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042Y1 -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042Y1
KR0117042Y1 KR2019940024297U KR19940024297U KR0117042Y1 KR 0117042 Y1 KR0117042 Y1 KR 0117042Y1 KR 2019940024297 U KR2019940024297 U KR 2019940024297U KR 19940024297 U KR19940024297 U KR 19940024297U KR 0117042 Y1 KR0117042 Y1 KR 0117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solution
regeneration means
lower storage
r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4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851U (ko
Inventor
김봉인
이승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4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042Y1/ko
Publication of KR960011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8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튬브로마이드수용액(Lithium Bromide Solution)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출력시키는 흡수식 냉난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수기(50)에서 생성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50)에서 공급된 희용액을 저장하는 제2하부저장조(27)와, 발생된 증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의 내부에 배설된 파이프부재(29)와,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의 상측에 형성된 제2상부저장조(28)와, 상기 파이프부재(29)로 흐르는 냉매증기의 고온의 열에 의해 희용액을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2상부저장조(28)의 내부에 배설된 제2기액분리부재(22)를 구비한 제2재생수단(20)과, 상기 흡수기(50)에서 생성된 희용액이 상기 제2재생수단(20)으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연통배설된 제1배관부재(52)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된 냉매증기가 응축기(30)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연통배설된 제8배관부재(231)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된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50)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연통배설된 제4배관부재(76)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을 저장하는 제1하부저장조(11)와,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공급된 희용액이 열교환되면서 상승되도록 다수의 전열핀(12')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부저장조(11)의 내부에 배설된 다수의 양액관(12)과, 상기 양액관(12)을 통해 상승하는 희용액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제1하부저장조(11)의 외측에 배설된 열발생수단(14)과, 상기 제1하부저장조(11)의 상측에 형성된 제1상부저장조(16)와, 상기 열발생수단(14)에 의해 가열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의 내부에 배설된 제1기액분리부재(17)를 구비한 제1재생수단(10)과,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을 상기 제1재생수단(10)으로 공급하게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와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20)과 제1재생수단(10) 사이에 배설된 제2배관부재(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희용액이 냉매증기에서 발생되는 열과 열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되므로써 시스템을 콤팩트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시스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재생수단11:제1하부저장조
12:양액관13:하부홀더
14:열발생수단15:상부홀더
16:제1상부저장조17:제1기액분리부재
20:제2재생수단21:제2배관부재
22:제2기액분리부재23:제5배관부재
24:제7배관부재25:고수위센서
26:저수위센서27:제2하부저장조
28:제2상부저장조29:파이프부재
30:응축기40:증발기
50:흡수기60:열교환기
61:펌핑수단70:바이패스관
71:개폐밸브72:고수위센서
73:저수위센서
본 고안은 리튬브로마이드수용액(Lithium Bromide Solution)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출력시키는 흡수식 냉난방기에 있어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희용액의 일부를 냉매증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시켜 시스템을 콤팩트화 시킴과 동시에 시스템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브로마이드수용액(Lithium Bromide Solution)을 이용하여서 냉난방을 출력시키는 흡수식 냉난방기는 여러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는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발생기와, 상기 발생기에서 분리된 냉매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액을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증기가 상기 발생기에서 분리된 농용액에 흡수되도록 하여서 희용액으로 변환시키는 흡수기로 이루어져서 냉난방의 출력을 발생시킨다.
또, 이와 같이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흡수기에서 변환된 희용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희용액관(2)과, 상기 희용액관(2)을 통과한 희용액이 저장되는 하부저장조(3)와, 상기 하부저장조(3)에 저장된 희용액이 공급되며 양단이 개방되고 외주에 다수의 전열핀(71)이 배설된 다수의 양액관(7)과, 상기 양액관(7)으로 공급된 희용액이 가열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열발생수단(1)과, 상기 열발생수단(1)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6)와, 상기 기액분리기(6)가 배설되며 상기 기액분리기(6)에 의해서 분리된 냉매증기가 응축기로 공급되도록 냉매증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냉매증기관(9)이 배설됨과 동시에 상기 기액분리기(6)에서 분리된 농용액이 흡수기로 공급되도록 농용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농용액관(8)이 배설된 상부저장조(5)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양액관(7)의 하부는 상기 하부저장조(3)에 고착된 하부홀더(31)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양액관(7)의 상부는 상기 상부저장조(5)에 고착된 상부홀더(41)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양액관(7)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홀더(41)의 상면보다도 돌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는, 흡수기에서 변환된 희용액이 상기 희용액관(2)을 통해서 상기 하부저장조(3)로 공급되고, 상기 하부저장조(3)로 공급된 희용액은 상기 양액관(7)으로 공급되며, 상기 양액관(7)으로 공급된 희용액은 상기 열발생수단(1)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된다.
