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574B1 -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는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는 편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574B1
KR0121574B1 KR1019880701736A KR880701736A KR0121574B1 KR 0121574 B1 KR0121574 B1 KR 0121574B1 KR 1019880701736 A KR1019880701736 A KR 1019880701736A KR 880701736 A KR880701736 A KR 880701736A KR 0121574 B1 KR0121574 B1 KR 012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ayout
page
element data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2132A (ko
Inventor
아끼또 미요시
히로미쯔 데라이
Original Assignee
나까가와 가즈오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09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32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0977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32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623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162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623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39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968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50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296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58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85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58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319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29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50A/ja
Application filed by 나까가와 가즈오,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가와 가즈오
Publication of KR89070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는 편집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편집방법의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편집방법을 적용하는 편집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블럭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4도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5도는 이메이지데이터 또는 문서데이터를 신규입력했을 경우의 그 데이터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6도는 기종정보중의 스팩(specs=specification)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7도는 기종정보중의 서비스데이터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8도는 기종정보중의 토오크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9도는 편집시에 변환되는 이메이지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된 서비스데이터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만을 나타낸 도이다.
제11도는 새책작성 파일을 나타낸 도이다.
제12도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로부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가 작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13도는 기본레이아우트의 표시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제14도는 편집시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제15도는 신규입력된 이메이지정보의 1요소분의 데이터의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16도는 신규입력된 문서정보의 1요소분의 데이터의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17도는 편집시에 변환되는 문서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18도는 편집기에 있어서 작성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19도는 레이아우트 D/B(11) 내에 등록되기 위하여 호스트컴퓨터에 있어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21도는 제20도의 스텝(S104)에 있어서의 데이터 갱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22도는 문장 D/B(12)내에 설정된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3도는 문서검색용 테이블의 계층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제2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검색의 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25도는 환산구분과, 이미지구분과, 서비스데이터의 CRT상에서의 표시와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제26도는 본 발명의 편집장치의 일실시예의 기능블럭도이다.
제27도는 본 발명의 편집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럭도이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편집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럭도이다.
제29도는 본 발명의 편집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럭도이다.
제30도는 본 발명의 편집장치의 기능블럭도이다.
제31도는 제30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32도는 본 발명의 편집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럭도이다.
제33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럭도이다.
제34도는 제33도의 실시예에서 취급하는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데이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D/B(데이터베이스)가 접속된 대형 범용컴퓨터와,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소형컴퓨터와, 상기 대형컴퓨터 및 소형컴퓨터를 접속하는 중계용 중형컴퓨터를 구비한 데이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특히 어떤 특정의 단위로 입력된 수치데이터를 다른 단위로 자동적으로 변환하고, 이들 데이터를 1조의 데이터로서 취급하는 데이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를 사용한 편집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전기제품등의 취급설명서, 일반서적, 잡지, 신문등(이하 단지책이라함)의 편집을 단시간에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는 편집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D/B를 구비한 범용컴퓨터와 이 범용컴퓨터에 접속된 소형컴퓨터(단말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는 단말기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고, 상기 범용컴퓨터는 입력된 데이터 및 D/B에 등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데이터처리를 행하고, 그 연산후의 데이터중, D/B에 등록해야할 것을 D/B에 등록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데이터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범용컴퓨터는 D/B의 관리를 행함과 동시에 데이터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 범용컴퓨터가 다수의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그 단말기로부터 데이터의 입출력이 빈번하게 행해지면 상기 범용컴퓨터에 일시적으로 부하가 집중되어 그 컴퓨터의 데이터처리능력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근년 책의 편집작업은 D/B를 구비한 호스트컴퓨터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 워크스테이션(편집기)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처리장치를 사용하여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경우 호스트컴퓨터는 입력된 데이터 및 D/B에 등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데이터처리를 행하고, 그 연산후의 데이터중 D/B에 등록해야 할 것을 D/B에 등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호스트컴퓨터가 다수의 편집기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그 편집기로부터 데이터의 입출력이 빈번하게 행해지면 그 호스트컴퓨터에 일시적으로 부하가 집중되어 그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능력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결점은 D/B가 접속된 호스트컴퓨터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소형 컴퓨터와의 사이에 중계용 컴퓨터를 개재시키고, 그 컴퓨터에는 상기 소형 컴퓨터의 관리, 데이터처리등을 행하게 하여 상기 호스트컴퓨터에는 D/B에의 데이터 입출력관리만을 행하게 하므로서 해결된다.
상기 호스트컴퓨터로서 각종 데이터 처리장치의 호스트컴퓨터로서 공용되고 있는 대형 범용컴퓨터를 사용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계용의 중형컴퓨터와 상기 대형컴퓨터와의 데이터 전송이 실시간 처리, 즉 처리요구 혹은 데이터를 수시로 받아, 즉시 그것에 대한 처리를 행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처리방법으로 행해지면 그 대형컴퓨터는 실제의 편집작업을 실행하고 있지 않을 때도 중형컴퓨터로부터의 입력에 대비하여 동작대기 상태로 대기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 대형 컴퓨터가 쉬고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 결과 편집기의 호스트컴퓨터로서 사용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기타의 데이터 처리장치의 호스트컴퓨터로서의 처리능력이 저하되어 버릴 염려가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 의한 책의 편집작업은 책의 각 페이지 별로 문서, 삽화등을 모두 신규로 입력하므로서 행해지고, 또 책의 정보를 각 페이지 별로 기억장치내에 기억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편집된 책의 정보를 각 페이지 별로 기억장치내에 기억하고, 관리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서로 유사한 책, 예를들면 서로 유사한 차량형태의 자동차의 취급설명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서로 공용할 수 있는 문서, 삽화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공용이 안되고 그들 문서, 삽화등을 모두 신규로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때문에 책의 작성에 시간과 노력이 들고 그 제작비가 증대하였다.
또 상기한 종래의 편집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1) 종래의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편집된 책의 정보는 그 편집장치에 의한 처리로 밖에 이용될 수가 없었다. 바꾸어 말하면 편집된 책의 정보를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행해지는 처리이외의 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이용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예를들면 편집된 책의 내용(정보)를 보거나 검색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해당 편집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실제로 제본된 책(현품)을 손에 넣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편집장치 또는 편집장치의 단말기는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그것들을 필요개소 예를들면 기업내의 각 부소에 배치하는 것은 대단히 비경제적이고, 또 상기 각부소에 제본된 책을 보관해두고, 그 책을 실제로 손에 넣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도 또한 불편하다.
(2)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편집된 책의 정보는 각 페이지 별로 기억장치내에 기억되므로 예를들면 해당 편집장치를 사용하여 이미 편집된 책의 부분적인 정보를 검색하려고 해도 디스플레이에는 페이지 단위로 책의 정보가 표시되므로 본래의 검색에 불필요한 정보도 표시되어 버린다.
따라서 검색작업을 효율좋게 행할 수가 없고 또 대단히 까다로운 일이었다.
또한 이미 편집된 책의 부분적인 정보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본래의 인쇄에 불필요한 정보가 인쇄되어 버린다. 또 자동차, 자동 2륜차등의 서비스메뉴얼이나 판매메뉴얼등을 편집하는 경우에는 해당자동차, 자동2륜차 등을 구성하는 각종부품의 사양서, 기준수치 데이터등이 설정된 정비데이터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제34도는 자동 2륜차의 정비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낸 표이다.
제3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비데이터표는 예를들면 실린더내경, 피스톤외경등의 항목명과 그 항목의 표준치(최소치 및 최대치)데이터 및 사용한계 데이터로 이루어진 수치 데이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1) 제34도에 나타낸 정비데이터는 그 배포지를 일본국으로 하는 서비스 메뉴얼에 개재되는 것으로 그 수치데이터는 [in]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메뉴얼을 예를 들면 야아드파운드법이 적용된 나라를 배포지로 하도록 작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치데이터를 예를들면 단위로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 자동 2륜차가 미터법이 적용된 나라에서 제작되고 있는 경우에는 미터법으로 표시된 각수치데이터를 일단 야아드파운드법의 단위로 환산하고 그 환산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정비데이터의 표를 작성하게 된다. 이 환산은 해당 서비스메뉴얼의 편집자가 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상기 정비데이터의 표, 나아가서는 해당 서비스 메뉴얼의 작성에 시간이 걸려 불편하다.
(2) 예를들면 수치데이터를 미터법 단위로 표시한 옆에 그 수치데이터를 야아드파운드법 단위로 환산한 값을 병기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미터법 단위의 수치데이터 및 야아드법 단위의 수치데이터의 양쪽을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상기 정비데이터의 표, 나아가서는 해당 서비스표메뉴얼의 작성에 더욱 시간이 걸려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B가 접속된 대형범용 컴퓨터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소형컴퓨터와의 사이에 중계용의 중형컴퓨터를 개재시키고 그 중형컴퓨터에서 상기 소형컴퓨터의 관리, 데이터처리 등을 행하도록 한다는 수단을 강구한 점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D/B가 접속된 대형범용컴퓨터와 소형 및 중형컴퓨터로 이루어진 편집수단을 구비한 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집수단과 상기 대형범용 컴퓨터와의 데이터전송을 배치(batch)처리, 즉 필요한 데이터를 모아두고 그것을 일괄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 행한다는 수단을 강구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대형컴퓨터는 D/B에의 데이터 입출력관리를 행하기만 하면 좋으므로 그 컴퓨터에 대한 부하의 집중이 방지되어 그 데이터 처리능력이 저하할 염려가 없어진다는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B가 접속되고, 그 D/B의 데이터 입출력을 관리하는 대형 컴퓨터에 소형컴퓨터 및 중형컴퓨터로 이루어지는 편집수단을 접속하고 상기 편집수단에 있어서 편집된 데이터를 1페이지 이상의 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대형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편집수단에 의하여 관리되는 1페이지 이상의 단위의 데이터를 요소(element) 및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고 그 데이터를 소정의 D/B에 전송하여 관리한다는 수단을 강구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결과 상기 D/B에 기억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미 편집된 책에 유사한 책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공통하는 요소데이터를 공용할 수가 있게 된다는 작용효과를 생기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요소데이터에 그 요소데이터를 식별하는 판단키이코드를 부가한다는 수단을 강구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하여 여러가지의 요소데이터를 그 데이터만으로 관리(즉,보존,독출,검색등)를 행할 수가 있게 되고, 이 결과 요소 데이터의 공용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1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서, 삽화, 사진등의 각종 요소데이터에 공통의 서식을 가지는 요소데이터키이를 각 요소데이터에 부가하고, 그 키이 및 데이터와 1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와, 그 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의 상기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 에 의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한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각 요소데이터, 그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 및 1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를 각각 독립하여 취급하도록 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공통하는 요소데이터를 공용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를 생기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레이아우트를 나타내는 레이아우트 데이터와, 요소 데이터의 위치좌표 데이터를 사용하여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레이아우트데이터에 그 레이아우트데이터를 식별하는 레이아우트코드를 부가하여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함과 동시에 보존하도록 한점에 특징이 있다.
이결과 기본적인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를 각 페이지 별로 공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편집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는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1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서, 삽화, 사진등의 각종 요소데이터를 신규로 입력하는 경우 요소데이터에 간략화된 요소데이터키이(템포러리키이)를 부가하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하여 신규로 입력한 요소데이터중의 실제의 편집작업에 사용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만을 설정하면 되므로 해당편집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가 있다는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레이아우트를 나타내는 레이아우트데이터와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 데이터를 사용하여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레이아우트데이터에 그 레이아우트데이터를 식별하는 레이아우트코드를 부가하여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함과 동시에 보존하고, 레이아우트코드를 사용하여 소정의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호출함과 동시에 표시하고 그 레이아우트코드를 자료관리 No.와 페이지번호로 변환하여 편집에 사용하도록 한점에 특징이 있다. 이결과 기본적인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를 각 페이지별로 공용할 수 있게 되므로 편집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는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1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서, 삽화, 사진 등의 각종 요소데이터에 공통인 서식을 가지는 요소데이터키이를 각 요소 데이터에 부가하고, 그 키이 및 데이터와, 1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코드와, 그 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의 상기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에 의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설정하고, 다시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요소에 관한 데이터와,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여 각각을 편집처리 이외의 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에 접속된 기억장치에 기억시키도록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정보처리수단에 접속된 기억수단과, 편집된 책의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에 관한 데이터와,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해당편집장치에 의하여 작성된 책의 정보를 이용할 수가 있게 되고, 또 이 경우 책의 정보를 페이지 단위가 아니라 요소단위로 이용할 수가 있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수치데이터 입력전에 적어도 이메이지 구분정보 및 환산구분정보를 입력하고 그 환산구분정보에 따라 어떤 특정의 단위로 입력된 수치데이터를 다른 1종류 이상의 단위로 환산하고, 환산된 데이터를 입력된 수치데이터의 뒤에 부가하고 그리고 상기 이메이지 구분정보, 또는 이메이지 구분정보 및 환산구분정보에 따라 수치데이터의 표시형태를 제어, 즉 어떤 단위의 수치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표시하는가라는 제어를 행하도록 한점에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하여 1종류의 단위로 수치데이터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그 수치데이터가 적어도 다른 1종류 이상의 단위로 자동적으로 환산되고, 그 단위의 수치데이터 또 필요에 따라 다른 복수종류의 단위의 수치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처리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편집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블럭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문서, 사진, 삽화등의 입출력을 행하는 복수의 편집기(워크스테이션)(3-1∼3-N)는 그것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2)에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온라인 접속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량은 그다지 많게 할 수 없으나 데이터전송속도가 커진다. 상기 각 편집기는 입력되는 문서, 사진, 삽화등의 정보를 벡터 변환하여 도입한다.
