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326Y1 -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326Y1
KR0116326Y1 KR2019950033240U KR19950033240U KR0116326Y1 KR 0116326 Y1 KR0116326 Y1 KR 0116326Y1 KR 2019950033240 U KR2019950033240 U KR 2019950033240U KR 19950033240 U KR19950033240 U KR 19950033240U KR 0116326 Y1 KR0116326 Y1 KR 0116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ngle
rearview mirror
angle adjusting
ang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379U (ko
Inventor
유성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33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326Y1/ko
Publication of KR970022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3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6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의 목적은 외측후사경의 정상적인 거울각도 조절시 이외에는 각도조절 핸들을 건드려도 후사경의 거울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외측후사경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구성은 전면도어 외측에 돌출하도록 부착되는 후사경과, 그 후사경의 거울에 고정되는 각도조정바와, 상기 각도조정바와 연결되어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후사경의 거울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핸들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후사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핸들은 그 내부에 마련되는 접속스위치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각도조정바와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거울각도 조절시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종래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후사경 2 : 전면도어
3 : 내측커버 4 : 각도조정바
5 : 거울 6 : 각도조절 핸들
6' : 수평장공 7 : 스플라인축
8 : 접속스위치 부재 9 : 스플라인 요홈부
10 : 작동간 11: 힌지점
12 : 누름부 13 : 압축탄발 스프링
14 : 내벽면
[산업상 이용분야]
본원 고안은 운전자가 차량 후방을 관측하기 위해 바깥측에 설치하는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수동조작형 외측후사경 조립체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사경(20)이 전면도어의 전방 외측으로 달아붙여지고 각도조정바(21)가 도어차체 및 내측커버(23)를 통하여 각도조절 핸들(22)에 접속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수동형 외측후사경 조립체의 경우 실내측에 위치하는 각도조절 핸들(22)과 각도조정바(21)가 일체형으로 되어있어 운전자의 자세에 맞추어 조정을 하여 두어도 누군가 무의식중에 각도조절 핸들(22)을 건드리면 후사경(1)의 거울각도가 틀어져서 다시 조절하지 아니하면 안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에 본원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외측후사경의 정상적인 거울각도 조절시 이외에는 각도조절 핸들을 건드려도 후사경의 거울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외측후사경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외측후사경 조립체의 구성은 전면도어 외측에 돌출하도록 부착되는 후사경과, 그 후사경의 거울에 고정되는 각도조정바와, 상기 각도조정바와 연결되어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후사경의 거울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핸들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후사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핸들은 그 내부에 마련되는 접속스위치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각도조정바와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외측후사경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걸울각도 조정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중 부호 1은 외측후사경으로 전면도어(2) 외측에 부착되며 부호3은 실내측에 부착되는 내측커버이며 부호4는 거울(5)의 각도위치 조정을 위해 외측후사경(1)내 거울측에 고정되어 돌출하는 각도조정바이며 부호6은 상기 각도조정바(4)에 힘을 전달하여 거울(5)의 각도조절을 하기 위한 각도조절 핸들로서 실내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정바(4)의 끝단은 그의 원통형 외주로 1개 이상의 키이가 돌출되어 스플란인축(7)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도조절 핸들(6)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평장공(6')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각도조절 핸들(6)내에 마련되어 있는 접속스위치 부재(8)의 스플라인 요홈부(9)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그와 접속되거나 또는 분리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스플라인축(7)과 스플라인 요홈부(9)는 상호 접속시에 헛돌지 않도록 단순히 4각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접속스위치 부재(8)는 작동간(10) 중간의 힌지점(11)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작동하며 누름부(12)가 각도조절 핸들(6) 일끝에서 보호커버(3)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12)로부터 힌지점(11)을 넘어선 작동간(10) 상에는 누름부(12)를 눌렀을 경우 작동간(10)에 의해 압압되어지는 압축탄발 스프링(13)이 각도조절 핸들(6)의 내벽면(14)과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고정지지되어 있어 누름부(12)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13)내부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작동간(10)이 원상복귀하며 누름부(12)는 각도조절 핸들(6) 외부로 다시 돌출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본원 고안을 사용하여 외측후사경(1)의 거울(5)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손가락으로 누름부(12)를 누르게 되면 접속스위치 부재(8)의 작동간(10)은 힌지점(11)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회동하며 그의 선단의 스플라인 요홈부(9)가 각도조정바(4)측으로 이동(도시된 상태 기준으로는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각도조정바(4) 끝단의 스플라인축(7)을 수용하여 계합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각도조정바(4)와 각도조절 핸들(6)이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계합되어지면 각도조절 핸들(6)을 움직여서 거울(5)의 각도를 조정하게 되는데 각도조절 핸들(6)의 움직임은 계합된 각도조정바(4)를 통해 거울(5)에 전달되므로써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조정이 끝나면 누르고 있던 누름부(12)에서 손을 떼게되며 누름부에의 압압력이 제거되면 작동간(10)은 원상복귀수단인 압축탄발 스프링(13)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따라 작동간(10) 선단의 스플라인 요홈부(9)는 계합되어 있던 스플라인축(7)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후방으로 빠지게 되며(도시 상태로는 우측으로 이동)스플라인축(7)과 스플라인 요홈부(9)는 완전히 분리되어지게 된다.
상기 스플라인축(7)과 스플라인 요홈부(9)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각도조절 핸들(6)을 움직이더라도 각도조정바(4)에 힘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거울(5)은 조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효과]
이상과 같은 본원 고안에 의하면 외측후사경의 거울각도 조절을 함에 있어서 각도조정바와 각도조절 핸들이 접속스위치 부재에 의해 접속되도록 분리구성하므로써 거울의 각도를 조정해 놓은 상태에서 잘못하여 각도조절 핸들을 건드리더라도 각도조정바를 통해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외측후사경의 빈번한 조정을 하게되는 불편함을 피할 수 있게된다.

