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965Y1 -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965Y1
KR850001965Y1 KR2019830010376U KR830010376U KR850001965Y1 KR 850001965 Y1 KR850001965 Y1 KR 850001965Y1 KR 2019830010376 U KR2019830010376 U KR 2019830010376U KR 830010376 U KR830010376 U KR 830010376U KR 850001965 Y1 KR850001965 Y1 KR 850001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fitted
rod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10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558U (ko
Inventor
정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30010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965Y1/ko
Publication of KR8500055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5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폐쇠상태의 측면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개방중을 나타낸 상태의 측면도.
제2(c)도는 본 고안의 개방상태의 측면도.
제3(a)도는 본 고안의 푸쉬버튼부의 단면도.
제2(b)도는 동(a)도의 A-A선 단면도.
본 고안은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의 일종인 콤펙트 디스크의 도어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비틀림 모멘트힘과 걸림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확실하게 개폐토록 한 도어의 개폐장치인 것이다.
종래도 공기압을 이용한 댐퍼를 사용하거나 유체의 점성력을 이용하여 도어가 개폐되도록 된 도어개폐장치가 여러가지 제안사용되어 왔으나 이와같은 것은 도어의 개방과정을 스므스하게 이루워지게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서 공기압을 이용한 댐퍼와 유체의 점성력을 얻기 위한 구성체가 필요로 했으며 장시간 사용하면 그 작동 상태가 정확하게 이루워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져 제안된 것으로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어(1)의 후단부에 설한 회전축(2)에 비틀림 코일스프링(3)을 끼워 일단이 도어(1)의 이면에 밀접되게 하고타단은 본체에 고정시키며 회전축(2)의 일측단변에 걸림턱(4)(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설시킨 고정구(5)를 끼우되 일단에 벋힘단부(6')와 걸림턱(7')이 각각 형성된 작동로드(6)(7)의 타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6")(7")을 형성한 상측에다 탄발스프링(8)에 탄지되고 이면에 경사면을 가진 돌편(9)(10)이 각로드(6)(7)의 경사면(6")(7")에 접하게 형성된 푸쉬버튼(11)를 장착시켜주며 내측작동로드(6)에는 가이드봉(12)(13)을 돌설시켜 외측 작동로드(7)의 가이드요홈(14)(15)에 탄퉁케한 후 긴축스프링(16)(17)으로 긴축케 구성하여 되는 도어의 개폐장치인 것이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면 제2(a)도에서와 같이 비틀림 코일스프링(3)에 의해 열리려고 하는 도어(1)의 후단부에 설한 회전축(2)의 일단에 끼워진 고정구(5)의 걸림쩍턱(4)(4')이 작동로드(6)(7)의 벋힘단부(6')와 걸림턱(7')에 벋혀지거나 걸려서 밀폐되어 있든 것을 도면 제2(b)도에서와 같이 푸쉬버튼(11)을 하향으로 가압하면 푸쉬버튼(11)의 이면에 설한 돌편(9)(10)의 경사면이 각로드(6)(7)의 경사면(6")(7")과 밀접된 상태로 가압되어져 내측로드(6)는 좌측으로 외측로드(7)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지므로서 로드의 타단에 형성된 벋힘단부(6')와 걸림턱(7')이 고정구(5)의 걸림턱(4)(4')으로부터 탈되어지므로서 비틀림 코일스프링(3)의 비틀림 힘만큼만 반발되어 지므로서 그와 고정되어 있는 도어(1)도 그만큼만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일단 도어가 열린후 푸쉬버튼(11)을 놓드라도 도어(1)는 비틀림코일스프링(3)에 의해 닫치지 않고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작동로드(6)(7)는 도면 제2(c)도에서와 같이 긴축스프링(16)(17)의 긴축력에 의해 벋힘단부(6')와 걸림턱(7')부분이 고정구(5)의 외주면에 밀접되게되는 것이다.
이렇게 밀려있든 도어(1)를 닫고져할 때에는 푸쉬버튼(11)과는 관계없이 도어(1)를 직접가압하여 닫아줌으로서 도어의 후단부에 설한 회전축의 고정구(5)도 따라서 회전되면서 작동로드(6)(7)의 벋힘단부(6')와 걸림턱(7')이 고정구(5)의 걸림턱(4)(4')에 걸려 폐쇠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작동되는 본 고안은 구조가 간편하고 비틀림코일 스프링에 의해 개폐케하고 고정구의 걸림턱에 의해 열림을 방지하게 하므로서 푸쉬버튼의 종작을 정확하게 하고 원활하게 이루워지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도어(1)의 후단부에 설한 회전축(2)에 비틀림코일스프링(27)을 끼워 일단이 도어(1)의 이면에 밀접되게 하고 타단은 본체에 고정시키며 회전축(2)의 일축 단변에 걸림턱(4)(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설시킨 고정구(5)를 끼우되 일단에 벋힘단부(6')와 걸림턱(7')이 각각 형성된 작동도드(6)(7)의 타단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경사면(6")(7")을 형성한 상측에다 탄발스프링(8)에 탄지되고 이면에 경사면을 가진 돌편(9)(10)이 각 로드(6)(7)의 경사면(6")(7")에 접하게 형성된 푸쉬버튼(11)를 장착시켜주며 내측작동로드(6)에는 가이드봉(12)(13)을 돌설시켜 외측 작동로드(7)의 가이드 요홈(14)(15)에 탄통케 한후 긴축스프링(16)(17)으로 긴축케 구성하여 되는 도어의 개폐장치.
KR2019830010376U 1983-12-07 1983-12-07 도어의 개폐장치 KR850001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376U KR850001965Y1 (ko) 1983-12-07 1983-12-07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10376U KR850001965Y1 (ko) 1983-12-07 1983-12-07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558U KR850005558U (ko) 1985-08-10
KR850001965Y1 true KR850001965Y1 (ko) 1985-09-11

Family

ID=7016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10376U KR850001965Y1 (ko) 1983-12-07 1983-12-07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9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558U (ko) 198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348A (ko) 자동조정 플라이어
ES2023083A4 (es) Valvula antiretroceso
US3032806A (en) Door closers
FR2421260A1 (fr) Ferme-porte automatique
SE7902454L (sv) Grepphylsa
EP0298622A3 (en) Butterfly net
KR850001965Y1 (ko) 도어의 개폐장치
KR900018945A (ko) 카세트 로딩장치
JPS6018525Y2 (ja) 引戸戸先の引寄せ装置
KR840003018A (ko) 가방 잠금 장치
KR890002513A (ko) 도어 체결기
ATA6194A (de) Karabinerhaken
JPH0122871Y2 (ko)
KR850003064Y1 (ko) 도어의 개폐장치
KR0113430Y1 (ko) 냉장고 도어
KR0117186Y1 (ko) 냉장고 도어 개방장치
JP2899447B2 (ja) 埋設式把手装置
KR880002674Y1 (ko) 방음문의 밀봉장치
JP3274666B2 (ja) 締付操作受容型扉用蝶番
KR200162191Y1 (ko) 드럼통 오프너
KR870000671Y1 (ko) 콘트롤 박스의 도어 개폐 장치
KR850003297Y1 (ko) 카세트 도어의 소프트 이젝터 장치
KR860002381Y1 (ko) 장신용 체인의 체결구
KR890002084Y1 (ko) 냉장고 도어의 개폐장치
KR940007802Y1 (ko) 카메라의 스트랩끈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