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940B1 -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940B1
KR950001940B1 KR1019880701737A KR880701737A KR950001940B1 KR 950001940 B1 KR950001940 B1 KR 950001940B1 KR 1019880701737 A KR1019880701737 A KR 1019880701737A KR 880701737 A KR880701737 A KR 880701737A KR 950001940 B1 KR950001940 B1 KR 95000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ge
layout
edi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2111A (ko
Inventor
아끼또 미요시
데라이히로미쯔
Original Assignee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가까와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623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1623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2427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66771A/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가까와 가즈오 filed Critical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70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22Arrangements for sorting or merging computer data on continuous record carriers, e.g. tape, drum, disc
    • G06F7/32Merging, i.e. combining data contained in ordered sequence on at least two record carriers to produce a single carrier or set of carriers having all the original data in the ordered sequence merging methods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집장치의 개략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에 의한 제1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4도는 기본 레이아웃코드의 서식을 나타낸 도.
제5도는 이미지 테이터 또는 문서 데이터를 신규 입력했을 경우의 그 데이터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
제6도는 기종정보중의 스펙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
제7도는 기종정보중의 서비스 데이터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 서식을 나타낸 도.
제8도는 기종정보중의 토오크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
제9도는 편집시에 변화되는 이미지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
제10도는 제7도에 나타낸 서비스 데이터편집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만을 나타낸 도.
제11도는 새 책 작성파일을 나타낸 도.
제12도는 기본 레이아웃코드로부터 변환후 레이아웃코드가 작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제13도는 기본 레이아웃의 표시화면의 1예를 나타낸 도.
제14도는 편집시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1예를 나타낸 도.
제15도는 신규 입력된 이미지 정보의 1요소분의 데이터 임시 키이가 요소데이터 키이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제16도는 신규 입력된 문서정보의 1요소분의 데이터의 임시 키이가 요소키이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제17도는 편집시에 변환되는, 문서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 서식을 나타낸 도.
제18도는 편집기에 있어서 작성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 서식을 나타낸 도.
제19도는 레이아웃 D/B(11)내에 등록되므로 호스트 컴퓨터에 있어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
제20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집장치에 의한 제2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21도는 제20도의 스텝(S104)에 있어서의 데이터 갱신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제22도는 문서 D/B(12)내에 설정된 문서 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
제23도는 문서 검색용 테이블의 계층구조를 나타낸 모식도.
제2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집장치에 의한 검색의 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25도는 환산구분과, 이미지구분과 서비스 테이터의 CRT 상에서의 표시와의 관계를 나타낸 표.
제2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2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28도는 다른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
제29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30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31도는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내에서의 데이터의 관리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제32, 33, 34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록도.
제3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검색의 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검색을 용이하고 또 효율좋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를 사용한 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밀번호에 의하여 관리된 프로텍트 기능을 가지고, 자동차, 전기제품 등의 취급설명서, 일반서적, 잡지, 신문등(이하, 단지 책이라 한다)의 편집을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최근, 책의 편집작업을 퍼스널 컴퓨터, 워크스테션(편집기)등을 사용하여 행하도록 되게 되었다. 이 경우, 책의 편집작업은 각 페이지별로 문서, 삽화등의 데이터를 모두 신규로 입력함으로써 행해지고, 편집된 책의 정보는 각 페이지별에 기억된다. 그러나, 종래의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서로 공용할 수 있는 문서, 삽화등이 많아도 공용할 수 없으며, 그들의 문서, 삽화등을 모두 신규로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때문에 책의 작성에 시간과 수고가 들고 그 제작비가 증대하였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서, 삽화, 사진등의 각종 요소데이터에 공용인 서식을 가지는 요소데이터 키이를 각 요소데이터에 부가하여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공용데이터로서 취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 데이터를 사용하여 편집된 책의 데이터를,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와, 요소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여 보존하고, 다시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와 임의의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편집장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 다시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와 요소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여 보존할 수 있도록 되므로, 다시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와 임의의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재구성하도록 하며, 공통인 요소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데이터를 신규로 입력하는 일없이, 공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책의 편집이 용이하게 행해지게 되면, 책의 편집이 허가되어 있지 않는 조작자가 책의 편집을 행하거나, 이미 편집된 책의 내용을 바꿔써버릴 염려가 있다. 또한 책의 구성을 각종 데이터가 편집된 책중에서만 아니라, 요소데이터로서도 기억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아직 공개되어 있지 않은 요소데이터가 허가없이 열람되거나 또는 개변될 위험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개변의 문제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개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적류의 편집, 열람을 허가된 조작자의 비밀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 기억수단을 설치하고, 편집을 행하도록 한 조작자의 비밀번호가 그 비밀번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편집을 가능케하고,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편집을 금지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조작자의 비밀번호에 따라 편집, 열람의 허가를 판단함으로써 책 및 요소데이터에 대한 비밀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미 축적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새 책에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좋게 검색하는 데이터 처리수단도 제공한다.
통상,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하여 데이터 검색을 행하는 경우, 미리 각종 데이터에 대응하는 타이틀(항목)을 등록해두고, 필요로 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항목(이하, 데이터항목)을, 데이터 처리장치에 입력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얻는다.
종래의 데이터 검색수단의 일예에는, 상기 항목을 계층구조로 등록해두고, 데이터 항목을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개념을 순차 한정하고, 최종적으로 큰 개념으로부터 한정한 항목이, 데이터 항목과 일치한 곳에서 그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 있고, 이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즉, 데이터 검색을 개시하면, CRT 등의 디스플레이상에 대색인으로서의 항목이 나타난다. 여기서 조작자가 그 항목중에서, 데이터 항목의 내용을 포함하는 1개의 항목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상에는, 그 항목의 내용을 다시 분할한 중색인으로서의 항목이 나타난다.
여기서, 조작자가 그 항목중에서 다시 데이터 항목의 내용을 포함하는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상에는 그 항목의 내용을 다시 분할한 소색인으로서의 항목이 나타난다.
이하 마찬가지로 큰 개념에서 한정되어 있던 항목이 데이터 항목과 일치할때까지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일치한 곳에서 그 항목을 선택하고,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얻는 것이다.
종래의 데이터 검색수단의 다른 예에는 데이터 항목을 직접 입력하는 것이 있고, 이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즉, 데이터 처리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모두에 대하여 그 데이터와 1 대1로 대응한 인덱스가 할당되어 있고, 디스플레이상에 모든 항목 및 안덱스를 표시한 후, 키보드등의 입력수단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데이터에 대응한 인덱스를 입력함으로써 필오로 하는 데이터를 얻는 데이터 처리장치가 있었다.
여기서, 상기한 각 종래 기술에 관하여, 일본국내의 도시의 인구, 면적등을 검색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신주꾸구의 인구를 조사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1) 큰 개념을 순차 한정하여 데이터 항목에 일치시키는 종래의 데이터 검색수단의 일예에서는,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면, 디스플레이상에는, 대색인으로서의 항목인 47도도후겐 명이 표기된다. 여기서 조작자는 희망하는 신주꾸구의 인구를 포함하는 항목으로서 도쿄도를 선택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상에는 중색인으로서의 항목인 도쿄도를 구성하는 23구의 명칭 및 시, 마찌, 무라, 명이 표시된다. 여기서 조작자는 희망하는 신주꾸구의 인구를 포함하는 항목으로서 신주꾸구를 선택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상에는 소색인으로서의 항목인 인구, 면적, 세대수가 표시한다. 이 시점에 있어서, 큰 개념으로 한정되어 있던 상기 소색인으로서의 항목중의 인구가 희망하는 데이터의 항목인 신주꾸구의 인구와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소색인에 있어서, 인구를 선택하므로써 신주꾸구의 인구의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2) 데이터의 모두에 인덱스가 할당되어 있는 종래의 데이터 검색수단의 다른 예에서는,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면 디스플레이상에 모든 항목 및 그 항목에 대응한 인덱스가 표시됨과 동시에 데이터 항목과 대응한 인덱스를 입력하는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여기서 조작자는 신주꾸구의 인구에 대응한 인덱스를 입력하면, 신주꾸구의 인구의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데이터 희망 항목이 시부야구의 인구이면 시부약의 인구에 대응한 인덱스를 입력함으로써 시부야구의 인구의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상기한 커다란 개념을 순차 한정하여 데이터 항목에 일치시키는 종래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 검색은 항상 최상위 개념의 항목이 표시됨으로써 개시되므로 큰 개념의 범주를 순차 한정하고, 데이터 항목에 일치시킬때까지의 스텝이 많은 경우, 그 스텝에 소비하는 시간 및 수고가 증대하고, 효율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스텝마다, 항상 선택하기 위한 항목이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기 때문에, 경험이 적은 조작자에 있어서는 쉽게 익숙해지는 것이나, 경험이 많은 조작자가 학습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조작자의 경험이 많아도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2) 상기한 종래 데이터 처리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는 데이터의 전부에 인덱스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얻을 경우, 조작자가 그 데이터에 대응한 인덱스를 입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소정 항목을 찾는 것이 귀찮고, 또 데이터의 수가 많고, 항목 및 인덱스가 복수화면에 걸쳐서 표시되는 경우는, 화면을 스크로울 시키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필요한 데이터를 좀처럼 얻을 수 없다는 염려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이틀 및 인덱스가 계층 구조로 기억된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과, 제n 차 계측 인덱스를 입력하기 위한 제n차 계층 인덱스 입력수단과, 제n차 계층 인덱스에 대응한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으로부터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과,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그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에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존재 판별수단과,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때에 요소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요소데이터 독출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결과, 제n차 계층 인덱스를, 인덱스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했을 경우,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에 존재할때에는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표기 수단에 표시되고, 존재하지 않을때에는 요소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n차 계층 인덱스에 대응한 데이터가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즉, 제n 차 계층 인덱스를 입력함으로써, 임의의 계층으로부터 데이터 검색을 개시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그전에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집장치의 개략구조와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문서, 사진, 삽화등의 입출력을 행하는 복수의 편집기(워크스테이션)(3-1 내지 3-N)는 그들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2)에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각 편집기는 입력되는 문서, 사진, 삽화등의 정보를 백터 변환하여 입력한다.
상기 편집기(3-1)에는 CRT(6)가, 상기 편집기(3-2)에는 프린터(7)가, 상기 편집기(3-3)에는 주사기(8)가, 그리고 상기 편집기(3-N)에는 퍼스널 컴퓨터(9) 및 CRT(1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편집기(3-1 내지 3-N)에는 각각 키이보드(5-1 내지 5-N)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기(중계용 중형 컴퓨터)(2)는 다시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책 D/B(데이터 베이스)(21), 요소 D/B(22) 및 레이아웃 기본 D/B(23)는, 상기 시스템 제어기(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기(2)는 상기 각 편집기(3-1 내지 3-N)를 제어하고, 각 편집기와 페이지단위, 또는 1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문서, 사진, 삽화등)단위로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1)는 예를 들면 IBM 사제 IBM 3090등의 대형범용 컴퓨터이다. 상기 시스템 제어기(2),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 및 레이아웃 D/B(데이터 베이스)(11), 문서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는, 해당 편집장치의 전용기이거나 또는 후기하는 퍼스널 컴퓨터(31-1 내지 31-N)와 마찬가지로 해당 편집장치에 의한 편집목적 이외의 목적에 사용되는 범용기이더라도 좋다.
상기 편집기(3-1 내지 3-N)가, 상기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는 언어이외의 언어(이하, 특수언어라 칭한다)를 입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기(2)에 상기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로부터 그 특수언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기(2)에는, 상기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를 상기 각 편집기(3-1 내지 3-N)로부터 입력되는 문서와 마찬가지로 백터 변환되는 소트트웨어로 구비되어 있다.
해당 편집장치에 의한 편집목적 이외의 목적에 사용된 퍼스널 컴퓨터(31-1 내지 31-N) 및 D/B(32-1 내지 32-N)등은, 상기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2도의 파선으로 둘러싸여진 기기는 해당 편집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1)는, 상기 D/B(11 내지 14)내에 기억된 정보로부터, 책 1권의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것을 시스템 제어기(2)에 전송한다. 또 상기 시스템 제어기(2)는 편집기에서 편집된 1페이지분의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1)에 전송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2도의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는 기본적으로 후기하는 2개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로운 책을 작성(편집)할 수가 있다.
(A) 새로운 책을 신규로 작성할 경우, 즉 각 페이지에 개재하는 문서, 삽화, 사진등을 모두 신규로 입력함으로써 책을 작성할 경우의 편집수법, 이하 제1의 편집수법이라 칭한다.
(B) 해당 편집장치를 사용하여 이미 편집. 작성되어 있는 다른 책을 사용하여 새로운 책을 작성하는 경우, 즉, 상기 다른 책의 필요한 부분만을 이용하고 새로운 책 작성에 필요한 최소 부분만을 신규입력하여 새로운 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편집수법, 이하 제2의 편집수법이라 한다. 먼저 제1의 편집수법을 자동 2륜차등의 서비스 메뉴얼(이하, 단지 책이라 함)를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제3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에 의한 제1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3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S1)에서는 CRT가 접속된 편집기(예를 들면 편집기 3-1)에, 키이보드(5-1)를 사용하여 기본 레이아웃코드를 입력한다. 이 기본 레이아웃코드는 신규로 작성하는 책의 크기, 환언하면/페이지의 크기, 행수, 행간격, 숫자등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기본 레이아웃코드의 서식을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기본 레이아웃코드는 예를 들면 6바이트 길이의 레이아웃코드와 레이아웃 데이터와, 그 레이아웃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어느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 데이터를 LEN으로 약칭한다.