또, 상기 열발생수단(1)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양액관(7)으로 공급된 희용액이 가열되면, 상기 양액관(7)의 희용액은 농용액과 냉매증기의 상태로 상기 상부저장조(5)로 이동된다.
즉, 상기 열발생수단(1)의 열에 의해서 상기 상부저장조(5)로 이동된 냉매증기는 상기 상부저장조(5)에 배설된 상기 냉매증기관(9)에 가이드되어 응축기로 공급되고, 상기 상부저장조(5)로 이동된 농용액은 상기 상부저장조(5)에 배설된 상기 농용액관(8)에 가이드되어서 흡수기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는 희용액이 상기 열발생수단(1)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만 농용액과 희용액이 분리되므로써 보다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열발생수단(1)의 용량을 증가시켜야하므로 시스템의 크기가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희용액을 상기 열발생수단(1)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만 농용액과 희용액을 분리하므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하부저장조(3)로 공급되는 희용액 및 상기 농용액관(8)으로 공급되는 농용액을 콘트롤하는 기능이 없으므로써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콘트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상부홀더(41)보다도 상기 양액관(7)이 높게 돌설되므로써 시스템이 정지될경우 상기 상부홀더(41)의 상면에 농용액이 잔류되므로써 결정석출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는 열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만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므로써 시스템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발생됨음 물론이고,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콘트롤하지 못하며, 결정석출현상이 발생된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열발생수단 및 냉매증기의 열로써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켜 시스템을 콤팩트화시킴과 동시에 시스템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희용액과 농용액의 공급량을 용이하게 콘트롤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콘트롤시킬 수 있도록 하며, 결정석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는, 흡수기에서 생성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에서 공급된 희용액을 저장하는 제2하부저장조와, 발생된 증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하부저장조의 내부에 배설된 파이프부재와, 상기 제2하부저장조의 상측에 형성된 제2상부저장조와, 상기 파이프부재로 흐르는 냉매증기의 고온의 열에 의해 희용액을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2상부저장조의 내부에 배설된 제2기액분리부재를 구비한 제2재생수단과, 상기 흡수기에서 생성된 희용액이 상기 제2재생수단으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에 연통배설된 제1배관부재와, 상기 제2재생수단에서 분리된 냉매증기가 응축기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에 연통배설된 제8배관부재와, 상기 제2재생수단에서 분리된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에 연통배설된 제4배관부재와, 상기 제2재생수단에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을 저장하는 제1하부저장조와, 상기 제1하부저장조로 공급된 희용액이 열교환되면서 상승되도록 다수의 전열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부저장조의 내부에 배설된 다수의 양액관과, 상기 양액관을 통해 상승하는 희용액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제1하부저장조의 외측에 배설된 열발생수단과, 상기 제1하부저장조의 상측에 형성된 제1상부저장조와, 상기 열발생수단에 의해 가열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상부저장조의 내부에 배설된 제1기액분리부재를 구비한 제1재생수단과, 상기 제2재생수단에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을 상기 제1재생수단으로 공급하게 상기 제2하부저장조와 상기 제1하부저장조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과 제1재생수단 사이에 배설된 제2배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에 의하면, 흡수기에서 공급된 희용액이 냉매증기에서 발생되는 열과 열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되므로써 시스템을 콤팩트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시스템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30)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재생수단에서 분리된 냉매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이고, (40)은 상기 응축기(30) 및 후술하는 제2재생수단에 의해서 응축된 냉매액을 증발시키는 증발기이며, (50)은 상기 증발기(40)에서 증발된 냉매증기가 후술하는 제1 및 제2재생수단에서 분리된 농용액으로 흡수되도록 하여서 희용액을 생성시키는 흡수기이다.
한편, 그림에서 (20)은 상기 흡수기(50)에서 생성된 희용액의 일부를 냉매 증기의 열로써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제2재생수단이고, (10)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을 열발생수단(14)에서 발생되는 열로써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제1재생수단이다.
