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607Y1 - 자동차용 맵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맵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607Y1
KR0114607Y1 KR2019940009897U KR19940009897U KR0114607Y1 KR 0114607 Y1 KR0114607 Y1 KR 0114607Y1 KR 2019940009897 U KR2019940009897 U KR 2019940009897U KR 19940009897 U KR19940009897 U KR 19940009897U KR 0114607 Y1 KR0114607 Y1 KR 0114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lamp
light bulb
switch
map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852U (ko
Inventor
남명진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09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607Y1/ko
Publication of KR950032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6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자동차용 맵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램프하우징의 중심부에 하나의 전구를 설치하고 그 양편으로 운전석과 조수석을 각각 차별하여 비출 수 있도록 조사용렌즈부를 각각 설치하며 전구와 각 렌즈부 사이에는 각각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는 차단판을 설치함으로써, 스위치의 온조작에 의해 전구가 전등되고 이와 동시에 차단판이 밀려나면서 렌즈부를 오픈시켜 빛을 비출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맵램프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맵램프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맵램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맵램프의 구성도면으로서,
제2a도는 맵램프를 밑에서 본 도면이고,
제2b도는 a도에서의 D-D선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구 11 : 렌즈부
11-1 : 상부렌즈 12 : 램프하우징
13 : 스위치 14 : 차단판
14-1: 구멍 15 : 중간연결부재
16 : 가이드레일 16-1 : 걸림턱
본 고안의 자동차용 맵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전구만을 사용하여 운전석과 조수석을 모두 선택적으로 비출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맵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맵램프는 운전석의 우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탑승자가 편리하게 도로안내 책자 등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맵램프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과 조수석을 각각 비출 수 있도록 2개의 전구(10)와 이에 따른 각각의 스위치(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맵램프는 2개의 전구(10)를 각각 별도로 장착함에 따라 그 내부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을 갖고 있었으며, 제품 생산원가측면이나 소형화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램프하우징의 중심부에 하나의 전구를 설치하고 그 양편으로 운전석과 조수석을 각각 차별하여 비출 수 있도록 조사용 렌즈부를 각각 설치하며 전구와 각 렌즈부 사이에는 각각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는 차단판을 설치하므로써, 스위치의 온조작에 의해 전구가 점등되고 이와 동시에 차단판이 밀려나면서 렌즈부를 오픈시켜 빛을 비출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맵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구(10)와 양방향을 갖는 2개의 렌즈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램프하우징(12)과, 램프하우징(12)의 전면부에 양측으로 각각 장착되어 있는 스위치(13)로 구성된 자동차용 맵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구(10)는 램프하우징(12)의 중심부에 1개만이 설치되고, 이 전구(10)와 상기 렌즈부(11)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차단판(14)이 각각 설치되며, 이 차단판(14)과 상기 스위치(13)는 중간연결부재(15)를 매개로하여 상호 연계결속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중간단열부재(15)는 2방향 운동경로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의 일정한 강성을 갖추고 있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14)은 램프하우징(12)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구 (10)와 이 전구(10)에서부터 비추고자 하는 위치와의 경사각도에 맞게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11)의 바로 윗쪽에 설치되고, 차단판(14)의 중심부에서 약간 위쪽으로 치우친위치에는 전구(10)의 빛이 관통될 수 있는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그 하단부는 상기 중간연결부재(15)와 결속되어 있는 이 중간연결부재(15)를 통한 당기고 미는 힘에 의해 상하 방향 예컨대, 일정한 결사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상기 차단판(14)은 이 차단판(14)의 윗면쪽과 아랫면쪽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6A)에 의해 항상 일정한 이동경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차단판(14)의 이동 행정은 상기 렌즈부(11)의 상부렌즈단(11-1)을 완전히 개방시키거나 차단하기에 충분한 행정 즉, 상기 스위치(13)의 온·오프 행정과 동일한 행정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연결부재(15)의 양측선단부는 상하결사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차단판(14)과 수평 직선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스위치(13)에 각각 결속되어 있어서 두방향의 운동을 동시에 해야되므로, 자체적으로 쉽게 굽혀 질 수 있는 가요성 부재 예컨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같은 중간연결부재(15)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의 가이드레일(16B)은 상술한 가이드레일(16A)의 직선형상과는 달리 중간연결부재(15)가 두 방향의 이동경로를 가질 수 있도록 