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905B1 -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905B1
KR970001905B1 KR1019880701762A KR880701762A KR970001905B1 KR 970001905 B1 KR970001905 B1 KR 970001905B1 KR 1019880701762 A KR1019880701762 A KR 1019880701762A KR 880701762 A KR880701762 A KR 880701762A KR 970001905 B1 KR970001905 B1 KR 970001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lement data
input
code
lay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2133A (ko
Inventor
아끼또 미요시
히로미쯔 데라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가와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162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29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58049A/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까가와 가즈오 filed Critical 혼다 기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70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근래, 책의 편집작업은 D/B를 구비한 호스트컴퓨터와 그 호스트컴퓨터에 접속된 소형컴퓨터(편집전용기)로 이루어진 편집장치를 사용하여 행해지도록 되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입출력은 상기 소형컴퓨터에 의하여 행해지고 상기 호스트컴퓨터는 입력된 데이터 및 D/B에 등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고 그 데이터를 페이지 단위로 관리함과 동시에 그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 상기 D/B에 동록해야 할 것을 그 D/B에 등록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편집전용기로서 기능하는 소형컴퓨터는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나 조작방법이 복잡하므로 조작에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간단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1대의 소형컴퓨터가 장시간에 독점되어 버린다.
또한 상기 소형컴퓨터는 상당히 고가이므로 다수의 소형컴퓨터를 설치하는데는 방대한 비용을 요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서, 사진, 삽화 등의 각종 요소 데이터에 공통의 서식을 가지는 키이를 부착하고, 이 요소 데이터 키이와,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하고, 그리고 키이보드로부터 입력가능하게 되는 문서 등의 요소 데이터의 입력수단과,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키이의 설정수단을 워크스테이션(편집기 이외의 퍼스컴, 위프로등)에 구비하도록 한점에 특징이 있다.
이에 의하여 문서 등의 데이터입력이 용이해지고, 편집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가 있고 또 문서 등의 입력 수단을 비교적 저렴한 값으로 다수 설치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워크 스테이션에 특수문자를 지정한 특수문자판별코드를 설정하는 특수문자 판별코드 설정 수단과, 특수문자 판별코드의 판별수단과, 특수문자판별코드에 이어서 입력된 소정의 요소 데이터를 특수문자로 변환하는 특수문자 변환수단을 구비한다고 하는 수단도 강구한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퍼스컴, 워드프로세서 등으로부터 입력할 수가 없는 특수문자를 그 워드프로세서, 퍼스컴등으로부터 입력가능하게 하여 문서 등의 요소데이터 입력에 관해서는 상기 퍼스컴, 워드프로세서 등에 펀집기만의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는 작용효과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에 있어서, 문서, 사진 삽화 등의 입출력을 행하는 복수의 편집기(워크스테이션)(3-1∼3-N)는 , 그들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기(2)에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온라인 접속에 의하여 데이터전송량은 그다지 많게 할 수 없으나, 데이터전송속도가 빨라진다. 상기 각 편집기는 입력되는 문서, 사진, 삽화 등의 백터 변환하여 도입한다.
상기 편집기(3-1)에는 CRT가 상기 편집기(3-1)에는 프린터(7)가, 상기 편집(3-3)에는 주사기(8)가 그리고 상기 편집기(3-N)에는 퍼스널컴퓨터(9) 및 CRT(1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편집기(3-1∼3-N)에는 각각 키이보드(5-1∼5-N)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제어기(중개용 중형 컴퓨터)(2)는 다시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책 D/B(데이터베이스)(21), 요소 D/B(22) 및 레이아우트 기본 D/B(23)는 상기 시스템제어기(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제어기(2)는 상기 각 편집기(3-1∼3-N)를 제어하고 각 편집기와 페이지단위, 또는 1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문서, 사진, 삽화등) 단위로 정보의 수수를 행한다.
상기 호스트컴퓨너(1)는 예를들면 IBM 사제 IBM 3090 등의 대형범용 컴퓨터이다. 상기 시스템제어기(2), 컴퓨터(4-1∼4-N) 및 레이아우트 D/B(데이터베이스)(11), 문서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는 상기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는 해당 편집장치의 전용기이거나 또는 후기하는 퍼스널컴퓨터(31-1∼31-N)와 마찬가지로 해당 편집장치에 의한 편집목적 이외의 목적에 사용되는 범용기이더라도 좋다. 상기 편집기(3-1∼3-N)가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는 언어 이외의 언어(이하, 특수언어라함)를 입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들면 시스템제어기(2)에 상기 파스널컴퓨터(4-1∼4-N)로부터 그 특수언어의 입력 및 처리를 가능케하는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있다. 즉 퍼스널컴퓨터(4-1∼4-N)의 키이보드에서 특수언어를 입력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그후 A 및 :의 키이를 누르면 A인 문자가 표시되는 소프트웨어가 시스템제어기(2)에 구비되어 있다. 이소프트웨어는 호스트컴퓨터(1)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에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시스템제어기(2)에는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를 상기 각 편집기(3-1∼3-N)로부터 입력되는 문서와 마찬가지로 백터 변환하는 소프트웨어도 구비되어 있다. 해당 편집장치에 대한 편집목적 이외의 목적에 사용되는 퍼스널컴퓨터(31-1∼3-N) 및 D/B(31-1∼32-N)등은 상기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2도의 파선으로 둘러싸여진 기기는 해당 편집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컴퓨터(1)는 상기 D/B(11∼14)내에 기억된 정보로부터 책 1권분의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것을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한다. 또 상기 시스템제어기(2)는 편집기에서 편집된 1페이지분의 정보를 호스트컴퓨터(1)에 전송한다.
