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588Y1 - 2중 동작 노브 - Google Patents

2중 동작 노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588Y1
KR0121588Y1 KR2019930017375U KR930017375U KR0121588Y1 KR 0121588 Y1 KR0121588 Y1 KR 0121588Y1 KR 2019930017375 U KR2019930017375 U KR 2019930017375U KR 930017375 U KR930017375 U KR 930017375U KR 0121588 Y1 KR0121588 Y1 KR 0121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door
fixtu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7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050U (ko
Inventor
유관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7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588Y1/ko
Publication of KR950007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0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6Radio; TV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스위치를 가려주는 도어를 열은 상태나 닫은 상태에서 특정의 스위치를 노브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기존에는 도어 닫힘시에 노브로 스위치를 조작하는데 불편이 없으나 도어 열림시에는 노브의 축을 피해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도어(30)의 닫힘시 노브(50)를 눌러 고정구(70)로 스위치(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도어(30) 열림시에는 고정구(70)에 스프링(40)을 매개로 하여 삽입된 동작구(60)를 눌러 주어 동작구(60)가 뒤로 밀리면서 동작편(61)으로 스위치(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도어의 닫힘시나 열림시에 관계없이 노브로 스위치 조작을 간편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2중 동작 노브
제1도는 종래의 노브 사시도.
제2도의 (a)는 도어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 (b)는 도어를 열은 상태의 단면도.
제3도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4도의 (a)는 본 고안에서 도어를 닫은 상태의 가로 단면도, (b)는 본 고안에서 도어를 닫은 상태의 세로단면도.
제5도의 (a)는 도어를 열은 상태의 단면도, (b)는 도어를 열은 상태의 동작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비넷 20 : 스위치
30 : 도어 40 : 스프링
50 : 노브 60 : 동작구
70 : 고정구
본 고안은 스위치를 내장시키는 도어를 갖춘 텔레비젼 및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 도어에 조립된 노브로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나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스위치를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한 2중 동작 노브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노브의 정면을 눌러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고,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도 노브의 측면을 눌러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의 텔레비젼 및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세트의 전면에 돌출된 스위치를 없애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를 가려주는 도어를 구성시키고 있다.
따라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열어 주어야 하나 특정의 스위치(파우어 온/오프 볼륨 업/다운, 채널 업/다운)는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도 스위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도어에 노브를 설치해 주어 노브를 밀게 되면 내부 스위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의 아래쪽에 특정 기능을 수행시키는 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20)를 가려주는 도어(30)가 힌지(11) 및 힌지공(32)에 의해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30)의 일측에 조립홀(31)을 뚫고 상기 조립홀(31)에 노브(50)를 조립시켜 주어 도어(30)를 닫은 상태에서도 노브(50)를 눌러 스위치(20)를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노브(50)는 축(51)에 스프링(40)이 끼워져 있고 외측에 돌기(52)를 형성시켜 조립홀(3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노브(50)를 누르면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움직이면서 축(51)으로 스위치(20)를 눌러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노브(50)가 도어(30)에 조립되는 위치가 힌지(11)의 중심선 상에 일치하는 디자인을 가질때 도어(30)을 닫은 상태에서 스위치(20)를 조작시키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도어(30)를 열은 상태에서 스위치(20)를 조작시키기가 곤란한 것이었다.
즉 제2도의 (a)에서와 같이 도어(30)에 노브(50)가 조립되어 있을 경우 도어(30)를 닫은 상태에서 노브(50)의 중심을 눌러 축(51)으로 스위치(20)를 눌러 주는데 하등 문제가 없으나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도어(30)를 열었을 경우에는 스위치(20)를 노브(50)로 눌러주지 못하고 손가락으로 직접 스위치(20)를 눌러 주어야 한다.
그러나 도어(30)를 열은 상태에서는 노브(50)의 축(51)이 스위치(20)를 가리고 있어 정면에서 스위치(20)를 눌러줄 수가 없었다.