상기 편집기(3-1)에는 CRT(6)가 상기 편집기(3-2)에는 프린터(7)가 상기 편집기(3-3)에는 주사장치(8)가 그리고 상기 편집기(3-N)에서 퍼스널컴퓨터 및 CRT(1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편집기(3-1∼3-N)에는 각각 키이보드(5-1∼5-N)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제어기(중계용,중형컴퓨터)(2)는 다시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본 D/B(21), 요소 D/B(22) 및 레이아우트 기본 D/B(23)는 상기 시스템 제어기(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제어장치(22)는 상기 각 편집기(3-1∼3-N)를 제어하고 각 편집기와 페이지단위 혹은 1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문서, 사진, 삽화등)단위로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상기 호스트컴퓨터(1)는 예를들면 IBM사제 IBM 3090 등의 대형범용 컴퓨터이다.
상기 시스템제어기(2), 퍼스널컴퓨터(4-1∼4-N) 및 레이아우트 D/B(11), 문서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는 상기 호스트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퍼스널컴퓨터(1-1∼4-N)는 해당 편집장치의 전용기이더라도 또 후술하는 퍼스널컴퓨터(3-1∼3-N)와 마찬가지고 해당 편집장치에 의한 편집목적 이외의 목적에 사용되는 범용기이더라도 좋다.
상기 편집기(3-1∼3-N)가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는 언어 이외의 언어(이하, 특수언어라함)를 입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는 예를들면 시스템제어기(2)에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로부터 그 특수언어의 입력 및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있다. 즉 퍼스널컴퓨터(4-1∼4-N)의 키이보오드에서 특수언어를 입력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그후 A : 의 키이를 누르면 A의 문자가 표시되는 소프트웨어가 시스템제어기(2)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는 호스트컴퓨터(1)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에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시스템제어기(2)에는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를 상기 각 편집기(3-1∼3-N)로부터 입력되는 문서와 마찬가지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도 구비되어 있다. 해당 편집장치에 의한 편집목적 이외의 목적에 사용되는 퍼스널컴퓨터(31-1∼31-N) 및 D/B(31-1∼32-N)등은 상기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2도의 파선으로 포위된 기기는 해당 편집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컴퓨터(1)는 상기 D/B(11∼14)내에 기억된 정보로부터 책한권분의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것을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한다. 또 상기 시스템제어기(2)는 편집기에서 편집된 1페이지분의 정보를 호스트컴퓨터(1)에 전송한다. 즉 시스템제어기(2)와 호스트컴퓨터(1)와의 데이터전송은 소위배치로 행해진다. 또한 상기 호스트컴퓨터(1) 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코드체계와 상기 편집기(3-1∼3-N)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코드체계가 다른 경우는 그들 데이터의 코드변환은 시스템제어기(2) 또는 호스트컴퓨터(1)에서 행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2도의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는 기본적으로는 후술하는 두가지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책을 작성(편집)할 수가 있다.
(A) 새책을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 즉 각 페이지에 기재할 문서, 삽화, 사진등을 모두 신규로 입력하므로서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편집수법, 이하 제1의 편집수법이라 한다.
(B) 해당 편집장치를 사용하여 이미 편집, 작성되어 있는 다른책을 사용하여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 즉 상기 다른책의 필요한 부분만을 이용하고 새책작성에 필요한 최소부분만을 신규입력하여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편집수법, 이하 제2의 편집수법이라 한다.
먼저, 제1의 편집수법을 자동 2륜차등의 서비스메뉴얼(이하 단순히 책이라함)을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제3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3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S1)에서는 CRT가 접속된 편집기(예를들면 편집기 3-1)에 키이보드(5-1)를 사용하여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코드는 신규하게 작성하는 책의 크기, 바꿔말하면, 1페이지의 크기, 행수, 행간격, 자수등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의 서식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기본레이아우트코드는 예를들면 6바이트길이의 레이아우트코드와 레이아우트데이터, 그 레이아우트데이터 길이를 나타낸 데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어떤 데이터의 데이터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LEN이라고 약칭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는 작성하고자 하는 책이 어떤 제품구분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그 책의 배포지(나라)는 어디인가를 나타낸 데이터와, 그 책이 서비스메뉴얼인가 판매메뉴얼인가등 책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그 책이 1단 프레임조합인가 2단 프레임조합인가 등 책의 각 페이지의 레이아우트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아우트데이터는 각 페이지의 사이즈, 각 A6 세로, A6 가로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각 페이지의 행수, 행간격, 자수, 포인트, 서체, 괘선(罫線)의 유무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CRT상에 있어서의 페이지의 구체적인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는 이 레이아우트데이터에 설정되어 있어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는 상기 레이아우트데이터의 단순한 식별코드이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는 스텝(S29, S30)에 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책의 식별데이터인 자료관리 LEN 및 페이지 번호로 변환된다. 이 레이아우트데이터의 입력이 종료된 시점에서 그 레이아우트데이터의 앞에 그 레이아우트데이터의 LEN이 부가된다.
이와 같이 레이아우트코드, 레이아우트데이터의 LEN 및 레이아우트데이터에 의하여 기본레이아우트코드가 생성된다. 제3도로 되돌아가서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시스템(S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기(3-1)는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하고 그 시스템제어기(2)는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를 레이아우트기본 D/B(23)에 등록(기억)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코드의 등록이 종료하면 다음에 스텝(S3) 내지 스텝(S24)에 있어서 책의 각 페이지에 배치해야할 삽화, 사진, 문서등의 정보입력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삽화 및 사진을 이미지라 한다.
먼저 스텝(S3)에 있어서의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이미지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입력하는 경우는 스텝(S4)에 표시되도록 키이보드(5-3)를 사용하여 편집기(3-3)에 예를들면 6바이트 길이의 임시키이를 입력한다. 이 임시키이는 입력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조작자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 식별부호이나 그 선두바이트에는 그 임시키이가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D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5)에 있어서는 주사기(8)에 의하여 이미지가 읽어진다. 스텝(S23)에 있어서는 요소 D/B(22)에 상기 임시키이와, 읽혀진 이미지 데이터의 LEN과 그 이미지 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등록된다.
상기 스텝(S3)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으로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6)에 있어서 문서입력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입력하는 경우는 스텝(S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키이보오드(5-1)를 사용하여 편집기(3-1)로부터 혹은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임시키이를 입력한다. 이 임시키이는 스텝(S4)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들면 6바이트 길이로 이루어지고 입력하고자 하는 문서의 조작자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 식별부호이다. 또한 이 경우는 상기 임시키이의 선두바이트에 그 임시키이가 문서데이터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T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8)에 있어서는 키이보드(5-1) 혹은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문서를 입력한다.
그리고 스텝(S23)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7)에서 입력된 임시키이와, 스텝(S8)에서 입력된 문서의 LEN와 그 문서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요소 D/B(22)에 등록된다. 이 스텝(S23)에 있어서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를 제5도에 나타낸다.
또한 스텝(S7,S8)에 있어서 입력되는 문서에 관한 데이터를 퍼스널컴퓨터(1)를 사용하여 입력했을 경우 그 데이터는 시스템제어기(2), 호스트컴퓨터(1) 또는 퍼스널컴퓨터(4-1)에 있어서 1요소분의 데이터(제5도)로 편집된다.
상기 스텝(S6)에 있어서, 문서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해당입력이 기종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된다. 이 기종정보라함은 해당 자동 2륜차등의 정비데이터, 사용공구등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종정보는 스팩, 서비스데이터 및 토오크이고, 그들의 상세를 이하에 나타낸다.
(A) 스팩…예를들면 해당 자동 2륜차등의 정비데이터, 사용공구 등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에 입력되는 정비항목, 명세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영문자 수자 및 카나(일본문자) 한자로 이루어진다.
즉 실린더 내경 피스톤 외경등의 정비항목, 사용되어야 할 엔진오일의 명칭 사용해야할 공구의 명칭등.
(B) 서비스데이터…예를들면 상기 정비데이터의 표에 입력되는 정비데이터를 나타내는 수치데이터이고,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한도의 값(혹은 중앙치)의 3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즉 실린더 내경에 관한 정비데이터로서는 그 표준적인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가능한 최대치, 피스톤 외경에 관한 정비데이터로서는 그 표준적인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가능한 최소치등의 데이터 엔진오일탱크의 용량, 냉각수의 용량등의 최대치 및 최소치의 구별이 없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최대치 및 최소치로서 동일한 값을 입력해두므로서 그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C )토오크…예를들면 해당 자동 2륜차등의 각부를 죄이는 나사의 죄임토오크(최대치, 최소치 및 그 중앙치), 나사직경, 그 본수등을 나타내는 수치데이터이다. 즉 토오크정보는 최대치, 최소치 및 중앙치(혹은 사용한도의 값) 및 기타의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포함하는 5수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이때 해당입력이 기종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는 스텝(S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 4-1)를 사용하는 입력해야할 기종정보가 자동 2륜차의 어떤 기종에 관한 것인가를 나타내는 기종코드를 입력한다.
이 기종코드는 예를들면 8바이트의 데이터이고 그 선두바이트에는 해당 기종코드가 기종정보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K를 입력한다.
스텝(S10)에 있어서는 입력하려고 하는 기종정보가 스팩인가 아닌가가 판별된다. 스팩이라고 판별되었다면 스텝(S11)에 있어서 예를들면 4바이트 길이의 정보판별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두바이트에는 해당 정보 판별코드가 스팩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A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2)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3바이트 길이의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13)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2바이트 길이의 이미지 구분을 입력한다. 이 이미지 구분에는 입력하고자 하는 스팩정보의 언어의 종별(예를들면 일본어인가 영어인가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스텝(S21)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스팩정보를 입력한다.
스텝(S22)에 있어서는 스텝(S9,S11,S12,S13)에 있어서 입력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스텝(S21)에 있어서 입력된 스팩정보의 입력을 표시하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컴퓨터 1에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와 스팩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호스트컴퓨터(1)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다. 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제6도에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6도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데이터 스테이터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요소데이터 키이라 한다.
상기 스텝(S10)에 있어서 스팩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14)에서 서비스데이터의 입력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서비스데이터 입력의 경우는 스텝(S15)에 있어서 스텝(S11)에 있어서 입력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정보판별 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두바이트에는 B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6)에 있어서 스텝(S12)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17)에 있어서는 이미 구분을 입력한다. 서비스데이터 이력시에 입력되는 이미지구분 정보의 기능은 스텝(S42)에 관하여 후술한다.
스텝(S21)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서비스데이터 정보를 입력한다.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한도의 값(혹은 중앙치)의 3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해당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이 3데이터를 어떤 특정의 단위로 입력했을 경우 이들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이들 데이터를 다른 단위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도는 스텝(S22)에 있어서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요소데이터키이 및 서비스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7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데이터는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텝(S21)에 있어서 상기 3데이터의 어떤 특정의 단위(예를들면 [mm])로 입력했을 경우 그 데이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도 및 제7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서비스데이터 정보입력의 직전에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3데이터를 어떤 단위로 변환하는가를 지정하는 환산구분(예를들면 2바이트 길이데이터)를 입력하므로서, 제1의 데이터부에 [mm]단위로 입력된 3데이터가 [mm] 이외의 상기 환산구분에서 지정된 다른 단위(예를들면 [in]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그리고 또 다시 제1의 데이터부에 [mm] 단위로 입력된 3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에서 지정된 또다른 단위로 환산되어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이 상태를 제10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된 데이터중의 서비스데이터(요소데이터)만을 나타낸 도이다.
서비스데이터로서 해당 자동 2륜차의 실린더 내경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예를들면 먼저 [mm]단위로서, 최소치, 최대치, 사용한도의 값(제10도에 있어서는 서비스 리미트로 표시되어 있다)을 각각 56.003, 56.018,56.08로 입력한다.
이 수치데이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다음에 서비스데이터 입력전에 설정된 환산구분이 [mm]를 [in]로 변환하도록 지정하는 것이라고 하면 상기 제1의 데이터부 내에 설정된 각 데이터가 각각 2.2048, 2.2054, 2.207과 [in] 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의 데이터부내에도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각 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의 지정에 따른 단위로 변환되어 설정된다.
즉 환산구분은 어떤 특정의 단위로 서비스데이터를 입력했을 경우 그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단위이외의 단위로 자동변환하고,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텝(S9∼S2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입력되는 각 데이터는 시스템제어기(2), 호스트컴퓨터(1) 또는 퍼스널컴퓨터(4-1)에 있어서,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종정보 데이터로 편집된다.