즉 시스템제어기(2)와 호스트컴퓨터(1)와의 데이터전송은 소위 배치(batch)로서 행해진다.
또한, 상기 호스트컴퓨터(1) 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코드체계와 상기 편집기(3-1∼3-N) 내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코드체계가 다른 경우는 그들 데이터의 코드변환은 시스템제어기(2)또는 호스트컴퓨터(1)에서 행해진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2도의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는 기본적으로는 후기하는 2개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책을 작성(편집) 할 수가 있다.
(A) 새책을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 즉 각페이지에 개재하는 문서, 삽화, 사진 등을 모두 신규로 입력함으로서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편집수법.
이하 제1의 편집수법이라 칭한다.
(B) 해당 편집장치를 사용하여 이미 편집, 작성되어 있는 다른책을 사용하여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 즉 상기 다른책의 필요한 부분만을 이용하고 새책 작성에 필요한 최소부분만을 신규입력하여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편집수법.
이하 제2의 편집수법이라 칭한다.
먼저, 제1의 편집수법을 자동 2륜차 등의 서비스 매뉴얼(이하, 단지책이라 칭한다)을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제3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3도에 있어서 먼저 스텝(S1)에서는 CRT가 접속된 편집기(예를들면 편집기 3-1)에 키이보드(5-1)를 사용하여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를 입력한다. 이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는 신규로 작성할 책의 크기, 환언하면 1페이지의 크기, 행수, 행간격, 자수 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기본 레이아우트코드의 서식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는 예를들면 6바이트 길이의 레이아우트코드와 레이아우트 데이터와 그 레이아우트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낸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어떤 데이터의 데이터길이를 나타낸 데이터를 LEN이라 약칭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는 작성하고자 하는 책이 어떤 제품구분에 해당하는가를 나타낸 데이터와 그 책의 배포지(국가)는 어디인가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그 책이 서비스 매뉴얼인가 판매메뉴얼인가등 책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그 책이 일단 프레임조인가 2단 프레임조인가등 책의 각 페이지의 레이아우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이아우트 데이터는 각 페이지의 사이즈, 즉 A6 세로 A6 가로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각 페이지의 행수, 행간격, 자수, 포인트, 서체, 괘선의 유무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CRT상에 있어서의 페이지의 구체적인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는 이 레이아우트 데이터에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는 상기 레이아우트 데이터의 단순한 식별코드이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는 스텝(S29, S30)에 관하여 후기하는 바와 같이 해당 책의 식별데이터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 번호로 변환된다. 이 레이아우트 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한 시점에서 그 레이아우트 데이터전에 그 레이아우트 데이터의 LEN이 부가된다.
이와 같이 레이아우트코드, 레이아우트 데이터 LEN 및 레이아우트 데이터에 의하여 기본 레이아우트코드가 생성된다.
제3도에 돌아가 기본 레이아우트코드가 생성되면 스텝(S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기(3-1)는 상기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를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하고 그 시스템제어기(2)는 상기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를 레이아우트 기본 D/B(23)에 등록(기억)한다.
이 기본 레이아우트코드의 등록이 종료하면 다음에 스텝(S3) 내지 스텝(S24)에 있어서 책의 각 페이지에 배치해야할 삽화, 사진, 문서 등의 정보인력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삽화 및 사진을 이미지라 한다.
먼저 스텝(S3)에 있어서는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이미지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입력하는 경우는 스텝(S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이보드(5-3)를 사용하여 편집기(3-3)에 예를들면 6바이트 길이의 임시키이를 입력한다.
이 임시키이는 입력하고저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조작자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 식별부호이나 그 선두 바이트에는 그 임시키이가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것임을 나타낸 D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5)에 있어서는 주사기(8)로부터 이미지가 독해된다.
스텝(S23)에 있어서는 요소 D/B(22)에 상기 임시키이와, 독해된 이미지 데이터의 LEN과 그 이미지 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등록된다.