상기 레이아웃코드는 작성하고자 하는 책이 어느 제품 구분에 해당하는가른 나타낸 데이터와, 그 책의 배포지(나라)는 어디인가를 나타낸 데이터와, 그 책이 서비스 메뉴얼인가, 판매메뉴얼인가 등, 책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그 책이 일단 프레임조인가 2단의 프레임조인가 등, 책의 각 페이지 레이아웃을 나타낸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아웃 데이터는 각 페이지 사이즈, 즉 A6 세로, A6 가로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각 페이지 행수, 행간격, 숫자, 포인트, 서체, 괘선의 유무등을 나타낸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CRT에 있어서의 페이지 구체적인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는 이 레이아웃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어, 상기 레이아웃코드는 상기 레이아웃 데이터의 단순한 식별 코드이다. 상기 레이아웃는 스텝(S29, S30)에 관하여 후기하는 바와 같이, 해당 책의 식별 데이터인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로 변환된다.
이 레이아웃 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한 시점에서 그 레이아웃 데이터전에 그 레이아웃 데이터의 LEN이 부가된다.
이와 같이 레이아웃코드 레이아웃 데이터의 LEN 및 레이아웃 데이터에 의하여 기본 레이아웃코드가 생성된다.
제3도로 돌아와, 기본 레이아웃코드가 생성되면, 스텝(S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기(3-1)는 상기 기본 레이아웃코드를 시스템 제어기(2)는 전송하고, 그 시스템 제어기(2)는 상기 기본 레이아웃코드를 레이아웃 기본 D/B(23)에 등록(기억)한다.
이 기본 레이아웃코드의 등록이 종료하면, 다음에 스텝(S3) 내지 스텝(S24)에 있어서, 책의 각 페이지에 배치하도록 삽화, 사진, 문서등의 정보입력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삽화 및 사진을 이미지라 한다.
먼저, 스텝(S3)에 있어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이미지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입력하는 경우는 스텝(S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이보드(5-3)를 사용하여 편집기(3-3)에, 예를 들면 6바이트 길이의 임시 키이를 입력한다. 이 임시 키이는 입력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조작자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 식별부호이나, 그 선두 바이트에는 그 임시 키이가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것임을 나타낸 "D"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5)에 있어서는 주사기(8)로부터 이미지가 독해된다.
스텝(S23)에 있어서는, 요소 D/B(22)에 상기 임시 키이와, 독해된 이미지 데이터의 LEN과, 그 이미지 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등록된다.
상기 스텝(S3)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6)에 있어서 문서입력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입력할 경우는, 스텝(S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이보드(5-1)를 사용하여 편집기(3-1)로부터, 또는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어느 하나로부터 임시 키이를 입력한다. 이 임시 키이는 스텝(S4)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6바이트 길이로 구성되고 입력하고자 하는 문서의 조작자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 식별 부호이다. 또한, 이 경우는 상기 임시 키이의 선두 바이트에 그 임시 키이가 문서 데이터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T" 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8)에 있어서는 키이보드(5-1), 또는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어느 하나로부터 문서를 입력한다.
그리고, 스텝(S23)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7)에서 입력된 입시 키이와, 스텝(S8)에서 입력된 문서의 LEN과 그 문서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요소 D/B(22)에 등록된다.
이 스텝(S23)에 있어서는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를 제5도에 나타낸다.
상기 스텝(S6)에 있어서 문서입력이라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해당 입력이 기종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된다. 이 기종정보는 해당 자동 2륜차등의 정비데이터 사용 공구등의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종정보는, 스펙, 서비스 데이터 및 토오크이고 이들의 상세를 이하에 나타낸다.
(A) 스펙...... 예를 들면 해당 자동 2륜차등의 정비 데이터, 사용공구등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에 입력도는 정비항목, 명세서등을 나타낸 데이터이고, 영자숫자 및 카나, 한자로 구성된다.
즉 실린더 내경, 피스톤 외경등의 정비항목, 사용해야 할 엔진 오일의 명칭, 사용해야 할 공구의 명칭등.
(B) 서비스 데이터........ 예를 들어 상기 정비 데이터의 표에 입력되는 정비 데이터를 나타낸 수치데이터이고,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한도의 값(또는 중앙치)의 3데이터로 구성된다.
즉, 실린더 내경에 관한 정비 데이터로서는 그 표준적인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가능한 최대치, 피스톤 외경에 관한 정비 데이터로서는 그 표준적인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가능한 최소치등의 데이터, 엔진오일 탱크의 용량, 냉각수의 용량등의 최대치 및 최소치의 구별이 없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최대치 및 최소치로서의 동일한 값을 입력해 둠으로써 그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잇다.
(C) 토오크 ...........예를 들면 해당 자동 2륜차등의 각부를 조이는 나사의 조임 토오크(최대치, 최소치, 및 그 중앙치), 나사지름, 수 등을 나타낸 수치 데이터이다.
즉, 토오크 정보는 최대치, 최소치 및 중앙치(또는 사용한도의 값) 및 그 밖의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포함하는 5수치 데이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해당 입력이 기종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는, 스텝(S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어느 하나를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4-1) 사용하여, 입력해야 할 기종정보가 자동 2륜차의 어느 기종에 관한 것인가를 나타낸 기종코드를 입력한다. 이 기종코드는 예를 들면 8바이트의 데이터이고, 그 선두 바이트에는 해당 기종코드가 기종정보에 관한 것인 것을 나타내는 "K"를 입력한다.
스텝(S10)에 있어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기종정보가 스펙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스펙이라고 판별되었으면 스텝(S11)에 있어서 예를 들면 4바이트 길이의 정보 판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부 바이트에는 해당 정보판별코드가 스펙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A"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바이트의 길이의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13)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2바이트 길이의 이미지 구분을 입력한다. 이 이미지 구분에는 입력하고자 하는 스펙 정보의 언어의 종별(예를 들면 일본어인가, 영어인가 등)을 나타낸 데이터가 입력된다.
스텝(S21)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스펙 정보를 입력한다.
스텝(S22)에 있어서는, 스텝(S9, S11), (S12, S13)에서 입력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스텝(S21)에 있어서 입력된 스펙 정보의 이력을 나타낸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 컴퓨터(1)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와, 스펙 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써 호스트 컴퓨터(1)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다.
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제6도에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데이터 스테이터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요소데이터 키이라 한다.
상기 스텝(S10)에 있어서, 스펙 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14)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의 입력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서비스 스테이터스 입력의 경우는, 스텝(S15)에 있어서 스텝(S11)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보판별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두 바이트에는 "B"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6)에 있어서는 스텝(S12)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17)에 있어서는 이미지 구분을 입력한다. 서비스 데이터 입력시에 입력되는 이미지 구분 정보의 기능은 스텝(S42)에 관하여 후기한다.
스텝(S21)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정보를 입력한다.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한도의 값(또는 중앙치)의 3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해당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이 3데이터를 어떤 특정의 단위로 입력했을 경우, 그들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그들 데이터를 다른 단위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도는 스텝(S22)에 있어서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요소데이터 키이 및 서비스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데이터는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텝(S2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어느 특정의 단위(예를 들면 [mm])로 입력했을 경우 그 데이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도 및 제7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서비스 데이터 정보입력의 직전에,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3데이터를 어떤 단위로 변화하는가를 지정하는 환산구분(예를 들면2바이트 길이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제1의 데이터부에 [mm]단위로 입력된 3데이터가 [mm]이외의 상기 환산구분으로 지정된 다른 단위(예를 들면 [in]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그리고, 또 다시 제1의 데이터부에 [mm]단위로 입력된 3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으로 지정된 또 다른 단위로 변환되어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이 상태를 제10도를 참조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제10도는 제7도에 나타낸 데이터중 서비스 데이터(요소데이터)만을 나타낸 도이다.
서비스 데이터로써, 해당 자동 2륜차의 실린더 내경 정보를 입력할 경우, 예를 들면 먼저 [mm]을 단위로 하여 최소치, 최대치, 사용한도의 값(제10도에 있어서는 서비스 리미트로 표시되어 있다)를 각각 56.003, 56.018, 56.08로 입력한다. 이 수치 데이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다음에 서비스 데이터 입력전에 설정된 환산구분이, [mm]를 [in]로 변환하도록 지정하는 것이라면, 상기 제1의 데이터부내에 설정된 각 데이터가 각각 2.2048, 2.2054, 2.207로 [in]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의 데이터부내에도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각 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의 지정에 따른 단위로 변환되어 설정된다.
즉, 환산구분은 어떤 특정의 단위로 서비스 데이터를 입력했을 경우, 그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단위 이외의 단위로 자동 변환하여,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스텝(S22)에 있어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9, S15, S16, S17)에 있어서 입력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스텝(S21)에 있어서 입력된 서비스 데이터 정보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 컴퓨터(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와,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로 이루어지는 서비스 데이터 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호스트 컴퓨터(1)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14)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 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해당 입력이 토오크의 입력이라고 판별된다.
토오크 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되면 스텝(S18)에 있어서 스텝(S11, S15)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보판별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두 바이트는 "C"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9)에 있어서는, 스텝(S12)(S16)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20)에 있어서는, 이미지 구분을 입력한다. 토오크 입력시에 입력되는 이미지 구분의 기능은 스텝(S42)에 관하여 후기하는 이미지 구분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스텝(S21)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토오크 정보를 입력한다.
토오크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치, 최소치 및 중앙치(또는 사용한도의 값) 및 그 밖의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포함하는 5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해당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입력수법과 마찬가지로 이 5데이터를 어느 특정의 단위로 입력했을 경우, 그들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제외한 3데이터를 다른 단위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8도는 스텝(S22)에 있어서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요소데이터 키이 및 토오크)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오크 데이터는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텝(S21)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데이터를 어떤 특정의 단위(예를 들면[kg])로 입력했을 경우, 그 데이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도 및 제8도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토오크 정보입력의 직전에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5데이터를 어떤 단위로 환산하는가를 지정하는 환산구분을 입력함으로써 제1의 데이터부에 [kg]단위로 입력된 적어도 3데이터(토오크 정보를 나타내는 5데이터중, 상기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제외한 3데이터)가 [kg]이외의 상기 환산구분에 지정된 다른 단위(예를 들면 [1b]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그리고, 또 다시 제1의 데이터부에 [kg]단위로 입력된 적어도 3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으로 지정된 또 다른 단위로 변환되어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즉, 환산구분은 서비스 데이터 입력 직전에 입력되는 환산구분과 마찬가지로, 어느 특정의 단위로 토오크 데이터를 입력했을 경우, 그 토오크 데이터를 상기 단위 이외의 단위로 자동환산하여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지름 및 개수의 데이터는 단위의 변환이 불필요하므로, 이 두 데이터에 관해서는 단위의 변환을 행할 필요는 없다. 물론 이 2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3데이터와 동일한 환산을 행해도 좋으나, 이 경우 이 환산된 2데이터는 사용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6 내지 제8도에 나타낸 1요소분의 데이터중 각 요소데이터 키이의 바이트 길이는 동일하다.
스텝(S22)에 있어서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9, S18, S19, S20)에 있어서 입력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스텝(S21)에 있어서 입력된 토오크 데이터 정보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 컴퓨터(1)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와,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로 이루어지는 토오크 데이터 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호스트 컴퓨터(1)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스텝(S22, S23)에 있어서, 1이미지, 1문서 또는 1기종정보(이하, 요소데이터라 칭한다)의 입력이 종료하면 스텝(S24)에 있어서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할 것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할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3)으로 돌아간다.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하지 않을 경우는, 스텝(S25)으로부터 해당 책의 편집작업을 개시한다. 이 편집은 1페이지씩 행해진다.
먼저, 스텝(S25)에 있어서는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어느 하나(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에 등록된 새 책 작성파일을 호출한다.
이 새 책 작성파일의 구성을 제11도에 나타낸다.
제11도에 있어서 새 책 작성파일은 자료관리번호 정보와 담당자 정보와 개시 페이지 정보로 이루어진다.
자료관리번호는 작성해야 할 책의 명칭, 또는 관리번호이다. 담당자 정보는 해당 책의 작성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개시 페이지는 작성되는 책이 몇페이지부터 개시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바꾸어 말하면 작성되는 책의 페이지를 몇페이지부터 개시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본국내에 배포되는 책은 제2 페이지 또는 미국내에 배포되는 책은 제11페이지가 개시 페이지이다.
상기 담당자 정보는, 예를 들면 해당 새 책 작성의 안전관리에 응용할 수가 있다. 즉, 호스트 컴퓨터(1)내에 책을 작성하는 것을 허가된 자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두고, 새 책 작성파일내에 설정된 담당자 정보가 호스트 컴퓨터(1)에 등록된 자인 경우에만, 새 책 작성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면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새 책 작성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조작자가 새 책을 작성하거나 편집되어서는 안될 책이 편집되거나, 또는 이미 편집된 책에 불필요한 정정이 행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담당자 정보는 암호화 하거나 지지카드내에 기억하거나 해두면 좋다.
이 새 책 작성파일을 호출했으면, 스텝(S26)에 있어서 그 새 책 작성파일에 고정 데이터를 입력한다.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스텝(S2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그 새 책 작성파일이 시스템 제어기(2)에 전송되어 책 D/B(21)내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28)에 있어서는, 키이보드(5-1)로부터 레이아웃 코드(제4도 참조)를 입력함으로써 레이아웃 기본 D/B(23)내에 등록된 기본 레이아웃 코드를 CRT(6)에 호출한다.
