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765Y1 -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 Google Patents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765Y1
KR0112765Y1 KR2019940017596U KR19940017596U KR0112765Y1 KR 0112765 Y1 KR0112765 Y1 KR 0112765Y1 KR 2019940017596 U KR2019940017596 U KR 2019940017596U KR 19940017596 U KR19940017596 U KR 19940017596U KR 0112765 Y1 KR0112765 Y1 KR 0112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cket
female connector
fasten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425U (ko
Inventor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40017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765Y1/ko
Publication of KR960006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숫 콘넥터와 암 콘넥터를 체결할 때 암 콘넥터의 밑부분을 체결나사의 조임에 의해 위로 들려 핀이 빠지면서 전자통신 장비의 오동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암 콘넥터의 날개부에 의해 받침대의 탄성편이 절단되는 현상과, 체결나사의 조임정도가 심할 경우 전면판의 구멍이 파손되어 암 콘넥터를 숫 콘넥터에 정확히 체결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를 개선코자 하여 본 고안은 상,하 가이드공(2)(2a)과 걸림턱(3) 그리고 절곡부(6)가 형성된 브라켓트(1)를 이용하여 암 콘넥터(10)를 숫 콘넥터(9)에 상호 체결 설치하므로써, 외부의 충격, 진동에 의하여 콘넥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시에는 솝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콘넥터가 전자통신 장비에 결합설치되는 분해 사시도.
제2a도는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b, c도는 a도의 결합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 브라켓트에 의해 콘넥터가 결합설치되는 분해 사시도.
제4a도, b, c도는 본 고안 브라켓트에 의해 콘넥터가 결합설치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라켓트 2,2a : 상,하 가이드공
3 : 걸림턱 4 : 보강부
5 : 장공 6 : 절곡부
7 : 요입홈
본 고안은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통신장비에 결합설치되는 콘넥터를 상,하 가이드공과 걸림턱 그리고 절곡부가 형성된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므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콘넥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지보수시에는 손쉽게 착탈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콘넥터를 전자통신 장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8) 및 숫 콘넥터(9)가 설치된 전면판(11)의 상부구멍(12)에 체결공(14a)이 형성된 지지용 나사(14)를 설치한 다음 암 콘넥터(10)를 체결나사(15)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용 나사(14)의 체결공(14a)에 체결설치하는 구조로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 기술은 숫 콘넥터(9)와 암 콘넥터(10)를 체결할 때 암 콘넥터(10)의 하단부가 체결나사(15)의 조임에 의해 위로 들려 핀이 빠지면서 전자통신 장비가 오동작이 발생될 소지가 있었으며, 또한 상기 지지용 나사(14)의 체결공(14a)에 체결나사(15)를 여러번 착탈시에는 체결공(14a)이 마모가 되어 암 콘넥터(10)를 정확하고 이동없이 숫 콘넥터(9)에 체결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다른 실시예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 기판(8) 및 숫 콘넥터(9)가 설치된 전면판(11)의 하부구멍(12a)에 탄성편(16a)이 형성된 받침대(16)를 제1 체결나사(13a)로 고정 설치한 다음 암 콘넥터(10)를 제2 체결나사(13)를 이용 전면판(11)의 상부구멍(12)에 체결설치 한다.
이때 상기 암 콘넥터(10)의 하단날개부(10a)는 제2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6)의 절곡된 탄성편(16a)을 아래로 누르면서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후 가상선의 제2 체결나사(13)는 화살표 방향으로 조인다음 실선의 상태로 상호 체결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또한 암 콘넥터(10)를 숫 콘넥터(9)에 자주 체결할 시에는 상기 암 콘넥터(10)의 하단날개부(10a)에 의해 받침대(16)의 탄성편(16a)이 피로 현상이 발생하여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또한 암 콘넥터(10)의 상단 날개부 (10b)와 전면판(11)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제2 체결나사(13)의 체결정도를 조정하기 어렵고 그로인한 조임정도가 심할 경우 전면판(11)의 상부구멍(12)이 파손되어 정확히 암 콘넥터(10)를 숫 콘넥터(9)에 체결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하 가이드공과 걸림턱이 형성된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암 콘넥터를 숫 콘넥터에 체결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하여 콘넥터가 이동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지 보수시에는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를 제공코자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에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기판(8) 및 숫 콘넥터(9)가 구비된 전면판(11)의 하부구멍(12a)에 중앙에는 장공(5)및 양단에는 휨 방지용 보강부(4)가 형성된 브라켓트(1)를 제1 체결나사(13a)를 이용하여 체결설치하며, 상기 브라켓트 (1)에는 암 콘넥터(10)와 숫 콘넥터(9)의 체결시 상, 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 역할을 하는 상, 하부 가이드공(2)(2a)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트(1)의 하단에는 암 콘넥터(10)의 하단 발내부(10a)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3)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트(1)의 상단 절곡부(6)에 형성된 요입흠(7)에는 제2 체결나사(13)가 암 콘넥터(10)의 상단날개부(10b)와 함께 브라켓트(1)의 상부 가이드공(2)과 전면판(11)의 상부구멍(12)에 체결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의 (a)(b)(c)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고시한 것으로서 우선 PCB 기판(8)과 숫 콘넥터(9)가 구비된 전면판(11)의 하부구멍(12a)에 브라켓트(1)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공(2a)과 맞춘 후 제1 체결나사(13a)로 상호체결시킨다. 이때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트(1)는 화살표 방향인 아랫방향으로 소정간격 이동시킨후 체결하는 것으로 체결정도는 브라켓트(1)가 흘러내리지 않고 상,하로 움직일수 있을 정도로 체결시킨다. 이후 제4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암 콘넥터(10)를 숫 콘넥터(9)에 체결시킴과 동시에 걸림턱(3)이 형성된 브라켓트(1)를 화살표 방향인 상부로 밀어 암 콘넥터(10)의 하단날개부(10a)를 지지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어서 암 콘넥터(10)의 상단 날개부(10b)는 브라켓트(1)의 절곡부(6)면과 정확히 수직인 상태로 맞닿은 상태여서 작업자가 제2체결나사(13)로 상호 체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2 체결나사(13)는 브라켓트(1)의 요입흠(7)과 상부 가이드공(2) 그리고 전면판(11)의 상부 구멍(12)에 차례로 체결실치되는 것이다.
