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022Y1 -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022Y1
KR0115022Y1 KR2019910007058U KR910007058U KR0115022Y1 KR 0115022 Y1 KR0115022 Y1 KR 0115022Y1 KR 2019910007058 U KR2019910007058 U KR 2019910007058U KR 910007058 U KR910007058 U KR 910007058U KR 0115022 Y1 KR0115022 Y1 KR 0115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shaft
bearing
sub
rotary compressor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670U (ko
Inventor
최송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10007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022Y1/ko
Publication of KR920021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6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28/2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50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타리 압축기에서 편심축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자중 및 모터의 추력(推力)으로 인해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편심축(2)에 메인베어링(4) 및 서브베어링(5)과 틈새를 가지도록 편심부(2a)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베어링의 하부 내측에는 편심축을 지지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6)을 설치하며, 상기 서브베어링(5)의 하단에는 스러스트 베어링(6)을 지지하도록 단턱부(5a)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이다.

Description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로타리 압축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로타리 압축기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 편심축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울러 2 : 편심축
2a : 편심부 3 : 실린더
5 : 서브베어링 5a : 단턱부
6 : 스러스트 베어링
본 고안은 로타리 압축기에서 편심축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자중 및 모터의 추력(推力)으로 인해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타리 압축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구부를 구동하기 위해 본체(1)내에 고정자(12)와 회전자(13)로 구성된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자(13)에는 편심축(14)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편심축(14)의 바깥둘레에 설치된 로울러(15)의 외경면과 메인베어링(16), 그리고 서브베어링(17) 및 실린더(18)의 내경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압축실이 된다.
또한, 본체(11) 외부로부터 압축될 냉매가스가 흡입되는 통로인 흡입파이프(19)가 실린더(18) 내의 공간인 압축실과 상호 통하여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본체(11)의 상부에는 압축된 냉매가스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파이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자(13)와 로울러(15)가 고정된 편심축(14)에는 메인베어링(16)과 로울러(15), 그리고 서브레어링(17)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윤활통로(2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편심축(14)의 하방에는 본체(11)내에 봉입되어 있는 윤활유의 압력을 상승시켜 퍼올리기 위한 급유프로펠러(2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에 의해 편심축(14)이 회전함에 따라 급유프로펠러(21)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윤활유가 윤활통로(20)를 통해 메인베어링(16)과 로울러(15) 및 서브베어링(17)에 공급되어 편심축(14)의 회전시에 마찰저항을 줄이게 된다.
이러한 로타리 압축기에서 종래에는 편심축(14)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자중 및 모터의 추력으로 인해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편심축(14)에 로울러(15)의 내면과 접하는 외경이 큰 편심부(14a)를 구비하여 편심축(14)을 실린더(18)의 상하방에 설치된 메인베어링(16)과 서브베어링(17) 사이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면 편심축(14)의 외경이 작은 편심부(14b)가 서브베어링(17)의 상면에 접속되어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편심축(14) 지지장치는 외경이 작은 편심부(14b)가 서브베어링(17)의 상면과 접속되어 회전하면서 자중 및 모터의 추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외경이 작은 편심부(14b)의 저면크기 및 가공정도와 면조도(面組度), 그리고 서브베어링(17)의 면조도 및 윤활유의 종류 등에 따라 윤활상태가 결정되는데, 그 상태가 거의 불완전하여 완전한 윤활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편심축(14)의 회전시에 마찰저항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로타리 압축기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의 용량을 크게 하여야 하므로 압축기가 대형화됨은 물론 압축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편심축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편심축의 회전시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편심축의 하단을 평면으로 하고 서브베어일에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턱부를 형성하여 편심축과 서브베어링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을 설치함에 따라 편심축의 축방향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로타리 압축기의 종단면도로서, 편심축(2)에 로울러(1)의 내경면과 접속하는 편심부(2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편심부의 높이는 로울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축(2)을 실린더(3)에 설치하면 편심부(2a)의 상면과 메인베어링(4) 사이, 그리고 편심부의 하면과 서브베어링(5) 사이에는 일정간격(t)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t)은 편심부(2a) 의 상,하면이 메인베어링(4) 및 서브베어링(5)에 직접 접속하여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간격의 크기는 크게 제한받지 않으므로 적절한 칫수로 설계된다.
상기 편심축(2)의 하단은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서브베어링(5)에는 단턱부(5a)가 형성되어 있고 편심축의 하단면과 단턱부 사이에는 스러스터 베어링(st Bearling)(6)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축(2)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베어링(6)이 지지하여 주게 되며, 스러스트 베어링 대신 로울러를 설치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터부에 의해 편심축(2)이 회전함에 따라 로울러(1)가 실린더(3)의 내주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냉매를 압축, 토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편심축(2)의 하단과 단턱부(5a)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6)이 설치되어 있어 편심축(2)의 하중 및 모터의 추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스러스트 베어린(6)에 작용하게 되므로 스러스트 베어링의 구름운동에 의해 마찰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에 따르면 편심부의 가공시 편심부의 상,하면이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에 접속되지 않게만 하여주면 되므로 정밀한 다단가공이 필요없게 되고, 따라서 편심축의 가공작업이 용이해져 생산성이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마찰저항의 감소에 따라 모터의 구동부하가 감소되어 압축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본체 내에 장착된 편심축(2)의 바깥둘레에 로울러(1)를 설치하고 상기 편심축(2)에 메인베어링(4)과 서브베어링(5)를 설치하여 상기 각 베어링이 상기 로울러에 접속되도록 한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2)에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과 틈새를 가지도록 편심부(2a)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베어링의 하부 내측에는 편심축을 지지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6)을 설치하며, 상기 서브베어링의 하단에는 스러스트베어링을 지지하도록 단턱부(5a)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KR2019910007058U 1991-05-16 1991-05-16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KR0115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058U KR0115022Y1 (ko) 1991-05-16 1991-05-16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058U KR0115022Y1 (ko) 1991-05-16 1991-05-16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670U KR920021670U (ko) 1992-12-19
KR0115022Y1 true KR0115022Y1 (ko) 1998-04-18

Family

ID=1931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058U KR0115022Y1 (ko) 1991-05-16 1991-05-16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0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670U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040B1 (ko) 스크롤 압축기
US5098265A (en) Oil-free scroll fluid machine with projecting orbiting bearing boss
US5127809A (en) Scroll compressor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orbiting scroll
JP362450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6024548A (en) Motor bearing lubrication in rotary compressors
US5667372A (en) Rolling piston rotary compressor formed with lubrication grooves
JPH01159480A (ja) スクロール式機械
US4473343A (en) Bearing device for scroll-type compressor
JPH0372840B2 (ko)
US5104302A (en) Scroll compressor including drive pin and roller assembly having sliding wedge member
KR0115022Y1 (ko) 로타리 압축기의 편심축 지지장치
JP3124437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3290224B2 (ja) 流体圧縮機
US20220290666A1 (en) Scroll compressor provided with an hydrostatic lower bearing arrangement
JPH0743877U (ja) 密閉形圧縮機及びその潤滑油供給装置
JPH0831995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5022835A (en) Hermetic compressor with crankshaft having eccentric piston portion with hydrodynamic wedge
JPH07233790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の油膜潤滑軸受装置
JPS62126203A (ja) スクロ−ル流体機械
KR0177955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지지구조
US5368456A (en) Fluid compressor with bearing means disposed inside a rotary rod
KR014610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급유장치
KR100763149B1 (ko) 로터리 압축기
JPS63192983A (ja) スクロ−ル圧縮機
JPH05180183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