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504Y1 -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504Y1
KR200157504Y1 KR2019960037817U KR19960037817U KR200157504Y1 KR 200157504 Y1 KR200157504 Y1 KR 200157504Y1 KR 2019960037817 U KR2019960037817 U KR 2019960037817U KR 19960037817 U KR19960037817 U KR 19960037817U KR 200157504 Y1 KR200157504 Y1 KR 200157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insertion groove
pin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428U (ko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37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5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4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4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손잡이 내부를 탄력적으로 폐쇄시키는 커버가 이탈 분리시에도 미려한 외관을 부여하도록 한 것으로서, 일측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삽입홈을 갖는 손잡이 케이스와, 상기 삽입홈의 개구부 하단 양측 벽면에 관통된 힌지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삽입홈을 폐쇄시키도록 힌지핀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는 손잡이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힌지핀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벽면에 커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그 회전핀에 대하여 탄성 반발력을 갖는 탄성편이 결여부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커버 회전핀의 움직임에 따른 탄성편의 반발력에 의해 삽입홈의 개구부를 폐쇄시키고, 커버의 이탈 분리시에도 탄성편이 삽입홈의 일측 벽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전자제품의 손잡이구조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본 고안은 TV 등의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손잡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내부를 탄력적으로 폐쇄시키는 커버의 탄성편을 손잡이 일측 벽면에 형성시켜, 커버가 이탈 분리시에도 손잡이의 미려한 외관을 부여하도록 하는 전자제품 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 특히, 대형 TV 등에는 운반 및 취급을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제품의 손잡이는 제품의 양측 벽면에 요입 형성되어 손을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 및 보관중 손잡이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을 초래할 수 있었음은 물론 미관상 좋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방지 및 미관상 미려함을 위해 손잡이 내부를 탄력적으로 폐쇄시키도록 하는 커버를 구비한 손잡이구조가 개발되었다.
여기서 커버를 구비한 종래 전자제품 손잡이구조의 대표적인 한 예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삽입홈(111)을 갖는 손잡이 케이스(110)가 전자제품의 양측 벽면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고, 삽입홈(111)의 개구부 하단에는 탄성 반발력을 갖는 탄성편(112)이 삽입홈(111)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삽입홈(111)의 개구부 하단 양측 벽면에는 힌지홀(113)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 케이스(110)의 삽입홈(111) 개구부에는 힌지홀(1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내부를 폐쇄시키도록 힌지핀(121)을 갖는 커버(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120)는 탄성편(112)에 외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탄력에 의해 커버(12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단면에 돌출된 스토퍼(122)가 형성되어 손잡이 케이스(110)에 형성된 스토퍼홀(114)에 끼워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전자제품의 손잡이구조는 전자제품의 운반시 취급자가 손을 손잡이 케이스(110)의 삽입홈(111)으로 밀어 넣게 되면, 이의 개구부에 설치된 커버(120)가 힌지핀(121)을 중심으로 탄성편1(12)을 압축하면서 삽입홈(111) 내측으로 내입된다.
한편, 손잡이 케이스(110)의 삽입홈(111)에서 손을 빼내게 되면, 탄성편(12)을 가했던 힘이 없어지므로 삽입홈(111) 내측으로 내입되었던 커버(120)가 압축된 탄성편(112)의 반발력에 의해 힌지핀(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삽입홈(111)의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이때, 커버(120)의 스토퍼(122)는 손잡이 케이스(110)의 스토퍼홀(114)에 걸려 커버(12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손잡이 사용 후에는 항상 커버(120)가 손잡이 케이스(110)의 삽입홈(111)을 폐쇄시키게 되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전자제품 손잡이구조는 커버(120)의 힌지핀(121)이 손잡이 케이스(110)의 힌지홀(113)에서 쉽게 이탈 분리되어 커버(120)를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커버(120)를 분실할 경우 삽입홈(111) 내부에 절곡 형성된 탄성편(112)의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 내부를 탄력적으로 폐쇄시키는 커버의 탄성편을 손잡이 일측 벽면에 형성시키므로서 커버의 이탈 분리시에도 미려한 외관을 부여하는 전자제품 손잡이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삽입홈를 갖는 손잡이 케이스와, 상기 삽입홈의 개구부 하단 양측 벽면에 관통된 힌지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삽입홈을 폐쇄시키도록 힌지핀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는 손잡이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힌지핀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케이스의 벽면에 커버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핀에 대하여 탄성 반발력을 갖는 탄성편이 결여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전자제품 손잡이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전자제품 손잡이의 내부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손잡이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손잡이구조의 일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손잡이의 작용상태도로서, 회전핀에 의해 탄성편이 압축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 케이스 11 : 삽입홈
12 : 탄성편 15 : 결여부
20 : 커버 21 : 힌지핀
23 : 회전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품 손잡이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삽입홈(11)을 갖는 손잡이 케이스(10)가 전자제품의 양측 벽면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고, 그 삽입홈(11)의 개구부 하단 양측 벽면에는 관통된 힌지홀(13)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 케이스(10)의 삽입홈(11) 개구부에는 힌지홀(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내부를 폐쇄시키도록 힌지핀(21)을 갖는 커버(20)가 설치되고, 이 커버(20)의 일측 힌지핀(21) 상단에는 회전핀(23)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 케이스(10)의 일측 벽면 즉, 상기 회전핀(23)이 형성된 측의 벽면에는 커버(20)가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핀(23)에 대하여 탄성 반발력을 갖는 탄성편(12)이 결여부(15)에 의해 형성된다. 즉, 탄성편(12)의 형상은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핀(23)의 회전 궤적과 차이를 두어 회전에 반발하는 압축이 가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20)는 탄성편(12)에 외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되며, 이 탄력에 의해 커버(2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단면에 스토퍼(22)가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 케이스(10)에 형성된 스토퍼홀(14)에 끼위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제품의 운반시 취급자가 손을 손잡이 케이스(10)의 삽입홈(11)으로 밀어 넣게 되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홈(11)의 개구부에 설치된 커버(20)의 회전핀(23)이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탄성편(12)을 압축하고, 내측으로 내입된다. 즉,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핀(23)의 회전 궤적과 차이를 두어 회전에 반발하는 압축을 가하도록 탄성편(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핀(23)이 회전하는 반경의 폭만큼 탄성편(12)을 압축하게 된다.
한편, 손잡이 케이스(10)의 삽입홈(11)에서 손을 빼내게 되면, 커버(20)에 가했던 힘이 제거되므로 삽입홈(11) 내측으로 내입된 커버(20)의 회전핀(23)은 압축된 탄성편(12)의 반발력에 의해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홈(11)의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이때, 커버(20)의 스토퍼(22)는 손잡이 케이스(10)의 소토퍼홀에 걸려 커버(2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의 커버(20) 동작과 유사한 탄성편(12)의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커버(20) 폐쇄동작의 신뢰성을 가지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한편, 본고안의 탄성편(12)은 양측벽면을 결여시켜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종래 탄성편(112)을 삽입홈(111) 개구부에 별도로 절곡 형성시키는 구조에 비해 성형작업이 보다 용이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힌지핀(21)과 회전핀(23)이 손잡이 케이스(10)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종래 힌지핀(121)만으로 결합되던 구조에 비해 보다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이탈 분리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커버(20)의 탄성편(12)을 손잡이 케이스(10)의 일측 벽면에 형성시키므로서 잡업성과 체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커버(20)의 이탈 분리시에도 탄성편(1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탄성편(12)이 외부로 노출되는 종래의 구조에 비해 외관이 보다 미려할 수 있다.

