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611Y1 -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611Y1
KR0113611Y1 KR2019950042346U KR19950042346U KR0113611Y1 KR 0113611 Y1 KR0113611 Y1 KR 0113611Y1 KR 2019950042346 U KR2019950042346 U KR 2019950042346U KR 19950042346 U KR19950042346 U KR 19950042346U KR 0113611 Y1 KR0113611 Y1 KR 0113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ooster
plate
fixed
fixing plate
assembly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2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826U (ko
Inventor
원종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2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611Y1/ko
Publication of KR970027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8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43Brake maintenance and assembly,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2)와, 이 베이스(12)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 하방으로 거치홈(14a)이 형성되는 고정판(14)과, 이 고정판(14)과 면접되도록 설치되고 액추에이터(18)에 의하여 고정판(14)에 근접/이격되며 상부에 고정판(14)에 형성된 거치홈(14a)에 일치되는 안치홈(16a)이 형성된 가동판(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인바,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는 수동밸브만을 조작하여 브레이크 부스터의 물림 및 풀림상태를 조작하므로써 힘이 들지 않게 되는 것이고, 브라켓의 취부시에도 브레이크 부스터가 유동되지 않으므로 보울트의 체결작업을 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지그 12 : 베이스
14 : 고정판 16 : 가동판
18 : 액추에이터
본 고안은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브라켓을 부착하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둥근 브레이크 부스터를 작업대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각 계통의 부품을 가능한 하나의 모듈로 선조립하여 차량에 장착하려 하고 있는 추세로 가고 있는 바, 일례를 들면 범퍼등이 그 주요한 예이다. 한편, 자동차의 주요부품중 브레이크의 배력장치인 브레이크 부스터는 그 형상이 둥근 모양이기 때문에 작업대상에서 바이스에 물려놓고 브라켓등의 부품을 취부하는 작업이 불가능하고, 자칫 브레이크 마스터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었을 뿐만아니라 브레이크 부스터를 작업대에 올려놓은 상태 그대로 작업할 경우에는 작업이 배로 힘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선조립과정에서 브레이크 부스터에 브라켓을 부착하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둥근 브레이크 부스터를 작업대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부에 하방으로 거치홈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과 면접되도록 설치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에 근접 및 이격되며 상부에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거치홈에 일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된 가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를 제공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다른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10)를 도시한 것으로, 장방형의 베이스(12)상부에 수직으로 고정판(14)이 고정부착되고, 이 고정판(14)의 일측으로는 가동판(16)이 액추에이터(18)에 의하여 좌, 우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고정판(14)과 가동판(16)의 상부에는 하방으로 거치홈(14a)과 안치홈(16a)이 형성되며, 거치홈(14a)과 안치홈(16a)의 하부는 높이를 일치시킴과 아울러 둘다 반원형으로 형성시켜 브레이크 부스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고정판(14)의 일측으로는 소정의 높이에서 좌, 우 양측에 받침턱(14b)을 수평상태로 부착하여 브레이크 부스터의 몸체가 안치되도록 한다.
상기 가동판(16)은 그 하단에 상부레일(16b)을 고정설치하고, 이 상부레일(16b)은 베이스(12)에 고정설치한 하부레일(12a)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끼운다. 한편, 상기 가동판(16)을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18)는 공압 또는 유압식의 복동실린더를 사용하고, 도시안된 수동밸브에 의하여 로드(19)가 신축되도록 한 것으로, 액추에이터(18)의 로드(19)선단은 상기 가동판(16)에 고정 부착되므로써 가동판(16)이 좌, 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지그(10)를 사용하여 브레이크 부스터에 브라켓을 취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판(16)을 고정판(14)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부스터(B)를 고정판(14)상부에 안치시킨 다음, 도시안된 수동밸브를 조작하여 가동판(16)이 고정판(14)쪽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면, 가동판(16)이 고정판(14)쪽으로 슬라이드되어 브레이크 부스터(B)의 일측에 닿게 되면서 압박하게 되어 브레이크 부스터(B)가 고정판(14)과 가동판(16)사이에 물리게 되는 것이며, 이때 작업자가 수동밸브를 닫아 물린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브레이크 부스터(B)의 일측에 부트(20)를 끼움과 동시에 브라켓(30)을 보울트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며, 브레이크 부스터(B)가 고정판(14)과 가동판(16)사이에 물려 있으므로 보울트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브라켓(30)의 취부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수동밸브를 다시 조작하여 로드(19)가 신장되도록 하면 로드(19)선단에 고정된 가동판(16)이 고정판(14)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브레이크 부스터(B)의 물림상태가 풀리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작업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브레이크 부스터(B)에 브라켓(30)을 취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는 고정편의 일측에 설치된 가동편이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고정편에 근접 및 이격되면서 브레이크 부스터를 물거나 풀어주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는 수동밸브만을 조작하여 브레이크 부스터의 물림 및 풀림상태를 조작하므로써 힘이 들지 않게 되는 것이고, 브라켓의 취부시에도 브레이크 부스터가 유동되지 않으므로 보울트의 체결작업이 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베이스(12)와, 이 베이스(12)의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부에 하방으로 거치홈(14a)이 형성되는 고정판(14)과, 이 고정판(14)과 면접되도록 설치되고 액추에이터(18)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14)에 근접/이격되며 상부에 상기 고정판(14)에 형성된 거치홈(14a)에 일치되는 안치홈(16a)이 형성된 가동판(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KR2019950042346U 1995-12-18 1995-12-18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KR0113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346U KR0113611Y1 (ko) 1995-12-18 1995-12-18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346U KR0113611Y1 (ko) 1995-12-18 1995-12-18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826U KR970027826U (ko) 1997-07-24
KR0113611Y1 true KR0113611Y1 (ko) 1998-04-14

Family

ID=1943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2346U KR0113611Y1 (ko) 1995-12-18 1995-12-18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6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826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580B1 (ko) 롤러 헤밍용 행거 장치
CN112108794A (zh) 汽车总拼夹具系统及多车型总拼立体库
KR0113611Y1 (ko) 브레이크 부스터 조립지그
JP6481007B1 (ja) プレスブレーキ用のフロントテーブル装置
US20080083258A1 (en) Tilting System for a Flanging Device
CN1253267C (zh) 具有管状工件拉伸或缩口成形用固定工件夹具的多功能卧式压力机
FI96284B (fi) Autonkorin oikaisulaite ja menetelmä autonkorin oikaisutyössä
KR100748675B1 (ko) 프레스용 금형 클램프 장치
ATE149123T1 (de) Diebstahlschutz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zum blockieren der brems- und kupplungspedale
CN219379755U (zh) 一种汽车零件加工用夹具
JPH0347699Y2 (ko)
CN212926927U (zh) 一种建筑施工气动夹钳
CN219582057U (zh) 钢结构焊接夹具
CN214134649U (zh) 一种手动气控夹具
JP3160063B2 (ja) 曲げ加工機の金型クランプ装置
JP2751524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支持構造
JPS59200Y2 (ja) 金型自動クランプ装置
KR19980048057A (ko) 너트 고정장치
JP2565425Y2 (ja) クランプ装置
JPH0525861Y2 (ko)
US7523636B2 (en) Front clamping system with movable intermediate bars for clamping asymmetric bending tools with a front or rear orientation
JP2861769B2 (ja) プレスの型調整装置
JPH0614891Y2 (ja) バーリング装置
JPH0646925U (ja) 横型射出成形機の金型固定用クランプ取付け装置
JPH02265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