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948Y1 - 스텐드형 포장대 - Google Patents

스텐드형 포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948Y1
KR0115948Y1 KR2019950007918U KR19970007918U KR0115948Y1 KR 0115948 Y1 KR0115948 Y1 KR 0115948Y1 KR 2019950007918 U KR2019950007918 U KR 2019950007918U KR 19970007918 U KR19970007918 U KR 19970007918U KR 0115948 Y1 KR0115948 Y1 KR 0115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film
packaging
stan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7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414U (ko
Inventor
윤영만
Original Assignee
윤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만 filed Critical 윤영만
Priority to KR2019950007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948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41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질의 비닐지인 포장대 내부에 연질의 필름재인 속포장대를 갖도록 하고, 포장대와 속포장대의 사이에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한 것으로서, 속포장대를 전체적으로 외부와 격리시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포장대가 파손되더라도 속포장대에 의해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으며, 포장대와 속포장대와의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공기층이 외부의 온도변화를 둔화시켜서 온도변화에 따른 내용물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탠드형 포장대이다.

Description

스텐드형 포장대
본 고안은 분말이나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스탠드형 포장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질의 비닐지로 이루어진 포장대를 내부에 연질의 필림재인 속포장대를 내설한 스탠드형 포장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공식품이나 합성세재류 또는 약품 등(이하 내용물이라 칭함)은 유리로 된 병이나 플라스틱 용기 등에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병이나 용기의 경우 내용물 외에 용기의 생산가까지 소비자가 지불하는 부담이 있고, 용기의 상태가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폐기처분 되어져 자원 재활용에도 역행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비닐봉지에 담아 소비자들에게 공급하여 왔으나, 이는 생산원가가 적게드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봉지가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특히 개봉된 봉지에 액상의 내용물이 남게 될 경우 보관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1도와 같은 스탠드형 포장대가 사용되고 있다.
제1도(a)와 제1도(b)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탠드형 포장대(1)는 일정한 크기로 절형된 4각형상의 전면비닐(2)과 후면비닐(3)을 서로 맞대어 그 양측단부(4)를 열융착하고, 상기 전면비닐(2)과 후면비닐(3) 하부 사이에 저면비닐(5)을 열융착하며, 상구에 내용물을 주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포장대(1)는 여러 공정을 거쳐서 제작된 경질의 비닐지로서 양측단부(4)가 열융착된 전면비닐(2)과 후면비닐(3) 하부 사이로 열융착되는 저면비닐(5)은 반구형을 이루도록 전면비닐(2)과 후면비닐(3)의 중앙(7)을 좁게 열융착하고, 양측단부(4)로 가까워 질수록 융착면적을 넓게하여 내용물을 수용치 않았을 때에는 포장대(1)가 납작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내용물이 충전되며 저면비닐(5)이 펼쳐지면서 바닥중앙부위가 면접촉되어 안전감 있게 세워지는 것이다.
제1도(a)는 포장대가 파손되었을 때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접합부(8)의 끝단과 절첩부(9)등이 겨울철과 같이 냉한기에 운반중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어 질 수 있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대는 첫째, 여러 제작 공정(필름들의 합질과정과 상품표시를 위한 인쇄과정 등)을 거쳐 경질의 비닐지가 생산되어지기 때문에 여러 공정을 거치는 동안 오염물질이 포장대에 오염되어 내용물의 부패 및 변질을 초래할 수 있다.
둘째, 경질의 비닐지를 사용함으로 겨울철과 같은 냉한기에는 운반과정에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포장대가 한겹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외력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운 포장대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상승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질의 비닐지인 포장대 내측에 연질의 필름재인 속포장대를 내설하여 포장대가 파손되더라도 포장대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포장대와 속포장대와의 사이에 공간층을 형성하여 내용물에 전해지는 외부의 온도를 둔화시켜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른 내용물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하며, 속포장대에 의해 내용물이 위생적으로 보관되어질 수 있는 스탠드형 포장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제1도(a)는 종래의 스탠드형 포장대를 예시한 저면 사시도.
제1도(b)는 제1도(a)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스탠드형 포장대의 봉합전 충전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개 단면도.
제3도은 제2도의 스탠드형 포장대의 봉합된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장대 11 : 전면비닐
12 : 후면비닐 13 : 저면비닐
14, 24 : 양측단부 20 : 속포장대
21 : 전면필름 22 : 후면필름
23 : 저면필름 30 : 공기층
전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경질의 전면비닐(11)과 후면비닐(12) 및 절첩되는 저면비닐(13)을 포함하는 포장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연질의 필름재인 전면필름(21)과 후면필름(22) 및 절첩되는 저면필름(23)을 포함하는 속포장대(20)를 갖고 있으며, 전면비닐(11)과 후면비닐(12)의 가장자리 부분이 전면필름(21)과 후면필름(22)의 가장자리 부분과 열융착되며, 포장대(10)의 하부에서 중앙부 쪽의 융착면적이 좁고 양측단부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융착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전면비닐(11)과 전면필름(21)이 포개어져 열융착되고 후면비닐(12)과 후면필름(22) 및 저면비닐(13)과 저면필름(23)이 포개어져 열융착되며, 전면비닐(11)과 전면필름(21) 사이에 후면비닐(12)과 후면필름(22) 사이 및 저면비닐(13)과 저면필름(23)사이에 밀폐된 공간층(30)가 형성되고, 상부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포장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로 절형된 4각형상의 포장대(10)의 전면비닐(11)과 후면비닐(12)을 서로 대응되게 한 단음, 그 사이에 필름재인 속포장대(20)의 전면필름(21)과 후면필름(22)을 내설하여 양측단부(14)(24)를 일체로 열융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면필름(21)과 그에 대향하는 후면필름(22) 하부 사이에 저면필름(23)과 저면비닐(13)이 열융착되는데, 이때 중앙부쪽은 융착면적이 좁게 형성되고, 양 측단부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융착면적이 넓게 형성되게 하여 융착면이 끝나는 경계부의 형상이 반원형상을 이루게 한다.
상기 저면비닐(13)과 저면필름(23)은 절첩되는 것으로서 포장대에 내용물을 충전하지 않을 때에는 납작하게 접혀져 있다가 내용물을 충전하게 되면 반구형상으로 하부로 튀어나오면서 볼록하게 펼쳐진다.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40)는 전면비닐(11)과 전면필름(21)을 융착하고, 후면비닐(12)와 후면필름(22)을 융착하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내용물을 충전할 때 내용물이 포장대(10)와 속포장대(20)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포장대(10)와 속포장대(20) 사이에 공간층(30)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포장대(10)와 속포장대(20) 사이에 밀폐된 공간층(30)이 형성됨으로써, 포장대에 충전된 내용물에 외부의 온도가 적접적으로 전해지지 않아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개구부(40)를 통하여 내용물을 충전시킨 후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를 열융착하여 포장대를 완전 밀봉된 상태로 시중에 유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장대의 내부에 속포장대를 갖도록 하고, 포장대와 속포장대 사이, 즉 전면비닐과 사이와 후면비닐과 후면필름의 사이 및 저면비닐과 저면필름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층을 형성함으로써 첫째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속포장대를 전체적으로 보호하여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로 포장대와 속포장대와의 사이에 형성된 밀폐된 공간층에 의해서 외부의 온도가 내용물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아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로 포장대가 제작 공정에서의 오염이 있더라도 속포장대에 의해 내용물(특히 분말스프 또는 약제 등)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다.