따라서 축(51)을 피해가며 손가락을 옆으로 하여 스위치(20)를 눌러주어야 하므로 도어(30) 개방시 스위치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나 도어를 열은 상태에서 노브를 이용하여 특정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닫힘시 노브로 스위치르 조작할 수 있는 정면조작 수단을 구비하고 도어의 열림시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측면 조작 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이 사시도이고 제4도의 (a)(b)는 도어를 닫은 상태의 가로 및 세로 단면도로써 도어(30)는 캐비넷(10)의 힌지(11)에 힌지공(32)을 걸어 닫힘 및 열림동작이 이루어지고 도어(30)에는 노브(50)가 삽입되는 조립홀(31)과 노브(50)에 연결된 회전팔(53)을 스크류(55)로 고정시키기 위한 보스(33)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홀(31)에 정면이 노출되는 노브(50)의 배면에는 축(51)이 형성되고 노브(50)의 측면에는 노브(50) 눌림시 탄성을 주기 위한 회전팔(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팔(53)에는 구멍(54)을 뚫어 스크류(55)로 보스(33)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51)의 외측으로 스프링(40)이 끼워지고 스프링(40)의 외측으로 반달형의 동작편(61)이 형성된 동작구(60)를 끼워 주며 상기 동작구(60)의 내측에서 스프링(40)의 내측으로 고정구(70)를 끼워준다.
상기 고정구(70)의 내측에 스크류(71)를 삽입시켜 고정구(70)를 노브(50)의 축(5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70)로 스위치(20)를 눌러줄 수 있도록 조립홀(31)과 스위치(20)를 일지선상에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노브(50)의 축(51)에 스프링(40)을 끼우고 상기 스프링(40)의 외부에 동작구(60)를 끼우되, 동작구(60)의 상측에 돌턱(62)을 주어 스프링(4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동작구(60)는 스프링(40)에 의한 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구(60)의 돌턱(62)에 걸린 스프링(40)의 내측으로 고정구(70)를 삽입시키되 상기 고정구(70)에도 돌턱(72)을 주어 동작구(60)의 돌턱(62)을 지지하게 된다.
고정구(70)의 삽입후 스크류(71)를 상기 고정구(70)의 내측으로 삽입시켜 노브(50)의 축(51)에 나사 결합시킨다.
따라서 고정구(70)는 축(51)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게 되고, 이에 따라 동작구(60)도 돌턱(62)(72)으로 고정되어 고정되게 되며 스프링(40)은 내장되어 탄성을 주게 된다.
그리고 노브(50)의 회전팔(53)에 뚫린 구멍(54)으로 스크류(55)를 삽입시킨 후 스크류(55)를 도어(30)의 보스(33)에 고정시키게 되면 노브(50)는 조립홀(31)에 약간 돌출된 상태로 조립이 끝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도어(30)를 캐비넷(10)의 힌지(11)에 힌지공(32)만 끼워주면 모든 조립이 완료되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진 도어(30)를 캐비넷(10)에 닫은 상태의 동작에 대하여 제4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어(30)를 닫은 상태에서도 도어(30)를 화살표 방향과 같이 누르게 되면 스위치(20)를 조작할 수 있다.
즉 노브(5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노브(50)는 스크류(55)로 고정된 회전팔(53)에 탄성을 주며 뒤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축(51)에 결합된 고정구(70)가 뒤로 밀리게 되어 고정구(70)로 스위치(20)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소기의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다.
노브(50)에서 손을 떼면 회전팔(53)의 탄성에 의해 노브(50)가 원위치되면서 고정구(70)도 원위치 되어진다.
따라서 도어(30)를 닫은 상태에서 노브(50)를 이용하여 스위치(20)를 조작하는데 하등 문제점이 없게 된다.
한편 도어(30)를 열었을 상태의 스위치(20)조작에 대하여 제5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어(30)를 열게 되면 힌지(11)를 중심으로 90°개방되게 되어 제5도의 (a)와 같은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2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동작구(60)를 화살표 A방향으로 밀어주면 된다.
동작구(60)를 A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동작구(60)는 뒤로 밀리게 되나 고정구(70)가 고정되어 있고, 돌턱(62)(72)으로 결합되어 있어 동작구(60)의 뒤편 즉, 동작편(61)은 뒤로 밀리지 않고 화살표 B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즉 동작구(60)를 A방향으로 밀면 동작편(61)은 B방향으로 원호 운동을 하게 된다.
