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632Y1 -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 Google Patents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632Y1
KR0116632Y1 KR2019920017011U KR920017011U KR0116632Y1 KR 0116632 Y1 KR0116632 Y1 KR 0116632Y1 KR 2019920017011 U KR2019920017011 U KR 2019920017011U KR 920017011 U KR920017011 U KR 920017011U KR 0116632 Y1 KR0116632 Y1 KR 0116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ocessing
gear
spot weld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7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303U (ko
Inventor
문병식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20017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632Y1/ko
Publication of KR940007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632Y1/ko

Links

Landscapes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는, 그 내면에 모터와 상기 모터측에 축지지된 제1기어와 내장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며 그 중심면에 관통공을 가지는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된 제2기어와,
상기 지지축의 관통공 내면에 설치되며 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절삭날이 마련된 가공부재와,
상기 가공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부에 마련되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가이드하는 상,하부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가공부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공함으로써 가공부위와 전극의 동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상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어 두 전극의 축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상,하부 가이드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지지축과 가공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11:모터
12,13:제1,2 기어20:지지축
21:관통공30:가공부재
31:절삭날40,50:상,하부전극
60,70:상,하부가이드
본 고안은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부 전극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는 전극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용접(spot welding)은 적어도 두매이상 겹쳐진 금속판재를 상,하부전극의 선단에 개재하고 어느 한곳에 전류를 집중시켜서 국부적으로 가열한 다음 이와 동시에 상,하부전극을 가압하는 방식의 저항용접이다.
상기와 같은 점용접에 있어 금속판재에 국부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가열하고 이를 가압하는 상,하부전극을 보통 구리합금으로 만들며 사용중 마모로 인하여 수시로 가공하여 주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전극을 가공함에 있어서는, 상기 상,하부전극이 축중심이 정확히 일치하여야만 접촉되는 부위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므로, 정밀한 전극 가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점용접용 전극을 가공함에 있어서는, 상기 상,하부전극을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가이드를 통해 전극과 가공용 칼날이 상호 위치하게 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동심 즉, 전극의 중심과 가공되는 부위의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어려웠으며, 특히 상,하부전극을 별도로 하나씩 가공하였기 때문에 가공오차등에 의해 상,하부전극의 축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어려웠다. 이에 의하여 상기 상,하부전극을 이용하여 금속판재를 가압합에 있어 용접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부전극을 각각 별도의 척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동시에 가공함으로써 가공부위와 전극의 동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하부전극의 축중심을 일치시킬수 있는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면에 모터와 상기 모터축에 축지지된 제1기어가 내장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며 그 중심면에 관통공을 가지는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된 제2기어와,
상기 지지축의 관통공 내면에 설치되며 그 대응하는 위치에 각가 절삭날이 마련된 가공부재와,
상기 가공부재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단부에 마련되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상,하부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각각 가이드하는 상,하부 가이드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가 동일축선상에 위치되므로, 상,하부전극과 전극의 가공부위를 정확하게 동축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용 전극가공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안에 따른 점용접용 전극가공기의 하우징(10)의 내면에는 모터(11)가 내장되며, 상기 모터(11)의 축에는 제1기어(12)가 벨트(14)와 풀리(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제1기어(12)와 치합되는 제2기어(13)가 마련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13)는 중공 실린더 형상의 지지축(20)의 외면에 치형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기어(13)를 축지지하는 지지축(20)의 내면에 형성된 관통공(21)에는 그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절삭날(31)이 마련된 가공부재(30)가 억지 끼워맞춤 등의 결합방식에 의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축(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공부재(30) 및 절삭날(3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공부재(30)이 양측에 형성된 절삭날(31)은 가공을 요하는 전극(40, 50)의 단부 즉 가공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부재(30)의 2개의 절삭날(3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부전극(40)과 하부전극(50)을 가이드하는 상,하부가이드(60)(70)가 마련된다. 소정의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가공부재를 향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부전극(60)(70)은 상기 상,하부가이드(60)(70)를 통하여 슬리이딩된다. 이 때 상,하부전극(40)(50)이 동일축선상에 위치되고 전극의 가공부가 상호 동심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가이드(60)(70) 및 가공부재(30)가 동일축선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10)에 내장된 모터(11)는 예컨대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용 전극가공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가공을 요하는 상,하부전극(40)(50)을 가공부재(3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이 상하부전극(40)(50)은 상호 동일축선상에 설치된 위치한 상,하부가이드(60)(70)에 의하여 가이드되므로, 가공할 상,하부전극(40)(50)의 축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전극(40)(50)이 이동되어서, 전극 단부의 가공부위가 지지축(20)의 관통공(21)에 삽입되어 가공부재(30)의 절삭날(31)에 접촉되면, 하우징(10)에 내장된 모터(11)를 구동시켜 제1기어(12)및 이에 치합된 제2기어(13)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기어(13)와 일체 형성된 지지축(20)이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지지축(20)의 관통공(21)에 삽입 결합된 가공부재(30)가 회전함으로써 결국 가공부재(30)의 절삭날(31)에 의해 상기 상부전극(40)과 하부전극(50)의 단부가 절삭날(3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에 의하면, 상,하부전극(40)(50)을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기이드(60)(70)에 의해 각각 가이드함으로써 전극의 직경에 관계없이 전극의 중심과 전극의 가공부위의 동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하부전극(40)(50)을 가공부재(30)의 절삭날(31)에 의해 동시에 가공함으로써 상,하부전극(40)(50)의 축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전극을 사용하여 용접작업을 행함에 있어 용접불량이 발생되지 않는 잇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그 내면에 모터(11)와 상기 모터축에 축지지된 제1기어(12)가 내장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기어(12)와 치합되며 그 중심면에 관통공(21)을 가지는 지지축(20)에 의해 축지지되는 제2기어(13)와, 상기 지지축(20)의 관통공(21) 내면에 설치되며 그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절삭날(31)이 마련된 가공부재(30)와, 상기 가공부재(30)와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단부에 마련되며 상부전극(40)와 하부전극(50)을 가이드하는 상,하부가이드(60)(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가이드(60)(70)와 상기 상,하부전극(40)(50)을 가공하는 절삭날(31)이 마련된 가공부재(30)가 동일축선상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KR2019920017011U 1992-09-07 1992-09-07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KR0116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7011U KR0116632Y1 (ko) 1992-09-07 1992-09-07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7011U KR0116632Y1 (ko) 1992-09-07 1992-09-07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03U KR940007303U (ko) 1994-04-12
KR0116632Y1 true KR0116632Y1 (ko) 1998-07-01

