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666Y1 -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666Y1
KR0114666Y1 KR2019940014589U KR19940014589U KR0114666Y1 KR 0114666 Y1 KR0114666 Y1 KR 0114666Y1 KR 2019940014589 U KR2019940014589 U KR 2019940014589U KR 19940014589 U KR19940014589 U KR 19940014589U KR 0114666 Y1 KR0114666 Y1 KR 0114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electromagnetic waves
ultra
monitor
copp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448U (ko
Inventor
박태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14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666Y1/ko
Publication of KR960003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6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4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니터의 프론트 마스크(10)와 브라운관(40) 사이에 설치되어 유해 전자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10)의 배면과 상기 브라운관(40)의 전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제(21)를 양측면에 부착하고, 외주 모서리에 다수개의 환형돌부(22)를 형성한 사각형상의 동테이프(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전자기파 제거장치인 바, 모니터의 브라운관에서 방출되는 극초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
제1도는 종래 모니터의 전면부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모니터의 전면부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동테이프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동테이프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전면부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전면부 결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마스크 20 : 동테이프
21 : 접착제 22 : 환형돌부
23 : 접지선 30 : 종이테이프
40 : 브라운관
본 고안은 전자기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 혹은 텔레비젼의 브라운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모니터의 전면 커버와 브라운관 표면에 각각 접착되는 동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브라운관에 대한 접착력을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혹은 텔레비젼의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유해 전자파가 인체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은 이미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유해 전자파는 모니터의 화면상에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전자총에서 전자빔을 발생시킬 때 유해 전자방사선이 방출되는데 이는 사람의 세포에 영향을 미쳐서 암 발생률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도 있으며, 이 보다는 심하지 않지만 장시간에 걸쳐 모니터 화면을 지속적으로 보게 되는 경우, 시력이 약화되거나 임산부의 경우는 기형아를 출산하게 되는 등의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의 화면에 이미지를 그려낼 때 전자와 자장에서는 극저주파(extra low frequency)와 초저주파(very low frequency)가 발생된다. 최근에 발표된 대부분의 보고서는 초저주파 방사선을 중심으로 실험을 한 것이다. 3,000Hz에서 30,000Hz범위의 초저주파 방사선은 최초 모니터나 텔레비젼 세트에 의해 반사되어 제거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브라운관은 30Hz에서 300Hz의 극저주파 방사선도 제거한다. 극 저주파 신호는 여러가지 실험실에서의 실험이나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인체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암 발생과 관련된 실험에서는 극저주파가 암세포를 유발하는데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극저주파가 대량 검출되는 고압전선 주위나 변전소 주위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암 발생률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모니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스웨덴에서는 모니터로부터 일정거리에서 주파수를 측정하여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자계 강도(magnetic fields) 및 정전계 강도(alternating fields) 등 여러 가지 측정 기준치가 일정한 수치를 넘지 못하도록 모니터 제작에 한계를 둔 MPR RULE I 이 처음으로 제정되어서 1990년 6월까지 적용되다가 이 MPR RULE I보다 규정이 좀더 엄격한 MPR RULE II 가 1991년 1월부터 새롭게 적용되어져 오게 되었으며, 지금까지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 MPR RULE Ⅱ 보다 유해 전자파의 방출을 엄격하고 까다롭게 제한하는 MPR RULE Ⅲ(일명 TCO)가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상기한 MPR RULE Ⅲ(TCO)의 기준은 자계 강도 및 정전계 강도 등에 있어서 MPR RULE Ⅱ보다 휠씬 엄격한 것으로서 조만간에 스웨덴 뿐만 아니라 전유럽 및 미국 등에서 채택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에서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유해 