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653Y1 - 대기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대기전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653Y1
KR0116653Y1 KR2019940033354U KR19940033354U KR0116653Y1 KR 0116653 Y1 KR0116653 Y1 KR 0116653Y1 KR 2019940033354 U KR2019940033354 U KR 2019940033354U KR 19940033354 U KR19940033354 U KR 19940033354U KR 0116653 Y1 KR0116653 Y1 KR 0116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input
standb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782U (ko
Inventor
장길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3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653Y1/ko
Publication of KR9600257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7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6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전압강하회로에서의 소비전력을 절감한 개성된 대기전원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장치는 입력교류전원을 유입하여 분압된 교류전원을 발생하는 임피던스 분압장치 : 상기 분압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분압회로에서 출력되는 분압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장치 : 및 상기 정류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정류장치에서 출력되는 정류전압을 안정화시켜 입력교류전원의 최대전압레벨보다 낮은 전압레벨을 갖는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정전압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장치는 콘덴서로 전압강화시킴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대기전원장치
제1도는 종래의 대기전원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대기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강하회로에서의 소비전력을 절감한 개성된 대기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모트콘트롤러에 의해 조작되는 전자기기들은 불시에 입력되는 콘트롤명령에 응답하여 동작하기 위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때, 대기상태에서 소요되는 전원장치는 소비전력이 최소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대기전원장치는 저항분압에 의한 전압강하회로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저항에서의 주울열에 의한 소비전력을 피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비전력이 절감된 대기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장치는
입력교류전원을 유입하여 분압된 교류전원을 발생하는 임피던스 분압장치:
상기 분압회로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분압회로에 출력되는 분압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장치 : 및
상기 정류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정류장치에서 출력되는 정류전압을 안정화시켜 입력교류전원의 최대전압레벨보다 낮은 전압레벨을 갖는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정전압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대기전원장치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다이오드(D11)와 콘덴서(C11)는 정류회로를 구성하고, 저항(R12), 트렌지스트(Q11), 그리고 제너다이오드(ZD11)는 정전압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입력교류전압(AC IN)은 다이오드(D11)와 콘덴서(C11)로 구성되는 정류회로를 통하여 정류 및 평활되어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콘덴서(C11)의양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은 저항(R11)에 의해 전압강하되어 저항(R12), 트랜지스트(Q11) 그리고 제너다이오드(ZD11)로 구성되는 정전압회로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와 제너다이오드(ZD11)의 애노드로부터 안정된 대기전원이 얻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는 입력교류전원을 정류하여 발생된 높은 직류전압을 저항(R11)을 통하여 전압강하시켜서 9V 내지 12V의 낮은 대기전원을 얻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전압강하용 저항(R1)으로부터 상당량의 열이 상시 발생되고 이로 말미암아 대기상태에서의 소비전력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장치를 보이는 회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콘덴서(C21), 다이오드(D21), 저항(R21)은 임피이던스 분압회로를 구성하고, 다이오드(D22)와 콘덴서(C22)는 정류회로를 구성하며, 저항(R22), 제너다이오드(ZD21), 트랜지스트(Q21)는 정전압회로를 구성한다.
제2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입력교류전원(AC IN)의 (+)반파가 인가되는 동안에는 제2도에 도시되는 실선방향으로 폐회로가 형성되고, A점에서 전압강하된 교류전압이 얻어진다. A점의 전압은 콘덴서(C21)의 콘덕턴스(Xc)와 저항(R21)의 레지스턴스(R)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콘덴서(C21)은 +방향으로 충전되고, 콘덴서의 특성상 주울열에 의한 전력소비는 거의 없다.
(-)반파가 인가되는 동안에는 제2도에 도시되는 점선방향으로 폐회로가 형성되고, 콘덴서(C21)은 다이오드(D21)을 통하여 +방향으로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고, -방향으로 충전된다.
입력교류전원의 1/2사이클마다 상술한 동작이 반복되고, 다이오드(D22)와 콘덴서(C22)에는 전압강하된 교류전압이 인가된다.
다이오드(D22)와 콘덴서(C22)는 그에 인가되는 전압강화된 교류전압을 정류 및 평활하여 거의 직류전압에 가까운 전압을 출력한다.
콘덴서(C22) 양단에서 출력되는 정류된 전압은 저항(R22), 트랜지스트(Q21), 그리고 제너다이오드(ZD21)로 구성되는 정전압회로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Q21)의 에미터와 제너다이오드(ZD21)의 애노드로부터 안정된 대기전원이 얻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기전원장치는 콘덴서로 전압강화시킴으로써 대기상태에서의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제2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콘덴서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또 다른 예로서 C1의 반대쪽 라인에 하나의 콘덴서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2)

  1. 입력 교류 전원의 최대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갖는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콘덴서와 저항의 직렬접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직렬 접속의 양단에 입력 교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저항의 양당에서 분압된 교류 전압을 얻는 임피이던스 분압 장치 : 상기 분압 회로에서 제공되는 분압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 장치 : 및 상기 정류 장치에 접속되며, 상기 정류 장치에서 출력되는 정류 전압을 안정화시켜 입력 교류 전원의 최대 전압 레벨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갖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전압 장치를 포함하는 대기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에 병렬로 다이오드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전원 장치.
KR2019940033354U 1994-12-08 1994-12-08 대기전원장치 KR0116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354U KR0116653Y1 (ko) 1994-12-08 1994-12-08 대기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354U KR0116653Y1 (ko) 1994-12-08 1994-12-08 대기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782U KR960025782U (ko) 1996-07-22
KR0116653Y1 true KR0116653Y1 (ko) 1998-07-15

Family

ID=1940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354U KR0116653Y1 (ko) 1994-12-08 1994-12-08 대기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6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782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4090B2 (en) Multi-output power conversion circuit
US4246634A (en) Start-up circuit for switch mode power supply
EP0500113B1 (en) Power-supply unit
JPS58119016A (ja) 低電圧負荷用電源装置
KR100773790B1 (ko) 주전원의 주파수 동기 버스트 모드 전원 장치
JP4518475B2 (ja) 容量性負荷の作動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US3331987A (en) Apparatus including a bucking transformer for operating electric discharge lamps
KR0116653Y1 (ko) 대기전원장치
EP0802615B1 (en)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JP3031782B2 (ja) マグネトロン駆動用電源装置
US3482145A (en)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ic discharge devices
JP294842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20050033733A (ko) 마이콤용 레귤레이터
KR0164751B1 (ko) 전기기기의 실효전압 안정화회로
KR0135705B1 (ko) 오존 발생장치
KR940005920Y1 (ko)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KR100217049B1 (ko) 입력전원에 변화에 비례하여 제어되는 power ic의 전류제한 회로
RU2075776C1 (ru) Электронный регулятор температуры
KR100217050B1 (ko) Fet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power ic의 전류제한 회로
JPH03143260A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
JP2004030089A (ja) 交流電圧調整装置
KR20000032079A (ko)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저손실 스위칭 구동회로
JP2000116130A (ja) 平均値整流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H072356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200310607Y1 (ko) 직류전원을 이용한 열선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