상기 스텝(S3)에 있어서 이미지 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6)에 있어서 문서입력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입력하는 경우는 스텝(S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이보드(5-1)를 사용하여 편집기(3-1)로부터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로부터 임시키이를 입력한다. 이 임시키이는 스텝(S4)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들면 6바이트 길이로 이루어지고 입력하고저 하는 문서의 조작자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 식별부호이다. 또한 이 경우는 상기 임시키이의 선두바이트에 그 임시키이가 문서 데이터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T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8)에 있어서는 키이보드(5-1) 또는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로부터 문서를 입력한다.
그리고 스텝(S23)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7)에서 입력된 임시키이와 스텝(S8)에서 입력된 문서의 LEN과 그 문서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요소 D/B(22)에 등록된다. 이 스텝(S23)에 있어서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를 제5도에 나타낸다.
또한 스텝(S7) 및 (S8)에 있어서 입력되는 문서에 관한 데이터를 퍼스널컴퓨터(1)를 사용하여 입력했을 경우 그 데이터는 시스템제어기(2), 호스트컴퓨터(1) 또는 퍼스널컴퓨터(4-1)에 있어서 1요분의 데이터(제5도)로 편집된다.
상기 스텝(S6)에 있어서, 문서입력으로 판별안됐을 경우는 해당 입력이 기종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된다. 이 기종정보는 해당 자동 2륜차 등의 정비데이터, 사용공구 등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종정보는 스팩, 서비스 데이터 및 토오크이고 그들의 상세를 이하에 나타낸다.
(A) 스팩-예를들면 해당 자동2륜차 등의 정비데이터, 사용공구 등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표에 입력되는 정비항목, 명세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영숫자 및 가나 한자로 구성된다.
즉 실린더 내경, 피스톤 외경 등의 정비항목, 사용해야 할 엔진오일의 명칭 사용해야 할 공구의 명칭등.
(B) 서비스 데이터…예를들면 상기 정비 데이터의 표에 입력되는 정비 데이터를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이고,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한도의 값(또는 중앙치)의 (3) 데이터로 이우어진다. 즉 실린더 내경에 관한 정비 데이터로서는 그 표준적인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가능한 최대치, 피스톤 외경에 관한 정비 데이터로 서는 그 표준적인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가능한 최소치 등의 데이터. 엔진오일탱크의 용량, 냉각수의 용량 등의 최대치 및 최소치의 구별이 없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최대치 및 최소치로서 동일한 값을 입력해둠으로써 그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다.
(C) 토오크-예를들면 해당 자동 2륜차 등의 각부를 조이는 나사의 조임토오크(최대치, 최소치 및 그 중앙치), 및 나사지름, 개구 등을 나타내는 수치 데이터이다. 즉 토오크정보는 최대치, 및 중앙치(또는 사용한 도의 값) 및 기타의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포함하는 5수치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해당 입력이 기종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됐을 경우는 스텝(S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4-1∼4-N)중 어느 하나를(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 4-1) 사용하여 입력해야 할 기종정보가 자동 2륜차의 어떤 기종에 관한 것인가를 나타내는 기종코드를 입력한다.
이 기종코드는 예를들면 8바이트의 데이터이고 그 선두 바이트에는 해당 기종코드가 기종 정보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K를 입력한다.
스텝(S10)에 있어서는 입력하고저 하는 기종정보가 스팩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스팩이라고 판별되었으면 스텝(S11)에 있어서, 예를들면 4바이트 길이의 정보판별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두바이트에는 해당 정보판별코드가 스팩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는 A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2)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3바이트 길이의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13)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2바이트 길이의 이미지 구분을 입력한다. 이 이미지 구분에는 입력하고자 하는 스팩정보의 언어의 종별(예를들면 일본어인가, 영어인가등)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스텝(S21)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스팩정보를 입력한다. 스텝(S22)에 있어서는 스텝(S9, S11, S12, S13)에 있어서 입력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구분과 스텝(S21)에 있어서 입력된 스팩정보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터스(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와 스팩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호스트컴퓨터(1)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다.
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제6도에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데이터 스테이터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요소데이터 키이라 칭한다.
상기 스텝(S10)에 있어서 스팩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14)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의 입력인가 여부가 판별된다.
서비스 데이터 입력의 경우는 스텝(S15)에 있어서 스텝(S11)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보판별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두바이트에는 B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6)에 있어서는 스텝(S12)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17)에 있어서는 이미지구분을 입력한다. 서비스 데이터 입력시에 입력되는 이미지 구분정보의 기능은 스텝(S42)에 관하여 후기한다, 스텝(S21)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정보를 입력한다.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치, 최소치 및 사용한도의 치(또는 중앙치)의 3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해당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이 3데이터는 어느 특정한 단위로 입력했을 경우 그들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그들 데이터를 다른 단위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도는 스텝(S22)에 있어서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요소데이터 키이 및 서비스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7도는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 데이터는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텝(S21)에 있어서 상기 3데이터를 어느 특정한 단위(예를들면 [mm])로 입력했을 경우 그 데이터는 제1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도 및 제7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서비스 데이터 정보입력의 직전에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3데이터를 어떤 단위로 변환하는가를 지정하는 환산구분(예를들면 2바이트 길이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서 제1의 데이터부 [mm] 단위로 입력된 3데이터가 [mm] 이외의 상기 환산구분으로 지정된 이외의 단위(예를들면 [in] 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그리고 다시 제1의 데이터부에 [mm] 단위로 입력된 3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으로 지정된 또 다른 단위로 변환되어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이 상태를 제10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0도는 제7도에 나타낸 데이터중 서비스 데이터(요소데이터)만을 나타낸 도이다.
