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081Y1 - 스포일러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스포일러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081Y1
KR0114081Y1 KR2019950048161U KR19950048161U KR0114081Y1 KR 0114081 Y1 KR0114081 Y1 KR 0114081Y1 KR 2019950048161 U KR2019950048161 U KR 2019950048161U KR 19950048161 U KR19950048161 U KR 19950048161U KR 0114081 Y1 KR0114081 Y1 KR 0114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glass
spoiler
insert
insert bolt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8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496U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8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081Y1/ko
Publication of KR970038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0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포일러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치백 스타일의 리어 글래스에 스포일러를 직접 장착할 수 있도록 스포일러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의 인서트 볼트와, 상기 인서트 볼트에 대응하여 리어 글래스에 형성한 인서트 볼트 체결구와,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를 관통한 인서트 볼트를 체결하는 너트와, 상기 리어 글래스와 인서트 볼트 사이에 개재되는 원통부를 구비한 그로멧과, 상기 리어 글래스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부쉬와, 상기 스포일러의 선단부와 리어 글래스 사이에 접착하는 실패드와, 상기 원통부 일단에 형성한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부를 리어 글래스의 외측에서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에 삽입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 글래스가 맞닿는 상기 플랜지부에 환상의 방수띠를 다수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포일러 설치구조
제1도는 종래의 스포일러 설치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포일러 설치구조에 있어서, a도는 스포일러 평면도, b도는 스포일러의 설치구성도, c도는 그로멧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스포일러12 : 인서트볼트
13 : 리어 글래스14 : 인서트 볼트 체결구
15 : 너트16 : 실패드
17 : 그로멧18 : 부쉬
19 : 원통부20 : 플랜지부
21 : 방수띠22 : 테일 게이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포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치백 스타일의 리어 글래스에 스포일러를 직접 장착할 수 있는 스포일러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포일러란 자동차의 뒤쪽에 설치된 날개 모양의 부재로서, 자동차 주행시 뒤쪽에 생성되는 후류(後流)의 발생을 억제하여 압력강하에 의한 자동차의 동력손실을 최소하는 장치이다.
스포일러의 설치위치는 노치백의 경우 트렁크 끝단에 설치되고, 해치백의 경우 루프와 동일 평면 또는 테일게이트에 설치된다.
상기의 설치위치는 자동차의 형태와 외관향상을 고려하여 설계시 결정되며, 그 설치 구조를 노치백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로우 몰딩법으로 성형한 중공형의 스포일러(1)를 지지하는 서포터(2)에 상기 서포터(2)와 같이 일체로 성형되는 인서트 볼트(3)를 인서트 볼트(3)가 설치될 트렁크 리드(4)에 형성한 인서트 볼트 체결구(5)에 삽입하고 너트(6)로 체결하였다.
상기 트렁크 리드(4)와 서포터 저면(2)에는 양면 테입(7)을 접착하여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5)로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였고, 상기 트렁크 리드(4)와 트렁크 리드 내판(8)에는 부쉬(9)를 삽입하여 너트(6)를 체결할 때 상기 트렁크 리드(4)와 트렁크 리드 내판(8)의 변형을 방지하였다.
미설명 부호(10)는 리어업 판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술한 노치백과 해치백 스타일에 있어서, 스포일러가 설치되는 위치만이 다를 뿐이었지 그 기본적인 설치와 구성은 거의 같았다.
그러나 해치백 스타일의 자동차중 외관 향상과 후방의 넓은 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와이드 리어 글래스를 채택하게 되면 글래스의 테두리가 리어 필러와 루프의 테일 게이트의 하부까지 미쳐 스포일러를 설치할 만한 마땅한 위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스포일러의 효과 때문에 자동차 생산시 아예 스포일러가 설치되어 출고되거나 , 판매시 선택사양으로 나오는 등 스포일러의 장착이 일반화되어 있고, 또한 디자인의 측면에서도 자동차의 외관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은 와이드 리어 글래스를 설치한 해치백 스타일 자동차의 리어 글래스에 스포일러를 직접 설치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스포일러(11) 저면에 다수의 인서트 볼트(12)를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인서트 볼트(12)에 대응하여 리어글랫그(13)에 인서트 볼트 체결구(14)를 형성하여 준다.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14)를 관통한 인서트 볼트(12)를 리어 글래스(13)의 내측면에서 체결하는 너트(15)를 제공한다.