다음에 스텝(S22)에 있어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9,S15,S16,S17)에서 입력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스텝(S21)에서 입력된 서비스데이터정보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컴퓨터 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와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로 이루어지는 서비스데이터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호스트컴퓨터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14)에서 서비스데이터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행당 입력이 토오크의 입력이라고 판별된다. 토오크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되면 스텝(S18)에서 스텝(S11)및 스텝(S15)에서 입력한 것과 동일하게 정보판별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두 바이트에는 C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9)에 있어서 스텝(S12,S16)에서 입력한 것과 동일하게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20)에서는 이미지 구분을 입력한다. 토오크입력시에 입력되는 이미지 구분의 기능은 스텝(S42)에 관하여 후술되는 이미지 구분의 기능과 동일하다.
스텝(S21)에서는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토오크정보를 입력한다.
토오크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치, 최소치 및 중앙치(혹은 사용한도의 값) 및 기타의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포함하는 5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해당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서비스데이터의 입력수법과 마찬가지로 이 5데이터를 어떤 특정의 단위로 입력했을 경우 이들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다른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제외한 3데이터를 다른 단위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8도는 스텝(S22)에 있어서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요소데이터키이 및 토오크)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오크데이터는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텝(S21)에서 상기 토오크데이터를 어떤 특정의 단위(예를들면 [kg])로 입력했을 경우 그 데이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도 및 제8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토오크정보입력의 직전에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5데이터를 어떤 단위로 환산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환산구분을 입력하므로서 제1의 데이터부에 [kg]로 입력된 적어도 3데이터(토오크정보를 나타내는 5데이터중의 상기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제외한 3데이터)가 [kg] 이외의 상기 환산구분에서 지정된 다른 단위(예를들면 [1b]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그리고 또다시 제1의 데이터부에 단위로 입력된 적어도 3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에서 지정된 또 다른 단위로 변환되어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즉 환산구분은 서비스데이터 입력직전에 입력되는 환산구분과 마찬가지로 어떤 특정의 단위로 토오크데이터를 입력했을 경우 그 토오크 데이터를 상기 단위 이외의 단위로 자동환산하고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직경 및 개수의 데이터는 단위의 변환이 불필요하므로 이 2데이터에 관해서는 단위의 변환을 행할 필요는 없다. 물론 이 2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3데이터와 동일한 환산을 행해도 좋으나, 이 경우 이 환산된 2데이터는 사용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6∼제8도에 도시된 1요소분의 데이터중 각 요소데이터키이의 바이트 길이는 동일하다.
스텝(S22)에 있어서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9,S18,S19,S20)에 있어서 입력된 기종코드, 정보판별모드, 항목 및 이미지구분과 스텝(S21)에서 입력된 토오크데이터 정보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스테이터스(호스트컴퓨터 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설정된)와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로 이루어지는 토오크데이터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호스트컴퓨터(1)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스텝(S22,S23)에서 1이미지 1문서 또는 1종정보(이하 요소데이터라 함)의 입력이 종료하면 스텝(S24)에서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할 것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하는 경우는 그 처리는 스텝(S3)으로 되돌아간다.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하지 않을 경우는 스텝(S25)으로부터 해당책의 편집작업을 개시한다. 이 편집은 1페이지씩 행해진다. 먼저 스텝(S25)에 있어서는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 4-1)로부터 호스트컴퓨터(1)에 등록된 새책작성 파일을 호출한다.
이 새책작성 파일의 구성을 제11도에 나타낸다.
제11도에 있어서 새책작성 파일을 자료관리 NO. 정보와, 담당자정보와 개시페이지 정보로 이루어진다.
자료관리 NO.는 작성해야할 책의 명칭 또는 관리번호이다. 담당자정보는 해당책의 작성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개시페이지는 작성되는 책의 몇페이지로부터 개시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다시 말하면 작성되는 책의 페이지를 몇페이지로부터 개시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본국내에 배포되는 책은 제2페이지 또 미국내에 배포되는 책은 11페이지가 개시 페이지이다.
상기 담당자 정보는 예를들면 해당 새책작성의 기밀관리에 응용할 수가 있다. 즉 호스트컴퓨터(1)내에 책을 작성하는 것을 허가된 사람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두고 새책작성 파일내에 설정된 담당자정보가 호스트컴퓨터(1)에 등록된 사람인 경우에만 새책작성을 행할 수 있게하면 해당편집기로부터 편집되어서는 안될 책이 편집되거나 혹은 이미 편집된 책에 불필요한 정정이 행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경우 상기 담당자정보는 암호화하거나 자기카드내에 기억해두거나 해도 좋다.
이 새책작성 파일을 호출했으면 스텝(S26)에서 그 새책작성 파일에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스텝(S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컴퓨터(1)로부터 그 새책작성 파일이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되고, 책 D/B(21)내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28)에서는 키이보드(5-1)에 의하여 레이아우트코드(제4도 참조)를 입력하므로서 레이아우트 기본 D/B(23)내에 등록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CRT(6)에 호출한다. 해당편집장치는 이와 같이 레이아우트코드가 호출되면 자료관리 NO.와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료관리 NO.는 제11도에 도시된 새책작성파일의 자료관리 NO.와 마찬가지로 해당책의 몇칭 또는 관리번호이다.
이 자료관리 NO.와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번호를 스텝(S29)에서 입력한다.
자료 관리 NO. 및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번호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편집기(3-1)는 스텝(S30) 및 제1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S28)에서 호출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를 스텝(S29)에 있어서 입력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로 변환한다. 이 변환이 행해지면 스텝(S31)에 있어서 편집기(3-1)는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 및 LEN 및 레이아우트데이터를 그 편집기(3-1)내에 기억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 및 LEN 및 레이아우트데이터를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라 한다.
스텝(S32)에서는 이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사용하여 기본레이아우트가 CRT(6)에 표시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는 기본적으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윤곽(101)과, 문서입력영역(102)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제13도에 도시된 기본레이아우트는 2단 프레임조이다.
다음에 스텝(S33)에 있어서는 CRT(6)에 이미지를 표시할 것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표시시킬 경우는 스텝(S34)에 있어서, 임시키이(제5도 참조)를 키이보드(5-2)에 의하여 입력하고 1요소분의 데이터 즉 임시키이, 호출하고자 하는 이미지데이터의 LEN 및 그 이미지 데이터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함과 동시에 그 이미지데이터를 CRT(6)에 표시시킨다.
스텝(S35)에 있어서는 상기 키이보드(5-1)에 접속된 마우스(도시생략)를 사용하여 CRT(6)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기본레이아우트상의 소망하는 위치에 이동한다.
제14도는 CFRT(6)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이고, 제13도와 동일한 도이다.
제14도에 있어서, 부호 P로 표시되는 영역에 이미지를 이동했을 때는 그 이미지의 좌상의 좌표 및 우하의 좌표는 각각 (X1,Y1)및 (X2,Y2)이다.
이와 같이 이미지를 이동시키면 기본레이아우트상에서의 그 이미지의 좌상의 좌표(X1,Y1) 및 우하의 좌표(X2,Y2)가 편집기(3-1)에 입력된다.
또한 이 이미지 이동시에는 편집기의 기능에 따라 그 이미지를 확대, 축소할 수가 있다. 또 이 이미지의 이동에 한하여 문서입력영역(102)의 영역밖에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스텝(S36)에서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키이 호출되는 이미지데이터의 LEN 및 그 이미지 데이터로 이루어진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는 제9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기종정보(스팩정보, 서비스데이터정보, 및 토오크정보)와 동일하게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구분 및 이미지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컴퓨터 1에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로 이루어진다.
이 스텝(S36)에서의 임시키이의 요소데이터키이에의 변환은 편집자가 실제로 데이터스테이터스를 제외한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므로서 행해진다. 또한 정보판별코드의 선두바이트에는 D를 입력한다.
또 제9도에 도시된 요소데이터키이의 바이트길이는 제6∼8도에 도시된 바이트길이와 동일하다. 스텝(S37)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이미지데이터의 LEN과 그 이미지 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좌표(X1,Y1), (X2,Y2)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스텝(S45)에 있어서는 1페이지분의 편집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종료되지 않고 있으면 스텝(S33)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33)에 있어서 CRT(6)에 이미지를 표시시킬 것이 판별되지 않았을때는 스텝(S38)에서 CRT(6)에 문서를 표시시킬 것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표시시키는 경우는 스텝(S39)에서 임시키이(제5도 참조)를 키이보오드(5-1)로부터 입력하고, 1요소분의 데이터 즉 임시키이, 호출하고자 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데이터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함과 동시에 그 문서데이터를 CRT에 표시시킨다. 스텝(S40)에서는 상기 키이보드(5-1)에 접속된 마우스(도시생략)를 사용하여 CRT(6)상에 표시된 문서를 기본레이아우트의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문서를 제14도에 표시되는 기본레이아우트상의 부호 Q로 표시되는 위치로 이동했을 때는 그 문서의 좌상의 좌표 및 우하의 좌표는 각각 (X3,Y3)및 (X4,Y4)이다.
이와 같이 문서를 이동시키면 기본레이아우트상에서의 그 문서의 좌상의 좌표(X3,Y3) 및 우하의 좌표(X4,Y4)가 편집기(3-1)에 입력된다. 스텝(S41)에서는 제1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임시키이, 호출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데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이 요소데이터키이 및 호출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데이터의 서식을 제17도에 나타낸다.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는 예를들면 8바이트 길이의 문서관리 No와, 예를들면 6바이트 길이의 세항목 코드와 예를들면 2바이트 길이의 언어정보와, 문서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스테이터스(호스트컴퓨터 1에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문서관리 No.는 해당문서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그 선두바이트에는 B를 입력한다. 상기 언어정보는 문서데이터가 일본어로 작성된 것인지 영어로 작성된 것인가등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이다.
상기 세항목코드는 해당문서의 분류코드이다. 또한 제17도에 도시된 1요소분의 데이터의 데이터 스테이터스의 뒤에는 블랭크(빈칸)가 메꿔지고, 그 요소데이터키이의 바이트 길이는 제6∼9도에 표시된 요소데이터키이의 바이트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문서데이터 이미지데이터 및 기종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는 모두 동일한 바이트길이로 설정된다. 해당편집장치는 상기 세항목코드를 사용하여 문서의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이 문서의 검색은 스텝(S114)에 관하여 후술한다.
스텝(S37)에서는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요소데이터 키이에 대응하는 문서데이터의 LEN과 그 문서 데이터의 LEN과 그 문서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좌표(X3,Y3), (X4,Y4)와 함께 상기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38)에서 CRT(6)에 문서를 표시시킬 것이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기종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스텝(S42)에 있어서 호출하고자 하는 기종정보의 요소데이터키이(제6도 내지 제8도참조)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1요소분의 기종정보데이터 즉 요소데이터키이 및 스팩정보, 서비스 데이터정보 또는 토오크정보를 기종정보 D/B(14)로부터 편집기(3-1)에 호출함과 동시에 그 스팩정보, 서비스 데이터정보 또는 토오크정보를 CRT(6)에 표시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키이보드(5-1)로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고 호스트컴퓨터(1) 및 시스템제어기(2)를 거쳐 기종정보 D/B(14)로부터 직접편집기(3-1)에 기종정보를 호출하도록 하는 대신에 퍼스널컴퓨터(4-1∼4-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기종정보를 기종정보 D/B(14)로부터 호출하고 일단 요소 D/B(22)내에 등록하고 그후 키이보드(5-1)로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고, 시스템제어기(2)를 거쳐 상기 요소 D/B(22)로부터 편집기(3-1)에 기종정보를 호출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기종정보 데이터중 서비스데이터정보 및 토오크정보는 요소데이터키이내에 이미지구분정보 및 스텝(S21)에 관하여 상기한 환산구분(도시생략) 정보에 따라 그 서비스데이터정보 및 토오크정보의 표시형태가 결정된다.
즉, 예를들면 서비스데이터에 대하여 말하면 상기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환산 구분정보에 따라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내에 상기 데이터가 자동환산되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환산구분 및 이미지구분의 정보에 따라 예를들면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서비스데이터가 CRT(6)상에 표시된다.
제25도는 환산구분과, 이미지 구분과 서비스데이터의 CRT상에서는 표시와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표이다.
제25도에 있어서 환산구분이 10, 이미지구분이 10인 경우는 CRT(6)에는 제1의 데이터부(제10도)에 설정된 데이터만이 [mm]단위로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10, 이미지구분이 20인 경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mm]로 표시되고, 이미지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in]단위로 괄호내에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20, 이미지구분이 10인 경우는 제2의 데이터부내에 설정된 데이터만이 [in]단위로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20, 이미지구분이 20인 경우는 제2의 데이터부내에 설정된 데이터가 [in]단위로 표시되고 이어서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mm]단위로 괄호내에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40의 경우는 환산구분이 10의 경우와 동일한데이터 및 단위로 표시되나 그 소수점이 종지부(period)가 아니라 코머(comma)로 표시된다.
다음에 스텝(S43)에 있어서는 스텝(S35,S40)과 마찬가지로 기종정보의 데이터를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위치 결정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44)에서는 제4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좌표정보가 편집기(3-1)에 등록된다. 물론 요소데이터키이만 아니라 각 요소데이터도 좌표정보와 함께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스텝(S45)에서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이 종료했다고 판별되었을 때는 스텝(S46)에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변환된다. 이 변화는 편집작업을 행한 편집기(이 경우는 편집기 3-1)에서 행해진다.
