순간 탄성박판(31)의 환형주름부(32)의 휨작용에 의해 근접센서(23)는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근접센서(23)에 가해지는 충격은 탄성박판(31)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주름부(32)가 흡수하면서 근접센서(23)의 감지부(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근접센서(23)의 나사부(21)를 향해 물체가 접근하면서 충돌할 경우에는 그 외부를 탄성박판(31)과 내측보호링(40)이 감싸고 있으므로 나사부(21)가 뭉게지거나 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오버-런 하여 근접센서의 감지부와 나사부를 향해 충돌하는 물체에도 탄성박판의 탄성작용과 내측보호링의 보호작용에 의해 근접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일측 끝단면에는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가 소정거리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잇는 근접센서(23)가 설치되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근접센서(23)의 나사부(21)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0)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박판(31)의 외측에 환형주름부(32)를 형성하고, 그 암나사부(30)의 외주를 감싸는 내측보호링(40)과 상기 외측끝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부(55)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박판(31)의 외측 끝단부를 감싸는 외측보호링(41)을 각기 내외측에서 소정의 이격거리(C1)를 두고 이격되게 설치하며, 상기 외측보호링(41)의 외주면상에 센서브라켓(P)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50)의 내측단에 끼워지는 환형요홈(4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30)의 끝단면(30a)이 상기 내측보호링(40)의 끝단면(40a)보다 안쪽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호링(41)의 내경(41d)을 상기 근접센서(23)가 가진 플랜지부(22)의 외경(22D)보다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KR2019950034995U 1995-11-23 1995-11-23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KR0119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995U KR0119403Y1 (ko) 1995-11-23 1995-11-23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995U KR0119403Y1 (ko) 1995-11-23 1995-11-23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063U KR970025063U (ko) 1997-06-20
KR0119403Y1 true KR0119403Y1 (ko) 1998-07-01

Family

ID=6090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995U KR0119403Y1 (ko) 1995-11-23 1995-11-23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4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063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6385A (en) Tire security cap
US5131763A (en) Bearing hub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EP0420041B1 (en) Elastomer covered phonic wheel for detection of the speed of a rotating element
KR100462952B1 (ko) 구름체를구비한베어링에센서를장착하는장치
GB2253595A (en) Impact detectors on vehicles
EP0533329A3 (en) Anticipatory interactive protective system
EP0819925A3 (en) A preignition detection apparatus
GB0308220D0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edestrian detecting system
KR0119403Y1 (ko)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US5723977A (en) Composite annular element, usable as a pulse wheel and made of a metal inner annular ring and an outer ring formed of fragile material
CA2025625C (en) Escalator handrail obstruction device with sensors
US4976345A (en) Escalator handrail obstruction device with sensors
US2460394A (en) Fender protector
JP3249424B2 (ja) 光学式ロボット用接触センサ
ITMI972334A1 (it) Complesso di tenuta perfezionato per elementi girevoli in particolare per l'albero a gomiti di motori a combustione interna
JPH0445834Y2 (ko)
KR0119404Y1 (ko) 근접센서 보호구
US20160181035A1 (en) Switch
GB2237391A (en) Pulse ring for rotation speed sensor
KR900018661A (ko) 터어빈 발전기 축 비틀림 감시장치
GB2287071A (en) Attachment of protective bellows
KR950008047Y1 (ko) 충격센서
JPH0143645Y2 (ko)
CN220603504U (zh) 一种轮端加速度传感器固定检测装置
JP2020069580A (ja) セン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