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904B1 - 적재함 덮개 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 덮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904B1
KR100835904B1 KR1020050070342A KR20050070342A KR100835904B1 KR 100835904 B1 KR100835904 B1 KR 100835904B1 KR 1020050070342 A KR1020050070342 A KR 1020050070342A KR 20050070342 A KR20050070342 A KR 20050070342A KR 100835904 B1 KR100835904 B1 KR 10083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uide
cover
roller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171A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김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철 filed Critical 김명철
Priority to KR102005007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9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4Garbage trucks, e.g. refuse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덤프차나 청소차, 곡물운반차량 등 적재함이 박스형태인 차량의 적재함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덤프차나 청소차, 곡물운반차량 등 적재함이 박스형태인 차량의 적재함을 뚜껑을 덮듯이 앞에서 뒤쪽으로 하나에 천막이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는 가이드에 의하여, 부양하며 덮을 수 있도록 해, 밀폐 율을 높여 낙하물이나 비산먼지를 없이 해, 환경을 보호하고 작업 공간에 구조물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유지 관리를 쉽도록 하려한 것으로,
적재함 앞 끝단에 적재함을 덮고 걷어주는 한 쌍의 파이프 롤러로, 하나는 덮개천막을 롤 형태로 감고 풀며 수납공급하고, 나머지 하나는 와이어를 감고 풀며 수납공급 하는 롤러와 감속모터 등을 설치하고, 적재함 양 측면엔 대칭 되는 위치에 적재함 덮개천막을 안내하는 2쌍의 안내 가이드를 설치하고, 적재함 끝단엔 와이어가 왕복 순환 할 수 있도록 반환점롤러를 설치 한 후, 와이어에 적재함 덮개천막과 캠을 결합 구성하여, 상기 구조물과 결합 와이어 양끝을 두 개의 적재함덮개천막롤러와 와이어롤러에 결합 고정 설치하여, 감속모터의 동력으로 롤러가 와이어를 교차적으로 감고 풀어, 와이어의 캠이 가이드를 안내하며, 적재함 덮개천막을 부양시키며 설치철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철수 시는 구조물이 작업 공간에 노출이 최소화하여, 훼손되는 경우가 적어 유지 관리가 쉽고, 설치 시에는 완벽한 밀폐를 이룰 수 있어, 비산먼지나 낙하 물을 없이 해, 안전하고, 친환경적일 것이다.
Figure 112005509649215-pat00001
롤러, 와이어, 가이드, 캠, 덮개천막, *탑 보호대가 설치된 적재함 구조의 구조물은 탑형이라 통칭함.

Description

적재함 덮개 장치{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좌측면도로, 감속모터(9, 10), 와이어(3), 가이드 볼(4∼4-3), 가이드(5, 5-1), 반환점롤러(13) 등의 설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우측면도로, 탈선방지링(12), 와이어(3), 가이드 볼(4∼4-3), 가이드(5, 5-1), 반환점롤러(13) 등의 설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 좌측면도로, 덮개천막(6)을 설치한 상태로 덮개천막(6)과 와이어(3), 가이드 볼(4∼4-3), 가이드(5, 5-1)의 위치가 변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 평면도로, 적재함덮개천막(6)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탑형, 좌측면도로, 철수 시 감속모터(9, 10)와 가이드(22, 23) 및 보조가이드(26)의 위치와 가이드 볼(4-4∼4-7)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탑형, 우측면도로, 탑형 우측의 철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탑형, 설치 좌측면도로 설치 시 가이드(22, 23)와 가이드 볼(4-4∼4-7)의 위치를 나타내며, 가이드 볼(4-4∼4-7)이 가이드(22, 23)를 끌어 위치를 바꾼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탑형, 설치 평면도로 설치 시 덮개천막(6)과 가이드(22, 23)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덮개천막(6) 구성도로, 덮개천막(6)과 와이어(3), 가이드 볼(4-4∼4-7)의 구성과 작용에 따라 각기 가이드 볼(4-4∼4-7)의 위치가 다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탑형, 덮개천막(6) 구성도로, 덮개천막(6)과 와이어(3), 가이드 볼(4-4∼4-7)의 결합과 작용에 따라 각기 가이드 볼(4-4∼4-7)의 위치가 다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1가이드(5)의 측면도와 정면도로, 1가이드 롤러(20)와 와이어공(20-1)은 와이어(3)가 통과 할 수 있도록 하고, 일 측면을 없이하여, 덮개천막(6)이 왕래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2가이드(5-1)의 측면도와 정면도로, 