또, 상기 제2재생수단(20)은, 상기 흡수기(50)에서 공급된 희용액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1재생수단(10)에서 분리된 고온의 냉매증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파이프부재(29)가 배설되는 제2하부저장조(27)와,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에 배설된 상기 파이프부재(29)로 흐르는 냉매증기의 고온의 열에 의해서 냉매증기와 농용액을 분리시키는 제2기액분리부재(22)가 배설된 제2상부저장조(28)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제2재생수단(20)에는 상기 흡수기(50)에서 생성된 희용액이 상기 제2재생수단(20)으로 공급되도록 희용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배관부재(52)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된 냉매증기가 상기 응축기(30)로 공급되도록 냉매증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8배관부재(231)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된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농용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4배관부재(76)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배설된 상기 파이프부재(29)에는 냉매증기가 상기 응축기(30)로 공급되도록 냉매증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5배관부재(23)와, 상기 파이프부재(29)에 가이드되어 흐르면서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에 저장된 희용액으로 열을 뺏겨 응축된 냉매액이 상기 증발기(40)로 공급되도록 냉매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7배관부재(2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5배관부재(23)는 상기 파이프부재(29)의 상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7배관부재(24)는 상기 파이프부재(29)의 하부에 접속되며, 상기 파이프부재(29)는 냉매액이 용이하게 흘러내리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재생수단(20)의 내측벽에는, 상기 흡수기(50)로부터 적정량의 희용액이 공급되도록 희용액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저수위센서(26)와 고수위센서(25)가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재생수단(20)에는 적정량의 희용액이 공급되도록 저수위센서(26) 및 고수위센서(25)가 고착되어서, 희용액이 상기 저수위센서(26) 이하로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저수위센서(26)가 이를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이 펌핑수단(61)의 볼륨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희용액이 상기 제2재생수단(2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희용액이 상기 고수위센서(25)이상으로 공급될 경우에는 상기 고수위센서(25)가 이를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이 펌핑수단(61)의 볼륨을 정지시켜 적정량의 희용액이 상기 제2재생수단(20)으로 공급되도록 콘트롤한다.
한편, 상기 제2재생수단(20)의 하부와 상기 제1재생수단(10)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이 상기 제1재생수단(10)으로 공급되도록 희용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2배관부재(21)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재생수단(10)은, 상기 제2배관부재(21)를 통해 공급된 희용액이 저장되는 제1하부저장조(11)와,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공급된 희용액이 상승되도록 가이드하며 다수의 전열핀(121)이 배설된 다수의 양액관(12)과, 상기 양액관(12)으로 상승되는 희용액을 가열하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열발생수단(14)과, 상기 열발생수단(14)에 의해서 가열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제1기액분리부재(17)가 배설된 제1상부저장조(16)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2배관부재(21)를 통해서 공급된 희용액을 상기 열발생수단(14)에서 발생되는 열로써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시킨다.
또, 상기 양액관(12)의 하부는 상기 제1하부저장조(11)에 고착된 하부홀더(13)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양액관(12)의 상부는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에 고착된 상부홀더(15)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와 상기 제1하부저장조(11) 사이에는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에서 분리된 농용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바이패스관(70)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바이패스관(70)에는 상기 바이패스관(70)을 흐르는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농용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3배관부재(7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70)의 내측에는 적정량의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농용액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저수위센서(73) 및 고수위센서(72)가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바이패스관(70)에는 적정량의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농용액을 바이패스시키는 개폐밸브(71)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에서 분리된 농용액이 상기 바이패스관(70)에 고착된 저수위센서(73)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저수위센서(73)가 이를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밸브(71)를 폐색시켜 적정량의 농용액이 상기 제3배관부재(75)를 통해서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에서 분리된 농용액이 상기 바이패스관(70)에 고착된 고수위센서(72)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고수위센서(72)가 이를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이 상기 개폐밸브(71)를 개방시켜 농용액이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바이패스되도록 하여 적정량의 농용액이 상기 제3배관부재(75)를 통해서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콘트롤한다.
또, 상기 바이패스관(70)의 단부는 상기 상부홀더(15)와 일치되는 위치에 접속되어서 시스템이 정지될경우 상기 상부홀더(15)에 농용액이 잔류되지 않도록 한다.
즉, 시스템이 정지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바이패스관(70)에 장착된 상기 개페밸브(71)가 개방되므로써 상기 상부홀더(15)에 잔류된 농용액이 상기 바이패스관(70)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공급되어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에는 농용액이 잔류되지 않게된다.
