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404Y1 - 근접센서 보호구 - Google Patents

근접센서 보호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404Y1
KR0119404Y1 KR2019950034994U KR19950034994U KR0119404Y1 KR 0119404 Y1 KR0119404 Y1 KR 0119404Y1 KR 2019950034994 U KR2019950034994 U KR 2019950034994U KR 19950034994 U KR19950034994 U KR 19950034994U KR 0119404 Y1 KR0119404 Y1 KR 0119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ring
screw
center
scr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062U (ko
Inventor
박선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4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404Y1/ko
Publication of KR970025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0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404Y1/ko

Links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접센서의 나사부와 감지부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근접센서의 나사부 길이에 맞추어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근접센서 보호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끝단면에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근접센서(33)를 보호하는 근접센서 보호구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4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이 중간링(41)의 외경(D1)보다 작은 나사지름(d2)을 가지는 숫나사부(42)가 하방으로 돌설되어 있고 상측의 내주연에는 바닥을 가진 암나사구멍(43)이 형성되어 있는 여러개의 중간링(41)이 서로의 숫나사부(42)와 암나사구멍(43)이 나사결합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여러개의 중간링(41)중 최상위 중간링(41a)의 상측에는 이 최상위 중간링(41a)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멍(43a)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44)가 아래쪽을 향해 돌설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46)이 평단면으로 형성된 상부링(47)이 설치되며, 상기 여러개의 중간링(41)중 최하위 중간링(41b)에는 이 최하위 중간링(41b)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부(42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50)이 상측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면(52)이 평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링(55)으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접센서 보호구
제1도는 일반적인 근접센서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근접센서의 나사부를 보호하기 위한 근접센서 보호구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근접센서 보호구의 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근접센서 보호구의 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감지부31 : 나사부
32 : 플랜지부33 : 근접센서
40,45,51 : 끼움구멍41 : 중간링
41a : 최상위 중간링41b : 최하위 중간링
42,42a,44 : 숫나사부43,43a,50 : 암나사구멍
46 : 상단면47 : 상부링
52 : 하단면55 : 하부링
D1 : 외경d2 : 나사지름
본 고안은 근접센서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접센서의 일측단에 마련되어 나사부와 감지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나사부의 길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보호구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근접센서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근접센서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센서(10)의 일측 끝단면에는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가 소정거리 가까이 접근하게 되면,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단부에는 상기 감지부(11)에 접속된 신호선(14)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근접센서(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통 별도로 제작되는 센서브라켓(15)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센서브라켓(15)에는 그 중앙에 상기 근접센서(10)의 나사부(12)가 끼워지는 체결용 관통구멍(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용 관통구멍(16)을 통해 끼워지는 나사부(12)의 진입방향의 반대편측에서 너트(17)를 이 나사부(12)에 결합시켜 근접센서(1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근접센서(10)는 긁힘에 비교적 약한 나사부(12)와 감지부(11)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감지하고자 하는 물체나 그 밖의 물체가 노출된 나사부(12)와 감지부(11)에 충돌할 경우에 표면이 쉽게 손상되어 부정확한 센싱이 이루어지거나 망가진 나사부(12)로 부터 너트(17)를 분리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근접센서(10)의 교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근접센서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즉,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가공라인(18)에 설치된 근접센서(10)가 턴-오버되는 판넬(19)의 정지위치 어긋남을 센싱하는 과정에서 판넬(19)의 흔들림이나 기계 본체의 진동에 의해 감지부(11)와 나사부(12)의 표면에 쉽게 손상을 입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종래에 고안된 바 있는데 이것은 센서브라켓(20)상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21)에 근접센서(22)의 나사부(23)를 끼우고 반대편에서 너트(24)를 결합시켜 근접센서(22)를 고정한 다음 외부로 노출된 나사부(23)에 고무파이프(25)를 씌우고 나머지 부분을 잘라버리는 구조를 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나사부(23)의 길이보다 비교적 길게 만들어진 고무파이프(25)의 끝단면(25a)이 상기 근접센서(22)의 나사부(23)의 끝단면인 감지부(26)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도면중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보호구는 치수가 각기 다른 여러종류의 근접센서를 사용할 때 마다 고무파이프(25)의 길이를 근접센서(22)의 나사부(23)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야 되므로 그 사용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근접센서의 나사부와 감지부를 보호할 수있는 동시에 근접센서의 나사부 길이에 맞추어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근접센서 보호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 끝단면에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근접센서를 보호하는 근접센서 보호구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나사부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이 중간링의 외경보다 작은 나사지름을 가지는 숫나사부가 하방으로 돌설되어 있고 상측의 내주연에는 바닥을 가진 암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여러개의 중간링이 서로의 숫나사부와 암나사구멍이 나사결합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여러개의 중간링중 최상위 중간링의 상측에는 이 최상위 중간링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가 아래쪽을 향해 돌설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나사부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이 평단면으로 형성된 상부링이 설치되며, 상기 여러개의 중간링중 최하위 중간링에는 이 최하위 중간링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이 상측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나사부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면이 평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링으로 구성하여 근접센서 보호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근접센서 보호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근접센서 보호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끝단면에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근접센서(33)를 보호하는 근접센서 보호구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4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외경(D1)보다 작은 나사지름(d2)을 가지는 숫나사부(42)가 하방으로 돌설되어 있고 상측의 내주연에는 바닥을 가진 암나사구멍(43)이 형성되어 있는 여러개의 중간링(41)이 서로의 숫나사부(42)와 암나사구멍(43)이 나사결합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여러개의 중간링(41)중 최상위 중간링(41a)의 상측에는 이 최상위 중간링(41a)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멍(43a)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44)가 아래족을 향해 돌설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46)이 평단면으로 형성된 상부링(47)이 설치되며, 상기 여러개의 중간링(41)중 최하위 중간링(41b)에는 이 최하위 중간링(41b)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부(42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50)이 상측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면(52)이 평단면으로 형성된 하부링(55)으로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H1은 상기 중간링(41), 최상위 중간링(41a), 최하위 중간링(41b), 상부링(47) 및 하부링(55)이 모두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높이를 나타낸 것이며, H2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 높이를 나타낸 것이고, 60은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나타낸 것이며, 61은 상기 근접센서(33)가 고정되는 센서브라켓을 나타낸 것이고, 62는 상기 센서브라켓(61)이 고정되는 지지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중간링(41), 최상위 중간링(41a), 최하위 중간링(41b), 상부링(47) 및 하부링(55)이 모두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전체적인 높이(H1)가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 높이(H2)에 너트(60)의 높이를 밴 값보다 낮거나 휠씬 길 경우에 중간링(41)의 일부를 분리해내면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 높이(H2)와 같거나 다소 길게 된다.
즉, 상부링(47)을 돌려서 중간링(41)으로 부터 떼어낸 다음 제일 위쪽에 결합되어 있는 최상위 중간링(41)을 돌려서 분리해 낸 다음 상부링(47)을 다시 재결합시켜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 높이(H2)와 비교하면서 나사부(31)의 높이(H2)에 너트(60)의 높이를 뺀값보다 재결합된 중간링(41), 최상위 중간링(41a), 최하위 중간링(41b), 상부링(47) 및 하부링(55)이 모두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높이(H1)가 긴 경우에는 다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중간에 있는 중간링(41)을 한개씩 분리해 내면서 서로의 높이(H1)(H2)를 비교하여 재결합된 중간링(41), 최상위 중간링(41a), 최하위 중간링(41b), 상부링(47) 및 하부링(55)이 모두 결합된 상태의 전체적인 높이(H1)가 나사부(31)의 높이(H2)에 너트(60)의 높이를 뺀값과 같거나 약간 낮아질 때 까지 반복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근접센서의 나사부 높이에 맞게 보호구의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과 같이 날카로운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 끝단면에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의 외주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 외주에는 각형의 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근접센서(33)를 보호하는 근접센서 보호구에 있어서,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40)이 형성되어 있
    으며 그 하부에는 이 중간링(41)의 외경(D1)보다 작은 나사지름(d2)을 가지는 숫나사부(42)가 하방으로 돌설되어 잇고 상측의 내주연에는 바닥을 가진 암나사구멍(43)이 형성되어 있는 여러개의 중간링(41)이 서로의 숫나사부(42)와 암나사구멍(43)이 나사결합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여러개의 중간링(41)중 최상위 중간링(41a)의 상측에는 이 최상위 중간링(41a)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구멍(43a)에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44)가 아래쪽을 향해 돌설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면(46)이 평단면으로 형성된 상부링(47)이 설치되며, 상기 여러개의 중간링(41)중 최하위 중간링(41b)에는 이 최하위 중간링(41b)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부(42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구멍(50)이 상측의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근접센서(33)의 나사부(31)에 억지끼움되는 끼움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면(52)이 평단면으로 형성된 하부링(5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 보호구.
KR2019950034994U 1995-11-23 1995-11-23 근접센서 보호구 KR0119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994U KR0119404Y1 (ko) 1995-11-23 1995-11-23 근접센서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994U KR0119404Y1 (ko) 1995-11-23 1995-11-23 근접센서 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062U KR970025062U (ko) 1997-06-20
KR0119404Y1 true KR0119404Y1 (ko) 1999-02-01

