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588Y1 -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588Y1
KR0114588Y1 KR2019940035111U KR19940035111U KR0114588Y1 KR 0114588 Y1 KR0114588 Y1 KR 0114588Y1 KR 2019940035111 U KR2019940035111 U KR 2019940035111U KR 19940035111 U KR19940035111 U KR 19940035111U KR 0114588 Y1 KR0114588 Y1 KR 0114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loading box
winding drum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564U (ko
Inventor
김환승
Original Assignee
이상현
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우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2019940035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588Y1/ko
Priority to JP7333297A priority patent/JPH08225038A/ja
Publication of KR960021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 B60J7/06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 B60J7/06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folding for ut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동부 구성을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코일 스프링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
제5도의 (a)(b)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재함 20 : 커버
30 : 아암부재 110 : 커버권취수단
111 : 와이어 120 : 권취드럼
210 : 구동모터 400 : 팽창수단
410 : 파이프 420 : 스프링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된 골재 및 곡물 등이 주행중에 도로변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적재함의 측변부 커버가 가능하여 보다 완전하게 커버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에 골재 및 곡물 등의 화물을 적재하여 목적지로 이동할 때, 이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른 공기저항 및 화물차가 도로의 요철면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도로변으로 적재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재함의 상측부로 커버를 씌우고 있다.
이 화물 적재함의 덮개는 대개 인위적인 수작업에 의한 설치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자동 설치기기에 의한 자동방법으로 설치되는 것도 최근 제안된 바 있다.
종래, 커버를 수작업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직접 적재함의 위로 올라가서 일일이 씌우거나 이를 제거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워 작업자가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작업은 특히 추운 동절기에 기피현상이 심하고 부주의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 설치기에 의한 방법은 미국 특허공보 제 5031955호 및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 91-7690호 등에서 알려져 있다.
즉, 미국 특허공보 제 5031955호는 적재함의 개구(開口)된 상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커버의 단부에는 탄성수단에 의해 자유상태에서 상부를 덮어지게 위치되도록 하는 신축아암에 고정시키고, 그 타측은 커버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로울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함에 내용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흙이나 쓰레기 등의 내용물이 비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여진 상부에 커버를 씌우고자 할 때는 커버를 권취하고 있던 권취로울러가 커버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그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신축아암의 탄성력으로 적재함의 단부까지 펼쳐져 설치되고, 다시 필요에 의해 커버를 권취시키고자 할 때는 권취로울러가 커버를 권취방향으로 감는 것에 의해 직접 권취로울러에 커버가 다수회에 걸쳐 권취되어 접혀진 보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적재함을 트여진 개구부를 덮는 커버가 직접 권취로울러에 권취되는 방식의 미국 특허공보 제 5031955호는 어느정도 자동방식에 의한 작업자 편리함을 도모할 수는 있으나, 내구성 신뢰성이 매우 낮다.
즉, 커버가 유연성 보다는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두껍고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며, 권취로울러에 감겨질 때 모든 면이 평행하게 밀착되지 않고 구겨지는 상태로 일부 겹쳐지면서 직접 권취로울러에 권취하는 과정이 반복된다.
따라서, 하루에도 수십번에 걸친 반복작업으로 인해 수일이 경과하는 경우 커버가 쉽게 훼손되어 새것으로 교체햐야 하는 등, 그 내구성이 크게 낮다.
또, 적재함의 측면부를 덮을 측면커버가 일체로 되는 커버의 경우에는 특히 그 접는 부분에서 파손의 염려가 많게 되므로, 커버의 권취용 로울러가 대략 적재함의 상부와 대응되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적재함의 측면부 커버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적재함의 높이보다 약간만이라도 높은 상태로 적재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측면부가 그대로 노출되어 주행중 내용물이 도로에 비상(飛翔)되는 결과로 그 설치의 의미를 상실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커버의 일부분은 적어도 권취로울러에 권취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커버의 보수나 교체가 번거로워 설치비 및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 91-7690호에서는 커버의 설치를 위해 적재함 양측으로 유압모터에 의해 선회되는 아암이 커버의 단부를 커버위치 및 보관위치로 구동되도록 한 것으로, 이 또한 유압모터의 선회각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등이 복잡하여 설치비가 고가(高價)일 뿐만 아니라, 오동작의 염려가 많고, 커버가 절첩되는 상태에서 원하는 대로 차곡차곡 커버가 접혀지지 못하여 외관을 해치기도 한다.