해당 편집장치는, 이와 같이 기본 레이아웃 코드가 호출되면 자료관리번호와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료관리번호는 제11도에 나타낸 새 책 작성파일의 자료관리번호와 마찬가지로 해당 책의 명치 또는 관리번호이다. 이 자료관리번호와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 번호를 스텝(S29)에서 입력한다.
자료관리번호 및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 번호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편집기(3-1)는 스텝(S30)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28)에 있어서 호출된 기본 레이아웃 코드중의 레이아웃 코드를 스텝(S29)에 있어서 입력된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로 변환한다.
이 변환이 행해지면 스텝(S31)에 있어서 편집기(3-1)는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및 LEN 및 레이아웃데이터를 그 편집기(3-1)내에 기억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및 LEN 및 레이아웃 데이터를 변환 후 레이아웃 코드라 한다.
스텝(S32)에 있어서는, 이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를 사용하여 기본 레이아웃 CRT(6)에 표시된다.
이 기본 레이아웃은 기본적으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윤곽(101)과 문서 입력영역(102)으로 구성된다. 이 제13도에 나타낸 기본 레이아웃은 2단계 프레임조이다.
다음에 스텝(S33)에 있어서는 CRT(6)에 이미지를 표시시킬 것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표시시킬 경우는, 스텝(S34)에 있어서, 임시 키이(제5도 참조)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1요소분의 데이터, 즉 임시 키이, 호출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LEN 및 그 이미지 데이터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함과 동시에 그 이미지 데이터를 CRT(6)에 표시시킨다.
스텝(S35)에 있어서는 상기 키이보드(5-1)에 접속된 마우스(도시생략)를 사용하여 CRT(6)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기본 레이아웃상의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14도는 CRT(6)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이고, 제13도와 동일한 도이다.
제14도에 있어서 부호(P)로 표시되는 영역에 이미지를 이동했을 때는 그 이미지의 좌상의 좌표 및 우하의 좌표는 각각 (X1, Y1) 및 (X2, Y2)이다.
이와 같이 이미지를 이동시키면 기본 레이아웃상에서 그 이미지의 좌상의 좌표(X1, Y1) 및 우하의 좌표(X2, Y2)가 편집기(3-1)에 입력된다.
또한 이 이미지 이동때에는 편집기의 기능에 따라 그 이미지를 확대·축소할 수가 있다. 또, 이 이미지의 이동에 한하여 문서입력영역(102)의 영역외에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스텝(S36)에 있어서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 키이, 호출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LEN, 및 그 이미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임시 키이가 요소데이터 키이로 변환된다.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종정보(스펙 정보, 서비스 데이터 정보 및 토오크 정보)와 마찬가지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 및 이미지 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 컴퓨터(1)에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로 구성된다.
이 스텝(S36)에 있어서의 임시 키이의 요소데이터 키이에의 변환은, 편집자가 실제로 데이터 스테이터스를 제외한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정보판별코드의 선두 바이트에는 "D"를 입력한다. 또, 제9도에 나타낸 요소데이터 키이의 바이트 길이는 제6 내지 8도에 나타낸 바이트 길이와 동일하다.
스텝(S37)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와 그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LEN과 그 이미지 데이터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좌표(X1, Y1), (X2, Y2)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스텝(S45)에 있어서는, 1페이지분의 편집이 종료했는가 여부가 판별되고,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S33)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33)에 있어서 CRT(6)에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것이 판별되지 않았을 때는 스텝(S38)에 있어서, CRT(6)에 문서를 표시시킬 것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표시시킬 경우는 스텝(S39)에 있어서 임시 키이(제5도 참조)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1요소분의 데이터 즉 임시키이, 호출하고자 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 데이터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함과 동시에, 그 문서 데이터를 CRT(6)에 표시시킨다.
스텝(S40)에 있어서는, 상기 키이보드(5-1)에 접속된 마우스(도시생략)를 사용하여, CRT(6)상에 표시된 문서를 기본 레이아웃의 소망하는 위치에 이동시킨다. 문서를 제14도에 나타낸 기본 레이아웃상의 부호(Q)로 표시되는 위치로 이동했을때는 그 문서의 좌상의 좌표 및 우하의 좌표는 각각 (X3, Y3) 및 (X4, Y4)이다.
이와 같이 문서를 이동시키면, 기본 레이아웃상에서의 그 문서의 좌상의 좌표(X3, Y3) 및 우하의 좌표(X4, Y4)가 편집기(3-1)에 입력된다.
스텝(S14)에 있어서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 키이, 호출되는 문서 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요소분의 데이터중 임시 키이가 요소데이터 키이로 변환된다.
이 요소데이터 키이 및 호출되는 문서 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 데이터의 서식을 제17도에 나타낸다.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는 예를 들면 8바이트 길이의 문서 관리번호와 예를 들면 6바이트 길이의 상세 항목코드와, 예를 들면 2바이트 길이의 언어정보와, 문서 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 컴퓨터(1)에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로 이루어진다.
상기 문서관리번호는 해당 문서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그 선두 바이트에는 "B"를 입력한다.
상기 언어정보는, 문서 데이터가 일본어로 작성된 것인가 영어로 작성된 것인가 등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이다. 상기 상세 항목코드는, 해당 문서의 분류 코드이다. 또한, 제18도에 나타낸 1요소분의 데이터의 데이터 스테이터스 후에는 블랭크가 채워지고, 그 요소데이터 키이 바이트 길이는 제6 내지 9도에 나타낸 요소데이터 키이의 바이트 길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문서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기종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는 모두 동일한 바이트 길이로 설정된다.
해당 편집장치는, 상기 상세 항목코드를 사용하여 문서의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이 문서의 검색은 스텝(S114)에 관하여 후기한다.
스텝(S37)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와 그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문서 데이터의 LEN과 그 문서 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좌표(X3, Y3), (X4, Y4)와 함께 상기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38)에 있어서, CRT(6)에 문서를 표시시키는 것이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기종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간주된다.
그리고, 스텝(S42)에 있어서, 호출하고자 하는 기종정보의 요소데이터 키이(제6도 내지 제8도 참조)를 키이보오드(5-1)로부터 입력하고 1요소분의 기종정보 데이터 즉, 요소데이터 키이, 및 스펙 정보, 서비스 데이터 정보, 또는 토오크 정보를 기종정보 D/B(14)로부터 편집기(3-1)에 호출함과 동시에 그 스펙 정보, 서비스 데이터 정보, 또는 토오크 정보를 CRT(6)에 표시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키이보드(5-1)로부터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하고, 포스트 컴퓨터(1) 및 시스템 제어기(2)를 거쳐, 기종정보 D/B(14)로부터 직접편집기(3-1)에 기종정보를 호출하도록 하는 대신에, 퍼스널 컴퓨너(4-1 내지 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기종정보를 기종정보 D/B(14)로부터 호출하고, 일단 요소 D/B(22)내에 등록하고, 그후, 키이보드(5-1)로부터 요소 데이터 키이를 입력하고, 시스템 제어기(2)를 거쳐 상기 요소 D/B(22)로부터 편집기(3-1)에 기종정보를 호출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기종정보 데이터중, 서비스 데이터 정보 및 토오크 정보는 요소데이터 키이내에 이미지 구분 정보 및 스텝(S21)에 관하여 상기한 환산구분(도시 생략)정보에 따라, 그 서비스 데이터 정보 및 토오크 정보의 표시형태가 결정된다.
즉, 예를 들면 서비스 데이터에 대하여 말하면, 상기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환산구분 정보에 따라,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내에 상기 데이터가 자동환산되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환산구분 및 이미지 구분의 정보에 따라, 예를 들면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서비스 데이터가 CRT(6)상에 표시된다.
제25도는 환산구분과 이미지 구분과, 서비스 데이터의 CRT상에서의 표시와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표이다.
제25도에 있어서, 환산구분이 "10", 이미지 구분이 "10"인 경우는 CRT(6)에는 제1의 데이터부(제10도)에 설정된 데이터만이 [mm]단위로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10", 이미지 구분이 "20"인 경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mm]로 표시되고, 이어서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in]단위로 괄호내에 표시된다.
환산수분이 "20", 이미지 구분이 "10"의 경우는, 제2의 데이터부내에 설정된 데이터만이 [in]단위로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20", 이미지 구분이 "20"인 경우는 제2의 데이터부내에 설정된 데이터가 [in]단위로 표시되고, 이어서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mm]단위로 괄호내에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40"인 경우는 환산구분이 "10"의 경우와 동일한 데이터 및 단위로 표시가 되나, 그 소숫점이 종지부가 아니라 코머로 표시된다.
다음에, 스텝(S43)에 있어서는, 스텝(S35) 및 (S40)과 마찬가지로 기종정보의 데이터를 기본 레이아웃상에 위치 결정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44)에 있어서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1요소분의 데이터주의 요소데이터 키이와 그 좌표정보가 편집기(3-1)에 등록된다.
물론, 요소데이터 키이 뿐만 아니라, 각 요소데이터도 좌표 정보와 함께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스텝(S45)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이 종료했다고 판별되었을때는, 스텝(S46)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편집작업을 행한 편집기(이 경우는 편집기(3-1)에 있어서 행해진다.
제18도는 편집기에 있어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18도에 있어서, 편집기에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다음의 각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A) 스텝(S30)에 있어서 변환된 변환후 레이아웃 데이터(제12도 참조).
(B) 상기 스텝(S35, S40, S43)에 있어서 입력된 좌표 및 그 좌표에 의하여 지정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 키이 1페이지내에 복수의 요소데이터(요소데이터, 문서데이터, 또는 기종정보 데이터)가 배치되는 경우는, 이 좌표 및 요소데이터 키이는 그 복수조만큼 배치된다. 이 좌표 및 요소데이터 키이는 상기 변환후 레이아웃 데이터에 이어서 설정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좌표 및 요소데이터 키이를 편집상 레이아웃이라 한다.
(C) 1페이지내에 배치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 키이, 그 요소데이터의 LEN 및 그 요소데이터 1페이지내에 복수의 요소데이터가 배치되는 경우는, 이 요소데이터 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는 그 복수조 만큼 배치된다.
즉, 요소데이터 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요소분의 데이터, 편집상의 레이아웃내에 포함되는 좌표 및 요소데이터 키이의 조와 동수 설정된다.
이 요소데이터 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는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웃에 이어서 설정된다.
물론, 요소데이터가 기종정보인 경우는, 제6도 내지 제8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요소데이터의 앞에는 LEN이 없으므로 요소데이터 키이 및 요소데이터만이 설정된다.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웃 후에 배치되는 이들 데이터를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요소데이터군이라 한다.
또한, 제18도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최후의 요소데이터 글에는, 해당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종료한 것을 나타낸 앤드코드가 부가된다.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되면 그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스텝(S4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기(2)를 거쳐 책 D/B(21)내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48)에 있어서는 스텝(S46)에 있어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호스트 컴퓨터(1)에 전송된다.
스텝(S49)에 있어서는, 호스트 컴퓨터(1)에 있어서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된다.
제19도는 레이아웃 D/B(11)에 등록하기 위하여 호스트 컴퓨터(1)에 있어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레이아웃 정보이다.
호스트 컴퓨터(1)에 전송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그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된 각 D/B(레이아웃 D/B(11), 문서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에 분산되어 기억되나, 이 스텝(S49)에 있어서의 변환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레이아웃에 관한 정보만을 레이아웃 D/B(11)에 기억하기 위하여 행해진다.
제19도와 상기한 제18도와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스텝(S49)에 있어서는,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편집상의 레이아웃에 이어서 설정된 요소데이터군중의 LEN 및 요소데이터를 제거한 것이다.
다음에 스텝(S50)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49)에 있어서 변환된 데이터가 레이아웃 D/B(11)에 등록된다.
스텝(S51)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48)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1)에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소데이터군이 복사된다.
스텝(S52)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군중의 문서 데이터에 관한 것이 문서 D/B(12)에 등록된다.
스텝(S53)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군중의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것이 이미지 D/B(13)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54)에 있어서는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프린트하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프린트를 행하지 않을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57)로 이행한다.
프린트를 행할 경우, 해당처리는 스텝(S55)로 이행한다.
스텝(S55)에 있어서는, 키이보드(5-2)를 사용하여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를 입력함으로써 책 D/B(21)내에 등록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기(3-2)에 호출한다.
스텝(S56)에 있어서는, 프린터(7)에 의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프린트를 행한다.
스텝(S57)에 있어서는,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하는가의 여부가 판별되고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행하는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28)으로 이행하고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은 순수(제1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 책을 신규로 작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음에 제2의 편집수법을, 제1의 편집수법에 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자동 2륜차등의 서비스 메뉴얼을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제20도 내지 제2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편집장치에 의한 제2의 편집수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20도에 나타낸 각 스텝중, 제3도와 동일한 부화가 붙여진 스텝은, 동일 또는 동등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제2의 편집수법에 있어서는, 먼저 스텝(S25)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어느 하나(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에 등록된 새 책 작성파일을 호출한다. 이 새 책 작성파일의 구성은 제1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새 책 작성파일은 호출했으면 스텝(S26)에 있어서 그 새 책 작성파일에 소정의 데이터, 즉 자료관리번호, 정보와 담당자 정보와 개시 페이지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그 새 책 작성파일이 시스템 제어기(2)에 전송되고, 책 D/B(21)내에 등록된다.
