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837Y1 -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지지홀더 - Google Patents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지지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837Y1
KR0114837Y1 KR2019950026831U KR19950026831U KR0114837Y1 KR 0114837 Y1 KR0114837 Y1 KR 0114837Y1 KR 2019950026831 U KR2019950026831 U KR 2019950026831U KR 19950026831 U KR19950026831 U KR 19950026831U KR 0114837 Y1 KR0114837 Y1 KR 0114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der
hood
support hold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490U (ko
Inventor
주용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26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837Y1/ko
Publication of KR970013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4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지지홀더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후드 받침대 지지홀더의 아래부분을 이루는 관공상의 막힌공간을 한쪽에서 열리게 하여 공간에 위치하는 케이블을 집어넣거나, 빼내기가 가능하게 한 후드받침대 지지홀더를 제공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지지홀더(2)는 한쪽에 고정구(24)를 갖는 부분을 각각 분리시켜 두 개의 지지수단(22)(23)을 형성하고, 그중 하나의 지지수단(22)의 꺾임부분에 힌지(21)를 형성하여야 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후드 받침구 조립시나 교체시에 회동지지각(3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부 내측 공간에 케이블을 자유롭게 집어넣게 되어 지지홀더 교체시 일일이 지지홀더 전체를 분리하지 않아도 됨.

Description

후드 받침대(Hood Support)지지홀더
제1도는 후드를 열은 상태에서 브라켓이 노출된 자동차의 개략사시도.
제2도는 종래 후드받침대의 지지홀더 사시도.
제3도는 종래 후드지지대의 지지홀더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지지홀더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지지홀더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홀더 2 : 몸체
10 : 지지홈 21 : 힌지
22 : 회동 지지각 23 : 고정 지지각
24 : 고정구 25 : 케이블 공간
본 고안은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 지지홀더(Holder)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한쪽단은 힌지를 형성하고 타단은 힌지를 받치는 받침고리를 형성하여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이 받침대를 접어 안착시키기 위한 지지홀더에 관한 것이다.
후드 받침대는 엔진실을 덮고 있는 후드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한쪽단은 힌지를 형성하고 타단은 후드를 받치는 받침고리를 형성하여 자동차 전방의 후론트 판넬 안쪽의 내측상부에 설치되어 후드의 개방시 뉘어진 받침대를 세워 후드저면의 걸림턱을 받쳐지게 하여 후드를 받치도록 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와같은 후드 받침대는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후드의 저면 즉 후론트 판넬의 안쪽에서 힌지를 축으로 받침고리를 형성한 타단을 접은 상태로 지지홀더에 안착하게 되며, 첨부도면 제3도와 같은 후드받침대 지지홀더가 사용되어 왔다.
첨부도면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후론트 바디에 고정되는 지지부(2)를 가지면서 일체로 후드 받침대 지지홈(10)을 형성한 형태로서 지지부(2) 내측의 막힌 공간내부에 후드와 작용하는 케이블(3)을 위치시켜 왔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자동차 후론트 바디 상단부 파손이나 받침구 손상 등)으로 받침대 지지홀더(1)을 교환해야 하는 경우 일일이 지지홀더(1)의 지지부(2)의 막힌 공간내에 위치한 케이블(3)을 모두 이탈시킨 뒤 지지홀더(1)를 교체하여 왔다.
따라서, 지지홀더 교체시에 케이블 전체를 분리시켜야 하는 조립공정상의 단점이 있어 이를 케이블의 분리없이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되어 있다.
본 고안은 후드 받침대의 지지홀더의 지지부의 막힌 내부 구조에 위치하는 케이블이 집어넣고 빼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지홀더 지지부의 구조를 개선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드 받침대의 지지홀더 고정구를 일체로 갖는 지지부를 회동가능한 지지각과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고정각으로 분리되게 형성하고, 이 지지각은 편방향회동하는 힌지를 형성하되, 회동지지각 및 고정지지각에 고정구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지지부의 막힌 공간내에 위치코자 하는 모든 케이블을 자유롭게 집어 넣고 빼낼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종래 받침구 교체시나 조립시와 같이 일일이 케이블을 포함하는 분해, 조립방식을 취하지 않아도 지지홀더 조립전이나, 조립후 자유롭게 케이블을 설치함이 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제4도는 본 고안 지지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지지홀더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로서 이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지지홀더(1)는 전체적으로 받침대 지지홈(2)과 지지부(2)로 구분되며, 지지부(2)는 힌지(21)를 형성한 회동 지지각(22)과 고정지지각(23)으로 이루어져 회동지지각(22)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지지부(2) 내측 공간(25)이 개폐되며, 각각의 지지각(22)(23)은 고정구(24)를 형성하여서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은 케이블이고, 10은 후드 받침대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후론트 판넬의 일측에 지지홀더(1)의 회동 지지각(22)을 후론트 판넬 벽면에 1차 고정시킨 뒤 지지홀더(1) 전체를 약간 회동시켜 공간(25)에 진입할 수 있는 입구를 개방한 뒤 케이블(3)들을 공간(25)내에 집어넣게 되며 이후 고정지지각(23)을 후론트 판넬 내측의 일정위치에 고정시켜 조립을 끝내게 된다.
반대로 지지홀더(1)내부의 케이블을 꺼낼때에는 회동지지각(22)은 그대로 두고 지지홀더(1) 전체를 약간 회동시키면 고정 지지각(23)과 회동지지각(22) 사이에 약간의 개구로가 형성되어 공간(25)으로부터 케이블(3)을 꺼낼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 지지홀더(1)는 케이블(3) 교체시나 지지홀더(1) 교체시에 일일이 케이블 전 라인을 분리시킴이 없이 간단히 지지홀더(1)의 회동 지지각(22)을 중심으로 고정 지지각(23)을 회동시켜 케이블(3)를 자유롭게 지지부(2)내의 공간(25)에 집어넣거나 빼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본 고안은 지지부(2)의 모든 꺾임부분에서 힌지(21)를 실시하더라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후드 받침대가 안착되는 전,후부 및 상부 개방의 지지홈(10)과, 이 지지홈(10)의 하방으로 일체로 연결된 삼각통형의 앞, 뒤 개방의 지지홀더(2)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지지홀더(2)는 한쪽에 고정구(24)를 갖는 부분을 각각 분리시켜 두 개의 지지수단(22)(23)을 형성하고, 상기 두 개의 지지수단(22)(23)에 각각 형성된 고정구(24)중 그중 하나의 지지수단(22) 고정구(24)를 후론트 판넬에 고정하고 힌지(21)를 회동시킴으로써 지지홀더(2) 전체가 회동 가능하게 하여 공간(25)의 한쪽이 열리게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받침대 지지홀더.
KR2019950026831U 1995-09-29 1995-09-29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지지홀더 KR0114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831U KR0114837Y1 (ko) 1995-09-29 1995-09-29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지지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831U KR0114837Y1 (ko) 1995-09-29 1995-09-29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지지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490U KR970013490U (ko) 1997-04-25
KR0114837Y1 true KR0114837Y1 (ko) 1998-04-20