또, 이 또한 반복되는 사용으로 커버가 쉽게 훼손되고, 보수가 복잡하므로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행중 적재물이 도로에 비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 코스트를 저하시킬수 있도록 한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의 폭에 제한없이 모든 적재물의 노출부를 커버하여 제품의 신뢰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에 탑재되어 트여진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각종화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부가 트여지고, 일측에는 배출문(12)이 지점회동되며, 선단에는 받침대(13)가 구비된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트여진 개구부 및 측면부를 덮어지게 하는 유연재질의 커버(20)와; 상기 적재함(10)의 중앙 하측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축설치되며, 횡간(31)에 커버(20)의 단부를 고정하여 코일스프링(140)의 탄력으로 커버(20)가 적재함(10)의 개구부를 덮어지게 위치시키는 아암부재(30)와; 상기 커버(20)를 적재함의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210)가 권취드럼(120)을 회전시켜서 구동되는 커버권취수단(11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커버권취수단(110)은 아암부재(30)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20)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와이어(111)를 상기 권취드럼(120)에 감겨지게 설치하여서 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와이어(111)가 권취드럼(120)에 권취되고 커버(20)는 단지 받침대(13)에 접혀져 보관되므로 커버(20)가 손상되는 경우가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과 신뢰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또, 커버(20)의 폭을 적재함 폭보다 넓게 하여도 절첩되는데 지장을 주지 않게 되므로, 적재함(10)의 측변부까지도 덮어지게 커버(20)를 설계할 수 있어 주행중 내용물이 비상되거나 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아암부재(30)의 선회동작으로 커버(20)가 받침대(13) 상부로 접혀지고, 와이어(111)가 권취드럼(120)에 감겨지는 적재함(10)의 개방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제2도는 커버(20)가 적재함(10)의 상부로 설치되는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제3도은 권치드럼(120)에 와이어(111)가 감겨진 상태로 커버(20)가 받침대(13)에 접혀지는 상태를 요부 확대도로 예시하고, 제4도는 코일스프링(140)의 탄력으로 아암부재(30)가 커버(20)의 펼침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상태를 요부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5도의 (a)와 (b)는 아암부재(30)의 선회 위치에 따라 커버(20)가 접혀지거나 적재함(10)을 덮어지게 설치되는 상태를 각각 정면도로 도시한다.
상기 적재함(10)은 저면 및 전, 후, 좌, 우측면을 각각 막혀지게 하고, 그 상면은 트여지게 한 직사각 형태의 함체로써, 그 내부로 모래, 자갈 등과 같은 골재 및 각종의 곡물류와 같은 화물을 담겨지게 한 후, 이를 목적지까지 운반토록 하는 것이다.
이 적재함(10)에 적재된 화물의 하역은, 상기 화물차(c)에 설치된 별도의 리프팅장치에 의해 리프팅될 때,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서와 같이 그 우측단에 설치된 배출문(12)이 지점회동하는 것에 의해 열려지면서 화물을 배출토록 하는 것인데, 이는 통상적이다.
상기 커버(20)는,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적재함(10)의 트여진 개구부 및 측면부를 덮어지게 하는 것으로 절첩이 가능한 천막이나 텐트와 유사한 유연재질로 넓게 재단된다.
이 커버(20)는 적재함(1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덮어지게 하거나, 또는 트여진 개구부를 개방시켜, 그 내부로 각종의 화물을 담겨지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20)는 그 일단이 아암부재(30)의 횡간(31)에 결합되고, 제2도에서와 같이 대략 적재함(10)의 양측 폭의 위치로는 와이어(111)가 통과되며, 이 와이어(111)가 권취드럼(120)에 감겨져 있다.
상기 권취드럼(120)은 상기 받침대(13)의 하부(또는 상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함)에 설치되며, 안내로울러(112)의 안내로울러(112)의 안내로 권취드럼(12)의 위치까지 와이어(111)가 꺽임없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드럼(120)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111)가 감겨지면서, 아암부재(30)를 당겨지게 하여 제3도에서와 같이 커버(20)가 절첩되는 것이다.
이때, 커버(20)와 와이어(111)가 분리되지 않고 와이어(111)가 당겨질 때 받침대(13)의 위치로 커버(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어(111)가 통과되는 공간의 포켓이나 제5도에서와 같이 연결고리(21)를 커버(20)의 저면에 수곳 설치하여 와어어(111)의 당김작용은 가능하고, 커버(20)가 받침대(13)의 위치까지 이동된 후 제3도에서와 같이 대략적으로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연결고리(21)는 차량의 주행중 발생하는 공기 저항에 의해 와이어(111)와 커버(20)를 분리되지 않토록 연결하여 상기 커버(20)가 펄럭이는 것을 방지토록 하므로써, 상기 적재함(10)에 담겨진 곡물이나, 골재 등이 공기 저항에 의해 날리면서 적재함(10)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아암부재(30)는 적재함(10)의 중앙부 양측 하단에 코일스프링(140)으로 탄력 설치되어 와이어(111)의 당김이 해제될 때는 제5도의 (b)와 같이 커버(20)가 설치되는 상태로 탄력이 지속적으로 작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가 감겨지는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아암부재(30)는 상기 코일스프링(140)을 그 감겨진 방향으로 반강제적으로 감겨지게 하면서 지점회동 하는 것이며, 권취드럼(120)을 와이어(111)의 풀림방향으로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이 코일스프링(140)의 탄력으로 아암부재(30)가 선회되며 커버(20)가 적재함(10)의 상부를 덮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커버(20)에는 적재함(10)의 상부는 물론 제5도의 (b)에서와 같이 측면 부를 덮어지는 정도로 그 폭을 넓힌 상태에서 보조와이어(113)로 적재함(10)의 선단 하측에서 당겨지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적재함(10)의 측면부도 커버링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은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자유복귀력 보다 비교적 크게 설정되는 것이며, 이 구동모터(210)는 운전자의 근접 거리에 위치토록 설치된 별도의 조작스위치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10)가 정역으로 구동토록 전원이 공급되면, 이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이 첨부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감속기어(211)와, 체인(212)을 통해 상기 권취드럼(210)으로 전달되어 양방향으로 회전토록 한다.
