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262Y1 -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 Google Patents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262Y1
KR0113262Y1 KR2019940032450U KR19940032450U KR0113262Y1 KR 0113262 Y1 KR0113262 Y1 KR 0113262Y1 KR 2019940032450 U KR2019940032450 U KR 2019940032450U KR 19940032450 U KR19940032450 U KR 19940032450U KR 0113262 Y1 KR0113262 Y1 KR 0113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convex lens
light
lam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083U (ko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40032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262Y1/ko
Publication of KR960017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35Brak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윈도우(6)의 중앙 하단부와 리어 셀프(8)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케이싱(41)과, 케이싱(41) 내에 구비된 램프(43), 그리고 반투명체 커버(45)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에 있어서, 상기 리어 윈도우(6)의 중앙하단부에는 소정크기의 볼록렌즈(47)가 구비되며,상기 반투명체 커버(45)는 상기 볼록렌즈(47)로 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구비되고, 그 크기는 상기 볼록렌즈(47)에 의한 빛의 경로 중의 가장 바깥쪽 경로(P) 내에 존재하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외부에서 파악되는 제동신호의 효과를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그 크기를 작게 할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동차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을뿐더러, 그 외관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제 1 도는 자동차와 리어 윈도우 및 리어 셀프에 인접하여 구비된 일반적인 보조제동등을 도시하는 도면
제 2 도는 제1도를 확대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자동차 4 : 보조제동등
6 : 리어윈도우 8 : 러어 셀프
41 : 케이싱 43 : 램프
45 : 반투명체 커버 47 : 볼록렌즈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 동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조제동등은 제동등과 아울러 자동차와 제동상태를 후속 차량에 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최근에 생산되고 있는 자동차 중 해치백 타입 승용차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보조제동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노치백 타입 승용차의 경우에도 선택사양으로 보조제동등이 장착되는 수가 있다.
제 1도에 보조제동등(4)이 구비된 자동차(2)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제동등(4)은 대략 리어 윈도우(Real Window)(6)의 중앙 하단부와 리어 셀프(Real Self)(8)에 인접하여 위치되는데, 이 보조제동등(4)은 케이싱(Casing)(41)과, 케이싱(41) 내에 구비된 램프(43), 그리고 반투명체 커버(4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반투명체 커버(45)는 보통 적색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제동등(4)은 자동차와 푸트 브레이크 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램프(43)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서 램프(43)가 점등되고 램프(43)에서 발생한 빛이 적색의 반투명체 커버(45)를 조사하여 이 반투명체 커버(45)가 외관상 적색으로 보이게 됨으로서 자동차의 제동상태를 후방에 알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보조제동등(4)은 충분한 크기로 보이게 하기 위하여 충분한 크기의 반투명체 커버(45)가 필요하고, 이에 부수적으로 소정의 광도를 얻기 위한 소비전력이 큰 램프(43), 그리고 이들이 수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가진 케이싱(41)을 필요로 하므로 필요 이상으로 큰 크기가 되어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더러 자동차 실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그 외관도 별로 미려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조제동등이 가진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은 리어 윈도우의 중앙 하단부와 리어 셀프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케이싱과 램프,그리고 반투명체 커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에 있어서, 상기 리어윈도우의 중앙 하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볼록렌즈가 구비되며, 상기 반투명체 커버는 상기 볼록렌즈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구비되고, 그 크기는 상기 볼록렌즈에 의한 빛의 경로 중의 가장 바깥쪽 경로내에 존재하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보조제동등(4)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4)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4)은 자동차(2)의 리어윈도우(6)의 중앙 하단부에 부착되는 볼록렌즈(47)를 포함한다. 상기 볼록렌즈(47)의 크기는 종래의 반투명체 커버(45)의 크기와 같게 형성된다. 그리고 반투명체 커버(45)의 크기는 상기 볼록렌즈(47)에 의한 빛의 경로중의 가장 바깥쪽 경로(P)내에 존재하는 크기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렌즈(47)와 상기 반투명체 커버(45)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또한 상기 보조제동등(4)의 크기는 정확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반투명체 커버(45)가 종래의 반투명체 커버(45)보다 작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일반적인 보조제동등(4)보다 작다.
