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601Y1 -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601Y1
KR0115601Y1 KR2019950003452U KR19950003452U KR0115601Y1 KR 0115601 Y1 KR0115601 Y1 KR 0115601Y1 KR 2019950003452 U KR2019950003452 U KR 2019950003452U KR 19950003452 U KR19950003452 U KR 19950003452U KR 0115601 Y1 KR0115601 Y1 KR 0115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hinge
fixing pin
ho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814U (ko
Inventor
박상진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03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601Y1/ko
Publication of KR960028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spare tire)가 취부되는 캐리어(carrier)에 관한 것으로서, 캐리어의 열린상태 유지가 용이하고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후면부에 취부되는 힌지(10)에 캐리어(20)의 회동부가 힌지핀(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11)의 일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이동 가능하게 일정길이 돌출되는 고정핀(30)이 스프링(41)에 탄지되며, 상기 스프링이 홀더(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캐리어(20)를 회전시키면 돌출된 고정핀(30)이 캐리어(20)의 외주면에 밀려 스프링(41)을 압축하며 하부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상부로 돌출되어, 열린 캐리어(20)의 측부가 고정핀(3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이동이 제한되게 되며,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캐리어(20)를 회동시키면, 돌출된 고정핀(30)의 상단부를 압축하며 닫히도록 하는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구조이다.

Description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제1도는 지프형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캐리어의 힌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힌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힌지 11:힌지핀
20:캐리어 30:고정핀
31:스톱퍼 40:홀더
41: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spare tire)가 취부되는 캐리어(carri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에 탄지되는 고정핀이 힌지(hinge)에 장치되어, 캐리어의 회동이 고정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프(jeep)형 자동차는, 차량의 후면부에 캐리어에 의해 스페어타이어가 취부되는데, 종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설치구조는, 제 1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후면부 일측 상부와 하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되는 힌지(10)의 선단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선단부에 각기 힌지구멍(11')과 고정구멍(12)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구멍(11')으로 힌지핀(11)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파이프가 소정 간격을 두고 만곡되게 연장되어 연장된 일측 상하단부에 회동부(22)가 형성된 캐리어(20)가 상부와 하부의 힌지(10)에 각기 회동부(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캐리어(20)의 타측 전면에 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취부되는 브라켓(21)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설치구조는, 브라켓(21)에 착탈 가능하게 타이어가 취부되고, 타이어가 취부되는 캐리어(20)가 힌지(10)에 지지되어 힌지핀(1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설치구조는, 별도의 고정핀(30)을 보관하도록 하여, 도어를 열기 위해 캐리어(20)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힌지(10)에 형성된 고정구멍(12)에 고정핀(30)을 삽입시켜 캐리어(20)가 리턴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설치구조는, 고정핀(30)의 관리가 번거롭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고정핀(30)을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후면도어 개폐시나 캐리어 조작시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힌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고정핀이 힌지 저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여, 캐리어가 상기 고정핀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어 열린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캐리어의 설치구조는, 제 1 도와 제 3 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후면부 일측 상부와 하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취부되는 힌지(10)의 선단부가 돌출되고, 돌출된 선단부에 각기 힌지구멍(11')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구멍(11')으로 힌지핀(11)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파이프가 소정 간격을 두고 만곡되게 연장되어 연장된 일측 상하단부에 회동부(22)가 형성된 캐리어(20)가 상부와 하부의 힌지(10)에 각기 회동부(2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캐리어(20)의 타측 전면에 타이어가 취부되는 브라켓(21)이 설치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단, 본 고안은 힌지핀(11)이 관통되는 힌지(10)의 일측에 관통구멍(13)이 형성되고, 힌지(10)의 저면에 홀더(40)가 취부되어, 홀더(40)의 내부에 스프링(41)이 장착되고, 스프링(41)에 탄지되는 고정핀(30)이 힌지(10)의 관통구멍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한 고정핀(30)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관통구멍(13)의 직경보다 큰 크기로 된 스톱퍼(31)가 형성되어, 이 스톱퍼(31)가 힌지(10)의 저면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므로, 힌지(10) 상부로 돌출되는 고정핀(30) 상단부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고정핀(30)의 상단부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20)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기한 캐리어(20)에 의해 상기한 고정핀(30)이 상하로 작동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고정핀(30)은 하단부가 홀더(40)의 하부로 관통되게 연장되도록 하여, 하부로 돌출된 하단부를 사용자가 잡아당겨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할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캐리어(20)를 회전시키면 돌출된 고정핀(30)이 캐리어(20)의 외주면에 밀려 스프링(41)을 압축하며 하부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상부로 돌출되어, 열린 캐리어(20)의 측부가 고정핀(3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이동이 제한되게 되며, 사용자가 일정이상의 힘으로 캐리어(20)를 회동시키면, 돌출된 고정핀(30)의 상단부를 압축하며 닫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힌지(10)에 탄력적으로 장치되는 고정핀(30)에 의해 캐리어(20)의 회동이 제한되어,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회동시키지 않는 한 열린 캐리어(20)가 리턴되지 않고 열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므로, 종래 고정핀을 고정구멍에 끼워서 고정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편리하고, 보관상의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캐리어의 회동을 제어하는 고정핀이 힌지에 탄력적으로 장치되어, 캐리어의 열린상태가 상기 고정핀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후면부에 취부되는 힌지(10)에 캐리어(20)의 회동부(22)가 힌지핀(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10)에는 관통구멍(13)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13)에는 상하 이동되도록 고정핀(30)을 힌지(10)의 저면부에서 스프링(41)에 의해 탄력지게 결합하되, 상기한 고정핀(30)의 상단 끝부분의 형상은 반구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반구형상에 접촉되는 캐리어(20)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고정핀(30)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관통구멍(13)의 직경 보다 큰 크기로 된 스톱퍼(31)를 형성하여 상기한 고정핀(30)이 상기한 관통구멍(13)의 상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한편, 상기한 고정핀(30)의 탄력지지를 가능케하고, 상기한 스프링(41)은 힌지(10)의 저면에 홀더(40)가 취부되어 이 홀더(40)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구조.
KR2019950003452U 1995-02-28 1995-02-28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KR0115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452U KR0115601Y1 (ko) 1995-02-28 1995-02-28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452U KR0115601Y1 (ko) 1995-02-28 1995-02-28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814U KR960028814U (ko) 1996-09-17
KR0115601Y1 true KR0115601Y1 (ko) 1998-04-23