2가이드(5-1)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공(21-1)은 와이어(3)만 통과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탑형, 1가이드(22)의 측면도와 정면도로, 탑형1가이드(22)의 보조가이드(26)와 보조 가이드 멈춤턱(19), 와이어 통행구(29)가 와이어(3)는 통행되나 가이드 볼(4-4∼4-7)은 통과 할 수 없으며, 와이어공(24-1)은 가이드 볼(4-4∼4-7)이 통과 할 수 있는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탑형, 2가이드(23)의 측면도와 정면도로, 탑형2가이드(23)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공(25-1)은 와이어(3)만 통과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감속모터(9, 10)와 롤러(7, 8) 구조도로, 감속모터(9, 10)와 감속모터의 고정구(16), 롤러의 고정대(14), 키 기어(11), 탈선방지링(12)등 감속모터(9, 10)와 덮개천막롤러(7), 와이어롤러(8) 등의 구동 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반환점롤러(13) 상세도로, 반환점롤러(13)의 와이어공(13-1)은 가이드 볼(4-4∼4-7)이 통과하는 크기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키 기어(11)구조 작동 상세도로, 키(11-1)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여 일반 형은 철수 시에는 가이드 볼(4-1)이 설치 시에는 가이드 볼(4-3)이 키 공이(11-4)를 밀어 키(11-1)가 키 기어(11) 산을 제어하도록 하고, 탑형은 철수 시에는 덮개천막롤러(7) 쪽은 가이드 볼(4-4)이 제어해주고, 설치 시에는 와이어롤러(8) 쪽은 탑형 1가이드(22)가 밀어 제어해 주도록 한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차량 2 : 적재함
3 : 와이어 4 : 가이드 볼
4-1 : 가이드 볼 4-2 : 가이드 볼
4-3 : 가이드 볼 4-4 : 가이드 볼
4-5 : 가이드 볼 4-6 : 가이드 볼
4-7 : 가이드 볼 5 : 1가이드
5-1 : 2가이드 6 : 덮개천막
7 : 적재함 덮개천막 롤러 8 : 와이어롤러
9 : 덮개천막 감속 모터 10 : 와이어 감속모터
11 : 키 기어 11-1 : 키
11-2 : 키 지지대 11-3 : 스프링
11-4 : 공이 12 : 탈선 방지링
13 : 반환점롤러 13-1 : 와이어공
13-2 : 롤러 축 13-3 : 스탠드
14 : 고정대 15 : 적재함뒷문고리삽입구
16 : 고정구 17 : 가이드축
18 : 보조 가이드 축 19 : 보조 가이드 멈춤 턱
20 : 1가이드롤러 20-1 : 와이어공
20-2 : 롤러축 21 : 2가이드롤러
21-1 : 와이어공 21-2 : 롤러축
22 : 탑형 1가이드 23 : 탑형2가이드
24 : 탑형1가이드롤러 24-1 : 와이어공
24-2 : 롤러축 25 : 탑형2가이드롤러
25-1 : 와이어공 25-2 : 롤러축
26 : 보조가이드 27 : 적재함 뒷문 고리
28 : 탑 보호대 29 : 와이어 통행로
본 발명은 덤프차나 청소차, 곡물운반차량 등의 적재함이 박스형태인 차량의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청소차나 곡물운송 차량 등은 일일이 손으로 적재함을 덮어야 했으며, 건설 장비로 쓰이는 덤프차에 적재함덮개장치에 있어서는, 적재함의 반정도 되는 철 구조물에 덮개천막을 결합 구성시켜, 적재함 양 옆면에 부착하여, 감속모터로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시켜 덮는 방법으로 적재함을 덮었으나, 적재 물이 고르게 적재되지 않은 경우 적재함덮개천막은 적재물의 높은 곳에 걸려 내려가지 않았으며, 반쪽으로 이루어져 사방에 틈이 많이 남아 주행 중 달리는 속도에 의하여, 발 생되는 풍속에 의해 적재함 덮개천막 틈으로 들어간 바람이 소용돌이치며, 비산먼지와 낙하 물을 발생시켜 환경을 오염시켜왔으며, 구조물은 작업공간에 노출되어 작업 시 낙하 물에 훼손되는 경우가 많아 유지 관리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적재함덮개장치의 구조물을 작업 공간에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3)와 와이어를 안내하여 적재함덮개천막을 설치해주는 가이드(5), (5-1), (22), (23)를 두고, 주요 구동 부의 구조물들을 적재함 밖 앞 끝단에 설치하며, 설치 시에는 와이어가 덮개천막을 적재함으로 끌면, 가이드는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며, 적재함을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시에만 노출되도록 해, 훼손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를 쉽게 하였고, 적재함을 완벽하게 덮을 수 있도록, 와이어를 덮개천막의 틀처럼 구성시켜, 설치 시 감속모터의 힘에 의하여 와이어의 강한 인장력으로 적재함의 상단 끝보다 옆으로 덮개천막이 더 내려와 당겨 뚜껑을 덮듯이 덮어 주도록 하여, 낙하물이나 비산먼지를 없애, 안전하게 하고 환경을 보호 할 수 있도록 하려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덤프차나 청소차, 곡물 운반차량 등의 박스형 적재함 차량의 적재함덮개장치의 구조물을 작업공간에 노출을 줄여, 훼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며, 유지관리가 쉽고, 완벽한 밀폐로 비산먼지나 낙하 물을 없이 덮을 수 있는,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적재함덮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달성하기 위해 작업 시 작업 공간에 노출을 최소화하고, 완벽한 밀폐로 비산먼지나 낙하 물을 없앨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중요 구성들은 다음과 같다.