이 구동모터(210)는 그 회전 방향이 자유로이 가변되는 정역모터이다.
본 고안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상기 커버권취수단(110)을 개선하여 커버(20)와 권취드럼(120) 사이에 와이어(111)가 개재되어 커버(20)의 손상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아암부재(30)의 단부와 권취드럼(12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20)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와이어(111)를 상기 권취드럼(120)에 감겨지게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권취드럼(120)의 작용으로 커버(20)를 적재함(10) 상부로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 내구성과 강성 및 유연성이 매우 우수한 와이어(111)가 권취드럼(120)에 직접 권취되고, 커버(20)는 단지 적재함(10)에 덮어지거나, 받침대(13)위에 접혀지는 과정만을 반복하므로 권취드럼(120)에 감길 때 발생되는 손상의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 권취드럼(120)의 폭에 따라 커버(20)의 폭을 제한할 필요가 없어 제5도의(b)에서와 같이 적재함(10)의 측면부까지도 커버(20)가 연장되어 적재물을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주행중 도로에 화물이 비상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조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도면 제1도는 상기 커버(20)의 하부를 통과하는 와이어(111)가 상기한 권취드럼(120)에 감겨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 커버(20)를 적재함(10)의 개구부를 덮어지게 할 때는 별도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10)로 전원을 인가하면, 이 구동모터(210)가 상기 권취드럼(120)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111)를 풀려지게 하는 데, 이때 풀려지는 커버(20)는 상기한 코일스프링(140)의 자유복귀력에 의해 궤적 회동토록 된 상기 아암부재(30)가 와이어(111)와 함께 당겨주는 것에 의해 펼쳐진다. 이때 상기한 코일스프링(140)의 자유복귀력은 상기한 아암부재(30)가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적재함(10)의 가장 우측단으로 이동(가상선으로 표시됨)할 때까지 작용된다.
또,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자유복귀력은, 상기 커버(20)를 풀려지게 구동하는 구동모터(210)의 회전속도에 의해 제어되므로써, 비교적 서서히 자유복귀되는 것에 의해 기기의 파손이나, 훼손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케 된다.
이렇게, 상기 커버(20)가 상기 적재함(10)을 전체적으로 덮어주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정지되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풀려진 커버(20)를 적재함(10)의 개구부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전원스위치를 재차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210)를 전술한 회전 방향의 역방향으로 구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와이어(111)가 권취드럼(120)에 감겨져 상기 적재함(10)의 상면을 덮어 주고 있는 커버(20)가 받침대(13)의 위치로 이동되며 제3도에서와 같이 대략적으로 그 상부에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111)가 권취드럼(120)에 팽팽하게 감겨진 상태를 갖게 되므로 커버(20)와 와이어(111)를 연결하는 연결고리(21)에 의해 커버(20)는 주행중이라도 펼럭거리거나 하지 않고 비교적 적은 부피로 절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아암부재(30)가 당겨지면서 상기 코일스프링(140)을 그 감겨진 방향으로 감아 주게 되므로, 코일스프링(140)은 그 자체적으로 자유복귀력이 생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20)가 절첩되는 정도로 권취드럼(120)에 와이어(111)가 감겨진 위치에서는 이 구동모터(210)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111)가 일정한 팽창상태로 권취드럼(120)에 감겨져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하여 와이어(111)의 선단부를 팽창수단(400)으로 당겨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적재함(10)의 일면 하부측에 각각 설치한 파이프(410)의 내부로는 상기한 스프링(420)이 장입설치되어 있는 데, 이 스프링(420)에는 상기 와이어(111)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와이어(111)가 권취드럼(120)에 감겨질 때, 그 선단이 상기 스프링(420)에 의해 긴밀히 팽창된 상태로 권취드럼(120)에 밀착되어 미끄러짐이 없이 감겨지는 것이고, 상기 커버(20)가 펼쳐질 때 이 와이어(111)는 상기 스프링(420)의 자유복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잡아 당겨지면서 상기 파이프(410)내로 진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와이어(111)를 전체적으로 긴밀하고 탄력적으로 권취드럼(120)과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적재함(10)의 상면을 덮어 주게 한 커버(20)가 구동모터(210)의 동력으로 자동적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감겨지게 하므로써, 그 작업이 신속, 간편한 장점이 있다.
