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484Y1 - 중,대형 트럭의 차대반전장치 - Google Patents

중,대형 트럭의 차대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484Y1
KR0116484Y1 KR2019940008576U KR19940008576U KR0116484Y1 KR 0116484 Y1 KR0116484 Y1 KR 0116484Y1 KR 2019940008576 U KR2019940008576 U KR 2019940008576U KR 19940008576 U KR19940008576 U KR 19940008576U KR 0116484 Y1 KR0116484 Y1 KR 0116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clamping head
hoist
undercarriage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8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059U (ko
Inventor
윤진돈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2019940008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484Y1/ko
Publication of KR9500300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0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중, 대형트럭의 차대로 사용되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일부 샤시품을 장착시킨 후 이를 반전시키는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구조물에 설치된 I-빔(I)에 주행장치(2)(2')를 설치하며, 하단의 호이스트(1)(1')에 전, 후반부 클램핑헤드(3)(4)를 설치하며 후반부 클램핑헤드(4)에는 구동모터(5)에 의해 차대(T)를 반전시킬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 대형트럭의 차대반전장치.

Description

중.대형 트럭의 차대반전장치
도 1 은 본 고안의 부분세부구조를 도시한 전체구조도
도 2 은 본 고안의 차대를 장착시킨 상태의 구조설명도
도 3 의 (가)는 본 고안의 차대를 장착시킨 전면 호이스트 구조도
(나)는 본 고안의 차대를 장착시킨 후면 호이스트 구조도
(다)는 본 고안의 차대를 반전시 후면 호이스트의 작동상태도
도 4 는 종래 차대 반전장치의 정면 및 측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 후단 호이스트 2,2' : 전, 후단 주행장치
3,4 : 전, 후단 클램핑헤드 5 : 구동모터
6,6' : 샤프트 7,7' : 베벨기어
8 : 웜과 웜기어 9 : 반전작동대
I : 아이빔 T : 차대
본 고안은 중, 대형트럭의 차대로 사용되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일부 샤시품을 장착시킨 후 이를 반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 어셈블리의 무게중심 변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고 차대의 반전을 유연하게 되도록하므로 작업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한 장치이다.
종래의 차대반전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축이 고정된 프레임을 기계작동이 가능한 작업구역으로 주행장치(22)(22')로 진입시켜 프레임 어셈블리(26)의 전, 후단으로 이동시켜 클램핑헤드(24)(24')로 홀딩시키고 양단을 호이스트(21)로 호이스팅시켜 규정높이가 되면 반전장치(25)로 차대로 반전시키고 작업장의 바닥에 있는 구동롤러가 있는 대차를 조정하여 프레임 어셈블리(26)를 하강 안치시켜 홀딩된 클램핑헤드(24)(24')를 해체시킨 후 상승시켜 지정위치에서 다음작업을 대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차대반전장치 기계가동시 그 구조물이 천정부(Over Head)에 매달려 있어 장치의 부피가 크고 프레임 어셈블리(26)를 반전시킬 때 회전중심과 무게중심이 상이하여 사(死)점을 통과하므로 차대의 요동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승 및 하강시나 회전시킬 때 요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가이드부(23)(23')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작업구역내에 설치된 트러스에 매달린 구조물의 아이빔(I-Beam)에 가이드가 없는 오버헤드형 반전장치를 설치하여 전반부는 끝단을, 후반부는 후단 오버행(Over Hang)부위의 클램핑이 가능한 부분을 잡고 호이스트로 상승시켜 반전하며 다시 이동용 기계에 안치시키게 한 반전장치로 기계를 미가동시에는 장치가 소형화되어 헤드상승 후 잔여시간 동안 타작업이 가능하고 프레임 어셈블리를 반전시킬 때 회전중심과 무게중심이 동일하여 차대의 요동을 최소화 하였으므로 프레임 어셈블리를 클램핑 후 상승 및 하강시나 회전시에 요동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설비가 불필요한 차대반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조물에 설치된 아이빔(I)에 전, 후단 주행장치(2)(2')와 호이스트(1)(1')를 설치하고 전단호이스트(1)의 하단에는 차대(T)의 선단을 클램핑할 수 있는 전단클램핑헤드(3)를 설치하고 후단호이스트(1')의 하단에는 차대(T)의 후단을 클램핑하여 반전시킬 수 있는 반전작동대(9)를 구비한 후단클램핑헤드(4)를 설치하고 후단클램핑헤드(4)의 상부에 구동모터(5)를 설치하여 샤프트(6)(6')로 상, 하부베벨기어(7)(7')를 작동시키고 하부베벨기어(7')는 회전력을 후단클램핑헤드(4)의 하단 중앙부위에 웜과 웜기어(8)로 결합되어 있는 반전작동대(9)를 반전시켜 차대(T)를 반전시킬 수 있게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0)은 작동스위치이고 (11)은 작동보조스위치이며 (12)(12')는 구동롤러이고 (13) (13')는 대차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차대(T)에 각각의 샤시품을 장착시키기 위하여 차대(T)를 반전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장의 아이빔(I)에 설치된 주행장치(2)(2')를 작동스위치(10) 및 작동보조스위치(11)를 조작하여 기계작동이 가능한 작업구역으로 진입 이동시키고, 전, 후단 호이스트(1)(1')를 하강시켜 차대(T)의 전, 후단의 양선단을 전, 후단 클램핑헤드(3)(4)에 홀딩시킨 후 호이스트(1)(1')를 차대(T)의 반전작업이 가능한 규정높이로 상승시켜 구동모터(5)를 작동시키면 구동력이 샤프트(6)에서 상부베벨기어(7)로 전달되고 상부베벨기어에서 샤프트(6')를 통해 하부베벨기어(7')로 전달하고 후단클램핌헤드(4)의 하단 중앙부위에 웜과 웜기어(8)로 결합된 반전작동대(9)는 하부베벨기어(7')에서 웜을 통해 웜기어(8)를 회전작동시켜 후단 차대(T)를 클램핑하고 있는 반전작동대(8)를 서서히 반전시키고 이때 전단클램핑헤드(3)는 차대(T)의 전단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후단차대가 서서히 작동하는 속도에 따라 전단 클램핑헤드(3)의 원형가이드를 따라 반전작동하여 차대(T)를 반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대(T)가 반전되면 차대(T)에 여러 가지 샤시품을 장착시키고 반전작동시의 역으로 회전시켜 원위치 시킨다음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된 대차(13)(13')의 구동롤러(12)(12')를 조정하여 차대(T)의 하단에 위치시키고 호이스트(1)(1')를 하강시켜 차대(T)를 대차(13)(13')상에 안치시키고 클램핑헤드(3) (4)를 해체시켜 차대(T)를 대차(13)(13')상에 적재시킨 후 호이스트(1)(1')를 조정하여 클램핑헤드(3) (4)를 상승시키고 대차(13)(13')의 구동롤러(12)(12')를 작동시켜 차대(T)를 지정위치로 이동시켜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대반전장치를 미가동시에는 클램핑헤드(3)(4)를 상승시키므로 인해 하부에 공간을 활용하여 타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작업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래 차대반전장치에 비해 요동을 완화시키기 위한 가이드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차대의 회전 및 무게중심을 일치시켜 기계작동시(반전) 차대의 요동을 최소화 할수 있으며 또한 설비의 부피가 소형화되어 하부공간을 활용하여 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조물에 설치된 아이빔(I)에 전, 후단 주행장치(2)(2')와 호이스트(1)(1')를 설치하고 전단호이스트(1)의 하단에는 차대(T)의 선단을 클램핑할 수 있는 전단 클램핑헤드(3)를 설치하고 후단호이스트(1')의 하단에는 차대(T)의 후단을 클램핑하여 반전시킬 수 있는 반전작동대(9)를 구비한 후단클램핑헤드(4)를 설치하고 후단 클램핑헤드(4)의 상부에 구동모터(5)를 설치하여 샤프트(6)(6')로 상, 하부베벨기어(7)(7')를 작동시키고 하부베벨기어(7')는 회전력을 후단클램핑헤드(4)의 하단 중앙부위에웜과 웜기어(8)로 결합되어 있는 반전작동대(9)를 반전시켜 차대(T)를 반전시킬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 대형 트럭의 차대 반전장치.
KR2019940008576U 1994-04-22 1994-04-22 중,대형 트럭의 차대반전장치 KR0116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576U KR0116484Y1 (ko) 1994-04-22 1994-04-22 중,대형 트럭의 차대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576U KR0116484Y1 (ko) 1994-04-22 1994-04-22 중,대형 트럭의 차대반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59U KR950030059U (ko) 1995-11-20
KR0116484Y1 true KR0116484Y1 (ko) 1998-04-23