스텝(S101)에 있어서는, 해당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미 작성된 책(이하, 원본이라 한다)을 참조하여 원본의 각 페이지중 새 책에 사용할 수 있는 페이지를 선택한다. 즉, 예를 들면 제1의 원본의 제21페이지로부터 제30페이지까지가 새 책의 제1페이지로부터 제10페이지까지에 사용할 수 있으며, 제2의 원본의 제46페이지로부터 제50페이지까지가 새 책의 제11페이지 내지 제15페이지까지에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제1의 원본의 제31페이지로부터 제40페이지까지의 새 책의 제16페이지 내지 제25페이지까지에 사용할 수 있다라고 하는 선택을 행한다.
이 처리는, 조작자가 원본인 현물을 실제로 손에 넣고 행한다.
다음에 스텝(S102)에 있어서는,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원본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를 입력하고 그리고, 그 1페이지분의 데이터(제19도 참조)를 레이아웃 D/B(11)로부터 호스트 컴퓨터(11)내에 복사한다.
다음에 스텝(S103)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새 책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를 입력한다. 스텝(S104)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102)에 있어서 복사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를 상기 스텝(S103)에 있어서 입력된 새 책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로 갱신한다.
제21도는 스텝(S104)에 있어서의 데이터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스텝(S102)에 있어서 호출되고, 복사되는 원본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제21도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이나 이 스텝(S104)에 있어서는 동도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중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만이 새 책의 그것으로 갱신된다.
스텝(S105)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호스트 컴퓨터(1)내에 기억된다.
스텝(S106)에 있어서는, 이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의 갱신이 새 책 1권분에 대하여 이미 종료했는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상기의 예에 관하여 말하면, 제1의 원본의 제21페이지로부터 제30페이지까지의 제2의 원본의 제46페이지로부터 제50페이지까지 및 제1의 원본의 제31페이지로부터 제40페이지까지의 모두가 새 책의 제1페이지로부터 제25페이지로 변환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1권분의 갱신이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처리는 스텝(S102)으로 돌아가고 종료하고 있으면 스텝(S107)으로 이행한다.
스텝(S107)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104)와 같이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또는 요소데이터의 LEN 및 요소데이터를 각 D/B(12 내지 14)로부터 호출하고,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상의 레이아웃의 뒤에 배치된 각 요소데이터 키이의 뒤에 부가한다. 즉, 스텝(S104)에 있어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완전한 형태로 재현한다.
스텝(S108)에 있어서는, 1권분의 모든 페이지가 완전한 형태로 변환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1권분의 모든 페이지가 변환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처리는 스텝(S107)으로 되돌아가고 모든 페이지가 변환되어 있으면 스텝(S109)로 이행한다.
스텝(S109)에 있어서, 상기 1권분의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시스템 제어기(2)에 전송한다.
스텝(S110)에 있어서는, 상기 1권분의 데이터가 시스템 제어기(21)에 의하여 책 D/B(21)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111)에 있어서, 키이보드(5-1)로부터 새 책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 번호를 편집기(3-1)에 입력한다.
스텝(S112)에 있어서는, 입력된 새 책의 해당하는 페이지가 책 D/B(21)로부터 호출되어 편집기(3-1)에 등록된다.
그리고, 스텝(S113)에 있어서, 상기 책 D/B(21)로부터 호출된 페이지가 CRT(6)에 표시된다.
다음에, 스텝(S130)에 있어서, CRT(6)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즉, 스텝(S102) 내지 (S104)에 있어서 원본으로부터 복사된 새 책의 페이지가 편집을 행하는 일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편집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46)으로 이행하고, 편집을 행할 경우는 스텝(S114)으로 이행한다.
스텝(S114)에 있어서는, CRT(6)에 표시된 새 책의 페이지를 편집함에 있어서, 원본(상기 스텝(S101)에 있어서 선택된 원본을 포함한다)의 요소가 사용할 수 있는가 여부를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검색한다. 이 검색의 수법은, 제22 내지 24도에 관하여 후시한다.
스텝(S115)에 있어서는, 상기 검색에 의하여 새 책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요소가 발견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발견되었으면, 스텝(S116)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검색된 요소의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한다.
스텝(S117)에 있어서는, 검색에 의하여 호출된 1요소분의 데이터가 시스템 제어기(2)에 전송되고, 그 시스템 제어기(2)는 이것을 요소 D/B(22)에 등록한다.
스텝(S118)에 있어서는, 검색을 계속하는가 여부가 판별되고 계속하는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114)으로 되돌라간다.
상기 스텝(S115)에 있어서, 새 책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요소가 발견되지 않았으면, 스텝(S132)에 있어서 스텝(S144)(검색)에서 호출된 1요소분의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물론 이때 D/B(12 내지 14)내의 데이터는 클리어 하지 않는다.
스텝(S119)에 있어서는, 이미지 데이터, 문서 데이터, 또는 기종정보 데이터, 즉 요소를 신규로 입력하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요소를 신규 입력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118)으로 되돌아간다.
요소를 신규로 입력하는 경우는, 해당처리를 스텝(S3)으로 이행한다. 스텐(S3 내지 S23)의 처리는, 제3도의 동일부호로 나타낸 스텝과 동일한 처리 행정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S22)는 스텝(S23)의 처리가 종료했으면 해당처리는 스텝(S119)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118)에 있어서, 검색을 계속하지 않는다고 판별되었을때는, 스텝(S33)에 있어서, CRT(6)상에 이미지를 표시시킬 것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경우는, 스텝(S120)에 있어서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임시 키이, 또는 요소데이터 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이미지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고,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35)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이동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121)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120)에 있어서 임시 키이가 입력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임시키이를 입력했을 경우는, 스텝(S36)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 키이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제3도에 관하여 전술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스텝(S121)에 있어서 임시 키이를 입력했다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 또는 스텝(S36)의 처리가 종료한 후는, 스텝(S37)에 있어서 요소데이터 키이와,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LEN 및 그 이미지 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스텝(S35)에 있어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33)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것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38)에 있어서 문자를 표시시킬 것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CRT(6)에 표시시키는 경우는, 스텝(S122)에 있어서, 표시하고자 하는 문서의 임시키이, 또는 요소데이터 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문서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고,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40)에 있어서, 상기 문서를 이동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123)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122)에 있어서 임시키이가 입력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임시키이를 입력했을 경우는, 스텝(S41)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 키이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상기 스텝(S36)의 변환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상기 스텝(S123)에 있어서 임시키이를 입력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 또는 스텝(S41)의 처리가 종료한 후는, 스텝(S37)에 있어서, 요소데이터 키이와, 그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스텝(S35)에 있어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35)에 있어서, 문서를 표시시키는 것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는, 기종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라고 판단되고, 해당처리는 스텝(S131)으로 이행한다.
스텝(S131)에 있어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기종정보의 요소데이터 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기종정보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여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43)에 있어서 상기 기종정보를 이동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44)에 있어서는, 요소데이터 키이를 상기 스텝(S43)에 있어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한다.
상기 스텝(S37) 또는 스텝(S44)의 처리가 종료되었으면 스텝(S45)에 있어서, CRT(6)상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 편집이 종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편집이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처리는 스텝(S33)으로 돌아가고 종료하고 있으면, 스텝(S46)으로 이행한다.
스텝(S46)에 있어서는, 편집기(3-1)에 있어서, 편집후의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변환한다.
다음에 스텝(S124)에 있어서는,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책 D/B(12)내에서 갱신된다.
스텝(48) 내지 (S57)의 처리는, 제3도의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스텝과 동일한 처리 행정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텝(S57)에 있어서, 다음 페이지의 작성(편집)을 행한다고 판별되었을때는 해당처리는 스텝(S111)으로 돌아간다.
또한, 제20도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는, 스텝(S33) 이후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편집 작업을 행하기 전에 미리 검색을 해두고, 필요한 데이터를 D/B(12 내지 14)로부터 호출하여 요소 D/B(22)에 등록해 두는 것으로 했으나 편집 작업중에 이것들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에, 상기 스텝(S114)의 처리를 문서데이터 검색을 예를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이 스텝(S114)의 검색은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행한다.
제22도는 문서 D/B(12)내에 미리 설정된,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2도 각 표에 나타낸 "0"은 널(null) 또는 아무런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문서 D/B(12)에는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이하, ID라 약칭한다) 및 타이틀로 이루어진 복수의 문서데이터 검색용 테이블이 입력·설정되어 있다. 상기 ID는 제17도에 나타낸 문서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의 상세항목 코드에 대응하도록 그 상세항목 코드와 동일한 바이트길이(0) 예에 있어서는 6바이트에 설정되어 있다.
제22도에 나타낸 a표에 있어서는, 6바이트 길이의 ID의 선두바이트(제1바이트)에만, 예를들면 A, B, C, …와 같은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b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바이트에 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2바이트에는 A, B, C, …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c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바이트에 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2바이트에는 A, B, C, …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또, 동도의 d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3바이트에는 A, B, C, …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e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3바이트에는 A, B, C, …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동도의 f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4바이트에는 A, B, C, …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g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4바이트에는 A, B, C, …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문서 D/B(12)내에 설정된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각 테이블은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미리, ID 의 제1바이트에만 데이터가 입력된 제1계층표(a표)의 각 ID에 대응하도록, 문서데이터의 최상위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자동 2륜차, 자동차, 작업차 등…)을 입력하고, ID의 제1 및 제2바이트만이 데이터가 입력된 제2계층의 표(b, c표)의 각 ID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상위의 개념의 다른 계층의 개념을 나타낸 타이틀(설명서, 주의서, 등…)을 입력하고 마찬가지로 제3계층의 표(d, e표)에 다음계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구조설명, 취급설명 등…)을 , 제4계층의 표(f, g표)에 다시 다음의 계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12개월 점겸, 6개월점검…)등을 입력한다, 라는 형식으로 하여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각 테이블을 작성해 두고, 또 최하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데이터를, 제17도에 나타낸 요소데이터 키이의 상세항목 코드에 미리 입력해 두면,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서데이터의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최하층의 데이터는, 제6계층의 표에 설정될 필요는 없고 제6계층 보다도 상위의 표에 설정되어도 좋다.
제24도는, 상기 스텝(S11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적용되는 편집장치에 의한 검색의 수법을 나타낸 프로우챠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검색은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제24도는 스텝(S150)에 있어서, 먼저 n이 1로 설정된다. 스텝(S151)에 있어서는, 제 n계층의 ID가, 예를들면 퍼스널 컴퓨너(4-1)로부터 입력된다.
스텝(S152)에 있어서는, 그 ID에, 제n계층 ID를 포함하는 제(n+1)계층의 데이터가, 문서데이터 검색용 테이블로부터 선택된다.
스텝(S153)에 있어서는, 제 (n+1)계층데이터가 존재하는가의 여부가, 즉 스텝(S152)에 있어서, 제(n+1)계층데이터가 선택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존재하는 것이 판별되었으면, 스텝(S154)에 있어서, 제1(n+1)계층의 전타이틀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S155)에 있어서 n에 1이 가산된 후, 해당처리는 스텝(S151)으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S153)에 있어서, 제(n+1)계층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별되지 않았을때는, 해당처리는 스텝(S156)으로 이행한다.
스텝(S156)에 있어서는, 제 n계층 ID가 상세항목 코드에 포함되는 1요소분 데이터(제17도에 나타낸 1문서분의 데이터)가, 호스트컴퓨터(1)를 거쳐 문서 D/B(12)로부터 호출되고, 퍼스널 컴퓨터(4-1)에 표시된다.
따라서, 제22도와 같이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ID로서 제1바이트에만 "A"를 입력하면,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계층중의 제1바이트에 A가 설정되어 있는 b표가 선택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ID로서 제1 및 제2 바이트에 "AA"를 입력하면, 화살표(Q)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계층중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A가 설정되어 있는 d표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ID로서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A"를 입력하면, 화살표(R)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계층중의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A가 설정되어 있는 f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수법에 의하여, 예를들면 자동 2륜차의 구조 설명에 관한 문서에서, 12개월 점검메뉴얼에는, 어떠한 문서가 등록되어 있는가 라는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ID로서 제1 내지 제4바이트에 "AAAA"를 입력하면, 화살표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5계층중의, 제1 내지 제4바이트에 AAAA가 설정되어 있는 표(도시생략)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최하층의 표에 대해서까지 행하면 필요로 하는 문서데이터가, 문서 D/B(12)내에 등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별할 수가 있다.
필요한 데이터가 검색되었으면, 스텝(S117)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검색된 데이타를 요소 D/B(22)내에 등록하면, 그 데이터를 새책 편집에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의 설명을 문서데이터의 검색을 예를들어 설명했으나, 이미지 데이터, 또는 기종정보도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하여,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이미지 D/B(13), 기종정보 D/B(14)내에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검색용 테이블을 복수 설정하고, 또, 이미지 데이터 및 기종정보의 요소데이터 키이내의 항목(3바이트 길이, 제6 내지 9도 참조)에, 상기 검색용 테이블의 ID를 입력하도록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종정보 및 이미지는 그 각각 다른 D/B(기종정보 D/B(14) 및 이미지 D/B(13))에 등록되는 것으로 했으나, 제6 내지 8도에 나타내는 기종정보의 데이터와, 제9도에 나타내는 이미지의 데이터와는 동일한 서식이므로, 동일한 D/B에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미지 및 문서데이터의 입력시에는, 입력키이를 입력하고, 실제의 편집시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 키이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기종정보 데이터의 입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시키이를 입력하지 않고, 처음부터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작성된 원본을 이용하여 새책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그 새책을 효율좋고 또 능률적으로 작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해당 편집장치를 사용하여 서비스 메뉴얼, 판매메뉴얼 등을 작성할 경우에 있어서, 이미 작성된 원본의 유사기종의 메뉴얼을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그 원본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유사기종의 메뉴얼을 극히 단시간이고 또 싼값으로 제작할 수가 있다.