전자파 차단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유해전자파 차단판의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브라운관(3)으로부터 방출되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서 사각판체 형상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인 전자판 차단판(2)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전자판 차단판(2)은 모니터의 전면부를 이루고 있는 프론트 마스크(1)의 배면과 브라운관(3)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며, 전자파 차단판(2)의 양측면에는 브라운관(3)으로부터 흡수한 전자파를 배출하기 위해 접지선(2a)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모니터를 작동시키게 되면 브라운관(3)내의 배면에 설치된 전자총에 고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전자총에서 전자가 방출되고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가 상기 브라운관(3)의 형광면에 충돌되어 소정의 화면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때, 브라운관(3)의 형광면에 충돌되는 전자가 화면의 화상과 전혀 관계가 없는 잡음성분이 전자기파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유해 전자파들이 전면으로 방출되다가 전자파 차단판(2)에 흡수되어서 접지선(2)을 통해서 접지되는 것이다. 그런데, 브라운관(3)의 전면에는 일반적으로 매끄럽고 깨끗한 표면을 이루기 위해 코팅재가 도포되기 때문에 다른 부분과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또한, 상기 전자파 차단판(2) 역시 매끄러운 표면을 갖추고 있으므로 상기 전자파 차단판(2)이 프론트 마스크(1) 배면의 누름작용에 의해 브라운관(3)의 전면과 밀착되게 접촉된다 하더라도 브라운관(3)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 정도로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한다. 그리고, 모니터를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하다 보면 프론트 마스크(1)의 전면 혹은 기타 다른 부위를 통해서 먼지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데, 특히 정전기가 발생하는 브라운관(3)에는 먼지 및 이물질이 쉽게 유입됨으로써 상기 전자파 차단판(2)과 브라운관(3)의 접촉상태가 나빠져 유해전자파의 흡수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모니터의 프론트 마스크와 브라운관 사이에 설치되어 유해 전자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의 배면과 상기 브라운관의 전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제를 양측면에 부착하고, 외주 모서리에 다수개의 환형돌부를 형성한 사각형상의 동테이프를 구비한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를 제공하여서 동테이프가 브라운관의 전면과 밀착되게 접촉되도록 하므로써 브라운관에서 발생되는 유해 전자기파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키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하,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6도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론트 마스크(10)와 브라운관(40) 사이에 설치되어 유해 전자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접착제(21)가 양면에 도포된 사각형상의 동테이프(20)에 부착된 종이 테이프(30)를 모니터 조립시에 벗겨내고서 동테이프(20)를 상기 프론트 마스크(10)의 배면과 브라운관(40)의 전면에 접착제(21)의 접착력으로 부착되어지며, 상기한 동테이프(20)의 외주 모서리에는 다수개의 환형돌부(22)가 형성되어서 전자파의 흡수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동테이프(20)의 좌, 우 측면에는 접지선(23)이 연결되어서 동테이프(20)에서 흡수한 유해 전자파를 외부로 접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동테이프(20)는 유해 전자파의 흡수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브라운관(40) 표면과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얇은 박지형태일수록 좋으며, 동테이프(20)의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제(21)는 통상적으로 접착제에 많이 사용하는 재료를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환형돌부(22)의 형상, 크기 및 모양 등은 유해 전자파의 흡수능력을 고려해서 제작상에 방해를 받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형시켜서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동테이프(20)의 양측면에는 접착제(21)가 다른 부분에 접착되지 않도록 조립전에는 동테이프(20)의 크기와 완전히 동일한 통상의 종이테이프(30)가 양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모니터를 조립시키는 과정에서 한쪽면의 종이테이프(30)를 먼저 떼어내서 동테이프(20)를 프론트 마스크(10)의 배면에 부착시키고, 다시 동테이프(20)의 다른 쪽면의 종이테이프(30)를 떼어내고서 브라운관(40)의 전면에 동테이프(30)에 부착시킴으로써 동테이프(30)가 프론트 마스크(10)의 배면과 브라운관(40)의 전면 사이에 접착되어 설치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니터가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전원코드를 통해 모니터내로 전원을 인가시키면, 브라운관(40)의 전자총 각 전극에서 고압의 전압이 인가되면서 전자가 방사되어서 형광면에 부딪히고, 전자가 형광면에 부딪히는 순간 잡음성분인 극초 전자기파가 발생된다. 