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062Y1 -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062Y1
KR200149062Y1 KR2019950046276U KR19950046276U KR200149062Y1 KR 200149062 Y1 KR200149062 Y1 KR 200149062Y1 KR 2019950046276 U KR2019950046276 U KR 2019950046276U KR 19950046276 U KR19950046276 U KR 19950046276U KR 200149062 Y1 KR200149062 Y1 KR 200149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agricultural
refrigerant vapor
solu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546U (ko
Inventor
김봉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46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062Y1/ko
Publication of KR970044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5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6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the refrigerant being water vapour evaporated from a salt solution, e.g. lithium brom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009Heat exchange having a solid heat storage mass for absorbing heat from one fluid and releasing it to another, i.e. re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써, 기액분리기(21)에 의해 분리되지 못한 농용액을 완전 분리시켜 순수냉매증기만을 냉매증기관(26)으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기액분리기(21)의 사이에 배설된 보조분리수단(30)과, 제품을 콤팩트하게 하도록 핀튜브(16)의 뒷측에 삽입 배설된 바이패스관(40)과, 농용액공급관(41)에 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농용액이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40)의 일측에 배설된 단열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농용액이 응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수식 냉낭반기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농용액의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콤팩트화를 이를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제1도는 일반적인 흡수식 냉난방기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생기 3 : 버너
16 : 핀튜브 18 : 하부저장조
19 : 희용액유입관 21 : 기액분리기
22 : 상부저장조 26 : 냉매증기관
30 :보조분리수단 40 : 바이패스관
41 : 농용액공급관 50 : 단열수단
본 고안은 흡수식 냉난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이패스관을 핀튜브의 뒷부분에 삽입 배설하여 발생기의 콤팩트화를 이루고, 기액분리수단 사이에 보조분리수단을 배설하여 농용액과 냉매증기의 분리효과를 높이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식 냉난방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기(1)에서는 버너(3)에서 가스등을 연소시켜 가열을 행하면 냉매를 흡수시킨 희용액에서 냉매증기와 농용액을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발생기(1)에서 발생된 냉매증기는 응축기(5)에서 액화냉매로 응축된 후, 감압장치(7)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되어 증발기(9)내로 보내지며, 상기 증발기(9)내로 유입된 냉매는 증발하여 그 내부에 위치된 냉수관(11)을 냉각시킴으로써 냉방을 가능케 하며, 상기 증발기(9)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수기(13)내로 유입되어 진다.
한편, 상기 발생기(1)메서 냉매증기를 방출하여 냉매의 함류양이 감소된 고온의 농용액은 열교할기(15)에서 희용액과 열교한된 후 온도가 낮추어져 상기 흡수기(13)내로 공급되며, 상기 흡수기(13)내로 공급된 농용액은 증발기(9)에서 증발된 냉매를 흡수하여 희용액으로 되는데, 이때, 다량의 흡수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 흡수열은 흡수기(13)내에 설치된 냉각수관(17)내로 순환되는 물을 가열시켜 난방출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9)에서 증발된 냉매를 흡수한 희용액은 용액순환펌프(28)의 작동에 따라 순환되어 열교환기(15)에서 농용액과 열교환된 후, 상기 발생기(1)로 보내지는 순환작동을 반복적으로 행하여 냉난방 및 냉온수의 공급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에 적용된 발생기(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기(1)의 내측에 배설되어 회용액(리튬브로마이드수용액)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핀튜브(16)와, 흡수기(13)내에서 증발냉매를 흡수한 희용액을 상기 핀튜브(16)로 공급하도록 하부저장조(18)의 일측에 접속된 희용액유입관(19)과, 상기 