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208Y1 -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 - Google Patents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208Y1
KR0114208Y1 KR2019940007381U KR19940007381U KR0114208Y1 KR 0114208 Y1 KR0114208 Y1 KR 0114208Y1 KR 2019940007381 U KR2019940007381 U KR 2019940007381U KR 19940007381 U KR19940007381 U KR 19940007381U KR 0114208 Y1 KR0114208 Y1 KR 0114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ge
layers
present
laye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567U (ko
Inventor
이학영
Original Assignee
이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영 filed Critical 이학영
Priority to KR2019940007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208Y1/ko
Publication of KR9500295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5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 B32B1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mineral fibres or particles, e.g. asbestos, mica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8/00Mineral based
    • B32B2318/04Stone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침대의 전열판 위에 재치하거나 방바닥면에 깔고 사용할 시에는 원적외선이 발생되어 인체의 혈액순환 촉진을 물론 각종 성인병예방에 도움을 줄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포지(la)와 하부포지(le)의 사이에 포지(lb)(lc)(ld)를 각각 개재시켜 그 사이의 공간부에 석분층(2)(2')과 토분층(3)(3')을 각각 형성시켜 일체화 시켜서 된 것인바, 실내 방바닥면은 물론 침대 위에 재치하여 널리 상용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확대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e : 포지 2' : 석분층
3, 3 : 토분층 4 : 니스층
p : 포지판
본 고안은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5겹으로 형성된 각 포지층 사이에 원적외선을 발하는 돌가루로된 맥반석분과 진흙을 여과시킨 토분층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이를 일체화 시킨 포지판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포지판은 침대의 전열판 위에 재치하거나 방바닥에 깔고 사용할 시에는 원적외선이 발생되어 인체의 혈액순환촉진은 물론 각종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주지하는바와 같이 주거환경은 고도의 사회발전에 의해 대량, 신속성을 가지는 시멘트로 건축되는 주택문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는 강알카리의 독성을 갖고 있어서 인체에 매우 유해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새로이 건축된 집에 입주하여 생활할 때에는 시킨트의 강알카리 성분에 의하여 인체의 신경과 혈액순환을 교란시키기 때문에 장기간동안 두통 내지는 불면증에 시달리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본고안 상기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 하부 포지와 포지사이에 석분과 토분을 적층 구성한 포지판을 형성하여 석분 및 토분에 의한 시멘트 독을 제거함과 함게 원적외선에 의한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를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본고안의 포지판을 침대 또는 방바닥면에 깔아 사용하게되면 그윽한 흙 내음에 의하여 옛날 토방집의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건강생활 유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안출한 고안이다. 이하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의 확대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포지판(P)은 상부포지(la)와 하부포지(lb) 사이에 석분층(2)를 형성하고 중간 포지(1b)와 다른 그 하부포지(1c) 사이에는 토분층(3)을 형성하며, 포지(1c)와 포지(1d)의 사이에는 석분층(2')을 다시 형성하며 포지(ld)와 포지 (le)의 사이에는 토분층(3')을 각각 형성시켜 이를 일체화시켜 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는 상부포지(1a)의 표면에 와니스을 피착한 니스층(4)이 형성된 포지판(P')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고안의 적층구조은 각 포지(1a…le)사이에 석분층(2)(2')과 토분층(3)(3')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미세한 입자로 여과 분쇄한 석분과 토분을 풀과 같은 접착제를 첨가한 후 액상의 상태로 한 것을 각 포지(1a..le)의 사이에 적절한 상태로 도포한 후 상기한 상태의 적층구조에 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건조시키면 고형의 상태로 완성된다. 