이때, 브라운관(40)의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동테이프(20)에서 극초 전자기파를 신속하게 흡수하여서 동테이프(20)의 양측면에 연결된 접지선(23)을 통해서 상기 전자기파가 접지된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보다 구리가 전기 전도성이 더욱 뛰어나기 때문에 종래의 알루미늄 전자파 차단판보다 본 고안에 따른 동테이프(20)가 전자기파의 흡수력이 뛰어나게 되는데, 특히 동테이프(20)가 브라운관(10) 표면에 접착되므로 흡수력은 종래보다 휠씬 뛰어나게 된다. 실제적으로 실험에 의해 조사해 본 바에 의하면, MPR RULE Ⅲ(TCO)의 정전계 강도의 기준은 초저주파(5-2000Hz의 값임)의 경우에 10v/m 이하를 만족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알루미늄 재질인 전자파 차단판을 사용한 경우에는 정전계강도가 18.32v/m 인데 비해, 본 고안 동테이프(20)를 사용하게 되면 정전계 강도가 11.95v/m 로서 대략 7v/m 정도가 감소된다. 즉, 이것은 TCO의 기준에 거의 근접하는 값으로서 다른 부분에서 조금만 더 전자기파를 제거하게 되면 TCO의 기준을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극초 전자기파의 값을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준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물론 초저주파(5-2000Hz) 뿐만 아니라 극저주파(2-400kHz)의 경우에도 정전계 강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준다고 실험에 의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알루미늄 재질인 전자파 차단판(2)의 경우 브라운관(3)의 전면에 밀접하게 접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재질 자체가 전자기파 흡수력이 떨어지는 것과는 다르게 본 고안의 동테이프(20)는 재질이 구리이기 때문에 종래의 알루미늄 재질인 전자파 차단판보다 전자기파 흡수력이 재질의 측면에서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동테이프(20)가 박지형태로 접착제(21)에 의해 브라운관(40)의 전면에 밀착되게 접착되므로 극초 전자기파의 흡수력이 뛰어남으로써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유해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제거시키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모니터의 프론트 마스크(10)와 브라운관(40) 사이에 설치되어 유해 전자파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마스크(10)의 배면과 상기 브라운관(40)의 전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제(21)를 양측면에 부착하고, 외주 모서리에 다수개의 환형돌부(22)를 형성한 사각형상의 동테이프(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초전자기파 제거장치.
KR2019940014589U 1994-06-22 1994-06-22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 KR0114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89U KR0114666Y1 (ko) 1994-06-22 1994-06-22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89U KR0114666Y1 (ko) 1994-06-22 1994-06-22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448U KR960003448U (ko) 1996-01-22
KR0114666Y1 true KR0114666Y1 (ko) 1998-04-16

Family

ID=1938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589U KR0114666Y1 (ko) 1994-06-22 1994-06-22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6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964B1 (ko) * 1998-03-13 2002-08-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연결포트를통한방출되는전자파를차단한노트북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448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007B1 (ko)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298003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JP3351393B2 (ja) Emiシールドフィルタ及びemiシールドフィルタを有する表示装置
US5841227A (en) Radiation shield with opaque and transparent portion
KR0114666Y1 (ko) 극초 전자기파 제거장치
CA2038281C (en) Crt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reducing means
US20090251390A1 (en) Plasma display device
US5793494A (en) CRT display device
KR970003234B1 (ko) 음극선관장치
KR970077044A (ko) 영상표시기기의 전면 전계 복사 노이즈 차단 장치
US6456000B1 (en) Cathode ray tube with ITO layer and conductive ground strip
KR960011770B1 (ko) 전자파 차폐용 도전층을 갖는 음극선관
JPH04249036A (ja) ブラウン管のフェース表面の電磁シールド構造
KR200214417Y1 (ko) 음극선관의편향요크고정용쐐기
KR200179593Y1 (ko) 음극선관의 누설전자계 차폐장치
KR0155098B1 (ko) 편향요크의 전자기파 제거장치
KR200146311Y1 (ko)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장치
KR0138129Y1 (ko)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장치
KR100451583B1 (ko) 영상표시기기의전자파차단용안테나및그제조방법
JP2515738B2 (ja) 陰極線管を用いた表示装置
JPH09219161A (ja) 陰極線管装置
JPH0229756Y2 (ko)
JPS62193039A (ja) 陰極線管遮蔽装置
JP2744698B2 (ja) 陰極線管
JPS6192082A (ja) 陰極線管の電磁遮へい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