적재함(2) 앞 끝단에 작업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속모터(9), (10)의 구동에 의하여, 덮개천막(6)을 감고 풀며, 수납 공급을 해주는 적재함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3)를 감고 풀며, 수납 공급해 주는 와이어 롤러(8)를 적재함 고정대(14)에 설치 고정하고. 이 두 롤러에는 양쪽에 탈선방지링(12)이 구성되어 덮개천막(6)과 와이어(3)의 탈선을 방지해 주고, 감속모터 쪽의 탈선방지링(12) 옆에는 키 키어(11)와 키(11-1)를 구성시켜 자연공전을 막게 하고, 적재함덮개천막롤러(7)는 적재함(2) 앞 끝단보다 좀더 낮게 설치되게 하여, 설치 시 완벽한 밀폐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두 롤러의 총 길이는 적재함을 가로지르고 좀 남는 길이로 하여, 설치 시 적재함덮개천막(6)이 양옆으로 좀 더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천막(6)을,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며 안내해주는 막대모양의 가이드(5, 5-1)로, 적재함(2) 양옆 대칭되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와이어(3)와 가이드 볼(4, 4-1, 4-2, 4-3)에 의하여,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면서 덮개 천막의 설치, 철수를 돕는 1가이드(5) 상단 끝에는 한 쌍의 1가이드롤러(20)를 구성시켜, 두 롤러 사이에는 와이어(3)가 통과되도록 와이어공(20-1)을 구성시키고. 한 쌍의 롤러 중, 상부 롤러의 안쪽 프레임은 도11처럼 없이 구성하여, 덮개천막(6)이 통과되도록 하였고, 와이어공(20-1)은 와이어(3)만 통과 될 수 있는 크기로 가이드 볼(4, 4-1, 4-2, 4-3)은 통과 되지 않는 크기로 구성되며, 2가이드(5-1)는 상단 끝에 한 쌍의2가이드롤러(21)를 구성하고, 와이어공(21-1)은 와이어만 통과되도록 도12처럼 구성된다.
또한 탑형 1가이드(22)는 막대 모양의 구조물에 상단 끝 쪽에는 가이드 볼(4-4∼4-7)이 통과되는 와이어공(24-1)이 구성되도록 한 쌍의 롤러(24)를 상단 끝 쪽 롤러의 안쪽 프레임은 없이 구성하고, 탑형1가이드(22) 몸통 내부, 롤러(24)아래로 와이어 통행구(29)는 가이드 볼(4-4∼4-7)이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구성하여, 보조가이드(26)를 내장시켜 구성하고, 탑형 2가이드(23) 구성은 일반형 2가이드(5-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가이드 볼(4),(4-1),(4-2),(4-3), (4-4), (4-5), (4-6), (4-7)은 일 측면이 트여 오목 홈이 구성되어, 와이어를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된 원 볼 형태의 금속으로, 트인 오목 홈에 와이어(3)를 끼워, 유압이나 공압 등으로 가압 원볼 형태로 와이어(3)에 구성되는 가이드 볼(4, 4-1, 4-2, 4-3,4-4, 4-5, 4-6, 4-7)로써,
가이드 볼(4)은 덮개천막롤러(7)와 1가이드(5) 사이를, 가이드 볼(4-1)은 1가이드(5)와 2가이드(5-1) 사이를, 가이드 볼(4-2)은 2가이드(5-1)와 1가이드 와이어 통행구(29)사이에 2가이드 와이어 통행구(29)와 반환점 롤러(13)를 넘나들며, 가이드 볼(4-3)은 1, 2가이드(5, 5-1)의 와이어 통행구(29)를 넘나들게 결합되어, 철수 시에는 가이드 볼(4)은 덮개천막롤러(7)에 감기고, 가이드 볼(4-1)은 1가이드(5)를 적재함(2)앞 끝까지 당기면, 1가이드(5)는 공이(11-4)를 밀어 자연 공전을 방지하고, 가이드 볼(4-2)은 2가이드(5-1)를 적재함(2) 중앙으로 당기며 철수 시키고, 도 1, 2와 같은 상태에 이르며, 설치는 와이어롤러(8)가 회전하면서 와이어(3)를 감으면, 가이드 볼(4)은 1가이드를, 가이드 볼(4-1)은 2가이드(5-1)를 밀어 뒤쪽으로,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며 덮개천막(6)을 설치고, 가이드 볼(4-3)은 와이어롤러(8) 쪽의 공이(11-4)를 밀어, 자연 공전을 막아주도록 결합 구성되고, 도 3, 4와 같으며, 탑형은 탑형 2가이드(23)는 일반 형과 유사하고, 탑형 1가이드는 철수 시에는 가이드 볼(4-4)은 덮개천막롤러(7) 쪽 공이(11-4)를 밀어주고, 가이드 볼(4-5)은 2가이드(23)를 당기고, 가이드 볼(4-7)은 보조가이드(26)의 와이어 통행구(29)에 걸려 보조가이드(29)를 뒤로 당겨, 1가이드롤러(24)가 와이어(3)를 눌려 탑 보호대(28)와 적재함(2) 사이의 굴곡진 부분에 딱 붙도록 하여, 도 5, 6처럼 되고, 설치는 도 7, 8과 같이 가이드 볼(4-4)은 1가이드롤러(24)를 통과하여, 2가이드(23)를 적재함(2) 뒤 끝까지 밀고, 가이드 볼 (4-6)은 1가이드 와이어 통행구(29)에 걸려 1가이드(22)를 당겨 굴곡진 부분까지 와이어가 눌려줄 수 있도록 하며, 1가이드(22)는 키(11-1)를 밀어 자연 공전을 막아준다.