물론, 이 편집장치는, 서비스 메뉴얼, 판매메뉴얼 등의 작성뿐만 아니라, 일반서적, 잡지, 신문등의 편집에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20도에 나타낸 제2의 편집수법에 있어서는, 스텝(S25) 내지 (S27)에 있어서, 새책 작성파일에 소정데이터를 입력하고 등록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이 새책 작성파일의 자료관리번호 및 개시페이지 입력은 불필요하다. 즉, 이들의 데이터는 스텝(S103)에 있어서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제24도에 나타낸 스텝(S150)의 처리는 생략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차 계층으로 부터 하층의 ID를 입력함으로써 데이터 검색을 개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32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제32도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32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는 제2도에 나타낸 키이보드(5-1 내지 5-N) 및/또는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의 키이보드와, 주사기(107)는 동도에 나타낸 주사기(8)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은 제2의 요소 D/B(22)와,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11)은 동도의 레이아웃 기본 D/B(23)와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동도의 책 D/B(2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32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는 기본레이아웃 코드설정수단(101), 요소입력수단(102) 및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 및 레이아웃 코드변환수단(11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본레이아웃 코드설정수단(101)은, 제3의 스텝(S1)에 있어서 입력되는 기본 레이아웃코드(제4도 참조)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 설정수단(103)은, 제6 내지 9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요소데이터 키이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2)는, 상기 키이보드(106)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데이터, 주사기(107)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등을 벡터 변환하여 도입하는 입력수단이다.
상기 레이아웃 코드변환수단(114)은, 상기 기본레이아웃 코드설정수단(101)에 있어서 입력된 기본레이아웃 코드중의 레이아웃 코드를,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이다.
상기 기본레이아웃 코드설정수단(101)은, 기억수단(113)내의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11)은, 레이아웃 코드변환수단(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요소입력수단(102) 및 요소데이터 키이 설정수단(103)은 기억수단(113)내의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좌표설정수단(104) 및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후기하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은, 상기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함과 동시에, 마우스(108)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그 요소데이터의 좌표를 설정하고, 그 좌표정보를 상기 표시수단(109) 및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출력한다.
상기 레이아웃 코드변환수단(114)은,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11)에 기억된 임의의 기본레이아웃 코드를 호출하고, 그 코드를 제12도 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환 후 레이아웃 코드로 변환하고,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상기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은 새책은 완전히 신규로 작성할 경우에 동작하고,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요소데이터와, 레이아웃 코드변환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좌표정보를 사용하여,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데이터를 기억수단(113)내의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요소 입력수단(102)은, 파선으로 표시수단(109)에 접속되어 있으나, 이것은 키이보드(106)로부터 문서등을 입력하는 경우에 그 문서등의 데이터가 표시수단(109) 및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레이아웃 변환수단(121) 및 요소변환수단(12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레이아웃 변환수단(121)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제18도)의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LEN 및 요소데이터를 제거하고,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이아웃 정보를 작성한다. 이 레이아웃 변환수단(121)은, 정보처리수단(124)에 접속된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은 제2도에 나타낸 레이아웃 D/B(11)에 대응하는 기억수단이다.
상기 요소변환수단(122)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을 복사하고, 그 요소데이터군을 1요소단위로 분해한다. 이 요소변환수단(122)은 정보처리수단(124)에 접속된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의요소 기억수단(123)은 문장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은 다시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은,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이미 편집되고,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 및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된 책의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책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에 기억된 레이아웃 정보중 필요한 것을 독출하고, 그 레이아웃 정보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번호(즉, 그 레이아웃 정보의 페이지를 식별하는 페이지 식별데이터)를, 작성하고자 하는 책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번호로 갱신한다. 이 갱신을 위한 데이터 입력은, 키이보드(106)로부터 행한다.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 및 상기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은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아웃정보(제19도 참조)의 편집상의 레이아웃의 후에 설정된 각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으로부터 독출하고 그 요소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에 부가한다.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다시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 및 상기 표시수단(10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이미 편집되어 있는 책을 사용하여 그 책에 유사한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에 동작하고,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부터 출력되는 1페이지분의 정보중,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단위의 데이터 및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사용하여, 상기 1페이지분의 정보를 변경한다. 그리고 그후, 변경된 1페이지분의 정보를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한다.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상기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으로 부터 요소 단위의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정보를 그대로 그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 되돌려 보낸다.
상기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은 다시 상기 제 2의 요소 기억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본레이아웃 코드설정수단(101), 요소 입력수단(102), 요소데이터 키이 설정수단(103), 좌표 설정수단(104), 제1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 및 레이아웃 코드 변환수단(114)은, 각각 제2도에 나타낸 편집기(3-1 내지 3-N), 또는 시스템 제어기(2)에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레이아웃 변환수단(121), 요소변환수단(122),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 및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각각 동도의 호스트 컴퓨터(1), 시스템 제어기(2), 또는 퍼스널 컴퓨터(4-1 내지 4-N)에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제32도의 실시예는, 새책을 완전히 새롭게 작성하는 경우의 기능과, 이미 편집된 책을 이용하며, 그 책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먼저 새책을 완전히 새롭게 작성할 경우의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최초에, 키이보드(106)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기본레이아웃을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이 정보는, 기본레이아웃 설정수단(101)에 있어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본레이아웃 코드로 구성된다. 이 기본 레이아웃 코드는,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11)에 기억된다.
이 기본레이아웃의 입력 및 기억은, 필요에 따라 복수행해진다.
다음에, 키이보드(106)에 의하여 입력하고자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한다. 이 요소데이터 키이는, 요소데이터 키이 설정수단(103)에 있어서, 제6 내지 9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설정된다.
이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한 후, 키이보드(106)로 부터 문서 또는 기종정보를 입력하고, 또는 주사기(107)로부터 이미지를 도입하고, 그들의 데이터를 요소 입력수단(102)으로 출력한다. 상기 요소 입력수단(102)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요소데이터에 그 요소데이터의 LEN을 부가하고, 이것이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와 함께,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으로 출력되어 기록된다. 이 요소데이터 키이 및 요소데이터의 입력 및 기억도, 필요에 따라 복수로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11)내에 기억된 기본레이아웃 코드중, 필요한 것, 즉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레이아웃 데이터가 설정된 기본레이아웃 코드가, 키이보드(106)로부터 레이아웃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11)으로 부터 독출되고, 그리고 레이아웃코드 변환수단(114)에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웃 코드변환수단(114)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레이아웃 코드중의 레이아웃코드가 키이 보드(106)로부터 입력된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로 변환된다. 즉,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제12도 하도)가 작성된다. 이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는, 제1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표시수단(109)에 출력된다.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으로부터는, 페이지 편집에 사용하는 요소데이터 또는 LEN 및 요소데이터와,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가,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좌표 설정수단(104)에 출력된다. 상기 좌표 설정수단(104)은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마우스(108)를 사용하여,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요소데이터를 이동하면, 그 이동위치에 따른 좌표가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에 의하여 설정되고, 그 좌표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요소데이터를 필요에 따라서 복수, 기본레이아웃상의 소정위치에 표시하교, 페이지 편집을 행한다.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이 종료되면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있어서는, 상기 레이아웃 코드 변환수단(114),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 및 좌표설정수단(104)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제18도에 나타내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세하게 말하면,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웃 코드변환 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 키이로부터 구성되는 편집상의 레이아웃과, 그 편집상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요소데이터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있어서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내에 기억된다. 이 페이지 기억수단(112)에는,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해당 책을 구성하는데에 필요한 매수분만이 기억된다. 그리고 이들의 데이터는 도시되지 않는 하드복사 작성장치에 출력된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웃 변환수단(121)에 전송된다. 상기 레이아웃 변환수단(121)에 있어서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이아웃 정보를 작성한다. 상기 레이아웃 정보는,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또,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요소 변환수단(122)에 전송된다. 상기 요소 변환수단(122)에 있어서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이 복사되고, 그 요소데이터군이, 1요소 단위로 분해되어,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에 전송된다. 분해된 요소데이터군중 문서요소에 관한 것은 상기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내의 문장 D/B(12)에 이미지 요소에 관한 것은 D/B에, 그리고 기종정보 요소에 관한 것은 기본정보 D/B(14)에 기억된다.
상기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에 기억된 요소정보 및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에 기억된 레이아웃 정보는 필요에 따라 정보처리수단(124)에 의하여 호출되고, 그 정보처리수단(124)에 의하여 실행되는 여러가지의 정보처리, 검색등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새책이 작성되고, 또 그 책의 데이터가 레이아웃에 관한 것과, 요소에 관한 것으로 분해되어 기억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편집된 책을 이용하여, 그 책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 편집된 책중, 어느 책의 어느 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는가를 현물을 실제로 손에 넣고 조작자가 판단된 후 이용하는 책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페이지 식별데이터)를 입력하고, 해당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으로부터 독출한다. 독출된 데이터는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전송된다.
키이보드(106)로부터 작성하고자 하는 책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를 입력하면,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있어서, 독출된 데이터의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가 입력된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로 변경된다.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변경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상의 레이아웃의 뒤에 설정된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으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의 다음에 부가한다.
이에 의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완성된다.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내에 기억된 후, 표시수단(109)에 전송되어, 그 표시수단(109)에 의하여 표시되고, 또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전송된다.
조작자는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보고, 그 데이터의 변경이 필요한가 여부를 판별한다. 데이터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별되었을 경우는, 그 취지의 정보가 도시되지 않는 수단으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전송되고, 다시 레이아웃 변환수단(121) 및 요소 변환수단(12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요소 및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된다 이 경우, 요소에 관한 데이터는 이미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만이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에 출력되어 기억된다.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희망하는 요소데이터를 삭제 또는 다른 요소데이터로 변경하는 경우, 즉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하는 경우는 필요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함으로서 요소정보, 즉 요소데이터 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상기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으로부터 독출하고,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에 등록한다.
또, 필요한 요소데이터가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요소데이터 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신규로 입력하고, 그 요소데이터 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에 등록한다.
상기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은, 도시되지 않는 수단에 의하여 가세되고, 필요한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 키이를 좌표 설정수단(104)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출력한다. 좌표 설정수단(104)은 상기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하고, 또 마우스(108)의 조작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요소데이터의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필요에 따라 반복하고,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 변경(편집)이 종료하면,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후의 1페이지분의 데이터에 다시 설정한다. 상세히 말하면,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 편집에 의하여 새롭게 레이아웃상에 설정된 요소데이터에 의하여, 위에 기입된 요소데이터 및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그위치 좌표를 소거하고, 상기 편집에 의하여 새롭게 레이아웃상에 설정된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변경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으로부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되어 기억된다.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단위 또는 책단위로 레이아웃 변환수단(121) 및 요소 변환수단(122)에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웃 변환수단(121) 및 요소 변환수단(122)은, 출력된 테이터를, 요소 및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고, 각각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 및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에 기억한다. 이 경우, 요소에 관한 데이터중, 이미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되어 있는 것은, 그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내에는 기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서, 이미 편집된 책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 공통하는 요소데이터는 그대로 공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책의 작성시간이 대폭으로 단축된다.
제32도에 관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미리 기본레이아웃 코드설정수단(101)에서 기본레이아웃 코드를 설정하고, 실제의 편집작업을 행하기 전에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페이지 레이아웃이 설정된 기본레이아웃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호출하고, 그 기본레이아웃 코드중의 레이아웃 코드를, 레이아웃코드 변환수단(114)에 있어서,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에 변환하는 것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레이아웃(즉, 제4도에 나타낸 레이아웃 데이터),를 페이지 편집할때마다 설정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특히 이것에만 한정되는 일은 없고, 레이아웃 데이터 입력시에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를 입력하고, 제12도 하부에 나타낸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를 직접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는,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만의 레이아웃을 결정하므로, 그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는,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11)에 기억시킬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 페이지 편집시마다 레이아웃 코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페이지 수가 많은 책의 편집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으나 그 구성이 제32도에 나타낸 것보다 간략화된다.
또, 제32도에 관한 설명에 있어는, 요소 변환수단(122)에 의하여 분해된 각 요소별의 데이터중의 이미지에 관한 것은 이미지 D/B(13)에 기억되고, 또, 기종정보에 관한 것은 기종정보 D/B(14)에 기억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에는 측히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를 어느 하나만을 설치하고, 그 D/B에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 쌍방을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즉,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제9도 및 제6 내지 8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서식의 요소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각 데이터를 동일 형태의 데이터로서 취급할 수가 있다.
또한, 제17도에 나타낸 문서에 관한 데이터의 요소데이터 키이를,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요소데이터 키이와 동일한 서식이라 하면, 문서에 관한 데이터도, 이미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D/B에 기억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 및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에 위하여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상기 페이지 기어수단(112)이 복수페이지를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레이아웃 변환수단(121) 및 요소 변환수단(122) 및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 및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의 기능을, 제2도에 나타낸 호스트 컴퓨터(1)가 구비되어 있을때는, 후기하는 이유에 의하여 그 호스트 컴퓨터(1)에 일시적으로 부하가 집중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해당편집장치가 페이지 기억수단(112)을 구비하고 잇지 않을 경우에는, 호스트 컴퓨터(1)는, 1페이지분이 데이터를 편집, 프린트등의 목적을 위하여 출력할때마다, 또 1페이지의 편집이 종료할때마다, 데이터의 호출 및 보존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 및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125)에 대하여, 비교적 번잡하게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겨로가 호스트 컴퓨터(1)에 일시적으로 부하가 집중하는 일이 있다.
