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920Y1 -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920Y1
KR940005920Y1 KR2019890006956U KR890006956U KR940005920Y1 KR 940005920 Y1 KR940005920 Y1 KR 940005920Y1 KR 2019890006956 U KR2019890006956 U KR 2019890006956U KR 890006956 U KR890006956 U KR 890006956U KR 940005920 Y1 KR940005920 Y1 KR 940005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voltage
transistor
output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6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20856U (ko
Inventor
권경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90006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920Y1/ko
Publication of KR900020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20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1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an operational amplifier as final control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제1도는 종래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21)의 이득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칭부 20 : 출력전압검출부
30 : 온타임결정부 FBT21: 플라이백트랜스
T21: 트랜스 CP21, CP21: 비교기
Q21, Q22: 트랜지스터 BD21: 브리지다이오드
ZD21: 제너다이오드 D21: 다이오드
VR21: 가변저항 R21-R35: 저항
본 고안은 공기정화기에 괸한 것으로, 특히 정전압용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전압의 변동에 대해 극히 안정된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있도록 한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R1-R4) 가변저항(VR1)다이오드(D1,D2),제너다오드(ZD1),브리지다아오드(BD2),콘덴거(C3-C5),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압(AC)을 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정전압 및 전류부(2)와, 저항(R1-R4), 가변저항(VR2,VR3), 콘덴서(C7,C8),트랜지스터(Q3-Q5)로 구성되어 고압발생에 필요한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부(3)와, 저항(R10,R11), 트랜지스터(Q6,Q7)로 구성되어 스위칭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부(4)와 다이오드(D3), 콘덴서(C6), 플라이백트랜스(FBT) 로 구성되어 상기 정전압 및 전류부(2)로 부터 전압을 공급받고 상기 스위칭부(4)의 제어에 의해 고압을 발생키는 고압발생부(5)로 구성되었고, 상기에서 미설명된 부호"1"은 정전압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로는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이 브리지다이오드(BD1) 및 콘덴서(C3)에 의해 평활된 후, 저항(R1) 및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하면서 소정의 정전압으로 되고, 이렇게 발생되는 정전압은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Q1)를 온시킴으로 상기 콘덴서(C3)의 충전접압은 이 이트랜지터(Q1)를 통해 플라이백트랜스(FBT)의 1차측코일에 인가되는데, 부하 전류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류가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의 양단전압 및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출력전압이 변동되며,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저항(R4)의 양단전압이 증가되면, 그 양단전압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Q2)를 온시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전류가 이 트랜지스터(Q2)를 통해 바이패스되므로 상기 플라이백트랜스(FBT)의 출력전압이 안정화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입력의 변화에 따른 출력상태의 변화를 억제하기 위해 입력전압을 안전한 범위까지 강제로 강하시켜 정전압화 하기 때문에 전력손실이 많을 뿐더러 입력전원이 비교적 고압이므로 정전압용 트랜지스터가 고가여서 비경제적이고, 대형의 방열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전압용 트랜지스터 및 방열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입력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안정된 출력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고압발생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T21)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전파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BD21)와, 트랜지스터(Q23) 및 다이오드(D21)로 구성되어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2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공급받아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플라이백트랜스(FBT21)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부(10)와, 비교기(CP21), 제너다이오드(ZD21), 가변저항(VR21), 저항(R21-R30)으로 구성되어 상기 플라이백트랜스(FBT21)의 1차코일의 출력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출력전압검출부(20)와, 비교기(CP22), 트랜지스터(Q22), 콘데서(C22) 및 저항(R31-R34)으로 구성되어 상기 출력전압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충전전압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0)의 온타임을 결정하는 온타임결정부(30)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초기시점에서는 플라이배트랜스(FBT21)의 1차코일이 오프상태이고, 이로인하여 비교기(CP2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게 되므로 이 비교기(CP21)의 출력측에는 고전위가 출력되고, 또한 저항(R23) 및 제너다이오드(ZD21)를 통하는 고전위가 비교기(CP22)의 반전입력 단자에 인가되어 이 비교기(CP22)의 출력단자에 저전위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22)가 오프되고, 이때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저항(R31)을 통해 콘덴서(C22)에 충전되기 시작하며, 트랜지스터(Q23)는 저항(R34)을 통해 베이스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온된다. 