Family

ID=1938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8576U KR0116484Y1 (ko) 1994-04-22 1994-04-22 중,대형 트럭의 차대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4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059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11397B2 (ja) 駆動式吊り型運搬器
JP3268262B2 (ja) クレーン
KR0116484Y1 (ko) 중,대형 트럭의 차대반전장치
CN217650769U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用的龙门吊
JP3236509B2 (ja) 断面角形の長尺ワークを横方向に搬送する移動台車
CN113802903B (zh) 一种基于agv小车转运车辆的停取方法
KR100290082B1 (ko) 이동대차
JPH0446847B2 (ko)
JP2534008Y2 (ja) 天井クレーン
CN215516421U (zh) 用于汽车配件生产的框架吊运装置
JP4121009B2 (ja) ワークの移載装置
CN213537030U (zh) 一种能防止水平晃动的起重机用小车
JPH0337347Y2 (ko)
JP2002137887A (ja) トランスファクレーンの走行装置およびトランスファクレーンの走行方向変更方法
JPH07292964A (ja) 建築物壁面の工事装置
JP3078647B2 (ja) 天井クレーンの駆動装置
CN216005131U (zh) 一种带有支撑结构防倾倒的自行走曲臂式高空作业平台
SU1461748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механизм дл тележки крана мостового типа
JPH0375448B2 (ko)
JP2002114318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H1159584A (ja) 除錆装置
JP2728346B2 (ja)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昇降パレット駆動装置
CN210001477U (zh) 一种低空间举伸装置
JP2509058B2 (ja) 多層循環式駐車装置
JP3164767B2 (ja) 長尺ワークの反転機構を備えた搬送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