방수를 위해 상기 스포일러(11)의 선단부와 리어 글래스(13) 사이에는 실패드(16)를 접착하여 상기 스포일러(11) 선단부와 리어 글래스(13)와의 틈사이로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리어 글래스(13)와 인서트 볼트(12) 사이에는 연질의 그로멧(17)을 개재하고, 상기 리어 글래스(13)와 너트(15) 사이에는 연질의 부쉬(18)를 개재하여 상기 스포일러(11)의 측면과 리어 글래스(13)가 이루는 틈 사이로 빗물이 침투하였을때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14)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그로멧(17)은 상기 인서트 볼트(12)와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14) 사이의 틈새에 개재되는 원통부(19)와, 상기 원통부(18)의 일단에 상기 인서트 볼트(12)와 상기 리어 글래스(13) 사이에 개재할 수 있는 플랜지부(20)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원통부(18)를 리어 글래스(13)의 외측에서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14)에 삽입시 상기 플랜지부(20)와 상기 리어 글래스(13)가 맞닿는 상기 플랜지부(20)에 환상의 방수띠(21)를 다수 형성하여 준다.
미설명 부호(22)는 테일 게이트 판넬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조립자가 리어 글래스(13)의 외측에서 인서트 볼트 체결구(14)에 플랜지부(20)가 걸리도록 그로멧(17)의 원통부(19)를 삽입하고, 스포일러(11)의 선단부에는 실패드(16)를 접착한다.
인서트 볼트(12)를 상기 원통부(19)의 내측에 삽입하고, 리어 글래스(13)의 뒷면으로 상기 인서트 볼트(12)가 나오면 부쉬(18)를 삽입한 후 너트(15)를 체결하여 준다.
이때 너트(15)의 체결력으로 압착띠(21)는 압착되고 원통부(19)와 부쉬(18)가 수측되어 인서트 볼트 체결구(14)는 완전히 밀폐되고 이와 동시에 스포일러(11)의 선단에 접착한 실패드(16)는 리어 글래스(13)에 접착되면서 상기 너트(15)의 체결력으로 압착되므로 상기 스포일러(11)는 유격없이 상기 리어 글래스(13)에 고정될 수가 있고 또한 상기 스포일러(11)의 선단부와 인서트 볼트 체결구(14)에는 완전한 방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와이드 리어 글래스를 장착한 해치백 자동차의 리어 글래스에 스포일러를 직접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후방부의 시계를 확보함과 더불어 자동차의 외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스포일러 저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다수의 인서트 볼트와, 상기 인서트 볼트에 대응하여 리어 글래스에 형성한 인서트 볼트 체결구와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를 관통한 인서트 볼트를 체결하는 너트와, 상기 리어 글래스와 인서트 볼트 사이에 개재되는 원통부를 구비한 그로멧과, 상기 리어 글래스와 너트 사이에 개재되는 부쉬와, 상기 스포일러의 선단부와 리어 글래스 사이에 접착하는 실패드와, 상기 원통부 일단에 형성한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부를 리어 글래스의 외측에서 상기 인서트 볼트 체결구에 삽입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리어 글래스가 맞닿는 상기 플랜지부에 환상의 방수띠를 다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일러 설치구조.
KR2019950048161U 1995-12-27 1995-12-27 스포일러 설치구조 KR0114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161U KR0114081Y1 (ko) 1995-12-27 1995-12-27 스포일러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161U KR0114081Y1 (ko) 1995-12-27 1995-12-27 스포일러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496U KR970038496U (ko) 1997-07-29
KR0114081Y1 true KR0114081Y1 (ko) 1998-04-14

Family

ID=1943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8161U KR0114081Y1 (ko) 1995-12-27 1995-12-27 스포일러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0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496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7125B2 (ja) 車両用開閉体における機能部品取付部構造
JPH0642894Y2 (ja) ルーフ開閉体のルーフ取付部構造
KR0114081Y1 (ko) 스포일러 설치구조
KR0119329Y1 (ko) 스포일러 설치구조
KR0114082Y1 (ko) 스포일러 설치구조
JPH0611898Y2 (ja) 自動車のホイールハウス部の構造
JPH052391Y2 (ko)
KR100320963B1 (ko) 자동차용 가니쉬 장착구조
KR100410839B1 (ko) 자동차의 외장부품 체결구조
KR0123037Y1 (ko) 차량용 글래스 고정구조
KR960006443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몰딩재의 취부구조
JPH0435274Y2 (ko)
KR200142671Y1 (ko) 자동차의 로커몰딩 취부구조
JP2758644B2 (ja) 自動車用マッドガードの取付構造
KR100200521B1 (ko) 차량용 리어범퍼 설치구조
JPH0635716Y2 (ja) クオータルーバ部取付構造
KR0137480Y1 (ko) 자동차용 윈도우 샤시의 커버몰딩
KR100384855B1 (ko) 자동차의 카울 그릴 취부구조
KR19980061607U (ko) 차량용 쿼터 윈도 글라스의 취부장치
RU2042553C1 (ru) Щиток колесной ниши автомобиля
KR19980059478A (ko) 자동차의 룸 밀러 취부구조
KR20010107205A (ko) 자동차의 머드 가드
JPS6082488A (ja) 自動車のリヤスボイラ−取付構造
KR19980045780U (ko) 사이드 쿼터 글라스 체결구조
KR19980046296U (ko) 자동차의 유리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