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380Y1 -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 - Google Patents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380Y1
KR0113380Y1 KR2019930027364U KR930027364U KR0113380Y1 KR 0113380 Y1 KR0113380 Y1 KR 0113380Y1 KR 2019930027364 U KR2019930027364 U KR 2019930027364U KR 930027364 U KR930027364 U KR 930027364U KR 0113380 Y1 KR0113380 Y1 KR 011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rolling ball
accelerator pedal
groov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773U (ko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7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380Y1/ko
Publication of KR950017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3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에 관한 것으로써, 페달축에 스프링을 가지는 구름볼을 설치하고 페달에는 물결무늬 홈을 형성하여서 페달을 밟으면 상기 페달축의 구름볼위로 페달로드의 물결무늬가 한단씩 넘어가며, 이에 따른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운전자의 본의 아닌 급가속을 예방하고, 등가속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식 가속기 페달
제1도는 자동차용 가속기 페달의 구성 참고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가속기 페달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달측 2 : 고정원판
3 : 페달로드 4 : 물결무늬홈
5 : 회전원판 6 : 설치홈
7 : 스프링 8 : 구름볼
9 : 스냅링 10 : 페달
11' : 가속케이블
본 고안은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페달축에 스프링을 가지는 구름볼을 설치하고, 페달에는 물결무늬의 홈을 형성하여 다단식으로 가속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용 가속기 페달은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로드(3)의 중간부가 페달축(1)으로 지지되어 기화기의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와 연결되는 가속테이블(11)의 일단과 연결되어져 있어서, 가속페달(10)을 밟으면 페달로드(3)가 페달축(1)을 중심으로 시이소 운동되며 상기 가속테이블(l1)을 당겨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가속기 페달은 단순히 사용자의 밟는 힘에 따라 가속테이블(11)을 당겨주므로 초보자는 물론, 경험자도 상기 가속페달(10)의 조정이 쉽지 않으며, 가속페달(10)을 밟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가속도를 유지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페달축에 스프링을 가지는 구름볼을 설치하고 페달에는 물결무늬 홈을 형성하여서 페달을 밟으면 상기 페달축의 구름볼위로 페달로드의 물결무늬가 한단씩 넘어가며, 이에 따른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운전자의 본의 아닌 급가속을 예방하고, 등가속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페달축(1)에는 고정원판(2)이 형성되고, 페달로드(3)에는 물결무늬홈(4)을 가지는 회전원판(5)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페달축(1)의 고정원판(2)에는 설치홈(6) 내에 스프링(7)을 가지는 구름볼(8)이 설치되어서, 상기 고정원판(2)의 구름볼(8)이 회전원판(5)의 물결무늬홈(4)과 맞물려지도록 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써, 페달로드(3)를 지지하기 위한 페달축(1)에는 적정갯수의 설치홈(6)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6) 내에는 구름볼(8)이 스프링(7)으로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페달로드(3)의 선단에는 회전원판(5)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원판(5)의 일측에는 물결무늬홈(4)이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원판(2)의 구름볼(8)이 고정원판(2)의 물결무늬홈(4)과 맞물려지도록 되어져 있다.
물론, 상기 페달축(1)의 고정원판(2)과 페달로드(3)의 회전원판(5)은 페달축(1)의 선단에 체결되는 스냅링(9)이나 너트 등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7)이 일정한 압력을 갖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페달(10)을 밟기 전의 상태에서는 고정원판(2)의 구름볼(8)이 물결무늬홈(4)의 각 홈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운전자가 적정가 압력 이상으로 페달(10)을 밟게 되면, 회전원판(5)의 물결무늬홈(4)에 걸려졌던 구름볼(8)이 스프링(7)을 누르면서 설치홈(6) 내로 왕복운동되며 상기 물결무늬홈(4)의 다음 위치로 이동되고, 다시 적정가 압력이 가해지기 이전까지는 상기 구름볼(8)이 물결무늬홈(8)의 다음 위치로 이동되지 않고 현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운전자의 페달(10)을 밟는 힘에 따라 회전원판(5)이 회전되게 되므로써 점차 가속이 이루어지며, 페달(10)을 밟은 가압력이 적정범위(물결무늬홈(4)이 스프링(7)으로 탄지된 구름볼(8)을 누르며, 이웃하는 물결무늬홈(4)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는 정도의 가압력 범위)내에 있는 상태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계속적으로 유지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페달(10)을 밟는 힘이 다소 변하여도 급가속이나 급감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섬세한 가속기 페달을 다단식으로 구성하므로써 보다 안정된 가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페달축(1)에는 고정원판(2)이 형성되고, 페달로드(3)에는 물결무늬홈(4)을 가지는 회전원판(5)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페달측(1)의 고정원판(2)에는 설치홈(6)내에 스프링(7)을 가지는 구름볼(8)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원판(2)의 구름볼(8)이 회전원판(5)의 물결무늬홈(4)과 맞물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단식 가속기 페달.
KR2019930027364U 1993-12-11 1993-12-11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 KR011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364U KR0113380Y1 (ko) 1993-12-11 1993-12-11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364U KR0113380Y1 (ko) 1993-12-11 1993-12-11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73U KR950017773U (ko) 1995-07-22
KR0113380Y1 true KR0113380Y1 (ko) 1998-04-10

Family

ID=1937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364U KR0113380Y1 (ko) 1993-12-11 1993-12-11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3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546B1 (ko) * 2013-12-12 2015-07-06 동서콘트롤(주) 산업차량용 전자식 양방향 페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73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807B1 (ko) 히스테리시스-발생 구조물을 구비한 전자식 스로틀 제어장치용 페달 조립체
EP0875414A3 (en) Vehicle drive force control device
GB2201206A (en)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for a brake
KR0113380Y1 (ko) 다단식 가속기 페달(accelerator pedal)
US5802924A (en) Shroud for a vehicle steering column
US4972817A (en) Apparatus having a control motor for intervention into a transmission device
JP3001636B2 (ja) 歯車対
US4901953A (en) Controller for railway vehicles
US6098489A (en) Push-on adjustable cable strand end-fitting
ITRM960894A1 (it) Complesso di un elemento di regolazione della velocita' e dell'angolo di sterzata di un autoveicolo
KR100348042B1 (ko) 차량의 가속페달 설치장치
US5524590A (en) Effort linearization device of accelerator pedal
KR0153333B1 (ko) 자동차의 자동 정속 주행장치
JPH0429067Y2 (ko)
FR2600134B2 (fr) Dispositif de reglage de la position angulaire d'un organe comportant un moyeu sur un arbre, notamment d'un volant de direction sur un arbr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KR200162660Y1 (ko) 확정된 릴리이즈 베어링 접촉면적을 갖는 다이어프램 스프링 타입의 마찰 클러치의 커버 조립체
KR0119989Y1 (ko) 엑셀러레이터 페달의 조작력 선형화장치
JPH0469302B2 (ko)
JPH0318672Y2 (ko)
KR100354006B1 (ko) 차량의 스로틀 밸브 레버 리턴 장치
US4753120A (en) Friction impulse transmission mechanism
JPH0445953Y2 (ko)
KR0156455B1 (ko) 회전속도 감응형 온/오프 스위치장치
US2267460A (en) Steering wheel switch
JPS591076Y2 (ja) アクセルレ−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