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186Y1 -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186Y1
KR0117186Y1 KR2019940002170U KR19940002170U KR0117186Y1 KR 0117186 Y1 KR0117186 Y1 KR 0117186Y1 KR 2019940002170 U KR2019940002170 U KR 2019940002170U KR 19940002170 U KR19940002170 U KR 19940002170U KR 0117186 Y1 KR0117186 Y1 KR 0117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abinet
door
gaske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554U (ko
Inventor
방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2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186Y1/ko
Publication of KR950025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는, 냉장고 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10)을 여닫는 도어(20)와, 이들을 밀착시키는 가스켓(30)과, 개방홈(41)이 형성된 핸들(40)과, 도어에 제1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그 일단(52)은 캐비넷을 향해 돌출되고, 그 타단(53)은 핸들의 개방홈에 돌출되는 제1레버(50)와, 제1레버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60)과, 캐비넷에 제2힌지축(8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그 일단(82)은 제1레버의 일단과 대향하고, 그 타단(83)은 가스켓과 대향하는 제2레버(8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2레버는 캐비넷에 부착된 중공의 지지부재(70)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의 일부 단면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캐비넷20:도어
30:가스켓40:핸들
50:제1레버51:제1힌지축
60:압축스프링70:지지부재
80:제2레버81:제2힌지축
본 고안은 냉장고 도어의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도어 및 캐비넷측에 회동 레버를 설치하여 이 회동 레버에 의해 일차적으로 가스켓과 캐비넷을 이탈시켜 고내외의 압력평형을 이룬 후, 손쉽게 도어를 개발할 수 있게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과, 이 캐비넷을 여닫는 냉장고 도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냉장고 도어에는 캐비넷과의 밀착을 위해 가스켓이 설치되고 이 가스켓에는 자석이 내장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도어가 외부 공기를 몰고 페쇄되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가 가진공(假眞空) 상태로 되고, 가스켓에 내장된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도어가 캐비넷에 강하게 밀착되므로 냉장고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양손에 물건을 들었을 경우 발로서 냉장고 도어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된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가 한국 실용신안 공보 제89-310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측벽(1)속에 ㄷ 자형 조작봉(2)을 그 하측 절곡부에 축(3)으로 축설하고, 조작봉(2)의 상측단부(3')는 도어(4) 내면 가장자리부(4')를 누르게 하며, 하측단부(3)는 스프링(5)으로 탄지되어 발판(6)에 형성된 단관(7)에 끼워져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냉장고 몸체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고, 많은 부품의 제작 및 설치가 요구되어 작업공수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장고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 장치는, 냉장고 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을 여닫는 도어와, 상기 캐비넷과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밀착시키는 가스켓과,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개방홈이 형성된 핸들을 갖춘 냉장고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그 일단은 상기 캐비넷을 향해 돌출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핸들의 개방홈에 돌출되는 제1레버와, 상기 제1레버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캐비넷에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그 일단은 상기 제1레버의 일단과 대향하고, 그 타단은 상기 가스켓과 대향하는 제2레버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레버의 일단이 상기 제2레버의 일단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제2레버의 타단이 상기 사스켓을 눌러 상기 캐비넷과 가스켓의 일부가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어를 열기 위해 핸들의 개방홈에 돌출된 제1레버의 타단을 누르면, 제1레버는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그 일단이 제2레버의 일단을 누르게 되고, 제2레버는 회동되어 그 타단이 가스켓을 누르게 되어, 가스켓의 일부가 캐비넷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이틈새를 통하여 공기가 유동되어 냉장고 내외의 압력평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에 다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10)에 도어(20)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스켓(30)이 설치되어 캐비넷(10)과 도어(20)를 밀착시킨다. 카스켓(30)에는 자석(31)이 내장되어 캐비넷(10)과 도어(20)를 더욱 밀착시킨다.
도어(20)에는 핸드(40)이 마련되며, 이 핸들(40)의 손잡이 부분에는 개방홈(41)이 형성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의 핸드(40) 부위에는 ㄴ 자 형성의 제1레버(50)가 제1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절곡되어 내장 설치된다. 제1레버(50)의 일단(52)은 캐비넷(10)을 향하도록 도어(20)로부터 돌출되고, 타단(53)은 핸들(40)의 개방홈(41)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레버의 타단(53)은 이와 접촉되어 핸들(40)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도어(20)를 열기 위해 핸들(40)의 개방홈(41)에 돌출된 제1레버의 타단(53)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제1레버(50)는 제1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제1레버의 일단(52)과 대향하는 캐비넷(10)에는 중공(中空)의 지지부재(70)가 결합된다. 지지부재(70)는 캐비넷(10)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레버(80)는 ㄱ 자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지지부재(70)에 설치되는데, 제2힌지축(81)을 중심으로 그 일단(82)이 지지부재(70)의 중공부(71) 내외로 회동하고, 그 타단(83)이 캐비넷(10)의 내외로 회동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힌지축(81)은 지지부재(7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제2레버의 일단(82)은 제1레버의 일단(51)과 대향하며 제2레버의 타단(83)은 가스켓(30) 내부의 자석(31)과 대향하여 가스켓(30)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레버의 일단(52)과 지지부재(70)의 상호 대향면은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들이 접촉할 때 큰 접촉면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레버(50)가 회동하여 제1레버의 일단(52)이 제2레버의 일단(82)을 밀어 주면, 제2레버의 일단(82)은 회동하여 지지부재(70)의 중공부(71)로 들어가고 동시에 제2레버의 타단(83)은 회동하여 캐비넷(10)과 접촉하고 있는 가스켓(30)을 이탈 시켜 외부의 공기가 고내로 유입되어 고내외의 압력평형을 이루게 한다. 계속해서 제1레버의 타단(53)을 당기면 제1레버의 일단(52)에 형성된 경사면(54)과 이와 대향하여 지지부재(70)에 형성된 경사면(72)이 맞닿게 되고 그 반작용으로 도어를 손쉽게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장고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레버의 타단(53)이 정위치를 유지하여 핸들(40)의 개방홈(41)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화살표 방향으로 제1레버의 타단(53)을 당기면, 제1레버(50)는 제1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1레버의 일단(52)이 제2레버의 일단(82)을 밀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레버(80)는 제2힌지축(8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그 일단(82)은 지지부재(70)의 중공부(71)로 들어 가게 되고 그 타단(83)은 캐비넷(10)에 밀착된 가스켓(30)의 일부를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분리된 캐비넷(10)과 가스켓(30)의 틈새로 외부의 공기가 냉장고 내부로 유입되어 냉장고 내외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계속해서 제1레버의 타단(53)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제1레버의 일단(52)과 지지부재(70)에 형성된 경사면(54)(72)이 맞닿게 되고 이의 반작용으로 도어는 손쉽게 열리게 된다. 도어를 개방한 후에 핸들을 놓으면 압축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제1레버(50)는 정위치로 복귀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는, 회동하는 제1레버와 제2레버의 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캐비넷으로부터 가스켓을 분리하여 이 틈새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고내외의 압력평형을 이룬 후, 2차적으로 제1레버와 지지부재의 경사면이 맞닿아 반작용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도어를 손쉽게 개방 할 수 있다.