만일 암 콘넥터(10)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체결방식의 역순으로 작동시키면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각종 전자통신 장비에 결합 설치되는 콘넥터를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체결설치하므로써, 외부에 충격, 진동에 의한 콘넥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지보수시에도 손쉽게 착탈시킬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과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숫 콘넥터(9)와 암 콘넥터(10)의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체결 가능하도록한 브라켓트(1)를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트(1)의 중앙에 형성된 장공(5) 상, 하단에는 숫 콘넥터(9)와 암 콘넥터(10)를 제1, 제2 체결나사(13a)(13)로 전면판(11)의 상, 하 구멍(12)(12a)에 체결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 가이드 역활도 할수 있도록한 상, 하 가이드공(2)(2a)과, 상기 브라켓트(1)의 양측단에 브라켓트(11)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보강부(4)와, 상기 브라켓트(1)의 상단부의 요입홈(7)에는 상기 제2 체결나사(13)로 암 콘넥터(10)의 상단날개부(10b)와 체결시 수직유지를 시키거나 전면판(11)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상단절곡부(6)와, 상기 브라켓트의 하단에는 상기 암 콘넥터(10)에 형성시킨 하단날개부(10a)를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한 걸림편(3)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KR2019940017596U 1994-07-15 1994-07-15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KR0112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596U KR0112765Y1 (ko) 1994-07-15 1994-07-15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596U KR0112765Y1 (ko) 1994-07-15 1994-07-15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425U KR960006425U (ko) 1996-02-17
KR0112765Y1 true KR0112765Y1 (ko) 1998-04-15

Family

ID=1938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596U KR0112765Y1 (ko) 1994-07-15 1994-07-15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7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978B1 (ko) * 2000-03-20 2003-09-0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래칭 포스트, 래칭 장치 및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875B1 (ko) * 2001-07-23 2004-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내에 수납된 반도체 칩들의 수납 상태를 검사하는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978B1 (ko) * 2000-03-20 2003-09-0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래칭 포스트, 래칭 장치 및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425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4764A1 (en) Auxiliary support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and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KR0112765Y1 (ko) 콘넥터 고정용 브라켓트 장치
US10388588B2 (en) Heast sink fastening seat for use with electrical connector
CN101164393A (zh) 控制装置
JP2599019Y2 (ja) 照明器具の取付け構造
JPS6313622Y2 (ko)
KR200307048Y1 (ko) 기판보드어셈블리의 후크 방식의 전면판 착탈장치
KR100532152B1 (ko) 차단기 받침대
KR200179727Y1 (ko) 전자제품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200302830Y1 (ko) 부품공급기의 판스프링 설치구조
JP7476610B2 (ja) 照明器具
JPH046133Y2 (ko)
KR0116005Y1 (ko) 테이프레코더의 회로기판 접지판
JP2793353B2 (ja) 軒樋支持金具の取付け装置
KR100600147B1 (ko) 오버헤드콘솔램프의 커넥터 고정구조
KR960005903Y1 (ko) 전자 통신장치의 고정구조
KR940004959Y1 (ko) 전원 코드 고정장치
KR20000007293U (ko) 회로기판 접지구조
KR930003626Y1 (ko) 변, 복조 장치의 케이스와 커버 결합구조
JPH0231687Y2 (ko)
JP2000166029A (ja) 分電盤の機器取付具
KR970006792Y1 (ko) 전자부품 고정구
KR920006108Y1 (ko) 퍼스널컴퓨터용 옵션카드의 고정브래킷
KR20240053417A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KR20000014568U (ko) 회로기판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