본 고안에 따른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4)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푸트브레이크 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에 따라 램트(43)의 점등에 의한 빛이 적색의 반투명체 커버(45)를 조사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같이 반투명체 커버(45)의 크기가 경로(P) 내에 존재하여 종래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낮은 램프(43)를 사용하여도 반투명체 커버(45)를 충분히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램프(43)의 크기도 작은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반투명체 커버(45)가 적색으로 비추어지는 크기는 종래보다 작지만 이것은 볼록렌즈(47)에 의하여 확대되어 보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파악되는 제동신호의 크기는 종래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반투명체 커버(45)의 크기를 종래의 반투명체 커버(45)보다 작게 할수 있고, 아울러 램프(43)및 케이싱(41)의 크기를 종래의 램프(43)및 케이싱(41)의 크기보다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제동등(4)와 크기를 전체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4)에 의하면, 외부에서 파악되는 제동신호의 효과를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그크기를 작게 할수 있으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동차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더러, 그 외관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리어 윈도우(6)의 중앙 하단부와 리어 셀프(8)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케이싱(41)과, 케이싱(41)내에 구비된 램프(43), 그리고 반투명체 커버(45)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보조제동등에 있어서,
    상기 리어 윈도우(6)의 중앙 하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볼록렌즈(47)가 구비되며,
    상기 반투명체 커버(45)는 상기 볼록렌즈(47)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 구비되고, 그 크기는 상기 볼록렌즈(47)에 의한 빛의 경로중이 가장 바깥쪽 경로(P)내에 존재하는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KR2019940032450U 1994-11-30 1994-11-30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KR0113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50U KR0113262Y1 (ko) 1994-11-30 1994-11-30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50U KR0113262Y1 (ko) 1994-11-30 1994-11-30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83U KR960017083U (ko) 1996-06-17
KR0113262Y1 true KR0113262Y1 (ko) 1998-04-13

Family

ID=1940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450U KR0113262Y1 (ko) 1994-11-30 1994-11-30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2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83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3262Y1 (ko) 볼록렌즈를 구비한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US4777569A (en) Three-way lamp assembly for automobiles
JPH0343868Y2 (ko)
KR200154237Y1 (ko) 자동차용실내등구조
JPS6088650A (ja) 自動車用灯具
KR0129693Y1 (ko) 자동차의 이원화된 램프
JPS60229837A (ja) 車両用灯具
KR970006282Y1 (ko) 자동차의 후진램프 및 그의 회로
KR100269962B1 (ko) 자동점등되는 절전형 비상등
KR100520362B1 (ko) 자동차의 패키지트레이에 장착되는 스톱램프용 벌브홀더
KR970002662Y1 (ko) 자동차용 후사등
KR19980052582U (ko)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예비용 벌브 보관함
KR0158256B1 (ko) 자동차용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KR0173280B1 (ko) 자동차용 회전식 보조 브레이크등 표시장치
KR19980018602U (ko) 식별이 용이한 스위치를 지닌 실내등 조립체
KR0153149B1 (ko) 자동차용 안개등
KR100264000B1 (ko) 차량용리어퍼스널램프
JPS635954Y2 (ko)
KR970043716A (ko) 등화램프 확인등을 구비한 자동차의 도어 핸들
KR19980062517A (ko) 자동차의 램프 내장형 도어 아우터 핸들
KR19990023583U (ko) 라이트 칼라 구조
KR19980039406U (ko) 차량의 리어 상부 브레이크 등 설치구조
KR19980045554U (ko) 자동차용 접이식 후방램프
KR19980045207U (ko) 리어 컴비네이션램프의 고정장치
KR19980016173U (ko) 자동차의 룸램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