Family

ID=6090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994U KR0119404Y1 (ko) 1995-11-23 1995-11-23 근접센서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4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850B1 (ko) * 2019-12-03 2020-08-21 (주)티에스테크 초음파 계측용 하우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850B1 (ko) * 2019-12-03 2020-08-21 (주)티에스테크 초음파 계측용 하우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062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0266A (en) Plastic capped nut
US4907929A (en) Bolt and nut cover
US4324516A (en) Tire security cap
US8051879B2 (en) Open ended industrial pipe cap
KR0119404Y1 (ko) 근접센서 보호구
JPH0261087B2 (ko)
US5121110A (en) Soft sensor mounting
US4749058A (en) Muffler
US3027790A (en) Adapter for nuts, bolts, wrenches and the like
US6290092B1 (en) Disposable protective closure
KR0119403Y1 (ko) 근접센서용 러버그로멧
WO1992021584A3 (en) Plastic safety cap
US5426996A (en) Fixing device for securing a handlebar stem of a bicycle
KR200212390Y1 (ko) 싱크대 다리
CN110890660A (zh) 插头保护装置和带有这种插头保护装置的传感器总成
US5304004A (en) Thermometer movement cap nut assembly
CN218350968U (zh) 防盗入侵报警器
JP3733052B2 (ja) 扇風機
JPS587185Y2 (ja) 管端被覆保護具
KR950008047Y1 (ko) 충격센서
CA1259293A (en) Radiator thermostat valve with theft preventing means
JP6986532B2 (ja) ボールねじ
KR100823303B1 (ko) 다기능 센서 브라켓트
JPH041580Y2 (ko)
JPH0650644Y2 (ja) 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装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