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220Y1 - 자동차용 책받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책받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220Y1
KR0119220Y1 KR2019950041167U KR19950041167U KR0119220Y1 KR 0119220 Y1 KR0119220 Y1 KR 0119220Y1 KR 2019950041167 U KR2019950041167 U KR 2019950041167U KR 19950041167 U KR19950041167 U KR 19950041167U KR 0119220 Y1 KR0119220 Y1 KR 0119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wall surface
glove box
support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222U (ko
Inventor
석동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1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220Y1/ko
Publication of KR970034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2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22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독서용 책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글로브박스(4)의 내벽면(4a)에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6)이 회동핀(6a)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받침판(6)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관통구멍(6a)속에 지지부재(8)의 한쪽 선단이 연결핀(8a)을 매개하여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클로브박스(4)의 내벽면(4a) 하단에 상기 지지부재(8)의 한쪽 선단이 걸려져 지지되면서 받침판(6)의 경사각을 조절해 주기 위한 다수개의  계걸림홈(4b)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받침판(6)과 글로브박스(4)의 내벽면(4a)사이에 차체의 진동을 흡수해 주기 위한 리턴스프링(10)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받침판(6)이 차량의 내부에서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가 있고, 필요에 따라 받침판(6)의 각도를 간단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책받이(A reading table for an automobile)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책받이가 인스트루먼트 패널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책받이만을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인스트루먼드 패널 4:글로브 박스
6:받침판 8:지지부재
10:회동핀 12:리턴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독서용 책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어 있는 글로브 박스(grove box)내부에 축선회 할 수 있게 설치하여 차내에서 간편하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책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차체와 새시로 구분되는 바, 차체는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 이 차체에는 운전자와 탑승자를 위한 시트와, 윈도우, 트렁크 등 각종 보조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지는 데, 이러한 보조 설비 중에는 운전석 옆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부분에 위치하여 소형물품을 넣어 둘 수 있도록 한 글로브박스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자동차는 점진적으로 이동의 편리성과 다목적성에 의해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자동차 내부에서의 활동이 점차 확대되고 있고, 특히 자동차 내에서 지내는 시간이 갈수록 길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동차내에서 독서를 하거나 차량의 행선지를 알기 위하여 책을 볼 수 있는 설비가 없어, 부득이 탑승자는 읽고자 하는 책을 손에 들고서 있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히, 갈수록 확산되어 가는 자동차의 생필품화 현상과 더불어 자동차를 이동하는 사무실로 취급하려는 경향이 확산되면서 차내에서의 활동이 더욱더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므로 차내에서 간편하게 책을 올려놓고 볼 수 있는 설비는 필수불가적이라 할 것이다.
한편, 자동차의 내부에 책받침을 설치하고, 이 책받침이 탑승자에게 노출된다면 자동차의 내부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승개에게 안전상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내부에 노출되지 않게하여 차량의 내부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탑승한 탑승객의 안전에 대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한 차량용 책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글로브 박스내부의 내측벽면에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이 회동핀을 중심으로 상하회동할 수 있게 힌지결합되고 있고, 상기 받침판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속에 받침판을 수평으로 지지해 주는 지지부재가 힌지 결함되어 있는 한편, 글로브박스의 내측벽면에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을 걸어주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책을 읽지 않고 글로브박스를 본래의 용도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판을 접어 글로브박스의 내측벽면에 밀착지지되게 하여, 글로브박스의 내부가 빈공간이 되게 하여, 필요에 따라 내부에 물건 등을 저장보관할 수 있다.