둘째,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스위치를 이용해 간편하게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와이어(111)가 권취드럼(120)에 매개체로 감겨져 커버(20)를 보호하게 되므로 커버(2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그 폭에 제한이 없어 적재함(10)의 측면부 까지도 연장하여 덮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내구성과 신뢰도가 향상되고 주행중 각종 적재물이 도로에 낙하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차량에 탑재되어 트여진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각종 화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부가 트여지고, 일측에는 배출문(12)이 지점회동되며, 선단에는 받침대(13)가 구비된 적재함(10)과; 상기 적재함(10)의 트여진 개구부 및 측면부를 덮어지게 하는 유연재질의 커버(20)와; 상기 적재함(10)의 중앙 하측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축설치되며, 그 단부에 커버(20)의 단부를 고정하여 코일스프링(140)의 탄력으로 커버(20)가 적재함(10)의 개구부를 덮어지게 위치시키는 아암부재(30)와; 상기 커버(20)를 적재함의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구동모터(210)가 권취드럼(120)을 회전시켜서 구동되는 커버권취수단(11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커버권취수단(110)은 아암부재(30)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버(20)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와이어(111)를 상기 권취드럼(120)에 감겨지게 설치하고, 이 와이어(111)의 선단은 스프링(420)에 연결하여 와이어(111)에 팽창력을 보유토록 하는 팽창수단(40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KR2019940035111U 1994-12-22 1994-12-22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KR0114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111U KR0114588Y1 (ko) 1994-12-22 1994-12-22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JP7333297A JPH08225038A (ja) 1994-12-22 1995-12-21 収容体またはトラック荷台の幌掛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111U KR0114588Y1 (ko) 1994-12-22 1994-12-22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564U KR960021564U (ko) 1996-07-20
KR0114588Y1 true KR0114588Y1 (ko) 1998-04-20

Family

ID=1940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111U KR0114588Y1 (ko) 1994-12-22 1994-12-22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25038A (ko)
KR (1) KR01145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04B1 (ko) * 2005-08-01 2008-06-13 김명철 적재함 덮개 장치
SG2013094354A (en) * 2013-12-19 2015-07-30 Lee Keng Lim Container covering apparatus
CN103935289A (zh) * 2014-05-09 2014-07-23 枣庄市金星爆破有限公司 货车篷布自动遮盖装置
CN109606244B (zh) * 2018-12-26 2021-06-01 攀枝花良运通环保科技有限公司 用于大中型货车车厢的汽车环保覆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4718A (ja) * 1975-03-10 1976-09-16 Sanko Kiki Kk Nidaiooisoochi
NL179622C (nl) * 1978-06-27 1986-10-01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ontsteken en voeden van ten minste een gas- en/of dampontladingsbuis.
JPS62131835A (ja) * 1985-12-03 1987-06-15 Fumio Suzuki トラツク荷台シ−トの着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225038A (ja) 1996-09-03
KR960021564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449B1 (en) Side-to-side truck cover system
US5829818A (en) Covering device for a vehicle container
US6783168B2 (en) Side-to-side truck cover system
US4225175A (en) Arrangement for covering a chip transport box
US20020084672A1 (en) Bow system for a truck cover
US5957523A (en) Truck cover system having hold down tensioning apparatus
US20110254310A1 (en) Device for manipulating a tarpaulin
US5205605A (en) Cover for an open top receptacle
US8205927B2 (en) Automated flexible tarping system
US3168345A (en) Collapsible cover for trucks
US6623038B2 (en) Automatic lifting mud flap assembly
KR20110099565A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 자동개폐장치
US5573365A (en) Tarp loader and related method
US20040000798A1 (en) Tarpaulin rod securing device
US6695383B2 (en) Container cover
KR0114588Y1 (ko)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KR0137512B1 (ko) 트럭의 데크(Deck) 자동덮개장치
KR101252985B1 (ko) 화물차량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200365426Y1 (ko) 화물 적재함 자동 덮개장치
EP1232889A1 (en) An improved sheeting system
KR200204052Y1 (ko) 화물차용 덮개 보관장치
CA2589645C (en) Device for manipulating a tarpaulin
KR950005123Y1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KR200166602Y1 (ko) 덤프트럭의 덮개자동개폐장치
KR970006391Y1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