Claims (3)

  1. 전면도어 외측에 돌출하도록 부착되는 후사경과, 그 후사경의 거울에 고정되는 각도조정바, 상기 각도조정바와 연결되어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후사경의 거울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핸들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측후사경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 핸들은 그 내부에 마련되는 접속스위치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각도조정바와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스위치 부재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시이소오 작동하는 작동간과, 상기 작동간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각도조절 핸들 외부로 돌출하는 누름부와, 상기 작동간 타측에 마련되는 스플라인 요홈부와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정바 끝단에 형성된 스플라인축이 상기 스플라인 요홈부와 접속되거나 또는 분리되는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간의 원상복귀 수단은 압축탄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KR2019950033240U 1995-11-13 1995-11-13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KR0116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240U KR0116326Y1 (ko) 1995-11-13 1995-11-13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240U KR0116326Y1 (ko) 1995-11-13 1995-11-13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79U KR970022379U (ko) 1997-06-18
KR0116326Y1 true KR0116326Y1 (ko) 1998-04-21

Family

ID=1942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240U KR0116326Y1 (ko) 1995-11-13 1995-11-13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3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79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7387B2 (en) Push button device with push actuation with improved kinematics for application in a vehicle
CA1095008A (en) Vehicle rear-view mirrors
EP0914991A3 (en) Multifunction switch stalk
JPH10144179A (ja) 回転ノブ上方部品
EP1707458B1 (en) Automotive windshield wiper switch
US4442688A (en) Vehicle steering lock arrangement
KR0116326Y1 (ko) 수동조정식 외측후사경 조립체
US6150620A (en) Steering column switch for a motor vehicle
US6518883B1 (en) Safety system for motor vehicle opening panel
KR100470784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100488631B1 (ko) 레버스위치장치
JPH11268535A (ja) ドアガード
KR920005006Y1 (ko) 자동차 도어 외부핸들구조
KR101481353B1 (ko) 하우징 회전형 아웃사이드 미러
KR200142376Y1 (ko) 버스의 도어개폐용 가변식 레버
JP3777266B2 (ja) パワードア操作部およびパワードア開閉装置
US20210388661A1 (en) Adapted Power Window Switch Assembly and Retrofit Kit
KR960008258Y1 (ko) 수동구동펌프의 핸들 구동장치
US20230265707A1 (en) Handle for operating an automatic moving mechanism of a door of a motor vehicle
KR970036760A (ko) 암 레스트의 길이 조정 장치
KR19980042789U (ko) 자동차용 키 홀더
KR920004864Y1 (ko) 자동차용 도아윈도우 조작 핸들
JP3971596B2 (ja) 車両用内装装置
JPH08165826A (ja) 押圧ボタンを備えたリモコン装置
KR20230141528A (ko) 차량용 커버를 활성화하는 활성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