서비스 데이터로서 해당 자동 2륜차의 실린더 내경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예를들면 먼저 [mm]을 단위로서 최소치, 최대치, 사용한도의 값(제10도에 있어서는 서비스 리미트라 나타내고 있다)를 각각 56.003, 56.018, 56.08로 입력한다. 이 수치 데이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다음에 서비스 데이터 입력전에 설정된 환산구분이 [mm]을 [in]로 변환하도록 지정하는 것이라고 하면 상기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각 데이터가 각각 2.2048, 2.2054, 2.207과 [in] 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의 데이터부내에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각 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의 지정에 따른 단위로 변환되어 설정된다.
즉 환산구분은 어느 특정한 단위로 서비스 데이터를 입력했을 경우 그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단위 이외의 단위로 자동변환하고,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스텝(S9∼S21)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입력되는 각 데이터는 시스템제어기(2), 호스트컴퓨터(1) 또는 퍼스널컴퓨터(4-1)에 있어서, 제6∼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종정보 데이터로 편집된다.
다음에 스텝(S22)에 있어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9, S15, S16, S17)에 있어서 입력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 구분과 스텝(S21)에 있어서 입력된 서비스 데이터정보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더스(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와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로 이루어지는 서비스 데이터 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호스트컴퓨터(1)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 다.
상기 스텝(S14)에 있어서 서비스 데이터입력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해당 입력이 토오크의 입력이라고 판별된다. 토오크정보의 입력이라고 판별되면 스텝(S18)에 있어서 스텝(S11) 및 (S15)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정보판별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그 선두바이트에는 C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19)에 있어서는 스텝(S12 및 S16)에 있어서 입력한 것과 마찬가지로 항목을 입력한다. 스텝(S20)에 있어서는 이미지구분을 입력한다. 토오크 입력시에 입력되는 이미지 구분의 기능은 스텝(S42)에 관하여 후기하는 이미지 구분의 기능과 동일하다. 스텝(S21)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토오크 정보를 입력한다. 토오크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치, 최소치 및 중앙치(또는 사용한도의 치) 및 그 밖의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포함하는 5데이터로 이루어진다. 해당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서비스 데이터의 입력수법과 마찬가지로 이 5데이터를 어느 특정한 단위로 입력했을 경우 그들 데이터를 기억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제외하는 3데이터를 다른 단위로 변환하여 기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8도의 스텝(S22)에 있어서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요소데이터키이 및 토오크)의 서식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오크데이터는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텝(S21)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데이터를 어느 특정한 단위(예를들면 [kg])로 입력했을 경우 그 데이터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제3도 및 제8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토오크 정보입력의 직전에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5데이터를 어느 단위로 환산하는가를 지정하는 환산구분을 입력함으로써, 제1의 데이터부에 [kg]단위로 입력된 적어도 3데이터(토오크정보를 나타내는 5데이터중, 상기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2데이터를 제외한 3데이터)가, [kg] 이외의 상기 환산구분으로 지정된 다른 단위(예를들면[lb]단위]로 환산되어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그리고 다시 제1의 데이터부에 [kg] 단위로 입력된 적어도 3데이터가 상기 환산구분으로 지정된 다른 단위로 변환되어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된다. 즉 환산구분은 서비스 데이터 입력직전에 입력되는 환산구분과 마찬가지로 어느 특정한 단위로 토오크데이터를 입력했을 경우 그 토오크 데이터를 상기 단위 이외의 단위로 자동환산하여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에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지름 및 개수의 데이터는 단위의 변환이 불필요하므로 이 제2데니터에 관해서는 단위의 변환을 행할 필요는 없다. 물론 이 2데이터에 대하여 다른 3데이터와 동일한 환산을 행해도 좋으나 이 경우 이 환산된 2데이터는 사용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6∼8도에 나타낸 1요소분의 데이터중 각 요소데이터키이의 바이트 길이는 동일하다. 스텝(S22)에 있어서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9, S18, S19, S20)에 있어서 입력된 기종코그,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구분과 스텝(S21)에 있어서 입력된 토오크데이터 정보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와, 제1 내지 제3의 데이터로부터 이루어지는 토오크데이터정보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호스트컴퓨터(1)에 의하여 기종정보 D/B(14)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스텝(S22) 또는 (S23)에 있어서 1이미지, 1문서 또는 1기종 정보(이하 요소테이터라 칭한다)의 입력이 종료하면 스텝(S24)에 있어서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하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하는 경우는 해당 처리는 스텝(S3)으로 되돌아간다. 요소데이터의 입력을 계속하지 않을 경우는 스텝(S25)으로부터 해당책의 편집작업을 개시한다. 이 편집은 1페이지씩 행해진다.