Family

ID=1942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831U KR0114837Y1 (ko) 1995-09-29 1995-09-29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지지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8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490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4501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установки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на вертикальном конструктивном элементе, образующем переднюю техническую сторону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EP1178894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radiateur sur un support d'un vehicule
KR0114837Y1 (ko) 후드 받침대(Hood Supporter)지지홀더
US6089735A (en) Easy-exchangeable head lamp for automobiles
GB2300222A (en) Ball joint
US7147334B2 (en) Vehicle mirro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EP0635235B1 (en) Hinge assembly for toilet seat fixing
KR0116397Y1 (ko) 후드 받침대 지지홀더
US20020027185A1 (en) Suspension bracket for suspension fan
KR0139089Y1 (ko) 자동차용 쿼드런트 내부 뚜껑 체결구조
JPH0911541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用カバーの保持構造
JPH09264562A (ja) 空気調和機のグリル着脱装置
JPH0522447Y2 (ko)
JP2849778B2 (ja) ストップランプカバーの取付構造
JP3766258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601494Y2 (ja) ネジ固定型ホルダー
USD366356S (en) Automobile accessory
KR0150318B1 (ko) 연료필러 도어의 연료캡 홀더
US4037293A (en) Hinge and panel mounting means
JPH0518457Y2 (ko)
KR100402465B1 (ko) 냉장고의 힌지장치
JPH06199153A (ja) モジュール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仮保持構造
JPS6240811Y2 (ko)
CN115649063A (zh) 一种遮物帘及车辆
JP3734340B2 (ja) 自動車用灰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