와이어(3)는 소정의 길이로 구성되어 덮개천막(6)과 결합되고, 소정 거리거리에 가이드 볼(4, 4-1, 4-2, 4-3)이나 가이드 볼(4-4∼4-7)이 체결 구성되어, 양끝이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의 고정구(16)에 결합 구성된다.
반환점 롤러(13)로 와이어공(13-1)은 가이드 볼이 통과되는 크기로 구성되고, 와이어(3)를 끼우면 이탈되지 못하도록 프레임 상단을 커버로 막아 도 16처럼 구성하고, 적재함(2) 뒤 상단 양 끝에 설치되어 와이어(3)를 체결하고, 덮개천막(6)의 설치 철수 시 와이어(3)와 가이드 볼의 반환점 역할을 수행해 준다.
답형1가이드(22)로써, 막대 모양의 구조물에 아래로는 보조가이드 축(18)으로 적재함(2)소정의 위치에 체결되고, 상단 끝으로는 가이드 볼이 통과되는 크기의 와이어공(24-1)이 구성되고, 상단 끝 쪽에 위치한 롤러에는 안쪽 프레임을 없이 구성하여 덮개천막(6)이 두 롤러 사이로 통과되도록 구성하고, 롤러 아래로 탑형1가이드 내부에는 가이드 볼이 통과되지 않는 크기의 통행구(29)가 구성된 보조가이드(26)가 롤러 바로 밑에 보조가이드 축(18)으로 체결되고, 보조가이드(26)가 뒤쪽으로만 벌려지도록 앞쪽으로는 보조가이드 멈춤턱(19)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탑형1가이드 구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들이 설치되고 덮개천막(6)은 철수된 상태의 양 측면도로, 도 15의 적재함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등 구동 부로 차량에 구성시킨, 고정대(14)의 고정구(16)와 구동 부의 고정대(14)의 고정구(16)를 볼트로 결합 고정 설치하고, 1가이드(5)는 가이드 볼(4-1)이 당기고, 2가이드(5-1)는 가이드 볼(4-2)이 당겨 적재함 덮개천막(6)이 철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덮개천막(6)을 설치한 좌측면도로, 와이어 감속모터(10)가 회전하며, 와이어 롤러(8)에 와이어(3)가 감기며, 가이드 볼(4)이 1가이드(5)를 가이드 볼(4-1)은 2가이드(5-1)를 밀어, 1가이드(5)는 적재함(2)중앙으로 2가이드(5-1)는 적재함(2) 뒤쪽 끝으로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며 덮개천막을 성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덮개천막(6)의 설치 시 가이드 볼의 위치와 가이드의 위치를 표현한 것이다.
도 5, 도 6은 차량에 탑 보호대가 설치된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탑형의 좌, 우 측면도로,
가이드 볼(4-7)은 보조가이드(26)를 당겨 탑형 1가이드 롤러(20)가 와이어(3)를 눌려 적재함(2)과 탑 보호대(28) 사이의 굴곡진 부분까지 와이어(3)가 내려오도록 해주고, 탑형2가이드(23)는 가이드 볼(4-5)이 당겨 철수 시킨 상태와 가이드 볼(4-4)이 키 공이를 밀어주어 덮개천막 감속 모터(9)의 자연 공전을 막아주도록 구성된다.
도 7과 도 8은 탑 보호대(28)가 설치된 탑형으로 도 7은 덮개천막(6)을 설치한 측면도이고 도 8은 평면도로,
가이드 볼(4-4)은 탑형2가이드(23)를 가이드 볼(4-6)은 탑형1가이드(22) 내부에 설치된 보조가이드(26)의 와이어 통행구(29)에 걸려 탑형1가이드(22)를 다시 앞쪽으로 밀어 답 보호대(28)와 적재함(2) 사이의 굴곡진 부분까지 와이어(3)가 닿도록 탑형1가이드롤러(24)가 눌려주도록 구성된다.