동작편(61)이 B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동작편(61)이 스위치(20)를 밀게 되어 스위치(20)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동작편(61)이 스위치(20)를 눌러줄때 스프링(40)은 옆 방향으로 변형이 되어 원위치 되려는 탄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A방향으로 가하던 힘을 없애면 동작구(60)는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를 열은 상태에서는 노브(50)에 조립된 동작구(60)를 밀어 스위치(20)를 조작시킬 수 있으므로 결국 도어(30)를 열은 상태에서나 도어(30)를 닫은 상태 모두 다 스위치(20)와 직각 방향의 힘을 가하면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하며, 특히 도어(30) 열림시 스위치(20) 조작의 편리함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노브를 이용하여 도어를 닫은 상태나 열은 상태 모두 스위치를 조작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되어 열림시 스위치 조작이 불편하였던 점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자기기의 캐비넷(10)에 힌지(11)로 결합되어 개폐되는 도어(30)에 있어서, 상기 도어(30)의 조립홀(31)에 삽입되는 노브(50)를 고정시키고 탄성을 주는 노브 조립 수단과, 상기 노브(50)의 축(51)에 결합되어 캐비넷(10)에 형성된 스위치(20)를 조작하는 정면 스위치 조작 수단과, 상기 노브(50)의 축(51)에서 정면 스위치 결합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 스프링(40)이 삽입되어 수평 방향의 탄성을 받는 측면 스위치 조작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동작 노브.
  2. 제1항에 있어서, 노브 조립 수단으로 조립홀(31)에 삽입되는 노브(50)의 일측면에 탄성을 주는 회전팔(53)을 형성시키고, 상기 회전팔(53)에 뚫린 구멍(54)으로 스큐류(55)를 삽입시켜 도어(30)내측의 보스(33)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동작 노브.
  3. 제1항에 있어서, 정면 스위치 조작 수단은 노브(50)의 축(51)에 스크류(71)로 고정구(70)를 고정시키고 돌턱(72)을 갖춘 고정구(70)의 외측에 스프링(40)를 삽입시키며 고정구(70)를 스위치(20)의 정면 방향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동작 노브.
  4. 제1항에 있어서, 측면 스위치 조작 수단은 노브(50)의 축(51)에 끼워진 스프링(40)을 돌턱(62)으로 고정시키며 고정구(70)의 외측에 삽입되는 동작구(60)와, 상기 동작구(60)의 일측에서 도어(30) 열림시 스위치(20)의 정면에 위치하는 반달형의 동작편(61)으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동작 노브.
KR2019930017375U 1993-08-31 1993-08-31 2중 동작 노브 KR0121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75U KR0121588Y1 (ko) 1993-08-31 1993-08-31 2중 동작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75U KR0121588Y1 (ko) 1993-08-31 1993-08-31 2중 동작 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050U KR950007050U (ko) 1995-03-21
KR0121588Y1 true KR0121588Y1 (ko) 1998-09-15

Family

ID=1936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7375U KR0121588Y1 (ko) 1993-08-31 1993-08-31 2중 동작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5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050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1588Y1 (ko) 2중 동작 노브
KR0121589Y1 (ko) 두개의 관절을 갖는 노브
KR200340005Y1 (ko) 이중도어 연결구조
KR950007506Y1 (ko) 도어 개폐장치
KR200141278Y1 (ko) 전기.전자제품의 전면 도어 개폐장치
KR950008224Y1 (ko) 가전제품 도어 개폐 장치
KR0125474B1 (ko) 데크의 도어 개폐장치
KR950005205Y1 (ko) 전자제품의 도어개폐장치
KR910008073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개폐장치
KR910000592Y1 (ko) Vtr의 콘트롤박스를 이용한 카세트 도아장치
KR930005769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KR920003899Y1 (ko) 전자렌지의 도어 개폐장치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970004507Y1 (ko) 전기,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JPS6318106Y2 (ko)
KR920007014Y1 (ko) 자석을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KR200144784Y1 (ko) 캠코더용 카세트 테이프 리드 오픈 장치
KR19990003568U (ko) 모니터의 도어 개폐 구조
KR970001232Y1 (ko) 휴대용 사무기기의 잠금장치
KR200177241Y1 (ko) 전기·전자제품의 전면 도어 개폐장치
KR910009147Y1 (ko) 도어 개폐 장치
KR200166968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폐장치
KR20000006948U (ko) 전기전자기기의 업-다운 방식 도어 개폐장치
KR940005483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조작부 구조
KR90000317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용 판넬 도어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