먼저, 스텝(S25)에 있어서는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것(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4-1)으로부터 호스트컴퓨터(1)에 등록된 새책작성파일을 호출한다.
이 새책작성파일의 구성을 제11도에 나타낸다. 제11도에 있어서 새책작성파일은 자료관리 No 정보와 담당자 정보와 개시페이지 정보로 이루어진다.
자료관리 No는 작성해야할 책의 명칭 또는 관리번호이다.
담당자정보는 해당책의 작성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개시페이지는 작성되는 책이 몇페이지부터 개시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환언하면 작성되는 책의 페이지를 몇페이지로부터 개시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본국내에 배포되는 책은 제2페이지 또는 미국내에 배포되는 책은 제11페이지가 개시페이지이다.
상기 담당자 정보는 예를들면 해당 새책작성의 비밀관리에 응용할 수가 있다. 즉 호스트컴퓨터(1)내에 책을 작성하는 것이 허가된 자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두고 새책작성파일내에 설정된 담당자정보가 호스트컴퓨터(1)에 등록된 자인 경우에만 새책작성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면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편집되어서는 안되는 책이 편집되거나 또는 이미 편집된 책에 불필요한 정정이 행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상기 담당자정보는 암호화하거나 자기 카드내에 기억하거나 해두면 좋다. 이 새책작성파일을 호출했으면 스텝(S26)에 있어서 그 새책작성파일에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한다.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스텝(S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컴퓨터(1)로부터 그 새책작성파일이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되고, 책 D/B(21)내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28)에 있어서는 키이보드(5-1)로부터 레이아우트코드(제4도참조)를 입력함으로써 레이아우트 기본 D/B(23)내에 등록된 기본 레이아우트코드 CRT(6)에 호출한다.
해당 편집장치는 이와 같이 기본 레이아우트코드가 호출되는 자료관리 No와 편집하고저 하는 페이지변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료관리 No는 제11도에 나타낸 새책작성파일의 자료관리 No와 마찬가지로 해당책의 명칭 또는 관리번호이다. 이 자료관리 No와 편집하고저 하는 페이지변호를 스텝(S29)에 있어서 입력한다.
자료관리 No 및 편집하고저 하는 페이지번호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편집기(3-1는 스텝(S30)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28)에 있어서 호출된 기본 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를 스텝(S29)에 있어서 입력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로 변환한다.
이 변환이 행해지면 스텝(S31)에 있어서 편집기(3-1)는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 및 No 및 레이아우트데이터를 그 편집기(3-1)내에 기억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 및 LEN 및 레이아우트데이터를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라 한다.
스텝(S32)에 있어서는 이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사용하여 기본 레이아우트가 CRT(6)에 표시된다. 이 기본 레이아우트는 기본적으로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집하고저 하는 페이지의 윤곽(101)과 문서 입력영역(102)으로 이루어진다. 이 제13도에 나타낸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는 2단 프레임조이다.
다음에 스텝(S33)에 있어서는 CRT(6)에 이미지를 표시시키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경우는 스텝(S34)에 있어서 임시키이(제5도 참조)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1요소분의 데이터 즉 임시키이 호출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LEN 및 그 이미지 데이터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함과 동시에 그 이미지 데이터를 CRT(6)에 표시시킨다. 스텝(S35)에 있어서는 상기 키이보드(58-1)에 접속된 마우스(도시생략)를 사용하여 CRT(6)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기본 레이아우트상의 소망하는 위치에 이동한다.
제14도는 CRT(6)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고, 제13도와 마찬가지의 도이다.
제14도에 있어서 부호(P)로 표시되는 영역에 이미지를 이동했을때는 그 이미지의 좌상의 좌표 및 우하의 좌표는 각각 이동시키면 (X1, Y1)및(X2, Y2)이다. 이와 같이 이미지를 이동시키면 기본 레이아우트상에서의 그 이미지의 좌상의 좌표(X1, Y1) 및 우하의 좌표(X2, Y2)가 편집기(3-1)에 입력된다. 또한 이 이미지 이동시에는 편집기의 기능에 따라 그 이미지를 확대, 축소할 수가 있다. 또 이 이미지의 이동에 한하여 문서입력영역(102)의 영역외에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스텝(S36)에 있어서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키이 호출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LEN 및 그 이미지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요소분의 데이터중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 키외로 변환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종정보(스팩정보, 서비스데이터정보 및 토오크정보)와 마찬가지로 기종코드, 정보판별코드, 항목 및 이미지구분 및 이미지 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로 이루어진다. 이 스텝(S36)에 있어서의 임시키이의 요소데이터키이에의 변환은 편집자가 실제로 데이터 스테이더스를 제외한 요소데이키이를 입력함으로서 행해진다. 또 정보판별코드의 선두 바이트에는 D를 입력한다. 또, 제9도에 나타낸 요소데이터키이의 바이트 길이는 제6 내지 제8도에 나타낸 바이트 길이와 동일하다.