도 9와 도 10은 와이어(3)와 덮개천막(6)의 구성으로,
통상의 방법으로 소정에 크기의 천막을 사면을 제봉으로 와이어(3) 삽입구를 구성하거나 히터로 압착시켜 구성하여, 와이어(3)를 틀처럼 끼우고, 소정의 거리거리에 한쪽이 트인 원볼 형태의 가이드 볼을 끼워 유압이나 공압등으로 가압 구성한 상태와 도 10처럼 덮개천막(6)의 양쪽 귀를 잘라내 적재함뒷문고리삽입구(15)를 형성시켜 적재함 뒷문 고리에 장애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11은 1가이드(5)의 측면과 정면도로,
막대 모양의 구조물에 아래로는 가이드 축(17)이 구성되고, 상단 끝에는 와이어공(20-1)이 형성되게 한 쌍의 1가이드 롤러(20)가 구성되고, 상단 끝 쪽에 구성된 롤러(20)는 안쪽 프레임을 없이 구성하여, 두 롤러 사이로는 덮개 천막이 통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이드롤러 (20) 아래로는 와이어 통행구(29)가 구성되고, 와이어공(20-1)은 가이드 볼(4, 4-1, 4-2, 4-3)은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구성된다.
도 12는 2가이드(5-1)의 측면과 정면도로,
막대 모양의 구조물에 아래로는 가이드 축(17)이 구성되고, 상단 끝 쪽으로는 두 롤러 사이에는 와이어공(21-1)이 구성되도록 한 쌍의 2가이드롤러(21)가 구성되고, 롤러 아래로는 와이어 통행구(29)가 구성되며, 와이어공(21-1)은 가이드 볼(4, 4-1, 4-2, 4-3)은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구성된다.
도 13은 탑형1가이드(22)의 측면과 정면도로,
막대 모양의 구조물에 아래로는 가이드 축(17)이 구성되고, 위 쪽 끝에는 가이드 볼(4-4, 4-5, 4-6, 4-7)이 통과되는 크기로 와이어공(24-1)이 구성되도록 한 쌍의 탑형1가이드롤러(24)가 구성되고, 상단 끝 쪽에 위치한 롤러는 안쪽 프레임을 없이 구성하여 덮개천막(6)이 두 롤러 사이로 통과되도록 구성하고, 롤러 아래로 탑형1가이드(22) 내부에는 가이드 볼(4-4, 4-5, 4-6, 4-7)이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와이어 통행구(29)가 구성된 보조가이드(26)를 구비시켜, 롤러 아래로 보조가이드 축(18)으로 결속시키고, 덮개천막(6)을 철수 시에만 뒤쪽으로 벌려지도록 앞쪽에는 보조가이드 멈춤턱(19)을 형성시켜 구성하여, 덮개천막 철수 시 가이드 볼(4-7)이 보조가이드 통행구(29)에 걸려 뒤로 당기면 탑형1가이드롤러(24)가 와이어(3)를 눌려줘 답보호대(28)와 적재함(2) 사이의 굴곡진 부분까지 딱 닿게 된다.
도 14는 탑형2가이드(23)의 측면과 정면도로,
막대모양의 구조물에 상단에는 가이드 볼(4-4, 4-5, 4-6, 4-7)이 통과되지 않는 크기의 와이어공(25-1)이 구성되도록 한 쌍의 탑형2가이드롤러(25)가 구성되고, 롤러 아래로는 가이드 볼이 통과되도록 와이어 통행구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도 15는 주 구동 부 감속모터와 롤러로 적재함 앞 끝단 소정에 위치에 구성된 고정대(14)에 감속모터의 고정구(16)와 롤러의 고정대(14)등을 결합 고정시켜 작업 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적재함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는 양끝에 베어링을 끼워 고정대(14)를 구성하고, 와이어(3)와 덮개천막(6)의 이탈을 막을 수 있도록 탈선방지링(12)을 구성하며, 롤러의 자연 공전을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 기어(11) 구비시키고, 적재함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의 길이는 적재함(2)을 가로지르고 조금 남는 길이로 구성한다.
삭제
도 17은 키 기어(11)로 구동부의 롤러들이 자연 공전에 의하여 풀리지 못하도록, 롤러의 탈선방지링(12) 옆에 구성되고, 키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철수 시에는 캠(4-1)이 적재함덮개천막롤러(7) 쪽의 키 공이(11-4)를 밀어 제어하고, 적재함덮개천막(6) 설치 시에는 와이어롤러(8) 쪽의 키 공이(11-4)를 캠(4-3)이 밀어 자연 공전을 막아준다. 탑형의 철수 시에는 덮개천막롤러 쪽의 키 공이(11-4)를 캠(4-4)이 밀어주며, 설치 시에는 보조가이드(26)가 와이어롤러 쪽 키 공이(11-4)를 밀어 줄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여 자연 공전을 제어 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는 차량 내부에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 받아 적재함 덮개천막 감속 모터(9)와 와이어 감속 모터(10)의 온/오프스위치를 설치하여, 차안에서 작동하며 설치, 철수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특징들로 이루어진 적재함 덮개 장치로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와 같이 설치 상태에서 와이어감속모터(10)를 온/오프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와이어감속모터(10)가 회전하며, 와이어(3)가 와이어롤러(8)에 감기면서 가이드 볼(4)이 1가이드(5)를 가이드 볼(4-1)이 2가이드(5-1)를 밀며, 가이드(5, 5-1)가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면서 덮개천막(6)을 부양시켜 적재 물에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 적재함(2)을 덮고, 가이드 볼(4, 4-1)은 1가이드(5)와 2가이드(5-1)를 밀고, 가이드 볼(4-3)은 와이어롤러(8) 쪽의 키 공이(11-4)를 밀어 자연공전을 막아주며, 와이어(3)는 필요 길이만으로 구성되어, 끝까지 당겨 적재함 상단 끝보다 좀더 옆으로 도 3과 도 4 같이 내려와 뚜껑을 덮듯이 적재함(2)을 밀폐 해줘, 비산먼지와 낙하 물을 없애 준다.