그리고 석분층(2)(2')의 재료로는 맥반석이 바람직하고 토분층(3)(3')의 재료로는 진흙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을 침대용으로 상용할 시에는 상기한 구조를 약 4배정도로 배가시켜 약 20겹으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견고성이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된 본고안 포지판(p)은 난방장치가 구비된 방바닥 위에 놓고 사용하거나 전기장판 위에 재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포지판(P)에 서서히 열전도가 되면서 은은한 흙내음이 발산되어 실내에는 시골토방집의 분위기를 연출하게 되며, 석분층(2)(2')과 토분층(3)(3')에 의하여 원적외선이 발생되어 이위에서 수면 내지는 휴식을 취하는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고 인체내의 노폐물 즉 땀의 흡수를 중대시켜 주므로 향상 건강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멘트로 된 구조의 바닥에 사용할 때에는 토분층(3)(3')의 흙성분에 의하여 강알카리 성분을 증화시켜 인체의 유해성분을 제거시키게 되는 효과도 나타낸다. 특히 본 고안은 각 포지(1a..le)면에 석분층(2)(2')과 토분층 (3)(3')이 형성되기 때문에 표지(1a..1e)의 미세한 섬유조식 사이로 석분과 토분의 입자가 인입된 상태에서 응고되어 판상체로 고형화 되었기 때문에 분진이 발생하거나 분할훼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열전도가 매우 양호하여 장시간에 걸친 보온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본 고안은 전열판을 갖는 침대 위에 재치하여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방바닥면이나 전기장판 위에 재치하여 사용할 시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포지(la)표면에 니스층(4)을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세면트 독성을 중화함과 함게 원적외선의 발생으로 인체에 극히 유익한 판재를 구성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포지(la)와 하부포지(le)의 사이에 포지(1b) (lc) (ld)를 각각 개재시키되, 포지(lb) (lc) (ld)를 사이에 석분층 (2)(2')과 토분층 (3)(3')을 각각 형성시켜 일체화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석분과 토분층이 형성된 포지판
KR2019940007381U 1994-04-09 1994-04-09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 KR0114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381U KR0114208Y1 (ko) 1994-04-09 1994-04-09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381U KR0114208Y1 (ko) 1994-04-09 1994-04-09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67U KR950029567U (ko) 1995-11-17
KR0114208Y1 true KR0114208Y1 (ko) 1998-04-18

Family

ID=1938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381U KR0114208Y1 (ko) 1994-04-09 1994-04-09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2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67U (ko) 199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381B1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392271Y1 (ko) 음이온 발생 돌침대
KR20120046579A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0114208Y1 (ko) 석분(石粉)과 토분(土粉)층이 형성된 포지판(布紙板)
FI920109A0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skiv- eller banformiga skiktmaterial av termoplastiskt skummaterial.
KR200222609Y1 (ko) 황토타일과 구조
JP3085453U (ja) カーボンシートパネル
KR200351876Y1 (ko) 숯이 내장된 문짝
KR200264229Y1 (ko) 매트리스
JPH11197631A (ja) 製紙産業廃棄物より製造した多孔質構造のセラミックスと炭素が融合形状の多孔質構造炭素セラミックス及び木酢液の製造と多孔質構造炭素セラミックスより製造した内包型シート形状の寝具補助具、生活座具用品及び顧客運送車輸座席用等の生活環境改善用品、内包型シート形状及び平坦なシート形状及びボード形状及び抗菌処理付きボード形状の建材及び内装建材及び繊維状発熱面体を組み合わせた発熱暖房付き建材及び内装建材、植物の育成及び植物へ水の補給をするボード及びブロック形状の道路外壁建材及び外側壁建材、ボード状又は球状の水質浄化材及び水質濾過材及び浄化建材、土壌改良材に変化できる植林用及び園芸用植木鉢形状の土木造園建材の製造方法。
KR19990030739A (ko) 황토층이 형성된 바닥재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361823Y1 (ko) 생황토를 이용한 침대
KR200271191Y1 (ko) 건축자재
KR200269181Y1 (ko) 발포수지체를 적용한 매트용 표피
KR200167852Y1 (ko) 수맥, 전자파 차단매트
KR970075704A (ko) 난방용 판넬의 제조방법
KR200192586Y1 (ko) 황토쑥뜸구
KR20170009111A (ko) 흙 침대용 매트리스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356325B1 (ko)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패널
KR940006101Y1 (ko) 게르마늄 온돌침대
KR200292685Y1 (ko) 돌침대용 매트 부재
KR100850555B1 (ko) 소형 온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14127U (ko)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자리
JP3027167U (ja) 粒状木炭封入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