이로써, 시스템이 정지되더라도 상기 제1상부저장조(11)에는 농용액의 결정이 석출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응축기(30)와 상기 증발기(40)와의 사이에는 상기 응축기(30)에서 응축된 냉매액이 상기 증발기(40)로 공급되도록 냉매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6배관부재(34)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증발기(40)와 상기 흡수기(50)와의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40)에서 증발된 냉매증기가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냉매증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9배관부재(45)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배관부재(52)와 상기 제3배관부재(75)에는, 열교환기(60)가 장착되어서 상기 제3배관부재(75)를 흐르는 농용액과 상기 제1배관부재(52)를 흐르는 희용액이 열교환되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시스템이 가동되면 상기 제1재생수단(10)의 제1하부저장조(11)에 저장된 희용액이 상기 양액관(12)에 가이드되어서 상승되고, 상기 양액관(12)에 가이드되어서 상승되는 희용액은 상기 열발생수단(14)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된다.
또, 상기 열발생수단(14)에 의해서 가열된 희용액은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에 배설된 상기 제1기액분리부재(17)에 의해서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된다.
즉, 상기 제1기액분리기(17)에 의해서 분리된 농용액은 상기 바이패스관(70)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1기액분리기(17)에 의해서 분리된 고온의 냉매증기는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배설된 상기 파이프부재(29)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관(70)으로 공급된 농용액의 량이 상기 저수위센서(73)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관(70)에 장착된 상기 개폐밸브(71)가 폐색되어 농용액이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바이패스됨이 없이 상기 제3배관부재(75)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고, 상기 바이패스관(70)으로 공급된 농용액의 량이 상기 고수위센서(72)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바이패스관(70)에 장착된 상기 개폐밸브(71)가 개방되어 일부의 농용액은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바이패스되고 적정량의 농용액은 상기 제3배관부재(75)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3배관부재(75)에 가이드되어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는 농용액은, 상기 바이패스관(70)에 고착된 상기 고수위센서(72) 및 저수위센서(73)에 감지되어 적정량이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는 농용액의 량을 용이하게 콘트롤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수기(50)에서 생성된 희용액은 상기 펌핑수단(61)의 동력에 의해서 상기 제1배관부재(52)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2재생수단(20)의 제2하부저장조(27)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2하부저장조(27)로 공급되는 희용액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고착된 상기 고수위센서(25) 및 상기 저수위센서(26)에 감지되어서 적정량만이 공급된다.
즉, 상기 제2하부저장조(27)로 공급되는 희용액이 상기 저수위센서(26)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저수위센서(26)가 이를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이 상기 펌핑수단(61)의 볼륨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희용액이 상기 제2재생수단(20)의 제2하부저장조(27)로 공급되도록 하고, 희용액이 상기 고수위센서(25)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고수위센서(25)가 이를 감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이 상기 펌핑수단(61)의 볼륨을 정지시켜 적정량의 희용액이 상기 제2재생수단(20)의 제2하부저장조(27)로 공급되도록 콘트롤한다.
또, 상기 제2재생수단(20)의 제2하부저장조(27)로 공급된 일부의 희용액은, 상기 파이프부재(29)를 흐르는 고온의 냉매증기의 열에 의해서 상기 제2상부저장조(28)에서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제2상부저장조(28)에서 분리된 냉매증기는 상기 제8배관부재(231)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응축기(30)로 공급되어 응축되고, 상기 제2상부저장조(28)에서 분리된 농용액은 상기 제4배관부재(76)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게 된다.
또,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은 상기 제2재생수단(20)과 상기 제1재생수단(10)을 접속한 상기 제2배관부재(21)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제1재생수단(10)의 제1하부저장조(11)로 공급된다.
또,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공급된 희용액은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열발생수단(14)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된다.
즉, 상기 흡수기(50)에서 생성된 희용액이 상기 파이프부재(29)를 흐르는 고온의 냉매증기의 열과 상기 열발생수단(14)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되므로써, 종래에 비해 열발생수단의 용량을 저감시켜 시스템을 콤팩트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많은 냉매증기와 농용액을 분리시켜 시스템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파이프부재(29)를 흐르는 일부의 냉매증기는,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에 저장된 희용액을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시킬경우 열을 뺏겨 응축되게 된다.
즉, 상기 파이프부재(29)를 흐르는 일부의 냉매증기는 응축되어서 냉매액으로 변환되게 된다.