스텝(S37)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LEN과 그 이미지 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좌표(X1, Y1),(X2, Y2)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스텝(S45)에 있어서는 1페이지분의 편집이 종료했는가 여부가 판별되고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S33)으로 돌아간다.
상기 스텝(S33)에 있어서 CRT(6)에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것이 판별되지 않았을때에는 스텝(S38)에 있어서 CRT(6)에 문서를 표시시키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표시시키는 경우는 스텝(S29)에 있어서 임시키이(제5도 참조)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1요소분의 데이터, 즉 임시키이, 호출하고자 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데이터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함과 동시에 그 문서데이터를 CRT(6)에 표시시킨다. 스텝(S40)에 있어서는 상기 키이보드(5-1)에 접속된 마우스(도시생략)을 사용하여 CRT(6)상에 표시된 문서를 기본 레이아우트의 소망하는 위치에 이동한다. 문서를 제14도에 나타낸 기본 레이아우트상의 부호(Q)로 표시되는 위치에 이동했을때는 그 문서의 좌상의 좌표 및 좌하의 좌표는 각 (X3, Y3) 및 (X4, Y4)이다.
이와 같이 문서를 이동시키면 기본 레이아우트상에서의 그 문서의 좌상의 좌표(X3, Y3) 및 우하의 좌표(X4, Y4)가 편집기(3-1)에 입력된다.
스텝(S41)에 있어서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키이 호출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요소분의 데이터중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이 요소데이터키이 및 호출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데이터의 서식을 제17도에 나타낸다.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서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는 예를들면 8바이트 길이의 문서관리 No와 예를들면 6바이트 길이의 세항목 코드와 예를들면 2바이트 길이의 언어정보와, 문서데이터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스테이터스(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입력된다)로 이루어진다. 상기 문서관리 No는 해당 문서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이고 그 선두 바이트에는 B를 입력한다. 상기 언어정보는 문서데이터가 일본어로 작성된 것인지 영어로 작성된 것인가 등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이다. 상기 세항목 코드는 해당 문서의 분류코드이다.
또한, 제17도에 나타낸 1요소분의 데이터 스테이터스후에는 블랭크가 채워지고, 그 요소데이터키이의 바이트 길이는 제6 내지 9도에 나타낸 요소데이터키이의 바이트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문서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및 기종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는 모두 동일한 바이트 길이로 설정된다. 해당 편집장치는 상기 상세 항목코드를 사용하여 문서의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이 문서의 검색은 스텝(S114)에 관하여 후기한다. 스텝(S37)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문서데이터의 LEN과 그 문서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좌표(X3, Y3), (X4, Y4)와 함께 상기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38)에 있어서 CRT(6)에 문서를 표시시키는 것이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기종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라고 간주된다.
그리고 스텝(S42)에 있어서 호출하고저 하는 기종정보의 요소테이터키이(제6도 내지 제8도 참조)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1요소분의 기종정보 데이터 즉 요소데이터키이 및 스팩정보, 서비스 데이터정보, 또는 토오크정보를 기종정보 D/B(14)로부터 편집기(3-1)에 호출함과 동시에 그 스팩정보, 서비스 데이터정보 또는 토오크정보를 CRT(6)에 표시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키이보드(5-1)로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고 호스트컴퓨터(1) 및 시스템제어기(2)를 거쳐 기종정보 D/B로부터 직접 편집기(3-1)에 기종정보를 호출하도록 하는 대신에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기종정보를 기종정보 D/B(14)로부터 호출하고 일단 요소 D/B(22)내에 등록하고, 그후 키이보드(5-1)로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고 시스템제어기(2)를 거쳐 상기 요소 D/B(22)로부터 편집기(3-1)에 기종정보를 호출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기종정보 데이터중, 서비스 데이터정보 및 토오크정보는 요소데이터키이내의 이미지 구분 정보 및 스텝(S21)에 관하여 상기한 환산구분(도시생략) 정보에 따라 그 서비스 데이터정보 및 토오크정보의 표시형태가 결정된다.
즉, 예를들면 서비스 데이터에 관하여 말하면 상기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미리 설정된 환산구분 정보에 따라 제2 및 제3의 데이터부내에 상기 데이터가 자동환산되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환산구분 및 이미지구분의 정보에 따라 예를들면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태로 서비스 데이터가 CRT(6)상에 표시된다.