Family

ID=1940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452U KR0115601Y1 (ko) 1995-02-28 1995-02-28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6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278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연합축산 청소작업이 쉽고 허실이 없는 자돈용 대용유 급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278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연합축산 청소작업이 쉽고 허실이 없는 자돈용 대용유 급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814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3100A (en) Cellular phone holder
US6948214B2 (en) Removable door check device
KR100468128B1 (ko) 용기 홀더
KR0115601Y1 (ko)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고정장치
KR100448725B1 (ko) 용기 홀더
KR0111968Y1 (ko)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힌지구조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KR100376318B1 (ko) 휴대형 이동단말기의 자동개폐 장치
JP3584780B2 (ja) 昇降収納装置
JP3714067B2 (ja) 上開き扉付きケースの扉開閉装置
KR0143110B1 (ko) 자동차의 컵홀더구조
CN220955160U (zh) 用于车辆的后备箱盖的铰链结构
KR0117356Y1 (ko) 자동차용 팔걸이 덮개의 힌지부 구조
JPH0755929Y2 (ja) 外れ止め付きフック
KR100513224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JP2002031122A (ja) 茄子環、及び茄子環付き吊り具
KR100440860B1 (ko) 자동차의 콘솔
JPH1095263A (ja) 乗り物用カップホルダー
KR200158216Y1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100507535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 높이조절장치
KR200325056Y1 (ko) 수납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JP2553921Y2 (ja) 液体容器の吊下げ装置
JP2594165Y2 (ja) カップホルダ機構付き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2970631A (en) Brief case spreader
KR0143835B1 (ko) 양방향 개폐식 햇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