이후 상기 콘덴서(C22)의 충전전압이 상기 비교기(CP22)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게 되는 순간 이 비교(CP22)의 출력단자에 고전위가 출력되므로 트랜지스터(Q22)가 온되고, 이로인하여 트랜지스터(Q23)의 베이스에 저전위가 공급되어 그가 오프된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Q23)가 오프되었을때 저항값R25=R27, R26=R28인 조건으로 설정하였다면, 트랜지스터(Q21), 저항(R23,R24)에 의해 설정되어 제너다이오드(ZD21)를 통하는 기준전압(Vref)이 비교기(CP22)의 비반 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상기 콘덴서(C22)의 방전전압보다 높게되어 상기의 동작과 같이 트랜지스터(Q22)가 오프되고, 이로인하여 트랜지스터(Q23)가 다시 온되는 과정이 반복되므로 발진이 계속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인버터형 고압발생회로는 부하변화에 대하여 안정된 출력전압을 유지하지만 입력전압 자체의 변화에 대해서는 출력전압이 변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트랜지스터(Q21) 및 주변저항(R21-R24), 가변저항(VR21), 제너다이오드(ZD21)를 사용하여 입력전압의 변화에 중폭이득이 "-1"인 전압을 비교기(CP22)의 반전입력단자에 기준전압(Vref)으로 공급함으로써 스위칭전압의 변화로 인하여 출력전압의 변화를 상쇄시킬 수 있게 하였고, 이의 디씨로드라인을 제3도에 도시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입력전압의 변동에 대해 극히 안정된 출력전압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판 및 정전압용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지 않아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트랜스(T21)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전파정류하는 브리지다이오드(BD21)와,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2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공급받아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플라이백트랜스(FBT21)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스위칭부(10)와, 상기 플라이백트랜스(FBT21)의 1차 코일의 출력전압을 기 설정된 전압과 비교하여 그에 따른 스위칭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출력전압검출부(20)와,상기 출력전압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제어전압을 충전전압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0)의 온타임을 결정하는 온타임결정부(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전압검출부(20)는 상기 브리지다이오드(BD21)의 출력단을 저항(R21)을 통해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저항(R22)을 통해 가변저항(VR21)에 접속하고, 상기 플라이백트랜스(FBT21)의 1차코일의 양단에 직렬접속된 저항(R25,R26),(R27,R28)의 접속점을 비교기(CP21)의 비반전입력자, 반전입력단자에 각기 접속하며, 전원단자(Vcc)를 저항(R23)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콜렉터에 접속하고, 그 콜렉터 접속점, 상기 비교기(CP21)의 출력단자에 일측이 각기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2),저항(R29)의 타측을 공통접속하여 그 접속점(Vref)을 저항(R29)을 통해 접지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온타임결정부(30)는 상기 접속점(Vref)을 비교기(CP22)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전원단자(Vcc)에 직렬접속된 저항(R31) 및 콘덴서(C22)의 접속점을 그 비교기(CP2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하여 이의 출력단자를 트랜지스터(Q22)의 베이스에 접속하며, 전원단자(Vcc)를 저항(R23)을 통해서는 상기 트랜내지스터(Q22)의 베이스 및 저항(R33)에 공통접속하고, 저항(R34)을 통해서는 그 트랜지스터(Q22)의 콜렉터 및 상기스위칭부(10)의 스위칭트랜지스터(Q23)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의 특징으로 하는 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KR2019890006956U 1989-05-26 1989-05-26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KR940005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956U KR940005920Y1 (ko) 1989-05-26 1989-05-26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6956U KR940005920Y1 (ko) 1989-05-26 1989-05-26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856U KR900020856U (ko) 1990-12-14
KR940005920Y1 true KR940005920Y1 (ko) 1994-08-29

Family

ID=1928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6956U KR940005920Y1 (ko) 1989-05-26 1989-05-26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9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20856U (ko) 199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277A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3455253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
US7199562B2 (en) Line frequency switching regulator
US6212082B1 (en) Device of adjustment of the charge current of a storage capacitor
KR940005920Y1 (ko) 공기정화기의 고압발생 안정화회로
JP3257908B2 (ja) 直流高電圧発生装置
KR100439848B1 (ko) 역률보상회로
JPH11215814A (ja) スイッチングモード電源供給装置
JP3134913B2 (ja) 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JP2732100B2 (ja) チョークコンバータを有するスイッチング電源
JP2742412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0172862B1 (ko) 스위칭 전원장치의 펄스 폭 제어 회로
KR200207397Y1 (ko) 직류 전원공급장치의 발열량과 부피를 줄이기 위한 자동 위상제어 회로
KR930007238Y1 (ko) 플라이백 트랜스의 고압 비교회로
JP2656850B2 (ja) 交流信号監視回路
KR960005694B1 (ko) 인버터회로를 이용한 고주파 가열장치
KR970005103Y1 (ko) 스위칭 전원의 과전류 보상회로
JPH0542636Y2 (ko)
KR100217049B1 (ko) 입력전원에 변화에 비례하여 제어되는 power ic의 전류제한 회로
JPH0339738Y2 (ko)
JP3177356B2 (ja) 電源回路
JPH0231913Y2 (ko)
JP2022084503A (ja) 集積回路、及び電源回路
JP2749315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930003748Y1 (ko) 스위칭 모드전력 공급장치(smps)용 단락 모드 회복시간 단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