핀튜브(16)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핀튜브(16)속의 희용액이 가열됨에 따라 상승된 냉매증기와 농용액을 분리시키는 다수의 기액분리기(21)와, 상기 기액분리기(21)의 일측에 배설되어 운전정지시에 상기 기액분리기(21)에 의해 분리된 상부저장조(22)의 농용액을 하부저장조(18)로 보내는 바이패스관(23)과, 상기 바이패스관(23)의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핀튜브(16)내에서 가열된 농용액을 홉수기(13)로 보내는 농용액공급관(25)과, 상기 발생기(1)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기액분리기(21)에 의해 분리된 냉매증기를 토출시켜 응축기(5)로 보내는 냉매증기관(26)과, 상기 발생기(1)의 일측에 배설되어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버너(3)와, 상기 버너(3)의 대향된 측에 배설되어 가스등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배기가스를 배기시키는 배기구(29)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버너(3)의 작동에 따라 발생기(1)내의 용액이 가열되면 냉매중기가 발생되고, 이 냉매증기는 상승하면서, 기액분리기(21)에서 냉매증기중에 포함된 용액을 분리시켜 순수한 냉매증기만이 냉매증기관(26)을 통하여 응축기(5)로 보내지며, 상기 발생기(1)내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냉매중기에 의해 발생된 농용액은 농용액공급관(25)을 통하여 흡수기(13)로 보내짐과 동시에 상기 흡수기(13)에서 용액순환펌프(29)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회용액은 희용액유입관(19)을 통하여 발생기(1)내로 유입되는 순환작용이 반복적으로 행하여 지면서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는 기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되는 냉매증기중 완전 분리되지 못한 농용액이 냉매증기관(26)을 통해 응축기(5)로 유입되어 냉난방기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바이패스관(23)이 발생기의 외측에 배설됨에 따라 제품이 콤팩트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생기의 콤팩트화를 이루고, 응측기내로 농용액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수식 냉난방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냉난방기의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는 희용액이 핀튜브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동안 생성된 냉매증기 및 농용액중 상기 냉매증기만을 분리시켜 냉매증기관을 통하게 하는 기액분리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난방치의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되지 못한 농용액을 완전 분리시켜 순수냉매증기만을 냉매증기관으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기액분리기의 사이에 배설된 보조분리수단과, 제품을 콤팩트하게 하도록 상기 핀튜브의 뒷측에 삽입 배설된 바이패스관과, 농용액공급관에 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농용액이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측에 배설된 단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4도와 제5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붙인다.
발생기(1)의 내측에 배설되어 희용액(리튬브로마이드수용액)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핀튜브(16)와, 흡수기(도시되지 않음))내에서 증발냉매를 흡수한 희용액을 상기 핀튜브(16)로 공급하도록 하부저장소(18)의 일측에 접속된 희용액유입관(19)과, 상기 핀튜브(16)의 상측에 배설되어 상기 핀튜브(16)속의 회용액이 가열됨에 따라 상승된 냉매증기 및 농용액을 분리시키는 다수의 기액분리기(21)와, 상기 기액분리기(21)의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기액분리기(21)를 롱해 분리된 냉매중기중 미분리된 농용액을 차단하여 순수냉매증기만이 냉매증기관(26)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보조분리수단(30)과, 상기 기액분리기(21)의 일측에 배설되어 운전정지시에 상기 기액분리기(21)에 의해 분리된 상부저장조(22)의 농용액을 하부저장조(18)로 보내는 바이패스관(40)과, 상기 바이패스관(40)의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핀튜브(16)내에서 가열된 농용액을 홉수기로 보내는 농용액공급관(41)과, 상기 발생기(1)의 일측에 배설되어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버너(3)와, 상기 버너(3)의 대향된 측에 배설되어 가스등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배기가스를 배기시키는 배기구(29)와, 상기 바이패스(40)의 일측에 배설되어 상기 버너(3)로 부터 가해지는 열이 상기 바이패스(40)의 일측에 배설된 농용액공급관(41)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농용액이 원활하게 흡수기로 통하도록 함으로써, 수위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수단(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22a)(18a)은 상부저장조(22) 및 하부저장조(18)의 단열을 위한 상·하부단열재를 나타내며 부호(24)는 버너에서 가열되는 직접적인 열을 단열시키기 위한 고온단열재를 나타낸다.