이에 대하여, 행당 편집장치가 페이지 기억수단(112)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 및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을 사용하여, 새책 편집전에, 편집하고자 하는 책의 1권분의 데이터를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이미 기억해 둘 수가 있으므로, 그 새책 1권분의 데이터의 편집, 프린트등의 처리가 완료할때까지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1)는 그 호스트 컴퓨터(1)에 집속되고, 해당 편집장치에 의한 편집이외의 목적을 위하여 설치된 각종장치(즉 제2도의 퍼스널 컴퓨터 31-1 내지 3-1N등)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상기 호스트 컴퓨터(1)의 해당 편집장치에 대한 처리 동작이 대폭으로 감소하고, 그 부하가 분산 경감된다. 또,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편집하고자 하는 책의 페이지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휴일등을 위한, 호스트 컴퓨터(1)의 가동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책의 편집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불합리를 허용하면, 제1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133)으로부터 출력되는 1페이지분이 데이터를 레이아웃 변환수단(121) 및 레이아웃 변환수단(122)에 직접 출력하도록 하고, 또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으로부터 출력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 및 표시수단(109)에 직접 출력하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은 당연하다.
또한, 요소 입력수단(102) 및 요소데이터 키이 설정수단(103)으로부터 신규로 설정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요소데이터, 및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요소데이터는,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에 기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을 설명함으로써,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제1의 요소 기억수단(123)으로부터 미리 다수 호출해 둘 수가 있으므로, 호스트 컴퓨터(1)의 부하의 집중을 방지할 수가 있으나, 이와 같은 불합리를 허용하면 상기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은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제32도에 나타낸 정보처리수단(124)은, 특별히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편집된 책의 데이터를,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와 요소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여 보존하고 또 상기 각 데이터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즉, 새책을 작성할 경우에 있어서, 해당편집 장치에 의하여 편집된 책의 문서, 삽화등이 공통인 경우에는 그 문서, 삽화등을 신규로 입력하는 일없이 그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책을 작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새책 작성을 간단하고 또 단시가능로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1도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제1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요소 기억수단(161)은, 문서, 사진, 삽화등의 이미지를 나타낸 데이터인 요소데이터 및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한 요소데이터 키이가 기억되는 기억수단이다. 레이아웃 기억수단(162)은 레이아웃 데이터, LEN 및 그 레이아웃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코드가 기억되는 기억수단이다.
페이지 기억수단(163)은, 자료관리번호, 페이지, 레이아웃 데이터, 좌표 및 요소데이터 키이에 의하여 구성되는 제19도에 나타낸 페이지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이다.
상기 요소 기억수단(161)은, 레이아웃 기억수단(162) 및 페이지 기억수단(163)을 포함하는 데이터 기억수단(169)은 편집수단(160)에 접속되어 있다.
편집정보 입력수단(167)은 편집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편집수단(160)은 편집정보 입력수단(167)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서 편집을 실행한다.
편집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조작자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는 편집수단(160)으로부터 표시수단(168)에 출력된다.
비밀번호 입력수단(166)은, 편집수단(160)을 조작하고자 하는 조작자가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비밀번호 기억수단(165)은, 상기 편집수단(160)을 조작하는 것이 허가되고 있는 조작자의 비밀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이다.
비밀번호 판정수단(164)은, 비밀번호 입력수단(166)으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기억수단(165)에 기억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이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 판정수단(164) 및 비밀번호 기억수단(165)은 호스트 컴퓨터(1), 시스템 제어기(2) 및 각 편집기(3-1 내지 3-N)의 어디에 설치해도 좋다.
여기서, 제2실시예의 동작을 제1도, 제26도 및 제27도를 사용하여 다시 상시히 설명한다.
제26도는, 제2실시예를 상기 제1의 편집수법에 적용했을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플로우챠트는, 제1의 편집수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도 및 제26도에 있어서, 조작자가 상기 제1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 책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스텝(S201)에 있어서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요소기억수단(161)에 등록한 후, 스텝(S202)에 있어서, 키이보드, 자기카드 리더등의 비밀번호 입력수단(166)으로부터, 자기의 비밀번호가 되는 담당자 정보를 입력한다.
이 담당자 정보는, 제11도에 나타낸 새 책작성 파일의 담당자 정보이더라도 좋다.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비밀번호 판정수단(164)은 스텝(S203)에 있어서, 그 비밀번호가 새 책작성을 허가된 조작자의 비밀번호로서 비밀번호 기억수단(165)에 기억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비밀번호 판정수단(164)은 스텝(S204)에 있어서, CRT등으로 구성되는 표시수단(168) 상에 편집장치(160)의 조작을 허가하지 않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해당처리는 그대로 종료한다.
반대로,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이시점에 있어서 비밀번호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프로텍트가 해제되고, 조작자는 새 책작성을 행할 수가 있게된다. 프로텍트가 해제되면 조작자는 편집정보 입력수단(167)으로부터 각종의정보를 입력함으로서 새 책작성을 개시한다.
스텝(S205)에 있어서, 먼저 조작자는 새롭게 작성하는 책의 자료관리번호 및 스텝(S206)에 있어서 작성하고 싶은 페이지 번호를 입력한다.
이어서, 조작자는, 지정한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기 위하여, 스텝(S207)에 있어서, 레이아웃코드를 입력한다.
레이아웃코드가 입력되면, 그 레이아웃코드에 의하여 지정된 레이아웃정보가 레이아웃 기억수단(162)으로부터 호출되고, 스텝(S208)에 있어서, 그 레이아웃 정보에 따라서 기본 레이아웃이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조작자는 스텝(S209)에 있어서, 거기에 게재하고 싶은 이미지에 대응한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하므로써 그 이미지를 요소 기억수단(161)으로부터 호출한다. 그 이미지는, 스텝(S21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상에 출력 표시된다.
이때, 그 이미지를, 기본 비밀번호상의 어느위치에 게제하는가는 편집출력(160)에 접속된 예를 들면 마우스(도시생략)을 사용하여 지정한다.
마우스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게재하는 위치를 결정하면 스텝(S211)에 있어서, 기본 레이아웃상에서의 그 이미지의 좌상의 좌표(X1, Y1) 및 우상의 좌표(X2, Y2)가 편집 출력(160)에 입력된다.
스텝(S212)에서는, 1페이지분의 편집을 종료했는가를 판정하고, 동일 페이지상에 게재한 이미지가 다시 존재할 경우, 해당처리는 스텝(S209)로 돌아간다. 1페이지분의 편집을 종료했으면, 스텝(S213)에 있어서, 제19도에 나타내는 페이지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데이터를 페이지 기억수단(163)에 기억하고, 그후 해당처리는 스텝(S214)으로 이행한다.
스텝(S214)에서는 1권분의 편집을 종료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다시 편집하고 싶은 페이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처리는 스텝(S207)로 돌아간다.
1권분의 편집을 종료했으면, 해당처리는 그대로 종료한다. 다음에 조작자가 제2실시예에 의하여, 제2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 책을 작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7도는 이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플로우챠트는 제2의 편집수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27도에 있어서 제26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 및 제27도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수법에 의하여 새 책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자는 스텝(S203)의 처리종료후, 스텝(S220)에 있어서 원본의 자료관리번호,스텝(S221)에 있어서 원본중에서 복사하고 싶은 페이지 번호를 각각 입력한다.
스텝(S222)에서는, 상기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번호에 대응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페이지 기억수단(163)으로부터 호출하고, 호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수단(160)에 출력한다.
이어서, 스텝(S223)에 있어서 새 책의 자료관리번호, 스텝(S224)에 있어서 새 책의 페이지번호를 각각 입력한다. 스텝(S225)에서는, 스텝(S222)에 있어서 편집수단(160)에 기억된 원본의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 자료관리번호 및 페이지가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223) 및 스텝(S226)에서는, 복사한 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사진, 삽화등의 요소데이터를 다른 요소데이터와 바꾸어 넣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바꾸어 넣지 않은 경우는 그대로 스텝(S213)으로 이행한다.
반대로 바꾸어 넣을 경우는, 스텝(S227)에 있어서, 신규로 요소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1의 편집수법에 있어서의 스텝(S209) 내지 스텝(S212)의 처리와 동등한 편집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213)에서는 스텝(S225)에 있어서 갱신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 또는 다시 스텝(S227)에 있어서 편집이 행해진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페이지 기억수단(163)에 기억함과 동시에 요소에 관한 데이터중 필요한 것을 요소 기억수단에 기억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비밀관리가 조작자의 번호에 의하여 행해진다. 다음에 비밀관리를, 기억된 데이터의 비밀유지 레벨과 조작자의 비밀번호에 의하여 행함으로써 더욱 세분화된 비밀관리를 가능케 한 제3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28도는 제3실시에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제28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8도에 있어서, 편집정보 입력수단(172)은 편집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데이터 관리번호 입력수단(173)은 편집의 대상이 되는 서적류를 관리하기 위한 자료관리번호 또는 사진등의 이미지를 관리하기 위한 요소데이터 키이(이하, 자료관리번호 및 요소데이터 키이를 총칭하여 데이터 관리번호라 칭한다)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이다.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170)은, 제3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의 비밀번호 및 그 비밀번호와 대응하도록 그 비밀번호를 가지는 조작자가 편집하는 것을 허가된 데이터 관리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수단이다.
상기 편집수단(160)은, 상기 편집정보 입력수단(172)과 접속되어 있고 그 편집정보 입력수단(172)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편집을 행한다.
데이터 관리번호 판정수단(171)은 데이터 관리번호수단(173)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관리번호가 비밀번호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를 가지는 조작자에 의하여 편집을 허가된 데이터 관리번호로서,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170)에 기억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170) 및 데이터 관리번호 판정수단(171)은 호스트컴퓨터(1), 시스템 제어기(2) 및 각 편집기(3-1 내지 3-N)의 어디에 설치되어도 좋다.
여기서, 제3실시예의 동작을 제28도, 제29도 및 제39도를 사용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제29도는 제3실시예를 제1의 편집수법에 적용한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로우챠트는 제1의 편집수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29도에 있어서, 제26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28도 및 제29도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 책을 작성하고자 할 경우, 스텝(S202)에 있어서 조작자가 자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비밀번호 판정수단(164)은 스텝(S230)에서 그 비밀번호가 데이터 관리번호를 관리하는 비밀번호로서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17)에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텝(S204)을 거쳐 해당 처리를 종료한다.
존재하는 경우는, 스텝(S231)에 있어서, 그 비밀번호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 관리번호의 전부, 즉 상기 조작자가 편집 또는 열람하는 것이 허가된 서적류의 데이터 관리번호군을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170)중에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비밀번호로서 "A 1234"가 입력되면 데이터 관리번호 판정수단(171)은, 제31도의 a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A1234"로 관리된 데이터 관리번호로서 "B10" 내지 "B16" 및 "NEW"의 제5개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번호군을 선택한다.
여기서 말하는 "NEW"는 새 책작성이 허가되어 있는 조작자에 부여되는 데이터 관리번호이고, "NEW"라는 데이터 관리번호를 가지는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스텝(S205)에서는 신규로 작성하고 싶은 책의 자료관리번호를 데이터 관리번호로서 입력한다.
스텝(S232)에서는, 상기한 "NEW"가 그 데이터 관리번호군안에 존재하고, 또 그 자료관리번호가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170)의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이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그 조작자를 새 책작성을 허가하고 있는 조작자라고 판단한다.
반대로, 데이터 관리번호중에 "NEW"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NEW"가 존재해도 그 자료관리번호가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170)의 어딘가에 존재하면, 그 조작자를 새 책작성을 허가되어 있지 않은 조작자라고 판단한다.
상기 스텝(S232)에 있어서, 새 책작성을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상기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해당처리는 스텝(S204)을 거쳐 종료한다.
허가된 것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스텝(S206) 내지 스텝(S209)까지 상기 제2실시예의 제1의 편집수법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233)에서는, 스텝(S209)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 관리번호로서의 요소데이터 키이가, 상기 스텝(S231)에 있어서 선택된 데이터 관리번호군안에 기억되어 있는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예의 경우, 비밀번호로서 "A1234"가 입력되어 있고, 요소데이터 키이로서 "B12"가 입력되면 제31a도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B12"는, 비밀번호 "A1234"에 대응한 요소데이터 키이로서 데이터 관리번호군 중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반대로 요소데이터 키이로서 "B14"가 입력되면, 그 요소데이터 키이는 비밀번호 "A1234"에 대응한 데이터 관리번호군 중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스텝(S204)을 거쳐 해당 처리를 종료하고,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스텝(S210) 내지 스텝(S214)까지 상기 제2실시예의 제2의 편집수법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스텝(S233)에 있어서,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후는, 스텝(S207)으로 돌아가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조작자가 제3실시예에 의하여 제2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책을 작성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0도는 제3실시예를 제2의 편집수법에 적용했을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로우챠트도 제2의 편집수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30도에 있어서, 제27도 및 제29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8도 및 제30도에 있어서 제2의 편집 수법에 의하여 새 책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실시에의 제2의 편집수법과 거의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지나, 제29도에 나타낸 상기 제3실시예의 제1의 편집수법과 마찬가지로, 스텝(S230)의 판정후, 스텝(S231)에 있어서 비밀번호에 대응한 데이터 관리번호군을 선택하고, 스텝(S231) 및 스텝(S233)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 관리번호에 대한 판정처리가 행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31도에 있어서, 예를 들면 데이터 관리번호 "B10"의 비밀유지 레벨이, 데이터 관리번호 "B12", "B15", "B16"의 비밀유지 레베레보다 높은 경우, 즉 데이터 관리번호 "B10"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서적류쪽이 더 중요한 경우, 동도 a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밀번호가 "A1234"인 조작자는 "B10" 내지 "B16"의 4개의 데이터 관리번호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모던 서적류의 편집 및 새 책의 작성이 허가되나, 동도 b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밀번호가 "A1235"인 조작자는 "B12", "B15", "B16"의 3개의 데이터 관리번호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서적류의 편집밖에 허가되지 않고, 또 새 채그이 작성은 허가되지 않는다고 하는 데이터의 비밀유지 레벨에 따른 비밀관리가 가능해진다.