Family

ID=7219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7011U KR0116632Y1 (ko) 1992-09-07 1992-09-07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6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70B1 (ko) * 2001-12-18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건의 팁 연마용 바이트
KR101676581B1 (ko) * 2015-10-22 2016-11-15 김도영 서보건 팁 드레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950B1 (ko) * 2007-06-29 2008-08-01 은성기연 주식회사 플라스틱금형 슬라이드 코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770B1 (ko) * 2001-12-18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용접건의 팁 연마용 바이트
KR101676581B1 (ko) * 2015-10-22 2016-11-15 김도영 서보건 팁 드레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303U (ko) 199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578B1 (ko) 용접기용 전극팁의 성형장치
KR102404553B1 (ko) 디퍼렌셜 케이스의 가공기
KR100595982B1 (ko) 베어링 압입장치
KR0116632Y1 (ko) 점용접용 전극 가공기
DE3365777D1 (en) Machine comprising an annnular saw for cutting-off tubes
JP2001293577A (ja) 溶接装置の駆動装置
US4726114A (en) Electrical component lead bending and cutting apparatus
JP3793638B2 (ja) スポット溶接機
JPH0810954A (ja) 高速回転ア−ク溶接装置
JP3875437B2 (ja) 溶接用ワイヤ送給装置
JPH0523745A (ja) 曲げ装置
CN216263971U (zh) 一种可保证同轴度的氩弧焊焊接用工装
KR910004875Y1 (ko) 저항 용접기에 있어서의 이코라이징(Equalizing)용 샤프트의 지지장치
CN213857268U (zh) 一种管子铣弧专机
CN213380283U (zh) 一种机床用回转工作台机构
JPS6211970B2 (ko)
CN217433076U (zh) 一种中心架手臂用三片式防护器及气动自定心中心架
CN211915790U (zh) 一种全自动仪表氩弧焊接机的同步齿轮构件
CN219276285U (zh) 线切割装置
CN218363170U (zh) 工件翻转装置
JPS62212060A (ja) プラズマア−ク円切断機
CN208162825U (zh) 用于临时开孔的外缘定位火焰切割器
KR900002419B1 (ko) 전동기용 프레임 본체의 세로용접용 지그
KR200142227Y1 (ko) 공작기계용 공구 체인지 장치의 마찰 완화구조
JPH03242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