제25도는 환산구분과 이미지구분과 서비스 데이터의 CRT상에서의 표시와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제25도에 있어서 환산구분이 10, 이미지구분이 10인 경우는 CRT(6)에는 제1의 데이터부(제10도)에 설정된 데이터만이 [mm] 단위로 표시된다. 환산구분 10, 이미지구분이 20의 경우에는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mm]로 표시되고, 이어서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in] 단위로 괄호내에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20, 이미지구분이 10의 경우는 제2의 데이터부내에 설정된 데이터만이 [in] 단위로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20, 이미지구분이 20의 경우는 제2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in] 단위로 표시 되고 이어서 제1의 데이터부에 설정된 데이터가 [mm] 단위로 괄호내에 표시된다. 환산구분이 40의 경우는 환산구분이 10의 경우와 동일한 데이터 및 단위로 표시가 되나 소수점이 맞춤표가 아니라 코머로 표시된다.
다음에 스텝(S34)에 있어서는 스텝(S35) 및 (S40)와 마찬가지로 기종정보의 데이터를 기본 레이아우트상에 위치결정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44)에 있어서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좌표정보가 편집기(3-1)에 등록된다.
물론 요소데이터키이 뿐만 아니라 각 요소데이터도 좌표정보와 함께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스텝(S45)에 있어서 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이 종료했다고 판별되었을때는 스텝(S46)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편집작업을 행한 편집기(이 경우는 편집기 3-1)에 있어서 행해진다.
제18도는 편집기에 있어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18도에 있어서 편집기에 있어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다음의 각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A) 스텝(S30)에 있어서 변환된 변환후 레이아우트데이터(제12도 참조).
(B) 상기 스텝(S35, S40, S43)에 있어서 입력된 좌표 및 그 좌표에 의하여 지정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키이, 1페이지내에 복수의 요소데이터(이미지데이터, 문서데이터 또는 기종정보데이터)가 배치되는 경우는 이 좌표 및 요소데이터키이는 그 복수조만 배치된다.
이 좌표 및 요소데이터키이는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데이터에 이어서 설정된다.
이하의 셜명에 있어서는 이 좌표 및 요소데이너키이를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라 칭한다.
(C) 1페이지내에 배치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 그 요소에이터의 LEN 및 그 요소데이터 1페이지내에 복수의 요소데이터가 배치되는 경우는 이 요소데이터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는 그 복수조만 배치된다.
즉, 요소데이터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지는 1요소분의 데이터는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내에 포함되는 좌표 및 요소데이터키이의 조와 같은 수로 설정된다.
이 요소데이너키이 LEN 및 요소데이터는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에 이어서 설정된다. 물론 요소데이터가 기종정보인 경우는 제6도 내지 제8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요소데이터의 앞에는 LEN이 없으므로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만이 설정된다.
상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의 뒤에 배치되는 이들 데이터를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요소데이터군이라한다. 또한 제18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최후의 요소데이터의 끝에는 해당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종료한 것을 나타내는 종료코드가 부가된다.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되면 그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스텝(S47)에 있어서 시스템제어기(2)를 거쳐 책 D/B(21)내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48)에 있어서는 스텝(S46)에 있어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호스트컴퓨터(1)에 전송된다.
여기서 호스트컴퓨터(1)가 휴일 등의 이유에 의하여 가동되고 있지 않을 경우는 스텝(S47)까지의 처리를 반복 행해두고 호스트컴퓨터(1)가 가동을 개시하고나서 상기 팩 D/B(21)에 등록된 수 페이지분 데이터를 정리하여 전송하도록 해도 좋다. 스텝(S49)에 있어서는 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코피되고,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된다.
제19도는 레이아우트 D/B(11)에 등록하기 위하여 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레이아우트정보이다.
호스트컴퓨터(1)에 전송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그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각 D/B(레이아우트 D/B)(11), 문서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에 분산되어 기억되나 이 스텝(S49)에 있어서의 변환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 레이아우트에 관한 정보만을 레이아우트 D/B(11)에 기억하기 위하여 행해진다.
제19도와 상기한 제18도와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스텝(S49)에 있어서는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에 이어서 설정된 요소데이터군중의 LEN 및 요소데이터를 제거한 것이다.
다음에 스텝(S50)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49)에 있어서 변환된 데이터가 레이아우트 D/B(11)에 등록된다. 스텝(S51)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48)에 있어서 호스트컴퓨터(1)에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요소데이터군이 코피된다. 스텝(S52)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군중의 문서데이터에 관한 것이 문서 D/B(12)에 등록된다.
스텝(S53)에 있어서는 상기 요소데이터군중의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것이 이미지 D/B(13)에 등록된다.
다음에 스텝(S54)에 있어서는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프린트하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프린트를 행하지 않을 경우는 해당 처리는 스텝(S57)으로 이행한다. 프린트를 행할 경우는 해당 처리는 스텝(S55)으로 이행한다. 스텝(S55)에 있어서는 키이보드(5-2)를 사용하여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를 입력함으로써 책 D/B(21)내에 등록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기(3-2)에 호출한다.