또, 이 비비유지 레벨에 의한 분류에, 다시 데이터의 내용에 의한 분류를 가미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B10" 및 "B14"만이 삽화의 데이터이고, 그외는 문서 데이터인 경우, 제31도 C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밀번호가 "A1236"이 조작자가 그 비밀유지 레벨의 고저에 관계없이, 삽화에 관한 데이터의 편집음 모두 허가한다고 하는 관리를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이것은 본원 발명의 편집장치를 사내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회사, 또는 외주업자등의 거래처와 고용하는 경우등에 그 거래처에 필요한 데이터만의 열람을 허가하는 경우등에 유효하다.
이상에서는, 편집을 행할 경우의 비밀관리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단지 해당 편집장치를 기동할때에 비밀관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결과, 책, 요소데이터등의 열람등도 관리할 수가 있다.
제33도는 편집에 사용하는 축적 데이터를 효율좋게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33도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장치는 제n차 계층 ID 입력수단(200)과, 제22도에 나타낸 표, 즉 n차 계층 ID를 입력하기 위한 제n차 계층 ID에 대응한 제(n+1)과 계층 데이터(ID 및 타이틀)이 기억된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과 제(n+1)과 계층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으로부터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201)과, 표시수단(206)과,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6)과,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201)에 의하여 선택되었는가 여부, 즉 그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에 존재했는가 여부를 판정하여, 존재한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표시수단(206)에 표시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때에는, 제n차 계층 ID를 후기하는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4)에 출력하는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과, 제 n차 계층 ID에 대응한 요소데이터를, 그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5)으로부터 독출하고, 그 표시수단(206) 및 정보처리수단(207)에 출력하는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4)과 검색이외의 정보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수단(207)에 의하여 구성되고 있다.
먼저. 데이터 선택수단(201)은, 제n차 계층 ID 입력수단(200)으로부터 입력된 제n차 계층 ID를 디코드하고,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로부터, 그 제n차 계층 ID에 대응한 제(n+1)차 계층 데이터, 즉 제22도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n차 계층 ID를 포함하는, 제(n+1)차 계층 ID 및 그 제(n+1)차 계층 ID와 대응한 타이틀로 구성되는 표를 호출한다. 예를 들면, 제n차 계층 ID으로서, 제2차 계층 ID인 "AA"를 키이보드등의 제n차 계층 ID 입력수단(200)으로부터 입력하면, 데이터 선택수단(201)은, 제22도 d표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차 계층 ID "AA"를 포함하는 제3차 계층 "AAA", "AAB", "AAC", … 및 이들 제3계층 ID와 1대 1로 대응한 타이틀로 구성되는 표를, 제(n+1)차 계층 데이터로서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로부터 호출한다.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에서는, 그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에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에서는, 데이터 선택수단(201)에 있어서, 제(n+1)차 계층 ID 및 그 제(n+1)계층 ID에 대응한 타이틀이, 호출 되었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n+1)차 계층 ID에 상당하는 제3차 계층 ID가 호출되었을 경우는 그 표인 d표를 표시수단(206)에 표시한다.
반대로, 호출되지 않은 경우 즉, 제3차 계층 ID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는 그 n차 계층 ID인 제2차 계층 ID를 그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4)에 출력한다.
그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4)은, 그 데이터 존재판나정수단(203)으로 부터 출력된, 그 제n차 계층 ID을 디코드하고,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5)으로부터 그 제n차 계층 ID에 대응한 요소데이터를 호출하고, 표시수단(206) 및 정보처리수단(207)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예에 있어서, 제(n+1)차 계층 ID에 상당하는 제3차 계층(ID)이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 즉, 제22도에 있어서의 D표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그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은,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4)에 대하여 제2차 계층 ID인 "AA"를 출력한다.
그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4은 제2차 계층 ID인 "AA"를 디코드하고, 제2차 계층 ID인 "AA"에 대응한 타이틀인 "설명문"에 의하여 정의되는 문장, 삽화 등의 요소데이터를,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5)으로부터 호출하고, 표시수단(206) 및 정보처리수단(207)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차 계층보다 하층인 ID를 입력하여 데이터 검색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그 검색을 효율좋게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데이터 검색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제2도, 제34도, 제35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35도는, 데이터 검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35도에 있어서, 제24도와 동일부호의 스텝은, 동일 또는 동등한 처리 행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35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SI51)에서는, 제n차 계층의 ID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4-1)로부터 입력된다. 스텝(S152)에서는, 그 ID에 제7차 계층 ID를 포함하는 제(n+1) 계층의 데이터가, 호스트 컴퓨터(1)에 있어서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로부터 선택된다. 스텝(S153)에서는 제(7+1)차 계층 데이터가 존재하는가 여부, 즉, 스텝(SI52)에 있어서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선택되었는가 여부가,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타(1)에 있어서 판정된다.
이 스텝(SI53)에 있어서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처리는 스텝((SI57)로 이행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스텝(SI56)에 있어서, 제n차 계층 ID에 대응한 요소데이터가 호스트 컴퓨터(1)을 거쳐 예를 들면 문서 D/B(12)로부터 호출되고, 퍼스널 컴퓨터(4-1)에 표시된다.
스텝((SI57)에서는, 그 제(n+1)차 계층 데이터에, 제(n+1)차 계층 ID와, 그 제ID차 ID에 대응한 타이틀로 1조가 되는 데이터가, 복수조 존재하는가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복수조 존재한다고 판정되면, 해당 처리는 스텝(SI54)로 이행하고, 복수조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스텝(SI58)로 이행한다.
스텝(SI57)에서는, 단지 1조만 존재한 데이터의 제(n+1)계층 ID에 대응한 요소데이터가, 호스트 컴퓨터(1)를 거쳐 문서 D/B(12)로 부터 호출되어 퍼스널 컴퓨터(4-1)에 표시된다. 스텝(S159)에서는, 제(7+1)계층 데이터가 표시되고, 그리고 스텝(SI55)에 있어서 n이 1이 가산된 후 해당처리는 스텝(SI51)로 돌아간다. 여기서 이 데이터 검색의 수법을, 제34도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34도는, 다른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34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데이터 처리 장치는, (A) 제n차 계층 ID를 입력하기 위한 제7차 게층 ID 입력수단(200)과, (B)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과, (C)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그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으로부터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201)과, (D) 표시수단(206)과 (E)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5)과, (F)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선택수단(201)에 의하여 선택됐는가 여부, 즉,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에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한다고 판정했을 때에는,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후기하는 데이터 수 판정수단(208)에 출력하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식별했을 때에는 제n차 계층 데이터 ID를 후기하는 제1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9)에 출력하는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과, (G) 제n차 계층 ID에 대응한 요소데이터를, 그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5)으로부터 독출하고, 표시수단(206) 및 후기하는 정보처리수단(207)에 출력하는 제1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9)과, (H) 상기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으로부터 출력된 그 제(n+1)차 계층 데이터에, 복수조의 데이터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복수조 존재할 경우에는, 그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표시수단(206)에 표시하고, 복수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단1조만 존재한 데이터의 제(n+1)계층 ID를 후기하는, 제2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10)에 출력하는 데이터 수 판정수단(208)과, (I) 제(n+1)차 계층 데이터 ID에 대응한 요소데이터를, 그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5)으로부터 독출하고, 그 표시수단(206) 및 정보처리수단(207)에 출력하는 제2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10)과, (J)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207)과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9)은, 제1도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4)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34도에 있어서, 데이터 선택수단(201)은, 제n차 계층 ID 입력수단(200)으로부터 입력된 제n차 계층 ID를 디코드하고,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으로부터, 그 제n차 계층 ID에 대응한 제(n+1)차 계층 데이터, 즉, 제22도,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n차 계층 ID를 ID에 포함하는, 제(n+1)차 계층 ID 및 그 제(n+1)차 계층 ID에 대응한 타이틀로 이루어지는 표를 호출한다.
예를 들면, 제n차 계층 ID로서, 제2차 계층 ID인 "AA"를 키이보드등의 ID 입력수단(200)으로부터 입력하면, 데이터 선택수단(201)은, 제22도 d표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은, 제2차 계층 ID "AA"를 포함하는 제3차 계층 ID "AAA", "AAB", "AAC", … 및, 이들 제3계층 ID에 대응한 타이틀로 이루어지는 표를,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202)으로부터 호출된다.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에서는,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그 데이터 검색용 기억수단(202)에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에서는, 데이터 선택수단(201)에 있어서, 제(n+1)차 계층 ID 및 그 제(n+1)계층 ID와 1대 1로 대응한 타이틀로 이루어지는 표가, 호출되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7+1)차 계층 ID에 상당하는 제3차 계층 ID가 호출되었을 경우는, 그 표에 상당하는 d표를 데이터 수 판정수단(208)에 출력한다.
반대로, 호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제3차 계층 ID가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그 n차 계층 ID인 제2차 계층 ID "AA"를, 그 제1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9)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 판정수단(208)에서는,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으로부터 출력된, 그 제(n+1)차 계층 데이터에, 복수조의 데이터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복수조의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그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표시수단(206)에 표시하고 복수조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n+1)차 계층 ID를 상기 제2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10)에 출력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 수 판정수단(208)에서는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에 있어서 존재한다고 판정된 d표에, 제(n+1)차 계층 ID 및 그 제(n+1)차 계층 ID와 1대 1로 대응한 타이틀로 이루어지는 데이터가 복수조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제n차 계층 ID로서 제2차 계층 ID인 "AA"를 IDI 입력수단(200)으로부터 입력했을 경우에, 제2차 계층 D "AA"를 포함하는 제3차 계층 ID가 "AAA", "AAB" 및 "AAC"의 3조 존재했을 경우는, 그 3조의 ID 및 각각의 ID에 대응한 타이틀로 이루어지는 표를 표시수단(206)에 표시한다.
반대로 예를 들면, "AAA"의 1조밖에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는 이 "AAA"를, 그 제2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10)에 출력한다.
상기 제1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09)는, 그 데이터 존재판정수단(203)으로부터 출력된, 그 제n차 계층 ID인 제2차 계층 ID "AA"를 디코드하고,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5)으로부터 그 제2차 계층 ID "AA"에 대응한 요소데이터를 호출하고, 표시수단(206) 및 정보처리수단(207)에 출력한다.
상기 제2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210)은, 그 데이터 수 판정수단(203)으로부터 출력된, 그 제(n+1)차 계층 ID인 제3차 계층 ID "AAA"를 디코드하고, 요소데이터 기억수단(205)으로부터 그 제3차 계층 ID "AAA"에 대응한 요소데이터를 호출하고, 표시수단(206) 및 정보(207)에 출력한다.
이와같이, 다른 실시예의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데이터 선택수단(201)에 있어서,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1조밖에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는, 그 ID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가 요소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표시되므로, 검색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편집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여러가지의 데이터 처리장치에 적용되어도 좋은 것은 당연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33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n차 계층 ID를 입력함으로써, 임의의 계층으로부터, 데이터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빈도가 높다는 등의 이유에 의하여, 조작자가 인덱스를 완전히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검색의 경우는 그 데이터에 대응한, 완전한 형에서 인덱스를 입력함으로써 즉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할 수가 있다. 또 필요한 데이터의 인덱스가 완전히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알고 있는 곳까지의 인덱스를 입력하고, 뒤에는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타이틀을 참조하면서 임의의 계층으로부터 데이터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장치에 의하면 인덱스를 완전히 알고 있는 데이터의 검색은 물론, 그렇지 않을 경우에도 상당히 효율좋은 데이터 검색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 수 판정수단, 제11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 및 제2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을 가지는 제3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n+1)계층의 데이터가 1개밖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제(n+1)계층 ID에 대응한 요소데이터가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다시 입력수단으로부터 제(n+1)계층 ID을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보다 효율좋은 데이터 처리장치가 가능해진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제1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편집된 책의 데이터를 레이아웃에 관한 데이터와, 요소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여, 유지하고 또 상기 각 데이터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즉, 새 책을 작성할 경우에 있어서,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편집된 책의 문서, 삽화등이 공통인 경우에는, 그 문서, 삽화등의 신규로 입력하는 일없이 그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책을 작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새 책 작성을 간단하고 또 단시간으로 행할 수가 있다.