다음은 본 고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버너(3)의 작동에 따라 발생기(1)내의 용액이 가열되면 냉매증기가 발생되고, 이 냉매증기는 상승하면서, 기액분리기(21)에서 냉매증기중에 포함된 용액이 1차분리되고, 상기 기액분리기(21)에 의해 분리된 냉매증기중 미분리된 농용액을 보조분리수단(30)에서 재분리하여 순수한 냉매증기만이 냉매증기관(26)을 통하여 응측기로 보내지며, 상기 발생기(1)내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냉매증기에 의해 발생된 농용액은 농용액공급관(41)을 통하여 흡수기로 보내짐과 동시에 상기 흡수기에서 공급되는 희용액은 희용액유입관(19)을 통하여 발생기(1)내로 유입되는 순환작용이 반복적으로 행하여 지면서 냉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관(40)의 일측에 배설된 상기 농용액공급관(41)이 가열되어 농용액이 끓음에 따라 상기 농용액이 원활하게 통과되지 못하여 농용액수위가 높아지게 되는데, 상기 바이패스관(40)의 일측에 배설된 단열수단(50)은 버너(3)에서 가해지는 열을 차단하여 이를 방지하게 한다.
한편, 운전 정지시에는 상부저장소(22)에 있던 농용액이 상기 바이패스관(40)을 통하여 하부저장소(18)로 용이하게 모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의하면, 바이패스관을 다수의 핀류브 뒷측에 삽입 배설시킴에 따라 제품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고, 상기 핀튜브의 상측에 보조분리수단을 배설함에 따라 냉매중기를 완전하게 분리시켜 순수냉매증기만이 응축기로 통하게 하고, 상기 바이패스관의 일측에 단열재를 배설함에 따라 농용액공급관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농용액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여 수위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희용액이 핀튜브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동안 생성된 냉매증기 및 농용액중 상기 냉매증기만을 분리시켜 냉매증기관으로 통하게 하는 기액분리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21)에 의해 분리되지 못한 농용액을 완전 분리시켜 순수냉매증기만을 냉매증기관(26)으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기액분리기(21)의 사이에 배설된 보조분리수단(30)과, 제품을 콤팩트하게 하도록 핀튜브(16)의 뒷측에 삽입 배설된 바이패스관(40)과,농용액공급관(41)에 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농용액이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40)의 일측에 배설된 단열수단(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KR2019950046276U 1995-12-23 1995-12-23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KR200149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276U KR200149062Y1 (ko) 1995-12-23 1995-12-23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276U KR200149062Y1 (ko) 1995-12-23 1995-12-23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546U KR970044546U (ko) 1997-07-31
KR200149062Y1 true KR200149062Y1 (ko) 1999-06-15

Family

ID=1943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276U KR200149062Y1 (ko) 1995-12-23 1995-12-23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0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546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6121B1 (en) Generator for use in an absorption chiller-heater
US4437321A (en) Absorption cooling and heating system
JP2006509992A (ja) 吸収式空調装置本体
US3491545A (e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US20050133195A1 (en) Heat exchanger using water liquid and vapor phases transformation to enhance heat exchange performance
KR200149062Y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JPS6135902Y2 (ko)
US3452550A (en) Maintaining effectiveness of additives i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US5373709A (en) Absorption type refrigerator
US3140591A (e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JPH0113023B2 (ko)
US4294076A (en) Absorption refrigerating system
US3304742A (en)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US3279202A (en) Concentration control for absorption refrigeration systems
JP4031377B2 (ja) 吸収式冷温水機
KR100213780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급탕시스템.
KR940011907A (ko) 냉매가스 분사 공냉식 흡수 시스템
JPH10122688A (ja) チラー
KR200142462Y1 (ko) 흡수식 냉방기
JPS60599Y2 (ja) 低温発生器
KR100334933B1 (ko) 흡수식냉난방기의플레이트열교환기형흡수기
JP4282225B2 (ja) 吸収式冷凍機
JP3706943B2 (ja) 吸収冷凍サイクル機の再生器
KR0136208Y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발생기
KR100286833B1 (ko) 흡수식 냉난방 시스템의 재생기용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