제18도는 편집기에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18도에 있어서, 편집기에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다음이 각 데이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A) 스텝(S30)에서 변환된 변환후 레이아우트데이터(제12도 참조).
(B) 상기 스텝(S35,S40,S43)에서 입력된 좌표 및 그 좌표에 의하여 지정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키이.
1페이지 내에 복수의 요소데이터(이미지데이터,문서데이터 혹은 기종정보데이터)가 배치되는 경우는 이 좌표 및 요소데이터키이는 그 복수조만큼 배치된다. 이 좌표 및 요소데이터키이는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데이터에 이어서 설정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좌표 및 요소데이터키이를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라 한다.
(C) 1페이지 내에 배치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 그 요소데이터의 LEN 및 그 요소데이터, 1페이지에 복수의 요소데이터가 배치되는 경우는 이 요소데이터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는 그 복수조만큼 배치된다. 즉 요소데이터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요소분의 데이터는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내에 포함되는 좌표 및 요소데이터키이의 조와 동수설정된다. 이 요소데이터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는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에 이어서 설정된다.
물론 요소데이터가 기종정보인 경우는 제6도 내지 제8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요소데이터의 앞에는 LEN이 없으므로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만이 설정된다.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의 뒤에 배치되는 이들 데이터를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요소데이터군이라 한다. 또한 제18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최후의 요소데이터의 끝에는 해당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종료했음을 나타내는 앤드레코드가 부가된다.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되면 그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스텝(S47)에 있어서 시스템제어기(2)를 거쳐 책 D/B(21)내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48)에서는 스텝(S46)에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호스트컴퓨터(1)에 전송된다. 여기서 호스트컴퓨터(1)가 휴일등의 이유에 의하여 가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47)까지의 처리를 반복하여 행해두고 호스트컴퓨터(1)가 가동을 개시한 후 상기 책 D/B(21)에 등록된 수페이지분 데이터를 정리하여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S49)에서는 호스트컴퓨터(1)에서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복사되어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된다.
제19도는 레이아우트 D/B(11)에 등록하기 위하여 호스트컴퓨터(1)에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레이아우트 정보이다. 호스트컴퓨터(1)에 전송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그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각 D/B(레이아우트 D/B11,문서 D/B12,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에 분산되어 기억되나 이 스텝(S49)에 있어서의 변환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레이아우트에 관한 정보만을 레이아우트 D/B(11)에 기억하기 위하여 행해진다.
제19도와 상기한 제18도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스텝(S49)에 있어서는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에 이어서 설정된 요소데이터군중의 LEN 및 요소데이터를 제거한 것이다.
다음에 스텝(S50)에서는 상기 스텝(S49)에서 변환된 데이터가 레이아우트 D/B(11)에 등록된다.
스텝(S51)에서는 상기 스텝(S48)에서 호스트컴퓨터(1)에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소데이터군이 복사된다. 스텝(S52)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군중의 문서데이터에 관한 것이 문서 D/B(12)에 등록된다.
스텝(S53)에서는 상기 요소데이터군중의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것이 이미지 D/B(13)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54)에 있어서는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프린트할 것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프린트를 행하지 않을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57)로 이행한다. 프린트를 행하는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55)로 이행한다. 스텝(S55)에서는 키이보드(5-2)를 사용하여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를 입력하므로서 책 D/B(21)내에 등록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기(3-2)에 호출한다. 스텝(S56)에서는 프린터(7)에 의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프린트를 행한다. 스텝(S57)에 있어서는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할 것인가의 여부가 판별되고,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행하는 경우는 그 처리는 스텝(S28)로 이행하고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그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은 수순(제1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책을 신규로 작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2의 편집수법을 제1의 편집수법에 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자동 2륜차등의 서비스메뉴얼을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제20도 내지 제2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의 편집수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20도는 도시된 각 스텝 중 제3도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스텝은 동일 또는 동등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제2의 편집수법에 있어서는 먼저 스텝(S25)에서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하나(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 4-1)로부터 호스트컴퓨터(1)에 등록된 새책작성 파일을 호출한다. 이 새책작성 파일의 구성은 제11도에 표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새책작성 파일을 호출했으면 스텝(S26)에서 그 새책작성 파일에 소정의 데이터 즉 자료 관리 No. 정보와 담당자정보와 개시페이지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컴퓨터(1)로부터 그 새책작성 파일이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되어 책 D/B(21)내에 등록된다. 스텝(S101)에 있어서는 해당편집장치에서 이미 작성된 책(이하 원본이라 한다)을 참조하여 원본의 각 페이지중 새책에 사용해야할 페이지를 선택한다. 즉, 예를들면 제1의 원본의 제21페이지로부터 제30페이지까지가 새책의 제1페이지 내지 10페이지까지에 사용되고 제2의 원본의 46페이지 내지 제50페이지까지가 새책의 제11페이지 내지 제15페이지까지에 사용되고, 그리고 제1의 원본의 제31페이지 내지 제40페이지까지가 새책의 제16페이지 내지 제25페이지까지에 사용된다는 선택을 행한다.
이 처리는 조작자가 원본의 현물을 실제로 손에 들고 행한다.
다음에 스텝(S102)에서는 퍼스널컴퓨터(401)로부터 원본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를 입력하고 그리고 그 1페이지분의 데이터(제19도참조)를 레이아우트 D/B(11)로부터 호스트컴퓨터(1) 내에 코피한다.
다음에 스텝(S10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새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를 입력한다. 스텝(S104)에서는 상기 스텝(S102)에서 코피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를 상기 스텝(S103)에서 입력된 새책의 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를 갱신한다.
제21도는 스텝(S104)에 있어서의 데이터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스텝(S102)에서 호출되어 코피되는 원본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제21도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이나 이 스텝(S104)에 있어서는 동도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중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만이 새책의 것으로 갱신된다. 스텝(S105)에서는 이와 같이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호스트컴퓨터(1)내에 기억된다.
스텝(S106)에서는 이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의 갱신이 새책 1책분에 대하여 모두 완료했는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상기 예에 대하여 말하며 제1의 원본의 제21페이지 내지 제30페이지까지 제2의 원본의 제46페이지 내지 제50페이지까지 및 제1의 원본의 제31페이지 내지 제40페이지까지의 전부가 새책의 제1페이지 내지 제25페이지로 변환되었는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1책분의 갱신(고쳐쓰기)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해당처리는 스텝(S102)로 되돌아가고 종료되었으면 스텝(S107)로 이행한다.
스텝(S107)에서는 상기 스텝(S104)와 같이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또는 요소데이터의 LEN 및 요소데이터를 각 D/B(12∼14)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의 뒤에 배치된 각 요소데이터키의 다음에 부가한다.
즉 스텝(S104)에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완전한 형태로 재현한다. 스텝(S108)에서는 1책분의 모든 페이지가 완전한 형태로 변환되었는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1책분의 모든 페이지가 변환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처리는 스탭(S107)에 되돌아가고 모든 페이지가 변환되어 있으면 스텝(S109)으로 이행한다. 스텝(S109)에서는 상기 1책분의 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1)로부터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한다.
스텝(S110)에서는 상기 1책분의 데이터가 시스템제어기(2)에 의하여 책 D/B(21)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1책분의 데이터를 시스템제어기(2)에 접속된 책 D/B(21)에 등록해두면 호스트컴퓨터(1)가 가동하고 있지 않을 때도 편집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스텝(S11)에서 키이보드(5-1)로부터 새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 번호를 편집기(3-1)에 입력한다.
스텝(S112)에서는 입력된 새책의 해당하는 페이지가 책 D/B(21)로부터 호출되어 편집기(3-1)에 등록된다. 그리고 스텝(S113)에서는 상기 책 D/B(21)로부터 호출된 페이지가 CRT(6)에 표시된다.
다음에 스텝(S130)에서 CRT(6)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을 행할 것인가의 여부가 판별된다. 즉 스텝(S102)내지 스텝(S104)에서 원본으로부터 복사된 새책의 페이지가 편집을 행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편집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그 처리는 스텝(S46)으로 이행하고, 편집을 하는 경우는 스텝(S114)로 이행한다.
스텝(S114)에서는 CRT(6)에 표시된 새책의 페이지를 편집함에 있어서 원본(상기 스텝 101에서 선택된 원본을 포함)의 요소가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검색한다. 이 검색수법은 제22∼24도에 관하여 후술한다.
스텝(S115)에 있어서는 상기 검색에 의하여 새책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요소가 발견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발견되었으면 스텝(S116)에서 퍼스널컴퓨터(4-1∼4-N)(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 4-1)로부터 검색된 요소의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한다. 스텝(S117)에서는 검색에 의하여 호출된 1요소분의 데이터가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되고, 그 시스템제어기(2)는 이것을 요소 D/B(22)에 등록한다.
스텝(S118)에서는 검색을 계속할 것인가 여부가 판별되고 계속하는 경우는 그 처리는 스텝(S114)에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115)에서 새책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요소가 발견되지 않으면 스텝(S115)에서 스텝(S144)(검색)에서 호출된 1요소분의 데이터를 클리어한다.
물론 이때 D/B(12∼14)내의 데이터는 클리어하지 않는다. 스텝(S119)에서는 이미지 데이터, 문서데이터 또는 기종데이터정보, 즉 요소를 신규로 입력할 것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요소를 신규입력하지 않을 경우는 그 처리는 스텝(S118)으로 되돌아간다. 요소를 신규로 입력하는 경우는 그 처리는 스텝(S3)으로 이행한다. 스텝(S3∼S23)의 처리는 제3도의 동일부호로 표시된 스텝과 동일한 처리행정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S22) 또는 스텝(S23)의 처리가 종료되었으면 그 처리는 스텝(S119)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118)에서 검색을 계속하지 않는다고 판별되었을때는 스텝(S33)에서 CRT(6)상에 이미지를 표시시킬 것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표시시킬 경우는 스텝(S120)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임시키이 또는 요소데이터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이미지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고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35)에서 상기 이미지를 이동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121)에서는 상기 스텝(S120)에서 임시키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임시키이를 입력했을 경우는 스텝(S36)에서 상기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제3도에 관하여 전술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텝(S121)에서 임시키이를 입력했다고 판별이 안되었을 경우, 또는 스텝(S36)의 처리가 종료한 후는 스텝(S37)에서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이미지데이터의 LEN 및 그 이미지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스텝(S35)에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33)에서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것이라고 판별이 안되었을 경우는 스텝(S38)에서 문서를 표시할 것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CRT(6)상에 표시시키는 경우는 스텝(S122)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문서의 임시키이 또는 요소데이터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문서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고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40)에서 상기 문서를 이동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123)에서는 상기 스텝(S122)에서 임시키이가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임시키이를 입력했을 경우는 스텝(S41)에서 상기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상기 스텝(S36)의 변환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상기 스텝(S123)에서 임시키이를 입력했다고 판별이 안되었을 경우, 또는 스텝(S41)의 처리가 종료된 후는 스텝(S37)에서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문서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스텝(S35)에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 (S38)에서 문서를 표시시킬 것으로 판별이 안되었을 경우는 기종정보를 표시시킬 것으로 판단되고, 그 처리는 스텝(S131)로 이행한다.
스텝(S131)에서는 표시하려고 하는 기종정보의 요소데이터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기종정보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여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43)에서 상기 기종정보를 이동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44)에서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상기 스텝(S43)에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한다.
상기 스텝(S37)까지는 스텝(S44)의 처리가 종료되었으면 스텝(S45)에서 CRT(6)상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 편집이 종료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편집이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그 처리는 스텝(S33)으로 되돌아가고 종료되고 있으면 스텝(S46)에 이행한다.
스텝(S46)에서는 편집기(3-1)에서 편집후의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환된다.
다음에 스텝(S124)에서는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책 D/B(21)내에 있어서 갱신된다.
스텝(S48 내지 S57)의 처리는 제3도의 동일부호로 표시된 스텝과 동일한 처리행정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텝(S57)에서 다음 페이지의 작성(편집)을 행한다고 판별되었을 때는 그 처리는 스텝(S111)으로 되돌아 간다.
또한 제20도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는 스텝(S33)에 이후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을 행하기 전에 미리 검색을 해두어 필요한 데이터를 D/B(12∼14)로부터 호출하여 요소 D/B(22)에 등록해 두는 것으로 했으나 편집작업중에 이들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좋음은 당연하다.
다음에 상기 스텝(S114)의 처리를 문서 데이터검색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이 스텝(S114)의 검색은 퍼스널컴퓨터(4-1∼4-N)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행한다.
제22도는 문서 D/B(12)내에 미리 설정된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2도 각표에 나타낸 0 또는 널(NULL) 또는 아무것도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문서 D/B(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이하 ID라고 약칭함) 및 타이틀로 이루어진 복수의 문서데이터검색용 테이블이 입력 설정되어 있다.
상기 ID는 제17도에 도시된 문서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의 세항목코드에 대응하도록 그 세항목코드와 동일한 바이트길이(이예에 있어서는 6바이트)로 설정되어 있다.