이때, 변환된 냉매액은 상기 제7배관부재(24)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응축기(30)로 공급됨이 없이 상기 증발기(40)로 공급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응축기(30)의 용량을 종래에 비해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보다 콤팩트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한편, 시스템이 정지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해서 상기 바이패스(70)에 장착된 개폐밸브(71)가 개방되고, 상기 제1재생수단(10)의 상부홀더(15)에 잔류된 농용액이 상기 바이패스관(70)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제1재생수단(10)의 상부홀더(15)에는 농용액이 잔류되지 않으므로써 농용액의 결정석출현상을 방지되므로 시스템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의하면, 흡수기로부터 공급된 희용액을 냉매증기에서 발생되는 열과 열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시키므로써 시스템을 콤팩트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시스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흡수기(50)에서 생성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50)에서 공급된 희용액을 저장하는 제2하부저장조(27)와, 발생된 증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의 내부에 배설된 파이프부재(29)와,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의 상측에 형성된 제2상부저장조(28)와, 상기 파이프부재(29)로 흐르는 냉매증기의 고온의 열에 의해 희용액을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2상부저장조(28)의 내부에 배설된 제2기액분리부재(22)를 구비한 제2재생수단(20)과,
    상기 흡수기(50)에서 생성된 희용액이 상기 제2재생수단(20)으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연통배설된 제1배관부재(52)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된 냉매증기가 응축기(30)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연통배설된 제8배관부재(231)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된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50)로 안내/공급되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20)에 연통배설된 제4배관부재(76)와,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을 저장하는 제1하부저장조(11)와,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로 공급된 희용액이 열교환되면서 상승되도록 다수의 전열핀(12')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부저장조(11)의 내부에 배설된 다수의 양액관(12)과, 상기 양액관(12)을 통해 상승하는 희용액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제1하부저장조(11)의 외측에 배설된 열발생수단(14)과, 상기 제1하부저장조(11)의 상측에 형성된 제1상부저장조(16)와, 상기 열발생수단(14)에 의해 가열된 희용액을 농용액과 냉매증기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의 내부에 배설된 제1기액분리부재(17)를 구비한 제1재생수단(10)과, 상기 제2재생수단(20)에서 분리되지 않은 희용액을 상기 제1재생수단(10)으로 공급하게 상기 제2하부저장조(27)와 상기 제1하부저장조(11)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제2재생수단(20)과 제1재생수단(10) 사이에 배설된 제2배관부재(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29)는 냉매액이 흘러내리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제2하부저장조(27)에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생수단(20)에는 상기 흡수기(50)로부터 공급되는 희용액이 적정량 공급되도록 희용액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저수위센서(26)와 고수위센서(25)가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저수위센서(26)와 상기 고수위센서(25)의 희용액감지에 의해서 펌핑수단(61)이 콘트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저장조(16)과 상기 제1하부저장조(11)사이에는, 상기 제1상부저장조(16)에서 분리된 농용액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바이패스관(70)이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70)에는 적정량의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농용액의 공급량을 감지하는 저수위센서(73) 및 고수위센서(72)가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관(70)에는 적정량의 농용액이 상기 흡수기(50)로 공급되도록 농용액을 바이패스시키는 개폐밸브(7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71)은 시스템이 정지되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KR2019940024297U 1994-09-17 1994-09-17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KR0117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297U KR0117042Y1 (ko) 1994-09-17 1994-09-17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297U KR0117042Y1 (ko) 1994-09-17 1994-09-17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851U KR960011851U (ko) 1996-04-15
KR0117042Y1 true KR0117042Y1 (ko) 1999-02-01

Family

ID=1939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4297U KR0117042Y1 (ko) 1994-09-17 1994-09-17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0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851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4768B2 (en) Absorption-type air conditioner system
US4926659A (en) Double effect air conditioning system
JPH0886530A (ja) 吸収式冷温水機
US4534180A (e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with solution flow control
KR0117042Y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JP2000230757A (ja) 冷媒管理装置
JP2000325945A (ja) 塩水淡水化装置
JP3444203B2 (ja) 吸収冷凍機
KR0117045Y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JPS58208559A (ja) 空冷式吸収冷凍機
JP2999080B2 (ja) 廃液蒸発処理装置
US4398397A (en) Self-balancing two stage heat recovery system
KR0136208Y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JPH06241612A (ja) 吸収式冷房機
JPS6347751Y2 (ko)
JPS58160774A (ja) 給湯装置
KR200141500Y1 (ko) 흡수식 냉난방기
US6796140B1 (en) Heat exchanger
JPS6311571Y2 (ko)
JPH0443264A (ja) 吸収式熱源装置
JPS59115951A (ja) 吸収ヒ−トポンプ
KR200142462Y1 (ko) 흡수식 냉방기
KR200149062Y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KR0114912Y1 (ko)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기
JP2514452Y2 (ja) 吸収サイクルの再生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