또, 제2실시예에 의하면, 프로텍트기능이 책 또는 페이지라고 하는 편집을 종료한 자료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그들을 구성하는 요소데이터에도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비밀 관리가 가능해지고, 제3실시예에 의하면, 다시 조작자의 지위 또는 데이터의 내용등에 따라 자세한 비밀관리가 가능하고 보다 효율좋은 비밀관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관리에 의하면, 인덱스를 완전히 알고 있는 데이터의 검색은 물론, 그렇지 않는 경우에도 상당히 효율좋은 데이터 검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 장치를, 편집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의 데이터 검색에 적용하면 효율좋은 새 책편집이 실현된다.

Claims (10)

  1. 정보처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기억된 요소데이터 기억수단, 정보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 및 표시수단을 가지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계층구조에 설정된 인덱스 및 상기 인덱스와 대응하며, 그 최하층의 것은 상기 데이터의 내용과 대응하는 타이틀이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과, 제n차 계층 인덱스를 입력하기 위한 제n차 계층 인덱스 입력수단과,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그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으로부터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과,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할 때에는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데이터 존재판정수단과, 상기 데이터 존재판정수단에 의해서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n차 계층 인덱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정보처리수단에 출력하는 요소데이터 독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n+1)차 계층 데이터는, 제n차 계층 인데스를 포함하는 제(n+1)차 계층 인덱스와,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이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3. 정보처리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기억된 요소데이터 기억수단, 정보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 및 표시수단을 가지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있어서, 계층구조에 설정된 인덱스 및 상기 인덱스와 대응하며, 그 최하층의 것은 상기 데이터의 내용과 대응하는 타이틀이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과, 제7차 계층 인텍스를 입력하기 위한 제7차 계층 인덱스 입력수단과, 제7(7+1)차 계층 테이터가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입르 기억수단으로부터 선택하는 데이터 선택수단과, 제(n+1)차 계층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데이터 존재판정수단과, 상기 데이터 존재판정수단에 의해서 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 그 제(n+1)차 계층 데이터중에복수조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복수조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n+1)차계층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데이터 수 판정수단과, 상기 데이터 존재판정수단에 의해서 상기제(n+1)차 계층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제n차 계층 인덱스에 대응한 데이터를상기 요소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정보처리수단에 출력하는 제1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과, 상기 데이터 수 판정수단에 의해서 데이터가 복수조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제(n+1)차 계층 인덱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정보처리수단에 출력하는 제2의 요소데이터 독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용 테이블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n+1)차 계층 데이터는, 제n차 계층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n+1)차 계층 인덱스와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타이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5. 편집을 행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기본 레이아웃을 지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웃코드 설정수단과,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키이를 설정하는 요소데이터 키이 설정수단과, 각 페이지를 국성하는 요소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에 계속하여 입력하는 요소 입력수단과, 상기 기본 레이아웃상에 있어서 각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는 좌표설정수단과, 상기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 키이로부터 편집상의 레이아웃을 설정하고, 그 편집상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을 설정하고, 상기 변환후 레이아웃코드,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웃 및 상기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1페이지분 데이터를 설정하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과,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요소데이터를 삭제하여 그 페이지의 레이아웃 정보를 설정하는 레이아웃 변환수단과, 상기 레이아웃 정보를 기억하는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과,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을 추출하고, 상기 요소데이터군을 요소단위로 분해하여 그 페이지의 요소정보를 추출하는 요소 변환수단과, 상기 요소정보를 기억하는 제1의 요소기억수단과, 상기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으로부터 소정의 레이아웃 정보를 독출하고, 그 레이아웃 정보의 식별 데이터를 변경하는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과, 소정의 요소정보를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그 요소정보의 요소데이터를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에 의하여 변경된 레이아웃 정보에 부가하고,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설저하는 요소데이터 부가수단과,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 소정의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 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임의의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 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로 치환하고, 치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상기 레이아웃 변환수단 및 요소 변환수단에 전송하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후 레이아웃 코드 설정수단은, 요소 입력시에 기본 레이아웃코드를 설정하는 기본 레이아웃 코드 설정수단, 상기 기본 레이아웃 코드를 기억하는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 및 편집시에 상기 제2의 레이아웃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기본 레이아웃코드를 변환 후 레이아웃 코드로 변환시키는 레이아웃 코드 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7. 제5항에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장치는,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 설정수단, 상기 요소 입력수단, 상기 제1의 요소 기억수단, 상기 좌표 설정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에 접속된 제2의 요소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요소데이터 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며, 상기 요소 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요소데이터 및 상기 제1의 레이아웃 기억수단에 기억된 요소데이터 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는 상기 제2의 요소 기억수단내에 기억되고, 그 기억된 데이터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 및 상기 좌표 설정수단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 상기 레이아웃 변환수단, 상기 요소변환수단, 및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에 접속된 페이지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 또는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이 기억된 데이터는 상기 레이아웃 변환수단 및 요소 변환수단 또는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9. 서적류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수단, 편집을 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편집정보 입력수단,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수단 및 표시수단을 가지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서적류를 편집하는 것이 허가된 조작자의 비밀번호를 기억하는 비밀번호 기억수단과,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수단과, 사기 비밀번호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비밀번호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편집수단은 상기 비밀번호 판정수단에 의하여 행해진 판정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10. 서적류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수단, 편집을 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편집장치 조작수단,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수단 및 표시수단을 가지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조작자의 비밀번호 및 그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서적류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관리번호를 기억하는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과,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비밀번호 입력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번호를 입력하는 데이터 관리번호 입력수단과, 상기 비밀번호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데이터 관리번호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로서 상기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비밀번호 판정수단과, 상기 데이터 관리번호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관리번호가 상기 비밀번호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응한 데이터 관리번호로서 상기 데이터 관리번호 기억수단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데이터 관리번호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편집수단은, 상기 비밀번호 판정수단에 의하여 행해진 판정에 따라 그 편집 작업이 제어되고, 상기 데이터 관리번호 판정수단에 의하여 행해진 판정에 따라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된 데이터의 독출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KR1019880701737A 1987-08-28 1988-08-22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KR950001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23387A JPS6458053A (en) 1987-08-28 1987-08-28 Editing device
JP87-216234 1987-08-28
JP62216234A JPS6458017A (en) 1987-08-28 1987-08-28 Data processor
JP87-216233 1987-08-28
JP62224276A JPS6466771A (en) 1987-09-08 1987-09-08 Editing device
JP87-224276 1987-09-08
PCT/JP1988/000832 WO1989002118A1 (en) 1987-08-28 1988-08-22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edi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111A KR890702111A (ko) 1989-12-22
KR950001940B1 true KR950001940B1 (ko) 1995-03-07

Family

ID=2732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737A KR950001940B1 (ko) 1987-08-28 1988-08-22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38711A (ko)
EP (3) EP0332707B1 (ko)
KR (1) KR950001940B1 (ko)
DE (3) DE3856414T2 (ko)
WO (1) WO1989002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2914A3 (en) * 1990-06-21 1993-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 method of creating documents using existing documents
US5255389A (en) * 1990-06-21 1993-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ument interchange replace option via a copy command
US5390354A (en) * 1991-03-15 1995-02-14 Itt Corporation Computerized directory pagination system and method
US5638443A (en) * 1994-11-23 1997-06-10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composite digital works
US6963859B2 (en) 1994-11-23 2005-11-08 Contentguard Holdings, Inc. Content rendering repository
JPH08263438A (ja) 1994-11-23 1996-10-11 Xerox Corp ディジタルワークの配給及び使用制御システム並びにディジタルワークへのアクセス制御方法
US5715403A (en) * 1994-11-23 1998-02-03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digital works having attached usage rights where the usage rights are defined by a usage rights grammar
US5629980A (en) * 1994-11-23 1997-05-13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digital works
US5634012A (en) * 1994-11-23 1997-05-27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digital works having a fee reporting mechanism
AU1690597A (en) * 1996-01-11 1997-08-01 Mitre Corporation, The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and distribution of digital property
US6233684B1 (en) 1997-02-28 2001-05-15 Contenaguard Holdings, Inc.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rendered digital works through watermaking
US7127420B1 (en) * 1997-08-01 2006-10-24 Financial Systems Technology (Intellectual Property) Pty. Ltd.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mplex pricing and transactional analysis
JP3240971B2 (ja) * 1997-08-25 2001-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表示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US6772141B1 (en) * 1999-12-14 2004-08-03 Novel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nd using indexes utilizing a search decision table
US7386512B1 (en) 2000-05-11 2008-06-1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auditing content/service systems
US6980972B1 (en) * 2000-05-11 2005-12-27 Thomson Licensing S.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auditing content/service systems
US7412605B2 (en) 2000-08-28 2008-08-12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encryption of data
US7743259B2 (en) 2000-08-28 2010-06-22 Contentguard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ing a standard rendering engine
US8037492B2 (en) 2000-09-12 2011-10-1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video enhancement transport alteration
US7343324B2 (en) 2000-11-03 2008-03-11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utomatically publishing content
US6912294B2 (en) 2000-12-29 2005-06-28 Contentguard Holdings, Inc. Multi-stage watermarking process and system
US7774279B2 (en) 2001-05-31 2010-08-10 Contentguard Holdings, Inc. Rights offering and granting
US8069116B2 (en) 2001-01-17 2011-11-29 Contentguard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nd managing usage rights associated with an item repository
US6754642B2 (en) 2001-05-31 2004-06-22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ssigning usage rights to digital works
US6876984B2 (en) 2001-05-31 2005-04-05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usage rights for digital content to be created in the future
US8275716B2 (en) 2001-05-31 2012-09-25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for subscrip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US8275709B2 (en) 2001-05-31 2012-09-25 Contentguard Holdings, Inc.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content when content is a future live event
US8099364B2 (en) 2001-05-31 2012-01-17 Contentguard Holdings, Inc. Digital rights management of content when content is a future live event
US8001053B2 (en) 2001-05-31 2011-08-16 Contentguard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rights offering and granting using shared state variables
US7725401B2 (en) 2001-05-31 2010-05-25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usage rights for digital content to be created in the future
US6895503B2 (en) 2001-05-31 2005-05-17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assignment of rights to documents and documents having such rights
AU2002345577A1 (en) 2001-06-07 2002-12-23 Contentguard Holdings, Inc. Protect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7774280B2 (en) 2001-06-07 2010-08-10 Contentguard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ransfer of rights using shared state variables
KR20030096250A (ko) 2001-06-07 2003-12-24 콘텐트가드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권리 관리시스템에서 다중 신뢰구역들을 지원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TWI231896B (en) * 2001-06-29 2005-05-01 Secure Systems Ltd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s
US7287053B2 (en) * 2002-01-15 2007-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 hoc data sharing in virtual team rooms
JP3997790B2 (ja) * 2002-02-15 2007-10-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スタイルシート選択装置
US7532761B2 (en) * 2005-12-07 2009-05-12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data recovery for a partially destroyed document
US10694352B2 (en) 2015-10-28 2020-06-23 Activision Publishing, Inc. System and method of using physical objects to control software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849A (en) * 1974-09-23 1977-11-08 Atex, Incorporated Text editing and display system
JPS5995645A (ja) * 1982-11-24 1984-06-01 Toshiba Corp 情報整理装置
JPS59214966A (ja) * 1983-05-20 1984-12-04 Toshiba Corp 画像情報編集装置
US4996662A (en) * 1983-10-03 1991-02-26 Wang Laboratories, Inc. Method for generating document using tables storing pointers and indexes
US4652698A (en) * 1984-08-13 1987-03-24 Nc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ystem security in a remote terminal environment
US4958291A (en) * 1985-12-26 1990-09-18 Mamone John R System for accounting for postage expended by a postage meter having security during editing of accounts
US4951249A (en) * 1986-10-24 1990-08-21 Harcom Security System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access to a compu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47907A1 (en) 1995-04-12
DE3855651D1 (de) 1996-12-12
US5138711A (en) 1992-08-11
EP0332707A4 (en) 1992-08-12
DE3856414T2 (de) 2000-10-19
EP0332707A1 (en) 1989-09-20
DE3855651T2 (de) 1997-04-03
DE3856404D1 (de) 2000-05-31
EP0647908B1 (en) 2000-05-24
DE3856404T2 (de) 2000-10-19
EP0332707B1 (en) 1996-11-06
EP0647907B1 (en) 2000-04-26
DE3856414D1 (de) 2000-06-29
EP0647908A1 (en) 1995-04-12
KR890702111A (ko) 1989-12-22
WO1989002118A1 (en) 198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940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US5274757A (en) Book editing apparatus
JP4053100B2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文書情報管理方法
JPH10228468A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
JPH07200786A (ja) ファイリング装置
US7152206B1 (en) Printed matter producing method, printed matter 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sai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3691628B2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
US5950213A (en) Input sheet creating and processing system
KR0121574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는 편집장치
KR970001905B1 (ko)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Lecoutre The R2HTML package
US200301917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atting, proofreading and annotating information to be printed in directories
JP3041883B2 (ja) 文書作成支援方法および装置
JPH08202746A (ja) 図面登録方法
JP3480890B2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
JPH08161350A (ja) 電子ファイリ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H06231183A (ja) 文書ファイリング装置
CA1316265C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editing device aided thereby
JP3480889B2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媒体用紙の識別方法
Sojka Publishing encyclopaedia with Acrobat using TeX
JPH10269230A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
Lecoutre et al. Package ‘R2HTML’
Sojka An Experience from a Digitization Project
JPH06259485A (ja) 電子ファイリングシステム
JPH01158561A (ja) 編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