제22도에 도시된 a표에 있어서는 6바이트 길이의 ID의 선두바이트(제1바이트)에만 예를들면 A, B, C,…라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 b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바이트에 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2바이트에는 A, B, C,…라고 하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c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바이트에 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2바이트에는 A, B, C,…라고 하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또, 동도의 d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3바이트에는 A, B, C,…라고 하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e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3바이트에는 A, B, C,…라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동도의 f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내지 3바이트에 AA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4바이트에는 A, B, C,…라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g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4바이트에는 A, B, C,…라는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문서 D/B(12)내에 설정된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각 테이블은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미리 ID의 제1바이트에만 데이터가 입력된 제1계층의 표(a표)의 각 ID에 대응하도록 문서데이터의 최상위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자동 2륜차, 자동차, 작업차등…)을 입력하고 ID의 제1 및 제2바이트에만 데이터가 입력된 제2계층의 표(b,c등)의 각 ID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상위의 개념의 다음의 계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설명문,주의서등…)을 입력하고 마찬가지로 제3계층의 표(d,e표)에 다음의 계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구조설명,취급설명등…)을, 제4계층의 표(f,g표)에 다시 다음의 계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12개월 점검,6개월 점검…)등을 입력하는 식으로 하여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각 테이블을 작성해두고 또 최하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데이터를 제17도에 나타낸 요소데이터키이의 세항목 코드에 미리 입력해두면,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서데이터의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최하층의 데이터는 제6계층의 표에 설정될 필요는 없고 제6계층보다도 상위의 표에 설정되어도 좋다.
제24도는 상기 스텝(S1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검색의 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검색은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제24도의 스텝(S150)에 있어서 먼저 n가 1로 설정된다. 스텝(S151)에서는 제n계층의 ID를 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입력된다. 스텝(S152)에서는 그 ID에 제n계층 ID를 포함하는 제(n+1)계층의 데이터가 문서데이터 검색용 테이블로부터 선택된다. 스텝(S153)에서는 제(n+1)계층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 즉 스텝(S152)에 있어서 제(n+1)계층 데이터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존재하는 것이 판별되었으면 스텝(S154)에 있어서 제(n+1)계층의 전타이틀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S155)에 있어서 n에 1이 가산된 후 해당처리는 스텝(S151)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153)에서 제(n+1)계층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별이 안되었을 때는 해당처리 스텝(S156)으로 이행한다. 스텝(S156)에 있어서는 제n계층 ID가 세항목 코드에 포함되는 1요소분 데이터(제17도에 도시된/문자분의 데이터)가 호스트컴퓨터(1)를 거쳐 문서 D/B(12)로부터 호출되어 퍼스널컴퓨터(4-1)에 표시된다.
따라서 제22도와 같이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ID로서 제1바이트에만 A를 입력하면 화살표 p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계층중의 제1바이트에 A가 설정되어 있는 b표가 선택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ID로서 제1 및 제2바이트에 AA를 입력하면 화살표 Q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계층중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A가 설정되어 있는 d표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ID로서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A를 입력하면 화살표 R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계층중의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A가 설정되어 있는 f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수법에 의하여 예를들면 자동 2륜차의 구조설명에 관한 문서에서 12개월 점검 메뉴얼에는 어떠한 문서가 등록되어 있는가라고 하는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ID로서 제1 내지 제4바이트에 AAAA를 입력하면 화살표 S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5계층중의 제1내지 제4바이트에 AAAA가 설정되어 있는 표(도시생략)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최하층의 표에 대해서까지 행하면 필요로 하는 문서데이터가 문서 D/B(12)내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가 있다. 필요한 데이터가 검색되었으면 스텝(S117)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검색된 데이터를 요소 D/B(22)내에 등록하면 그 데이터를 새책편집에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한 설명은 문서데이터의 검색을 예로하여 설명했으나 이미지 데이터 혹은 기종정보도 동일한 수법에 의하여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즉 이미지 D/B(13), 기종정보 D/B(14)내에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색용 테이블을 복수 설정하고 또 이미지 데이터 및 기종정보의 요소데이터키이의 항목(3바이트 길이,제6∼9도 참조)에 상기 검색용 테이블의 ID를 입력하도록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기종정보 및 이미지는 각각 다른 D/B(기종정보 D/B14 및 이미지 D/B13)에 등록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기종정보의 데이터와 제9도에 도시된 이미지의 데이터와는 동일한 서식이므로 동일한 D/B에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미지 및 문서데이터의 입력시에는 임시키이를 입력하고, 실제의 편집시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기종정보 데이터의 입력의 경우와 동일하게 임시키이를 입력하지 않고 처음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도에 나타낸 호스트컴퓨터(1)(대형범용 컴퓨터)가 소재(요소)의 관리를 행하고 시스템제어기(2)(호스트컴퓨터와 각 편집(3-1∼3-N)을 중계하는 중계용 중형컴퓨터)가 페이지 또는 책이 단위로 데이터관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작성된 원본 또는 원본의 요소를 이용하여 새책을 작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새책을 효율좋고 또 능률적으로 작성할 수가 있다.
즉, 예를들면 해당 편집장치를 사용하여 서비스메뉴얼, 판매 메뉴얼등을 작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미 작성된 원본의 유사기종의 메뉴얼을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그 원본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유사기종의 메뉴얼을 극히 단시간으로 또 저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물론 이 편집장치는 서비스메뉴얼, 판매메뉴얼등의 작성 뿐만 아니라 일반서적, 잡지, 신문등의 편집에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이미 편집된 책의 정보를 사용하여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 레이아우트 D/B(11)로부터 호출된 레이아우트 정보는 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 재구축되는 것으로 했으나 이 처리를 시스템제어기(2)에서 행하도록 해도 좋음은 당연하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제어기(2)에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요소단위의 정보 및 레이아우트 정보로 분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기종정보의 요소데이터를 입력할 때에는 임시키이를 입력하지 않고 처음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이것에만 한정되는 일 없이 문서, 이미지에 관한 요소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처음에 임시키이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음은 당연하다.
제2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26도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6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는 제2도에 도시한 키이보드(5-1∼5-N) 및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의 키이보드와 주사기(107)는 동도에 나타낸 주사기(8)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제2도의 요소 D/B(22)와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은 동도에 레이아우트기본 D/B(23)와, 페이지기억수단(112)은 동도의 책 D/B(2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26도에서 키이보드(106)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 요소입력수단(102), 임시키이 설정수단(151),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 및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은 제3도의 스텝(S1)에서 입력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제4도 참조)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임시키이 설정수단(151)은 제5도에 나타낸 임시키이의 설정수단이다.
제5도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에 부가되는 임시키이에는 그 선두바이트에 D가 문서데이터에 부가되는 임시키이에는 T가 입력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선두바이트의 데이터에 의하여 편집기(3-1∼3-N)에 있어서 그 데이터가 이미지데이터인지 문서데이터인가를 판별하고 그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요소데이터가 취급된다.
또, 임시키이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6바이트인 경우에는 상기 선두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5바이트에는 조작자 자신에 의한 요소데이터의 식별데이터(어떠한 데이터라도 좋다)가 입력된다. 이경우 예를들면 하위의 3바이트에 수치데이터를 설정하고 요소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그 수치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앞당기도록 해도 좋다. 즉 요소데이터의 입력개시시에 상기 수치데이터가 예를들면 1로 설정되고 요소데이터를 입력할 때마다 상기 수치 데이터가 2, 3,…이 되도록 자동적으로 앞당겨지도록 해도 좋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은 상기 키이보드(106)으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데이터주사기(107)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등을 백터 변환하여 도입하는 입력수단이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은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에서 입력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 레이아우트코드를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이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상기 임시키이 설정수단(151)에서 입력되고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기억된 임시키이를 제15, 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이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키이보드(106)로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직접 입력하므로서 임시키이를 그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해도 좋고, 혹은 변환시에 요소데이터키이를 구성하는 각 코드(이미지 정보에 관하여 말하면 제9도에 도시된 기종코드,정보판별 코드등의 코드)를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소위 조작자와의 회화형의 처리동작으로 상기 각 코드를 순차 선택해가도록 해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는 다시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으로부터 전송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가 기억되나 그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가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었을 경우에는 그 요소데이터키이는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서 다른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되지 않고 그대로 제1 또는 제2의 페이지데이터 설정수단(105,133) 및 좌표설정수단(104)에 출력된다.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은 기억수단(113)내의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은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요소입력수단(102) 및 임시키이 설정수단(151)은 기억수단(113)내의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좌표설정수단(104) 및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후술하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은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함과 동시에 마우스(108)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그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고, 그 좌표정보를 상기 표시수단(109) 및 제1의 페이지 데이터설정수단(105)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설정수단(133)에 출력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은 제2의 레이아우트기억수단(111)에 기억된 임의의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호출하고 그 코드를 제12도 하부에 표시된 바와 같은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로 변환하고, 제1의 페이지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상기 제1의 페이지 데이터설정수단(105)은 새책을 전부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에 동작하고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부터 입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와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좌표정보를 사용하여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데이터를 기억수단(113)내의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은 파선으로 표시수단(109)에 접속되어 있으나 이것은 키이보드(106)로부터 문서등을 입력하는 경우에 그 문서등의 데이터가 표시수단(109)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변환수단(12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제18도)의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LEN 및 요소데이터를 제거하고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이아우트정보를 작성한다. 이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은 정보처리수단(124)에 접속된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은 제2도에 나타낸 레이아우트 D/B(11)에 대응하는 기억수단이다.
상기 요소변환수단(122)은 페이지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을 코피하고 그 요소데이터군을 1요소 단위로 분해한다. 이 요소변환수단(122)는 정보처리수단(124)에 접속된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은 문장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은 다시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식별 데이터 변경수단(131)은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이미 편집되고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 및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된 책의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책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에 기억된 레이아우트 정보 중, 필요한 것을 독출하고 그 레이아우트 정보의 자료관리 및 페이지번호(즉, 그 레이아우트 정보의 페이지를 식별하는 페이지 식별 데이터)를 작성하려고 하는 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로 갱신한다. 이 갱신을 위한 데이터입력은 키이보드(106)로부터 행한다.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 및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은 요소데이터부가수단(13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페이지식별 데이터 변경수단(131)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아우트 정보(제19도 참조)의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의 뒤에 설정된 각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으로부터 독출하고 그 요소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에 부가한다.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다시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 및 상기 표시수단(10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이미 편집되어 있는 책을 사용하여 그 책에 유사한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에 동작하고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부터 출력되는 1페이지분의 정보중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단위의 데이터 및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사용하여 상기 1페이지분의 정보를 변경한다. 그리고 그후 변경된 1페이지분의 정보를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한다.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 변환수단(152)으로부터 요소단위의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정보를 그대로 그 페이지기억수단(112)에 되돌려 보낸다.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은 다시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 요소입력수단(102), 임시키이 설정수단(151), 좌표설정수단(104),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 및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각각 제2도에 도시된 편집기(3-1∼3-N), 시스템제어기(2)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에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요소변환수단(122), 페이지 식별데이터변경수단(131) 및 요소데이터부가수단(132)은 각각 동도의 호스트컴퓨터(1), 시스템제어기(2)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에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새책을 전부 새롭게 작성하는 경우의 기능과 이미 편집된 책을 이용하여 그 책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먼저, 새책을 완전히 새로이 작성하는 경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맨 먼저 키이보드(106)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이 정보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에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본레이아우트코드로 구성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코드는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기억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의 입력 및 기억은 필요에 따라 복수 행해진다.
다음에 키이보드(106)에 의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입력한다. 이 임시키이의 선두바이트를 제외한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편집장치의 조작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요소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조작자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 코드이고,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 또는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내에서 요소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 임시키이는 임시키이 설정수단(151)에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설정된다.
이 임시키이는 입력한 후에 키이보드(106)로부터 문서 또는 기종정보를 입력하고 혹은 주사기(107)로부터 이미지를 도입하고 이들의 데이터를 요소입력수단(102)에 출력한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요소데이터를 그 요소데이터의 LEN을 부가하고, 이것이 상기 임시키이와 함께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출력되어 기억된다. 이 임시키이 및 요소데이터의 입력 및 기억도, 필요에 따라 복수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 내에 기억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 필요한 것 즉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레이아우트데이터가 설정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가 키이보드(106)로부터 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하므로서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으로부터 독출되고 그리고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가 키이보드(106)로부터 입력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환된다. 즉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제12도 하도)가 작성된다.