라운드(ROUND)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중간연결부재(15)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단판(14)과 중간연결부재(15)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6A, 16B)은 램프하우징(12)의 폭방향(예컨대, 첨부도면 제2도의 (a)를 참고하여 볼 때 길이가 짧은쪽인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는 양측의 하우징 벽면에서부터 연장형성되어 그 지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각각의 가이드레일(16A,16B)의 안쪽면에는 차단판 (14)과 중간연결부재(15)의 양측단면과 인접되도록 걸림턱(16A-1, 16B-1)이 형성되어 있어서, 차단판(14) 및 중간연결부재(15)의 좌우 유동을 방지해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제2도의 (b)와 같은 상태는 맵램프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여기서의 상기 차단판(14)은 상기 렌즈부(11)의 상부렌즈단(11-1)과 전구 (10) 사이를 차단하고 있게 된다. 물론, 이때의 상기 전구(10)는 소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램프하우징(12)의 전면부에 노출되어 있는 스위치 (13) 예컨대, 운전석쪽이나 조수석쪽의 비추고자 하는 쪽의 스위치(13)를 선택하여 일방향으로 밀면 전원으로부터 전구(10)와 접점이 형성되면서 즉, 스위치(13)가 갖는 동판(17A)에 의해 접점동판(17B)과 비접점동판(17C)이 연결되면서 전선(18)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전구(10)가 점등되고 이와 동시에 전구(10)와 렌즈부(11)를 막고 있었던 차단판(14)도 당겨져 내려와서 이 차단판(14)의 구멍(14-1)과 렌즈부(11)의 상부렌즈(11-1)가 연통되어 렌즈부(11)를 통한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상대편의 렌즈부(11')를 통해서는 상기와 같이 전구(10)가 점등되어 있다해도 또다른 차단판(14')에 의해서 렌즈부(11')가 차단되므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위치(13)의 온위치에서 재차 오프위치로 전환하게 되면 전구(10)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동시에 아래로 내려와 있던 차단판(14)이 중간연결부재(15)에 의해 밀려서 다시 상향이동되어 원래의 위치인 렌즈부(11)를 차단하는 위치로 복귀되므로 더 이상 렌즈부(11)를 통해서는 빛이 조사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전구만을 사용하여 운전석과 조수석의 양쪽모두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비출 수 있음으로써, 맵램프의 구성부품수 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그 구조 또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써, 제품 생산원가 절감의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구(10)와, 양방향을 갖는 2개의 렌즈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램프하우징(12)과, 램프하우징(12)의 전면부에 양측으로 각각 장착되어 있는 스위치(13)로 구성된 자동차용 맵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구(10)는 램프하우징(12)의 중심부에 1개만이 설치되고, 이 전구(10)와 상기 렌즈부(11)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차단판(14)이 각각 설치되며, 이 차단판(14)과 상기 스위치(13)는 중간연결부재(15)를 매개로하여 상호 연계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맵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부재(15)는 2방향 운동경로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의 일정한 강성을 갖추고 있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맵램프.
KR2019940009897U 1994-05-04 1994-05-04 자동차용 맵램프 KR0114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897U KR0114607Y1 (ko) 1994-05-04 1994-05-04 자동차용 맵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897U KR0114607Y1 (ko) 1994-05-04 1994-05-04 자동차용 맵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52U KR950032852U (ko) 1995-12-16
KR0114607Y1 true KR0114607Y1 (ko) 1998-04-15

Family

ID=1938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897U KR0114607Y1 (ko) 1994-05-04 1994-05-04 자동차용 맵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6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52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44875A (ja) 自動車、特に乗用車
CN1942340A (zh) 具有聚焦点和方向性可变的照明装置
US6264352B1 (en) Sun visor and vanity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0114607Y1 (ko) 자동차용 맵램프
GB2367122A (en) Anti-Dazzle Headlamp for a Motor Vehicle
KR970005215Y1 (ko) 차량용 이동식 실내등
US11772552B2 (en) Vehicle interior lighting assembly
KR100192865B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스위치
KR960014081B1 (ko) 자동차의 이동식 룸램프
KR960014080B1 (ko) 자동차의 자동이동식 룸램프
KR100250950B1 (ko) 차량실내 이동형 램프
KR0154516B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대시보드 조명장치
JPS6350698Y2 (ko)
KR200158510Y1 (ko) 헤드 램프를 이용한 자동차의 정비용 미러 설치구조
KR19980041616U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룸램프
KR0131637Y1 (ko) 자동차 맵 램프내의 컨넥터 고정구조
JPH0717646U (ja) 自動車室内の足下照明装置
KR200162544Y1 (ko) 자동차의 룸램프
KR200161914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
KR910006270Y1 (ko) 자동차의 중간전조등장치
KR100384109B1 (ko) 자동차의 오버헤드콘솔 스위치장치
KR980007498U (ko) 자동차 독서등의 장착구조
CN114248676A (zh) 车辆顶棚把手
KR910005750Y1 (ko) 자동차 전조등을 이용한 안개등장치
KR20000003311U (ko) 자동차의 실내바닥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