Claims (5)

  1. 냉장고 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을 여닫는 도어와, 상기 캐비넷과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밀착시키는 가스켓과, 상기 도어에 마련되며 개방홈이 형성된 핸들을 갖춘 냉장골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20)에 제1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캐비넷(10)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핸들(40)의 개방홈(41)에 돌출되는 제1레버(50)와, 상기 제1레버의 타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케비넷(10)에 제2힌지축(81)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가스켓(10)의 외측에서 상기 제1레버(50)의 일단과 대향하고, 타단은 상기 가스켓(30)의 일부를 압박하여 상기 캐비넷(1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스켓(30)과 대향하는 제2레버(80)를 구비하여, 냉장고 도어를 열 경우 상기 핸들(4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레버(50)의 일단이 상기 제2레버(80)의 일단을 누름과 동시에 상기 제2레버(80)의 타단이 상기 가스켓(30)을 눌러 상기 캐비넷(10)으로부터 가스켓(30)의 일부가 분리되어 이 틈새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됨으로써 도어를 용이하게 열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의 일단과 대향하는 상기 캐비넷에는 지지부재(70)가 결합되고, 상기 제2레버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의 일단은 이 중공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레버의 일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면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은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2019940002170U 1994-02-04 1994-02-04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KR0117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170U KR0117186Y1 (ko) 1994-02-04 1994-02-04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170U KR0117186Y1 (ko) 1994-02-04 1994-02-04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554U KR950025554U (ko) 1995-09-18
KR0117186Y1 true KR0117186Y1 (ko) 1998-06-15

Family

ID=1937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170U KR0117186Y1 (ko) 1994-02-04 1994-02-04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1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26B1 (ko) * 1999-06-14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개방장치
KR100596533B1 (ko) * 1999-09-0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핸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26B1 (ko) * 1999-06-14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개방장치
KR100596533B1 (ko) * 1999-09-04 200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핸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554U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5398A (ko) 플렉시블기판용 전기 커넥터
KR0117186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EP1176375B1 (en) Handle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door
KR100575226B1 (ko) 냉장고용 도어개방장치
CN214964639U (zh) 一种用于烹饪设备的微动开关联动结构
KR101036478B1 (ko) 냉장고
KR200190482Y1 (ko) 냉장고 기압평형장치
JP3747406B2 (ja) 蝶番
KR86000138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호울더 도어 개폐장치
CN212117078U (zh) 用于组装雾化器的辅助设备
JPH07305945A (ja) 貯蔵庫の扉開閉装置
KR90000317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용 판넬 도어 개폐 장치
KR200325382Y1 (ko) 휴대용 열쇠수납장치
KR0139234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CN208340643U (zh) 混合机用观察门
KR101966535B1 (ko) 2 축형 도어 체커 및 차량
KR20010048286A (ko) 전기밥솥의 뚜껑개폐장치
KR0121588Y1 (ko) 2중 동작 노브
KR200157504Y1 (ko)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KR900008686Y1 (ko) 냉장고의 도어를 발로 여는 장치
KR940008132Y1 (ko) 포터블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k player)의 도어 훅크(door hook) 장치
KR950005601Y1 (ko) 개폐문의 자동개폐 조절장치
KR850001965Y1 (ko) 도어의 개폐장치
JPS63119280U (ko)
KR100756701B1 (ko) 냉장고용 홈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