이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표시수단(109)에 출력된다.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는 페이지 편집에 사용되는 요소데이터 또는 LEN 및 요소데이터와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출력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와, 요소데이터 또는 LEN 및 요소데이터와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좌표설정수단(104)에 출력된다.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은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마우스(108)를 사용하여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요소데이터를 이동하면 그 이동위치에 따른 위치좌표가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에 의하여 설정되고, 그 좌표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요소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복수, 기본레이아우트상의 소정위치에 표시하여 페이지의 편집을 행한다.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이 종료하면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있어서는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 및 좌표설정수단(104)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세히 말하면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로 이루어지는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와 그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요소데이터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서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내에 기억된다. 이 페이지 기억수단(112)에는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해당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매수분만큼 기억된다. 그리고 이들의 데이터는 도시되지 않은 하아드코피 작성장치에 출력된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에 전송된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에서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이아우트 정보를 작성한다. 상기 레이아우트정보는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52)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또,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요소변환수단(122)에 전송된다. 상기 요소변환수단(122)에서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이 코피되고 그 요소데이터군이 1요소 단위로 분해되어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에 전송된다. 분해된 요소데이터군중, 문서요소에 관한 것은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의 문장 D/B(12)에 이미지 요소에 관한 것은 이미지 D/B(13)에 그리고 기종정보 요소에 관한 것은 기종정보 D/B(14)에 기억된다.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에 기억된 요소정보 및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에 기억된 레이아우트정보는 필요에 따라 정보처리수단(124)에 의하여 호출되고 그 정보처리수단(124)에 의하여 실행되는 여러가지의 정보처리 검색등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새책이 작성되고, 또 그 책의 데이터가 레이아우트에 관한 것과 요소에 관한 것으로 분해되어 기억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편집된 책을 이용하여 그 책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 편집된 책중 어느책의 어느 페이지가 이용되는가를 조작자가 현물을 실제로 손에 잡고 판단후 이용하는 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페이지 식별데이터)를 입력하고, 해당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으로부터 독출한다. 독출된 데이터는 페이지식별 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전송된다. 키이보드(106)로부터 작성하려고 하는 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를 입력하면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에서 독출된 데이터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가 입력된 자료관리 및 페이지로 변경된다.
요소데이터부가 수단(132)은 변경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의 뒤에 설정된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제1의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의 뒤에 부가한다. 이에 의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완성된다.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기억수단(112)내에 기억된 후, 표시수단(109)에 전송되어 그 표시수단(109)에 의하여 표시되고, 또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전송된다. 조작자는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보고 그 데이터의 변경이 필요한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데이터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별되었을 경우는 그 요지의 정보가 도시되지 않은 수단으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전송되고 다시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변환수단(122)에서 상기 데이터가 요소 및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된다. 이경우 요소에 관한 데이터는 이미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만이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에 출력되고 기억된다.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희망하는 요소데이터를 삭제 혹은 다른 요소데이터로 변경하는 경우 즉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하는 경우는 필요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므로서 요소정보, 즉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으로부터 독출하여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등록한다.
또, 필요한 요소데이터가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임시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신규로 입력하고 그 임시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등록한다. 즉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임시키이 및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진 요소정보와,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진 요소정보를 기억할 수가 있다.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하여 가세되고 필요한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키이 혹은 요소데이터 및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출력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요소데이터 및 임시키이가 호출되었을 경우에는 그 임시키이를 키이보드(106)로부터 입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또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키이가 호출되었을 경우에는 그 요소데이터키이를 다른 키이로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는 좌표설정수단(104)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전송된다. 좌표설정수단(104)은 상기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하고 또 마우스(108)의 조작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요소 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필요에 따라 반복하고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변경(편집)이 종료되면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후의 1페이지분의 데이터에 다시 설정한다. 상세히 말하면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 편집에 의하여 새롭게 레이아우트상에 설정된 요소데이터에 의하여 앞에 쓰여진 요소데이터 및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위치좌표를 소거하고 상기 편집에 의하여 새롭게 레이아우트상에 설정된 요소데이터 및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의 위치좌표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변경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으로부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되고 기억된다.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단위 혹은 책단위로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변환수단(122)에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변환수단(122)은 출력된 데이터를 요소 및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고 각각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 및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에 출력하고 기억시킨다. 이경우 요소에 관한 데이터중 이미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되어 있는 것은 그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는 기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동작하므로서 이미 편집된 책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 공통된 요소데이터는 그대로 공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책의 작성시간이 대폭으로 단축된다.
제2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가능 블럭도이다. 제27도에 있어서, 제26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7도와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 요소데이터부가수단(132)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이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미 편집되어 있는 책의 정보(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 및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새책작성을 행할 수가 없으나 편집에 사용한 요소데이터를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내로부터 소거되지 않도록 하면 그 요소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른책을 편집할 수가 있다.
또, 제26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성된 책의 요소데이터 등을 편집처리 이외의 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124)에 이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럭도이다. 제28도에 있어서 제27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7도와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요소변환수단(122),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 및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이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집된 책의 데이터를 요소정보 및 레이아우트 정보를 분해하여 보존할 수가 없으므로 그 요소정보를 해당 편집장치 이외의 정보처리수단(제27도의 정보처리수단(124))에 이용할 수가 없으나 편집된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 소거하지 않도록 하면 제27도에 도시된 편집장치와 마찬가지로 이미 편집된 책과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에 공통된 요소데이터를 공용할 수가 있다.
제29도는 제28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의 기능 블럭도이다.
제29도에 있어서, 제28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9도에 있어서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설정수단(120)은 키이보드(106)를 사용하여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직접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페이지 편집을 행할때 마다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페이지수가 많은 책의 편집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으나 제26, 27, 28도에 도시된 각 실시예에 비교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편집방법의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1도에 있어서 스텝(160)에서는 신규로 입력되는 요소 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입력하고 스텝(S161)에서 그 요소데이터를 입력하면 스텝(162)에서 그 임시키이와 그 요소데이터가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제26∼29도)에 기억된다. 스텝(S163)에서는 요소데이터의 입력의 계속할 것인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하는 경우 그 처리는 스텝(S160)에 복귀한다.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S164)에서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면 스텝(S165)에서 그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에 대응한 기본레이아우트가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된다. 스텝(S166)에서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 표시시킨 요소데이터에 대응한 임시키이를 입력하면 스텝(S167)에서 그 요소데이터가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출력된다. 스텝(S168)에서는 예를들면 마우스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요소데이터를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의 소망하는 위치에 이동시키므로서 그 기본레이아우트 상에서의 그 요소데이터의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169)에서는 상기와 같이 편집에 사용된 요소데이터의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스텝(S170)에서 1페이지분의 편집을 종료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처리는 스텝(S166)으로 복귀한다.
1페이지분의 편집은 종료했을 경우는 스텝(S171)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페이지 기억수단(112)(제26도∼제29도)에 기억하고 그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요소데이터를 신규로 입력할 때에 먼저 간략화된 요소데이터키이 즉 임시키이를 입력하는 편집방법이면 어떤 편집방법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 제26도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는 요소변환수단(122)에 의하여 분해된 각 요소마다의 데이터중 이미지에 관한 것은 이미지 D/B(13)에 기억되고, 또 기종정보에 관한 것은 기종정보 D/B(14)에 기억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히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를 어느 하나만을 설치하고, 그 D/B에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쌍방을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즉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제9도 및 제6∼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서식의 요소데이터키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각 데이터를 동일형태의 데이터로서 및 취급할 수가 있다.
또한, 제17도에 도시된 문서에 관한 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를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와 동일한 서식으로 하면 문서에 관한 또 이미지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D/B에 기억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임시키이는 요소데이터를 제1의 표시수단(109)에 표시했을 때에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되는 것으로 했으나 편집작업이 종료하고, 제1 또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133)에 의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설정될때에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되도록 구성해도 좋음은 당연하다.
제30도는 본 발명의 편집방법이 적용되는 편집장치의 기능블럭도이다.
제30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는 제2도에 도시된 키이보드(5-1∼5-N) 및/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의 키이보드와 주사기(107)는 제2도에 도시된 주사기(8)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요소기억수단(110)은 제2도의 레이아우트기본 D/B(22)와, 레이아우트기억수단(111)은 제2도의 레이아우트기본 D/B(123)와,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D/B(2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30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 요소입력수단(102) 및 요소데이터키이설정수단(103) 및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은 제3도의 스텝(S1)에서 입력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제4도 참조)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은 제6∼9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요소데이터키이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은 상기 키이보드(106)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데이터 주사기(107)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데이터를 벡터 변환하여 도입하는 수단이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이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에 있어서 입력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를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이다.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은 기억수단(113)내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레이아우트기억수단(111)은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요소입력수단(102) 및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은 기억수단(113)내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 기억수단(110)은 좌표설정수단(104) 및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은 상기 요소 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함과 동시에 마우스(108)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그 요소데이터의 좌표를 설정하고 그 좌표정보를 상기 표시수단(109) 및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출력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은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기억된 임의의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호출하고 그 코드를 제12도 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로 변환하고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상기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는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와, 레이아우트코드변환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화후 레이아우트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좌표정보를 사용하여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데이터를 기억수단(113)내의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요소입력수단(102)는 파선으로 표시수단(109)에 접속되어 있으나 이것은 키이보드(106)로부터 문서를 입력하는 경우에 그 문서 데이터가 표시수단(109)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새책작성시에는 먼저 키이보드(106)을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기본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정보로서 후술하는 레이아우트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레이아우트코드 및 책의 각 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를 나타내는 레이아우트를 입력한다. 이 정보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에 있어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본레이아우트코드로 구성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코드는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기억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의 입력 및 기억은 필요에 따라 복수행해진다.
다음에 키이보드(106)에 의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한다. 이 요소데이터키이는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에 있어서, 제6∼9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설정된다. 이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한 후는 키이보드(106)로부터 문서 또는 기종정보를 입력하고 혹은 주사기(107)으로부터 이미지를 도입하고 이들의 데이터를 요소입력수단(102)에 출력한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요소데이터에 그 요소데이터의 LEN을 부가하고 이것이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와 함께 요소기억수단(110)에 출력되고 기억된다.
다음에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내에 기억된 레이아우트코드중, 필요한 것, 즉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레이아우트정보가 설정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가 키이보드(106)로부터 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하므로서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으로부터 독출되어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서는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가 키이보드(1)로부터 입력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환된다. 즉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제12도 하도)가 작성된다. 이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표시수단에 출력된다.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는 페이지 편집에 사용되는 요소데이터, 또는 LEN 및 요소데이터와,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가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좌표설정수단(104)에 출력된다.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은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마우스(108)를 사용하여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요소데이터를 이동하면 그 이동위치에 따른 좌표가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에 의하여 설정되고 그 좌표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6)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요소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복수, 기본레이아우트 상의 소정위치에 표시한다.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이 종료하면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서는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 요소기억수단(110) 및 좌표설정수단(104)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세히 말하면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 키이로 이루어진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와, 그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진 요소데이터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서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내에 기억된다. 이 페이지 기억수단(112)에는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해당 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매수부만 기억된다. 그리고 이들의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하이드코피 작성장치에 출력된다.
또한 제30도에 나타낸 각 기능실현수단중, 키이보드(106), 주사기(107), 마우스(108), 표시수단(109) 및 기억수단(113)을 제외한 것은 편집기(3-1∼3-N) 및/또는 시스템제어기(2)에 구비되어 있다.
제3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편집방법의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31도에 있어서 스텝(S160)에서 신규로 설정되는 레이아우트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하고 스텝(S161)에서 그 레이아우트데이터를 입력하면 스텝(S162)에서 그 레이아우트코드와 그 레이아우트데이터로부터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본레이아우트코드가 생성되고 레이아우트기본 D/B(23)(제2도), 즉 제30도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기억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후 레이아우트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설명했으나 그 반대로 스텝(S160)에서 그 레이아우트 데이터를 입력하고 스텝(S161)에서 그 레이아우트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S163)에서는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의 기억이 모두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다시 그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기억시키는 경우에는 그 처리는 스텝(S160)으로 복귀한다. 스텝(S164)에서는 각종 요소데이터가 임시키이와 함께 입력되고, 그 요소데이터 및 임시키이가 요소 D/B(22)(제2도)에 기억된다.
이때 임시키이 대신에 요소데이터키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 스텝(S165)에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시키고 싶은 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한다.
레이아우트코드가 입력되면 스텝(S166)에서 그 레이아우트코드에 대응한 레이아우트데이터 즉 기본레이아우트가 호출되고,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를 스텝(S167)에서 입력하면 스텝(S168)에서 호출된 기본 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가 그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로 갱신된다. 레이아우트코드가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 번호로 갱신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는 스텝(S169)에서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로서 기억된다.
이어서 스텝(S170)에서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 표시시키고 싶은 요소데이터에 대응한 임시키이를 입력하면 스텝(S171)에서 그 요소데이터가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출력된다. 스텝(S172)에서는 예를들면 마우스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요소데이터를 상기 기본레이아우트 상의 소망하는 위치에 이동하므로서 그 기본레이아우트상에서의 그 요소데이터의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173)에서는 상기와 같이 편집에 사용된 요소데이터의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스텝(S174)에서는 1페이지분의 편집이 종료했는가 여부가 판정되고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 그 처리는 스텝(S170)으로 되돌아 간다. 1페이지분의 편집을 종료한 경우는 스텝(S175)에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페이지 기억수단(112)(제30도)에 기억하고 그 처리는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문서, 삽화, 사진등의 각종 요소데이터와 1페이지분의 기본레이아우트와, 그러나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의 상기 레이아우트데이터의 위치좌표를 각각 독립하여 취급하도록 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공통하는 요소데이터를 공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책의 편집시간이 대폭으로 감소하고 그 작성을 단시간에 행할 수가 있다.