한편, 장거리 운전이나 승객의 자세 또는 사정에 따라 간단한 책자등을 구독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글로브박스의 뚜껑을 열은 상태에서 이 글로브박스의 내면에 부착된 받침판을 펼치면서, 이 받침판의 아래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하단을 글로브박스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어 주므로써, 받침판의 아래쪽이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펼펴진 받침판위에 읽고자 하는 책을 올려두고 읽을 수 가 있고, 또한 이 받침판의 아래쪽이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독서할 때 간단히 손을 책위에 올려두고 지지하면서 읽을 수가 있어 간편한 독서자세를 취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글로브박스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이 걸리는 위치를 가변시켜 줌으로써, 이 지지부재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받침판의 각도를 달리재 줄 수가 있으므로, 상기 독서자의 자세를 가변시켜 줄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책받이가 인스트루먼트 패널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책받이만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운전석 옆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부분에 설치되어 소형 물품들을 넣어 둘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글로브박스(4)의 내벽면(4a)에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4)이 회동핀(6a)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6)의 중앙에 관통구멍(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관통구멍(6a)속에 지지부재(8)가 한쪽 선단이 연결핀(8a)을 매개하여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재(8)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접혀 졌을 때 지지부재(8)가 상기 관통구멍(6b)속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클로브박스(4)의 내벽면(4a)하단에는 다수개의 다단계 걸림홈(4b)이 형성되어, 이 걸림홈(4b)속에 상기 지지부재(8)의 하단이 끼워져 걸려지므로써,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받침판(6)의 경사도를 조절해 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6)과 글로브박스(4)의 내벽면(4a)사이에는 리턴스프링(10)이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6)이 접혀진 상태에서나 펼쳐진 상태에서 차량운전중 발생하는 진동이 이 리턴스프링(10)에 의해 흡수되어져 차단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차내에서 독서를 하고자 하는 겨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글로브박스(4)를 열어 상기 받침판(6)을 회동핀(6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위로 올린 다음, 이 받침판(6)의 관통구멍(6a)속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지지부재(8)을 펴서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글로브박스(4)의 계단홈(4a)에 걸리게하므로써,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받침판(6)의 각도를 조절하여 독서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턴스프링(10)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되면서, 차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받침판(6)가 흔들리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독서를 마친후에 상기 받침판(6)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8)을 접으면, 이 지지부재(8)가 받침판(6)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6a)속에 끼워져 받침판(6)과 단층이지지 않는 하나의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핀(6a)을 중심으로 받침판(6)을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스프링(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글로브 박스(4)의 내벽면(4a)에 밀착되게 되므로, 상기 받침판(6)이 글로브박스(4)의 내부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받침판(6)이 접힌 상태에서도 스프링(10)이 차체의 진동을 흡수하여 받침판(6)이 흔들리지 않게 해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글로브박스(4)내부에 독서용 받침판(6)을 설치하고, 이 받침판(6)이 지지부재(8)에 의해 지지되게 함으로써,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차량내에서 간편하게 독서를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자동차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내부의 미관도 해치지 않게 되는 한편, 상기 독서용 받침판(6)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불의의 사고시에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글로브박스(4)의 내벽면(4a)에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6)이 회동핀(6a)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받침판(6)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관통구멍(6a)속에 지지부재(8)의 한쪽 선단이 연결핀(8a)을 매개하여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클로브박스(4)의 내벽면(4a) 하단에 상기 지지부재(8)의 한쪽 선단이 걸려져 지지되면서 받침판(6)의 경사각을 조절해 주기 위한 다수개의 다단계걸림홈(4b)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받침판(6)과 글로브박스(4)의 내벽면(4a)사이에 차체의 진동을 흡수해 주기 위한 리턴스프링(1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용 책받이.
KR2019950041167U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책받이 KR0119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167U KR0119220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책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167U KR0119220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책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222U KR970034222U (ko) 1997-07-26
KR0119220Y1 true KR0119220Y1 (ko) 1998-07-15

Family

ID=1943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167U KR0119220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용 책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2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222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65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5848820A (en) Pivotable rear seat center cushion assembly with utility compartment
US5829726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ontainer
KR0119220Y1 (ko) 자동차용 책받이
KR20040042219A (ko) 차량의 접동식 센터 헤드레스트
KR100366584B1 (ko)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JP2626150B2 (ja) 自動車のカップホルダ装置
KR20220132358A (ko) 다목적 테이블로 사용하는 자동차용 콘솔 커버
KR0153197B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KR0132163Y1 (ko) 받침대가 부설된 차량용 암 레스트
KR970005978Y1 (ko) 차량용 테이블
KR20230151257A (ko) 차량용 테이블
KR200197399Y1 (ko) 승용차용 간이 테이블
KR200247481Y1 (ko) 테이블을포함하는자동차팔걸이
KR200152927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컵홀더구조
KR950005759B1 (ko) 자동차용 접철식 우산꽂이
KR200142578Y1 (ko) 자동차의 옷걸이 절첩장치
JPH11165572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100428079B1 (ko) 자동차 콘솔 박스용 다용도 트레이
KR19990041150A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컵홀더
WO2023076601A1 (en) Console table
KR19990019582A (ko) 컵홀더
KR200226544Y1 (ko)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KR970005317Y1 (ko)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