Claims (1)

  1. 경질의 비닐재인 전면비닐(11)과 후면비닐(12), 절첩된 저면비닐(13)을 포함하는 포장대(10); 상기 포장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연질의 필름재인 전면필름(21)과 후면필름(22) 및 절첩된 저면필름(23)을 포함하는 속포장대(20);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면비닐(11)과 후면비닐(12)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전면필름(21)과 후면필름(22)의 가장자리 부분과 열융착되며, 상기 포장대(10)의 하부에서 중앙부 쪽의 융착면적은 좁고 양측단부쪽으로 가까워질수록 융착면적이 넓게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비닐(11)과 전면필름(21) 및 저면비닐(13)과 저면필름(23)이 포개어져 열융착되고, 상기 후면비닐(12)과 후면피름(22)및 저면비닐(13)과 저면필름(23)이 포개어져 열융착되며, 상기 전면비닐(11)과 전면필름(21) 사이와 후면비닐(12)와 후면필름(22) 사이 및 저면비닐(13)과 저면필름(23)의 사이에 밀폐된 공간층(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포장대.
KR2019950007918U 1997-04-16 1997-04-16 스텐드형 포장대 KR0115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918U KR0115948Y1 (ko) 1997-04-16 1997-04-16 스텐드형 포장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7918U KR0115948Y1 (ko) 1997-04-16 1997-04-16 스텐드형 포장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15948Y1 true KR0115948Y1 (ko) 1998-04-20
KR19980063414U KR19980063414U (ko) 1998-11-16

Family

ID=1949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7918U KR0115948Y1 (ko) 1997-04-16 1997-04-16 스텐드형 포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9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414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3358B1 (en) Container formed of lamination sheet
US4205750A (en) Double-seal container and method
US5429263A (en) Package system
KR20020092409A (ko) 다중기능 뚜껑이 있는 소모성 용기
KR100563798B1 (ko) 자체지지백및자체지지패키지및이들의제조방법
JP2009292527A (ja) 液状物充填包装体の梱包方法
KR0115948Y1 (ko) 스텐드형 포장대
KR0115947Y1 (ko) 스텐드형 종이포장대
US707693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 with inherently stable base
EP0681970A1 (en) Self-standing pouch, and assembly thereof
JP4154778B2 (ja) 包装袋
US4877145A (en) Ribbon wrapped intrinsic opening plastic package
JP2001031119A (ja) 注出部付き密閉包装体
JPH0741010A (ja) スタンドパウチ
JP5380716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JP3018674U (ja) 減容容器
JP2005067630A (ja) パウチ容器
KR101218350B1 (ko) 누설되지 아니하는 유출부를 구비한 밀폐 비닐봉지
JP3268537B2 (ja) 流動物のスタンドパック形容器詰め
JPH09267849A (ja) 非開放形スパウト付軟包材容器
JPH0826302A (ja) 注出部付き包装袋及び該包装袋による密閉包装体
JPS607343Y2 (ja) 複合包装容器
JP2003128083A (ja) パウチ容器
JPH08318971A (ja) 液状物質用の包装容器
JPH1159692A (ja) 注出口部付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