(2) 또 상기 기본레이아우트를 기억수단에 기억해 두고 필요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기본레이아우트를 호출하고, 그 기본레이아우트의 키이를 편집하려고 하는 책의 자료관리 No.와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번호로 변환하여 상기 레이아우트를 사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페이지 편집시마다 기본레이아우트의 레이아우트데이터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3) 미리 레이아우트코드 및 레이아우트데이터로 이루어진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고 기억해두도록 하였으므로 그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호출하는 것만으로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기본적인 레이아우트정보 (즉, 제4도에 나타낸 레이아우트데이터)를 설정할 수가 있다. 다시말하면 상기 레이아우트정보를 페이지를 편집할 때마다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책의 편집시간이 대폭으로 감소하여 그 작성을 단시간으로 행할 수가 있다.
제32도는 본 발명의 편집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블럭도이다.
제32도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제32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은 제2도에 나타낸 키이보드(5-1∼5-N)및/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의 키이보드와, 주사기(107)은 동도에 도시된 주사기(8)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요소기억수단(110)은 제2도의 요소 D/B(22)와,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은 동도의 레이아우트기본 D/B(23)와, 페이지 기억수단(112)는 동도의 책 D/B(2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32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 요소입력수단(102) 및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 및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은 제3도의 스텝(S1)에 있어서 입력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제4도 참조)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은 제6∼9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요소데이터키이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은 상기 키이보드(106)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데이터, 주사기(107)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데이터 등을 벡터 변환하여 도입하는 입력수단이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은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에 있어서 입력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를 자료관리 및 페이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이다.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은 기억수단(113)내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은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요소입력수단(102) 및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은 기억수단(113)내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기억수단(110)은 좌표설정수단(104) 및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은 상기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함과 동시에 마우스(108)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그 요소데이터의 좌표를 설정하고 그 좌표정보를 상기 표시수단(109) 및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출력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은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기억된 임의의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호출하고, 그 코드를 제12도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화후 레이아우트코드를 변환하고,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상기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은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와,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좌표정보를 사용하여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데이터를 기억수단(113)내의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은 파선으로 표시수단(109)에 접속되어 있으나 이것은 키이보드(106)으로부터 문서등을 입력하는 경우에 그 문서등의 데이터가 표시수단(109)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변환수단(12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제18도의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LEN 및 요소데이터를 제거하고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이아우트정보를 작성한다. 이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은 정보처리수단(124)에 접속된 레이아우트 D/B(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변환수단(122)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을 코피하고 그 요소데이터군을 1요소단위로 분해한다. 이 요소변환수단(122)은 정보처리수단(124)에 접속된 기억수단(12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억수단(123)은 문자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새책작성시에는 먼저 키이보드(106)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기본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이 정보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에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본레이아우트코드로 구성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코드는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기억된다. 이 기본레이아우트의 입력 및 기억은 필요에 따라 복수 행해진다.
다음에 키이보드(106)에 의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한다. 이 요소데이터키이는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에 있어서, 제6∼9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설정된다. 이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한 후는 키이보드(106)로부터 문서 또는 기종정보를 입력하고 혹은 주사기(107)로부터 이미지를 도입하고, 그들의 데이터를 요소 입력수단(102)에 출력한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요소데이터에 그 요소데이터의 LEN을 부가하고, 이것이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와 함께 요소기억수단(110)에 출력되고 기억된다.
다음에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내에 기억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 필요한 것, 즉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레이아우트데이터가 설정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가 키이보드(106)로부터 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하므로서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으로부터 독출되어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가 키이보드(106)로부터 이력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환된다. 즉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제12도 하도)가 작성된다.
이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표시수단(109)에 출력된다.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는 페이지 편집에 사용되는 요소데이터, 또는 LEN 및 요소데이터와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가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좌표설정수단(104)에 출력된다.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은 요소데이터를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마우스(108)를 사용하여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요소데이터를 이동하면 그 이동위치에 따른 좌표가 상기 좌표 설정수단(104)에 의하여 설정되고, 그 좌표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요소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복수, 기본레이아우트상의 소정위치에 표시한다.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이 종료하면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있어서는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 요소기억수단(110), 및 좌표설정수단(104)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세히 말하면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와, 그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진 요소데이터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있어서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내에 기억된다. 이 페이지 기억수단(112)에는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해당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매수분만큼 기억된다. 그리고 이들의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하아드코피 작성장치에 출력된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우트변환수단(121)에 전송된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에서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이아우트 정보를 작성한다.
상기 레이아우트정보는 레이아우트 D/B(11)에 전송되고 기억된다.
또,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요소변환수단(122)에 전송된다. 상기 요소변환수단(122)에 있어서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이 코피되고 그 요소데이터군이 1요소단위로 분해된다. 분해된 요소데이터군중, 문서요소에 관한 것은 문자 D/B(12)에 이미지 요소에 관한 것은 이미지 D/B(13)에 그리고 기종정보 요소에 관한 것은 기종정보 D/B(14)에 기억된다. 문장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에 기억된 데이터 및 레이아우트 D/B(11)에 기억된 레이아우트정보는 필요에 따라 정보처리수단(124)에 의하여 호출되고, 그 정보처리수단(124)에 의하여 실행되는 여러가지의 정보처리검색등에 이용된다.
또한 제32도에 도시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 요소입력수단(102),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3), 좌표설정수단(104),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은 각각 편집기(3-1∼3-N) 및/또는 시스템제어기(2),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에 또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변환수단(122)은 호스트컴퓨터(1) 또는 시스템제어기(2)에 구비되어 있다.
제32도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는 미리 기본레이아우트코드설정수단(101)에서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고 실제의 편집작업을 행하기 전에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페이지 레이아우트가 설정된 레이아우트코드를 사용하므로서 호출하고 그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를 레이아우트코드변환수단(114)에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환하는 것으로 했다.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서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레이아우트코드 정보(즉,제4도에 나타낸 레이아우트데이터)를 페이지를 편집할 때마다 설정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아우트데이터 입력시에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를 입력하고 제12도 하부에 나타낸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직접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경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는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만의 레이아우트를 결정하므로 그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는 레이아우트기억수단(111)에 기억시킬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각 페이지 편집시마다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페이지수가 많은 책의 편집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으나 그 구성이 제32도에 나타낸 것보다도 간략화 된다. 또 제32도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는 요소변환수단(122)에 의하여 분해된 각 요소마다의 데이터중, 이미지에 관한 이미지 D/B(13)에 기억되고, 또 기종정보에 관한 것은 기종 D/B(14)에 기억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를 어느 하나만 설치하고 그 D/B에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양쪽을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즉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제9도 및 제6∼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서식의 요소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각 데이터를 동일형태의 데이터로서 취급할 수가 있다.
또한 제17도에 나타낸 문서에 관한 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를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와 동일한 서식으로 하면 문서에 관한 데이터도 이미지 및 기종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D/B 기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의하여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변환수단(122)에 직접 출력되도록 효과가 달성된다. 즉, 문서, 삽화, 사진등이 각종 요소데이터와 1페이지분의 기본레이아우트와, 그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의 상기 레이아우트데이터의 위치좌표를 각각 독립하여 취급하도록 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설정하고 다시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와, 요소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여 각각을 편집이외의 정보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 수단에 접속된 기억장치에 기억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정보처리수단 또는 그 정보처리수단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단말기)등을 사용하여 편집된 책의 정보를 요소단위로 보거나 검출하거나 또는 이용하거나 할 수가 있다.
제33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기능블럭도이다.
제33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1)는 제2도에 도시된 키이보드(5-1∼5-N) 및/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의 키이보드와, 또 요소기억수단(104)은 동도에 나타낸 요소 D/B(22)와 또 CRT(107)는 동도에 도시된 CRT(6,10) 및/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의 CRT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33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1)는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2), 요소입력수단(103), 환산구분입력수단(108) 및 정보처리수단(1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정보처리수단(111)은 CRT(107)에 접속되어 있어, 편집등의 각종 데이터처리를 행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2)은 제7, 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이미지 구분정도를 포함하는 요소데이터키이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3)은 상기 키이보드(101)로부터 입력되는 서비스데이터, 토오크등의 수치데이터를 도입하는 수단이다.
상기 환산구분 입력수단(108)은 제7, 8도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데이터 토오크등(즉 요소데이터의 수치데이터 입력전에 키이보드(101)로부터 입력되는 환산구분정보를 도입하는 수단이다.
상기 환산구분 입력수단(108)은 환산구분 식별수단(109)에 접속되어 있다. 이환산구분 식별수단(109)은 환산구분정보의 내용을 식별한다.
상기 요소입력수단(103) 및 상기 환산구분 식별수단(109)은 환산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이 환산수단(110)은 상기 환산구분 식별수단(109)에 의하여 식별된 환산구분정보에 따라 요소 입력수단(103)으로부터 도입된 서비스데이터, 토오크등의 수치데이터를 그들 수치데이터의 입력시에 있어서의 단위와는 다른 1종류 이상의 단위로 변환하여 상기 각 데이터의 뒤에 부가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2), 환산구분입력수단(108), 및 환산수단(110)은 요소기억수단(10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기억수단(104)은 제7, 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요소분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상기 요소기억수단(104)은 정보처리수단(111)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가세되고 그 정보처리수단(111)에 의하여 행해지는 정보처리에 필요한 1요소분의 데이터는 표시형태 판별수단(105) 및 표시형태 제어수단(106)에 출력한다. 상기 표시형태 판별수단(105)은 1요소분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요소데이터키이의 이미지 구분정보 및 환산구분정보에 의하여 요소데이터의 표시형태를 판별한다. 이 판별신호는 상기 요소기억 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와 함께 표시함께 제어수단(106)에 출력된다.
상기 표시형태 제어수단(106)에 있어서는 표시형태의 판별신호 및 1요소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CRT(107)를 제어하여 서비스데이터, 토오크등의 수치데이터를 소정의 표시형태로 표시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동작은 제33도 및 제7, 10도를 참조하여 서비스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키이보드(101)를 사용하여 입력하려고 하는 요소데이터(즉 서비스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한다. 이 요소데이터키이는 적어도 이미지 구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요소데이터키이는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2)에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로 설정된다.
요소데이터키이의 입력이 종료된 후는 키이보드(101)에 의하여 환산구분을 입력한다. 이 환산구분은 환산구분 입력수단(108)에 의하여 도입되고 환산구분 식별수단(109)에 있어서 그 환산구분 데이터가 식별된다. 식별된 환산구분데이터는 환산수단(110)에 공급된다. 환산구분데이터의 입력이 종료되었으면 다음에 서비스데이터를 소정의 단위(예를들면 [mm])로 입력된다. 이 수치데이터는 요소입력수단(103)에 의하여 도입되어 제1의 데이터부(제7,10도 참조)에 설정된다.
이 수치데이터의 입력이 끝나면 그 데이터는 환산수단(110)에 전송된다.
환산수단(110)에서는 상기 환산구분 식별수단(109)에서 식별된 환산구분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수치데이터가 상기한 단위 이외의 1종류 이상의 단위(예를들면 [in]단위)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데이터는 제2의 데이터부 이후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하여 요소데이터(제7,10도 참조)가 설정된다.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02)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환산구분 입력수단(108)으로부터 출력되는 환산구분 및 환산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는 요소기억수단(104)에 전송된다. 상기 요소기억수단(104)에서는 상기 각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7도에 나타낸 서식으로 1요소분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정보처리수단(111)은 키이보드(10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편집작업등의 각종 정보처리를 행하고, 또 그 정보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CRT(107)에 출력한다. 상기 정보처리수단(111)이 정보처리의 필요에 따라 요소기억수단(104)을 가세시키면 그 정보처리에 필요한 요소분의 데이터가 표시형태 판별수단(105) 및 표시형태 제어수단(106)에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형태 판별수단(105)에 있어서는 이미지 구분정보 및 환산구분정보에 의하여 요소데이터의 표시형태를 판별하고 상기 표시형태제어수단(106)에 있어서는 이 표시형태정보 및 요소데이터(서비스데이터)를 사용하여 그 서비스데이터가 소정의 표시형태로 표시되도록 CRT(107)를 제어한다. 이 표시형태는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낸 각 기능실현수단중 키이보드(101), 요소기억수단(104), CRT(107) 및 정보처리수단(111)을 제외한 것은 편집기(3-1∼3-N)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표시형태 판별수단(105)은 1요소분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요소데이터키이의 이미지 구분정보 및 환산구분 정보에 의하여 요소데이터의 이미지구분정보 및 환산구분정보에 의하여 요소데이터의 표시형태를 판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 구분정보만을 사용하여 요소데이터의 표시형태를 판별하도록 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은 호스트컴퓨터(1), 시스템제어기(2) 및 편집기(3-1∼3-N)를 사용한 책의 편집기에 적용하여 설명했으나, 특히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단지 퍼스널컴퓨터등으로만 이루어지는 각종의 정보처리장치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지데이터 입력전에 적어도 이미지 구분정보 및 환산구분 정보를 입력하고 그 환산구분 정보에 따라 어떤 특정단위로 입력된 수치데이터를 다른 1종류 이상의 단위로 환산하고 환산된 수치데이터를 입력된 수치데이터의 뒤에 부가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이미지 구분정보, 또는 이미지 구분정보 및 환산구분 정보에 따라 수치데이터의 표시형태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어떤 특정의 단위로 설정되어 있는 수치데이터를 다른 소정의 단위로 환산하여 표시등의 데이터처리를 하는 경우 그 환산작업은 환산구분의 데이터 입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해당 데이터 처리장치의 조작자의 부담이 경감되고 해당데이터처리를 효율좋게 행할 수가 있다.