다음, 적재함 덮개천막(6)의 철수는 역순으로, 덮개천막감속모터(9)를 작동시키면, 덮개천막롤러(7)에 덮개천막(6)이 감기며, 1가이드(5)는 가이드 볼(4-1)이 2가이드(5-1)는 가이드 볼(4-2)이 밀고 와이어(3)는 당기며, 덮개천막롤러(7)에 덮개천막(6)이 수납되고, 가이드 볼(4-1)이 덮개천막롤러(7) 쪽 키 공이(11-4)를 밀어주도록 하며, 다시 도 1과 도 2와 상태로 철수되게 된다.
다음, 도 5, 도 6은 적재함에 탑 보호대가 설치된 차량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탑형으로, 탑형1가이드(22)는 도 13과 같이 후방으로만 벌어지도록 한, 보조가이드(26)가 첨부되어, 덮개천막(6) 설치 시에는 와이어감속모터(10)를 작동시키면 와이어롤러(8)에 와이어(3)가 감기면서 가이드 볼(4-4)이 탑형1가이드(22)를 밀며, 적재함 뒤쪽으로 향하다 가이드 볼과 각도가 원만해지면, 가이드 볼(4-4)은 탑형1가이드롤러(24)의 와이어공(24-1)을 통과하여, 탑형2가이드(23)를 밀고,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며 적재함 뒤쪽으로 향함과 동시에 가이드 볼(4-6)은 반환점롤러(10)를 돌아오는 와이어(3)에 의해 탑형1가이드(22)에 구성된 보조가이드(26)의 와이어 통행로(29)에 걸려, 다시 앞으로 끌려, 보조가이드(26)는 보조가이드 멈춤턱(19)에 걸려 멈추고, 탑형1가이드(22)를 당겨 탑 보호대(28)와 적재함 사이의 굴곡 된 부분을 눌려 잘 밀폐 되도록 하고 탑형2가이드(23)는 적재함(2) 뒤쪽 끝까지 당겨 뚜껑을 덮듯이 완벽하게 밀폐를 이루도록 하고, 동시에 덮개천막(6)의 잘라낸 부분은 적재함 뒷문 고리(27)에 삽입되어 잘 덮이도록 해주며, 와이어롤러 쪽 키 공이(11-4)를 가이드(22)가 밀어, 자연 공전을 막아주고, 도 7과 도 8처럼 된다.
다음, 적재함덮개천막(6)의 철수는 적재함덮개천막감속모터(9)를 작동하여, 덮개천막롤러(7)를 회전시키면 롤러에 덮개천막(6)이 감기면서 가이드 볼(4-4), (4-6)은 이완되고, 가이드 볼(4-5)은 탑형2가이드(23)를 가이드 볼(4-7)은 탑형1가이드 내에 구성된 보조가이드(26)를 뒤로 당겨, 탑형1가이드롤러(24)가 탑 보호대(28)와 적재함 사이의 굴곡부위를 눌려 와이어(3)가 작업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가이드 볼(4-4)은 덮개천막롤러 쪽 키 공이(11-4)를 밀어 주도록 하여, 자연 공전을 막아준다.