Claims (2)

  1. 일측으로 개구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삽입홈(11)을 갖는 손잡이 케이스(10)와, 상기 삽입홈(11)의 개구부 하단 양측 벽면에 관통된 힌지홀(1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삽입홈(11)을 폐쇄시키도록 힌지핀(21)을 갖는 커버(20)로 구성되는 손잡이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힌지핀(21) 상단에 외측으로 회전핀(2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케이스(10)의 벽면에 커버(20)가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회전핀(23)에 대하여 탄성 반발력을 갖는 탄성편(12)이 결여부(1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손잡이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12)은 힌지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핀(23)의 회전 궤적과 차이를 두어 회전에 반발하는 압축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손잡이구조.
KR2019960037817U 1996-10-31 1996-10-31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KR200157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817U KR200157504Y1 (ko) 1996-10-31 1996-10-31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817U KR200157504Y1 (ko) 1996-10-31 1996-10-31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28U KR19980024428U (ko) 1998-07-25
KR200157504Y1 true KR200157504Y1 (ko) 1999-09-15

Family

ID=1947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817U KR200157504Y1 (ko) 1996-10-31 1996-10-31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5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580B1 (ko) 2009-07-07 2011-09-02 (주)엠에프테크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580B1 (ko) 2009-07-07 2011-09-02 (주)엠에프테크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28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9177Y2 (ja) 合成樹脂製ハウジングにおけるヒンジ結合蓋
KR910002242B1 (ko) 통신용 케이블 배전함
EP352808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mponent-protecting structure
US4465393A (en) Plastic ball socket extruded in one piece for a ball-and-socket joint
JPH04346497A (ja) 電子機器筐体の蓋装置
KR200157504Y1 (ko) 전자제품 손잡이구조
US20020166351A1 (en) Actuating mechanism of a cable lockset
CN217606972U (zh) 一种电池盒结构
JPH07335310A (ja) コネクタ用防水ケース
JP4113668B2 (ja) ハウジング、特に電気機器用のハウジング
KR100602384B1 (ko) 문 손 끼임 방지구
JPS6138325Y2 (ko)
CN218506608U (zh) 一种锁扣装置及仪器箱
JP3446766B2 (ja) 電池蓋の取付け構造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KR950000327Y1 (ko) 양수기함 케이스
JP2000159252A (ja) 包装用容器
KR200212688Y1 (ko) 통신용 단자함의 잠금장치
KR900003133Y1 (ko) 밧데리 케이스의 뚜껑 고정 장치
KR200141274Y1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도어 개폐 장치
KR970058546A (ko) 낚시용 양축수릴의 커버 개폐구조
KR200324820Y1 (ko) 나사 조립식 금속 판넬 케이스의 잠금장치
JP3068059B2 (ja) ロックハンドル用ゴムキャップ
KR950007588Y1 (ko) 배달물 투입구의 덮개 잠금장치
JPH0754525Y2 (ja) 家具用蝶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