(2) 또한 복수종의 단위로 수치데이터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수치데이터를 특정의 1종류의 단위로 입력하기만 하면 되므로 해당데이터 처리장치의 조작자의 부담이 경감되어 해당데이터 처리를 효율좋게 행할 수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컴퓨터에 대한 부하의 집중이 방지되고 그 대형컴퓨터에 의한 데이터처리능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중형컴퓨터와 대형컴퓨터와의 사이의 데이터전송이 배치처리로 행해지기 때문에 일정시간 내의 데이터처리량이 증대하여 대형컴퓨터의 사용시간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 본 발명의 데이터처리장치를 편집장치에 사용했을 경우에는 문서, 삽화, 사진등의 각종 요소데이터는 대형 컴퓨터에 접속된 D/B에 기억되기 때문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D/B에 기억된 데이터를 호출하므로서 그 요소데이터를 공용할 수가 있다. 요소에 관한 데이터 및 1페이지단위 혹은 1책 단위의 데이터가 중형컴퓨터에 접속된 제2의 D/B에 기억되므로 편집을 종료한 책에 대한 세세한 수정 혹은 책의 인쇄등을 대형컴퓨터를 기동시키는 일없이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대형컴퓨터를 기동시킬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대형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대등에 제약되는 일 없이 편집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좋은 편집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1페이지를 구성하는 문서, 사진, 삽화등의 각종 요소데이터를 신규로 입력하는 경우 요소데이터에 간력화된 요소데이터키이(즉 임시키이)를 부가하고, 요소를 실제로 편집작업에 사용했을 경우만 상기 키이를 정규의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신규로 입력한 요소데이터중, 실제 편집작업에 사용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만을 설정하면 좋다. 바꿔말하면 신규로 입력한 요소데이터중 실제의 편집작업에 사용하지 않았던 요소데이터에 대해서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해당편집 작업을 효율좋게 단시간으로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편집을 행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과,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는 요소데이터키이설정수단과,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에 이어서 입력하는 요소입력수단과,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 각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는 좌표입력수단과, 상기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로부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설정하고, 그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을 설정하고,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 및 상기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1페이지분 데이터를 설정하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을 구비한 편집장치.
  2. 레이아우트코드 및 레이아우트데이터로 이루어지고, 1페이지분의 기본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과,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기억하는 레이아우트 기억수단과,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는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과,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에 이어서 입력하는 요소입력수단과, 상기 레이아우트 기억수단에 기억된 임의의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호출하고, 그 기본레이아우트코드의 레이아우트코드를 편집하려고 하는 책의 자료관리 번호 및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페이지 번호로 변환하고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레이아우트코드변환수단과,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에 의하여 지정되는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 각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는 좌표입력수단과, 상기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로부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설정하고 그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에 의하여 요소데이터군을 설정하고,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 및 상기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1페이지분 데이터를 설정하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을 구비한 편집장치.
  3. 편집을 행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지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과, 신규로 입력되는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설정하는 임시키이 설정수단과,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를 상기 임시키이에 이어서 입력하는 요소 입력수단과, 상기 요소데이터 및 임시키이를 기억하는 요소기억수단과,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 상기 요소기억수단으로부터 호출된 각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는 좌표설정수단과, 편집에 사용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과, 상기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로부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설정하고, 그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을 설정하고,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 및 상기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1페이지분 데이터를 설정하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을 구비한 편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은 요소입력시에 기본레이아우트를 설정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기억하는 레이아우트 기억수단 및 편집시에 상기 레이아우트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로 변환하는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5. 신규로 입력되고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설정하고, 상기 요소데이터를 상기 임시키이에 이어서 입력하고, 상기 요소데이터 및 임시키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편집을 행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고, 편집에 필요한 요소데이터를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사용하여 독출하고,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 상기 각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고, 편집에 사용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 키이로 변환하고, 변환후 레이아우트 데이터, 편집에 사용된 요소데이터,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설정하는 편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는 레이아우트데이터 및 레이아우트코드로 이루어지고, 편집시에 등록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독출하고 변경하므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방법.
  7. 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레이아우트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고, 상기 레이아우트코드에 대응하는 레이아우트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레이아우트데이터 및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를 기본레이아우트코드로서 기억하고,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레이아우트 정보가 기억된 레이아우트코드를 그 기본레이아우트코드의 레이아우트코드를 사용하여 호출하고,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를 편집하려고 하는 책의 자료관리 번호 및 편집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번호로 변환하여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편집방법.
  8. 편집을 행하려고 하는 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변화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과,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는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과,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에 이어서 입력하는 요소입력수단과,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 있어서 각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는 좌표 설정수단과, 상기 위치좌표 및 그 위치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 키이로부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설정하고, 그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을 설정하고,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 및 상기 요소데이터군으로부터 1페이지분 데이터를 설정하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과,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그 페이지의 레이아우트 정보를 설정하고, 정보처리수단에 접속된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레이아우트 변환수단과,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그 페이지의 요소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정보처리수단에 접속된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요소변환 수단을 구비한 편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은, 요소입력시에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 및 편집시에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으로부터 설정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로 변환하는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해당 편집장치는 요소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는 일시적으로 상기 요소기억수단내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11. 적어도 이미지 구분정보를 포함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는 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과, 수치데이터의 단위환산을 지정하는 환산구분 정보를 입력하는 환산구분입력수단과, 수치 데이터를 입력하는 요소입력수단과, 상기 환산구분정보를 식별하는 환산구분 식별수단과, 상기 환산구분정보에 따라 상기 수치데이터를 그 수치데이터의 입력시에 있어서의 단위와는 다른 1종류 이상의 단위로 환산하고, 그 환산치를 입력된 수치 데이터의 뒤에 부가하는 환산수단과,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환산구분정보 및 수치데이터를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요소기억수단과, 상기 요소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의 이미지 구분 또는 이미지 구분정보 및 환산구분 정보로부터 상기 수치 데이터의 표시형태를 판별하는 표시형태 판별수단과, 상기 표시형태 판별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수치데이터의 표시형태를 제어하는 표시형태 제어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처리장치.
KR1019880701736A 1987-08-24 1988-08-22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는 편집장치 KR0121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09776A JPS6453256A (en) 1987-08-24 1987-08-24 Editing device
JP87-209776 1987-08-24
JP87-209777 1987-08-24
JP62209777A JPS6453217A (en) 1987-08-24 1987-08-24 Data processor
JP62216231A JPS6458048A (en) 1987-08-28 1987-08-28 Data processor
JP21623287A JPS6458052A (en) 1987-08-28 1987-08-28 Editing device
JP87-216232 1987-08-28
JP87-216231 1987-08-28
JP87-216235 1987-08-28
JP21623587A JPS6458054A (en) 1987-08-28 1987-08-28 Editing device
JP87-239680 1987-09-24
JP87-239679 1987-09-24
JP62239679A JPS6458056A (en) 1987-09-24 1987-09-24 Editing device
JP23968087A JPS6458057A (en) 1987-09-24 1987-09-24 Editing device
JP62250497A JPS6458055A (en) 1987-10-02 1987-10-02 Editing device
JP87-250497 1987-10-02
JP87-258295 1987-10-15
JP25829687A JPS6458051A (en) 1987-10-15 1987-10-15 Editing method
JP87-258296 1987-10-15
JP87-258294 1987-10-15
JP62258294A JPH01158561A (ja) 1987-10-15 1987-10-15 編集方法
JP87-258293 1987-10-15
JP62258293A JPH01131954A (ja) 1987-10-15 1987-10-15 編集方法
JP25829587A JPS6458050A (en) 1987-10-15 1987-10-15 Editing method
PCT/JP1988/000830 WO1989002117A1 (en) 1987-08-24 1988-08-22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edi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132A KR890702132A (ko) 1989-12-22
KR0121574B1 true KR0121574B1 (ko) 1997-11-22

Family

ID=2758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736A KR0121574B1 (ko) 1987-08-24 1988-08-22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는 편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97122A (ko)
EP (1) EP0351433A4 (ko)
KR (1) KR0121574B1 (ko)
WO (1) WO1989002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550A (en) * 1989-04-28 1995-08-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H04105164A (ja) * 1990-08-24 1992-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章管理装置
JPH05225181A (ja) * 1991-03-14 1993-09-03 Nec Corp 編集装置
US5390354A (en) * 1991-03-15 1995-02-14 Itt Corporation Computerized directory pagination system and method
JP2821658B2 (ja) * 1993-11-11 1998-11-05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製版用部品データ管理方法
JPH082181A (ja) * 1994-06-24 1996-01-09 Kenji Okayasu 図形描画装置の制御方法及び図形描画装置及び波形記録装置
US5537628A (en) * 1994-08-29 1996-07-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handling different code pages in text
US5784487A (en) * 1996-05-23 1998-07-21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document layout analysis
US6377704B1 (en) 1998-04-30 2002-04-23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inset detection in document layout analysis
US6662237B1 (en) * 1999-06-24 2003-12-09 Contivo, Inc. System for documenting application interfaces and their mapping relationship
EP1126379A1 (en) * 2000-02-16 2001-08-22 Sun Microsystems, Inc. Conversion of directly assigned document format attributes
AU2002952711A0 (en) * 2002-11-18 2002-11-28 Typefi Systems Pty Ltd A method of formatting document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5751A (ko) * 1972-10-25 1974-06-26
GB1487507A (en) * 1975-12-29 1977-10-05 Ibm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4204206A (en) * 1977-08-30 1980-05-20 Harris Corporation Video display system
US4228516A (en) * 1978-12-26 1980-10-14 Johnston Sr Harry L Computer for metric conversion
JPS561983A (en) * 1979-06-20 1981-01-10 Fujitsu Ltd Information transfer system
DE3272696D1 (en) * 1982-05-24 1986-09-25 Ibm Deutschland Process for preparing dot screen data for character and/or picture representations
JPS59214966A (ja) * 1983-05-20 1984-12-04 Toshiba Corp 画像情報編集装置
US4996662A (en) * 1983-10-03 1991-02-26 Wang Laboratories, Inc. Method for generating document using tables storing pointers and indexes
US4723210A (en) * 1984-08-30 1988-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uperblock structure in a multiple in a data editor
US4739477A (en) * 1984-08-30 1988-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Implicit creation of a superblock data structure
US4723209A (en) * 1984-08-30 1988-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Flow attribute for text objects
US4723211A (en) * 1984-08-30 1988-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Editing of a superblock data structure
EP0381299B1 (en) * 1984-11-14 1998-08-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JPS61133454A (ja) * 1984-12-03 1986-06-20 Hitachi Ltd 端末制御方式
DE3682880D1 (de) * 1985-11-28 1992-01-23 Canon Kk Dokumentverarbeitungssystem.
JPS63245556A (ja) * 1987-03-31 1988-10-12 Toshiba Corp 図表データ割付け方法
JP2559406B2 (ja) * 1987-05-18 1996-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文書作成装置
US4951233A (en) * 1987-08-05 1990-08-21 Hitachi, Ltd. Document producing apparatus having in-document layout display
JPS6438866A (en) * 1987-08-05 1989-02-09 Hitachi Ltd Document editing device
US4933880A (en) * 1988-06-15 1990-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thod for dynamically processing non-text components in compound documents
JP2695844B2 (ja) * 1988-06-16 1998-01-14 株式会社東芝 文書整形装置
JPH02250161A (ja) * 1988-09-06 1990-10-05 Sharp Corp 入力文字表示方式
JPH05282162A (ja) * 1992-03-31 1993-10-29 Nec Corp 割り込みコント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97122A (en) 1993-03-23
EP0351433A1 (en) 1990-01-24
KR890702132A (ko) 1989-12-22
WO1989002117A1 (en) 1989-03-09
EP0351433A4 (en) 1990-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940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US4601003A (en) Document rearrangement system
US5274757A (en) Book editing apparatus
CA1233269A (en) Data structure for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JP2537482B2 (ja) ドキュメントプロセッシング装置
JP4356847B2 (ja) フィールド定義情報生成方法、ならびび、フィールド定義情報生成装置
KR0121574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는 편집장치
JPH0793374A (ja) 文書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US5950213A (en) Input sheet creating and processing system
KR970001905B1 (ko)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JP2568180B2 (ja) 画像処理方法
CA1316265C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editing device aided thereby
JP4737659B2 (ja) 表組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および表組データ作成装置
JPH06231183A (ja) 文書ファイリング装置
EP03588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corresponding to labels
JPH11250039A (ja) データベースを利用した編集支援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S636663A (ja) 画像処理装置
JPS63204434A (ja) 電子化文書検索装置
JPH01158561A (ja) 編集方法
JPH05282391A (ja) 図面検索装置
JPS63173163A (ja) 情報検索装置
JPH02178880A (ja) 電子ファイル装置
JPS6336671A (ja) 電子フアイルシステム
JPH01131954A (ja) 編集方法
Lebedev et al. Man-Machi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Container Transportation J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