이상과 같은 특징으로 구성되며, 탑형의 경우 탑 보호대와 뒷문 고리의 구조 변경에 따라 좀더 향상된, 밀폐 율이 높은 적재함덮개 장치를 제공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고르지 않은 적재물의 적재 시에도 설치, 철수가 쉽고, 덮개 구조물들을 작업 공간에 노출을 최소화하여, 작업 시 훼손되는 경우도 적어, 유지 관리가 쉬워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또한 적재함 덮개가 적재함을 완벽하게 밀폐시켜 비산먼지나 낙하 물을 없애, 안전하고 친환경적이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덤프차나 쓰레기수거차량, 곡물운반차량 등 적재함(2)이 박스형태인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적재함 덮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2) 앞 끝단에 구성된 고정대(14)에 고정시킨 두 개의 감속모터(9,10) 축에 각각 키기어(12)와 탈선방지링(12)이 구성된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가 연결 설치되고, 적재함 끝 소정의 대칭 되는 위치에는 반환점롤러(13)가 설치되며, 적재함(2) 양옆 소정의 위치에는 대칭되도록 2쌍의 가이드(5, 5-1)나 (22, 23)가 설치되어, 적재함덮개천막(6)과 가이드볼(4, 4-1, 4-2, 4-3)이나 (4-4, 4-5, 4-6, 4-7)이 체결된 와이어(3)와 결합되어 적재함덮개천막(6)을 설치 철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적재함 덮개 장치에 있어서,
    소정 길이의 와이어(3)에 소정 크기의 덮개천막(6)과 가이드볼(4, 4-1, 4-2, 4-3)을 결속 구성시킨 "덮개천막(6)"
    소정의 위치에 덮개천막(6)과 가이드볼(4, 4-1, 4-2, 4-3)이 체결된 한 쌍의 와이어(3)가 가이드(5, 5-1)와 반환점롤로(13)에 결합,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에 양끝이 고정되어, 감속모터(9, 10)의 동력에 의하여, 교차적으로 감기고 풀리며 덮개천막(6)을 덮고 걷을 수 있도록 한 "와이어(3)"
    덮개천막(6)과 와이어(3)를 수납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롤러로, 적재함(2) 앞 끝단을 가로질려 소정의 위치에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가 설치되어, 두 개의 롤러가 교차적으로 작동하며 적재함덮개천막(6)과 와이어(3)를 수납 공급해 주는 한 쌍의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
    2쌍의 가이드(5, 5-1)가 적재함(2) 양옆 대칭되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와이어(3)에 체결된 가이드볼(4, 4-1, 4-2, 4-3)에 의하여, 덮개천막(6)이 적재 물로부터 간섭받지 않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부챗살 모양으로 회전하며 와이어(3)와 덮개천막(6)을 안내하는 "가이드(5, 5-1)"
    와이어(3)에 결속되어 가이드(5, 5-1)를 끌거나 밀며 덮개천막(6)을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여 덮개천막(6)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볼(4, 4-1, 4-2, 4-3)로, 일 측면이 터지고 와이어(3)를 끼울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한 원볼 형태의 볼로써, 와이어(3)의 소정의 위치에 끼워 유압이나 공압등으로 가압해 와이어(3)에 결합되어, 가이드(5, 5-1)를 밀거나 당겨 정확한 위치를 지정해주는 와이어(3)에 결속된 "가이드볼(4, 4-1, 4-2, 4-3)"
    상기와 같이 소정 길이의 와이어(3)에 덮개천막(6)과 가이드볼(4, 4-1, 4-2, 4-3)이 체결 구성되어, 덮개천막(6)이 구성된 쪽은 덮개천막롤러(7)에 결속하고, 반대쪽 끝은 가이드(5, 5-1)와 반환점롤러(13)에 결합하여 와이어롤러(8)에 체결하고, 차량 배터리의 전기를 인가 받아 감속모터 (9, 10)가 교차적으로 동작하며,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가 덮개천막(6)과 와이어(3)를 감고 풀며, 덮개천막(6)을 설치 철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덮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재함(2)을 뚜껑을 덮듯이 덮을 수 있는 소정에 크기의 덮개천막(6)을 양 측면에 와이어(3)를 끼울 수 있도록, 재봉이나 전기히터로 압착해 붙여, 와이어(3)가 덮개천막(6)의 틀 형태가 되도록 끼우고, 가이드볼(4, 4-1, 4-2, 4-3)이나 가이드볼(4-4, 4-5, 4-6, 4-7)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덮개천막(6)"이 특징인, 적재함 덮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덮개천막(6)과 가이드볼(4, 4-1, 4-2, 4-3)이나 가이드볼(4-4∼4-7)을 구비한 와이어(3)로써,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에 양 끝을 체결하고 교차적으로 감기고 풀리며, 덮개천막(6)을 설치 철수하는 "와이어(3)"가 특징인, 적재함 덮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덮개천막(6) 과 와이어(3)를 교차적으로 감고 풀며 적재함을 덮고 걷을 수 있게 한 적재함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로, 막대 모양의 파이프롤러에 한쪽에는 탈선방지링(12)과 키기어(11), 베어링을 구비시키고, 반대쪽 끝에는 탈선방지링(12)과 베어링을 구성하여, 감속모터(9, 10)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한 쌍의 적재함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가 특징인, 적재함 덮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 5-1)로써, 막대모양의 구조물에 아래 끝으로는 가이드축(17)이 구성되고 상단 끝에는 와이어공(20-1)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롤러(20)가 구성되고, 롤러 아래로 가이드(5, 5-1) 내부에는 와이어 통행구(29)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가이드(5, 5-1)"가 특징인, 적재함 덮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볼(4, 4-1, 4-2, 4-3, 4-4 4-5, 4-6, 4-7)로써, 일 측면이 트여 오목 홈이 구성된 원볼 형태의 금속 볼로 와이어(3)를 끼워, 유압이나 공압등으로 가압하여, 와이어(3)에 원볼 형태로 체결 구성된, "가이드볼(4, 4-1, 4-2, 4-3, 4-4, 4-5, 4-6, 4-7)"이 특징인, 적재함 덮개 장치.
  7. 덤프차나 쓰레기수거차량, 곡물운반차량 등 적재함(2)이 박스형태인 차량에 탑 보호대가 구성된 차량에 설치 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적재함(2) 탑 보호대 앞 끝단에 고정대(14)를 구성하여, 그 위에 감속모터(9, 10)와 키기어(11), 키(11-1), 키지지대(11-2), 스프링(11-3), 공이(11-4), 탈선방지링(12)을 구비한, 한 쌍의 덮개천막롤러(7)와 와이어롤러(8)를 설치하고, 적재함 양 측면 소정의 대칭되는 위치에 두 쌍의 탑형1, 2가이드(22, 23)가 가이드축(17)으로 부착구성되고, 적재함(2) 뒤쪽 양끝 상단에는 반환점롤러(13)를 설치하고, 덮개천막(6)과 캠(4-4, 4-5, 4-6, 4-7)이 결합 구성된, 와이어(3)를 캠(4-4)쪽은 덮개천막롤러(7)에 결속하고, 반대쪽은 탑형1가이드(22)의 와이어공(24-1), 탑형2가이드(23)의 와이어공(25-1), 반환점롤러(13)와이어공(13-1), 탑형2가이드(23)의 와이어통행구(29), 보조가이드(26)의 와이어통행구(29) 순으로 끼워, 와이어롤러(8)에 결속시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적재함덮개장치".
  8. 제7항에 있어,
    막대모양의 탑형1가이드(22)에 상단 끝에는 가이드롤러(25)를 구성시키고, 몸통에는 보조가이드(26) 설치 공간과 보조가이드멈춤턱(19)을 구성시키고, 보조가이드(26)와이어통행구(29)가 구성된 보조가이드(26)를 탑형1가이드(22)의 보조가이드(26) 설치 공간에 결합하여, 적재함(2) 앞쪽 양 측면 소정의 위치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보조 가이드(26)를 내장한 탑형1가이드(22)가 특징인 "적재함덮개장치".
KR1020050070342A 2005-08-01 2005-08-01 적재함 덮개 장치 KR10083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342A KR100835904B1 (ko) 2005-08-01 2005-08-01 적재함 덮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342A KR100835904B1 (ko) 2005-08-01 2005-08-01 적재함 덮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328U Division KR200404042Y1 (ko) 2005-08-01 2005-08-01 적재함 덮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171A KR20050082171A (ko) 2005-08-22
KR100835904B1 true KR100835904B1 (ko) 2008-06-13

Family

ID=3726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342A KR100835904B1 (ko) 2005-08-01 2005-08-01 적재함 덮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666B1 (ko) * 2010-08-27 2013-02-13 (주)두성특장차 곡물수송용 트레일러
KR20210027558A (ko) 2019-08-28 2021-03-11 오세철 차량용 적재함 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038A (ja) * 1994-12-22 1996-09-03 Shoko Sangyo Kk 収容体またはトラック荷台の幌掛け装置
KR0137501B1 (ko) * 1995-05-16 1998-06-01 강정환 화물 자동차 및 덤프 트럭의 적재함 덮개 장치
KR19980019252U (ko) * 1998-04-14 1998-07-06 김찬일 덤프 트럭용 터널식 자동 덮개
KR19990011928U (ko) * 1998-12-19 1999-03-25 우석도 자동으로 개폐되는 화물차용 적재함카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5038A (ja) * 1994-12-22 1996-09-03 Shoko Sangyo Kk 収容体またはトラック荷台の幌掛け装置
KR0137501B1 (ko) * 1995-05-16 1998-06-01 강정환 화물 자동차 및 덤프 트럭의 적재함 덮개 장치
KR19980019252U (ko) * 1998-04-14 1998-07-06 김찬일 덤프 트럭용 터널식 자동 덮개
KR19990011928U (ko) * 1998-12-19 1999-03-25 우석도 자동으로 개폐되는 화물차용 적재함카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171A (ko) 2005-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9565A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 자동개폐장치
KR100849471B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 개폐장치
KR100835904B1 (ko) 적재함 덮개 장치
KR20100050215A (ko) 차량 덮개 및 그 개폐방법
KR200404042Y1 (ko) 적재함 덮개 장치
KR102226279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CN220114749U (zh) 一种电动三轮车
ES2207716T3 (es) Sistema de toldaje y destoldaje de lonas para vehiculos de transporte de mercancias.
KR200326730Y1 (ko) 케이블작업용 차량
KR200282115Y1 (ko) 무개화차용 덮개장치
CN210338000U (zh) 一种带有快速捆绑功能的车间搬运车
CN212555971U (zh) 一种厢式货车
JP4980797B2 (ja) ホース収納用リール
US6088974A (en) Mobile cover for scrap metal containers
KR200173001Y1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JP3083828U (ja) 積荷飛散防止用ホロシート巻取装置
CN216037914U (zh) 自行履带式多功能收放线车
KR200166602Y1 (ko) 덤프트럭의 덮개자동개폐장치
KR102651951B1 (ko) 집게 차의 수거함 자동 덮개 장치
CN214028369U (zh) 一种重载车
CN216424058U (zh) 一种快捷收纳车衣
CN211732665U (zh) 一种具有防异味扩散防护罩的垃圾运输车
GB2410478A (en) Stowable tarpaulin for trucks
CN210882684U (zh) 一种载运稳定的行李拖车
KR200314270Y1 (ko) 화물차 적재함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