스텝(S56)에 있어서는 프린터(7)로부터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프린트를 행한다.
스텝(S57)에 있어서는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행하는가 여부가 판별되고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행하는 경우는 해당 처리는 스텝(S28)로 이행하고 다음 페이지의 작성을 행하지 않을 경우는 해당 처리는 종료한다.
이와 같은 수순(제1의 편집수법)에 의하여 새책을 신규로 작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2의 편집수법을 제1의 편집수법에 관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자동 2륜차 등의 서비스 매뉴얼을 작성하는 경우를 예를들어 제20도 내지 제2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의 편집수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20도에 나타낸 각 스텝중 제3도와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스텝은 동일 또는 동등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제2의 편집수법에 있어서는 먼저 스텝(S25)에 있어서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호스트컴퓨터(1)에 등록된 새책작성파일을 호출한다. 이 새책작성파일의 구성은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새책작성 파일을 호출했으면 스탭(S26)에 있어서 그 새책작성파일에 소정의 데이터, 즉 자료관리 No 정보와 담당자정보와 개시페이지 정보를 입력한다.
다음에 스텝(S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컴퓨터(1)로부터 그 새책작성파일이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되어 책 D/B(21)내에 등록된다. 스텝(S101)에 있어서는 해당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미 작성된 책(이하, 원본이라 칭한다)을 참조하여 원본의 각 페이지중, 새책에 사용할 수 있는 페이지를 선택한다. 즉, 예를들면 제1의 원본의 제21페이지로부터 제30페이지까지가 새책의 제1페이지로부터 제10페이지까지 사용할 수 있고 제2의 원본의 제46페이지로부터 제50페이지까지가 새책의 제11페이지로부터 제15페이지까지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제1의 원본의 제31페이지로부터 제40페이지까지가 새책의 제16페이지로부터 제25페이지까지 사용할 수 있다라는 선택을 행한다. 이 처리는 조작자가 원본의 형물을 실제로 손에 넣고 행한다.
다음에 스텝(S102)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원본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를 입력하고 그리고 그 1페이지분의 데이터(제19도 참조)를 레이아우트 D/B(11)로부터 호스트컴퓨터(1)내에 코피한다.
다음에 스텝(S103)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새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를 입력한다. 스텝(S104)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102)에 있어서 코피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자료관리 페이지 번호를 상기 스텝(S103)에 있어서 입력된 새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로 갱신한다. 제21도는 스텝(S104)에 있어서의 데이터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스텝(S102)에 있어서 호출되어 코피되는 원본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제21도 상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이나, 이 스텝(S104)에 있어서는 동도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중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만이 새책의 그것으로 갱신된다.
스텝(S105)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작성된 1페이지분의 테이터가 호스트컴퓨터(1)내에 기억된다. 스텝(S106)에 있어서는 이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의 갱신이 새책 1권분에 관하여 모두 종료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상기의 예에 관하여 말하면 제1의 원본의 제21페이지로부터 제30페이지까지 제2의 원본의 제46페에지로부터 제50페이지까지 및 제1의 원본의 제31페이지로부터 제40페이지까지의 모두가 새책 제1페이지로부터 제25페이지로 변환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1권분의 갱신이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처리는 스텝(S102)으로 돌아가고, 종료하고 있으면 스텝(S107)으로 이행한다.
스텝(S107)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104)와 같이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 또는 요소데이터의 LEN 및 요소데이터를 각 D/B(12∼14)로부터 호출하고 상기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의 뒤에 배치된 각 요소데이터키이의 뒤에 부가한다. 즉 스텝(S104)에 있어서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전한 형으로 재현한다. 스텝(S108)에 있어서는 1권분의 모든 페이지가 완전한 형으로 변환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1권분의 모든 페이지가 변환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처리는 스텝(S107)로 되돌아가고 모든 페이지가 변환되어 있으면 스텝(S109)으로이행된다. 스텝(S109)에 있어서는 상기 1권분의 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1)로부터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한다. 스텝(S110)에 있어서는 상기 1권분의 데이터가 시스템제어기(2)에 의하여 책 D/B(21)에 등록된다. 이와 같이 1권분의 데이터를 시스텝제어기(2)에 접속된 책 D/B(21)에 등록해 두면 호스트컴퓨터(1)가 가동하고 있지 않을때도 편집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스텝(S111)에 있어서 키이보드(5-1)로부터 새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를 편집기 3-1에 입력한다. 스텝(S112)에 있어서는 입력된 새책의 해당하는 페이지가 책 D/B(21)로부터 호출되어 편집기(3-1)에 등록된다.
그리고 스텝(S113)에 있어서는 상기 책 D/B(21)로부터 호출된 페이지가 CRT(6)에 표시된다.
다음에 스텝(S130)에 있어서, CRT(6)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즉 스텝(S102 내지 S104)에 있어서 원본으로부터 코피된 새책의 페이지가 편집을 행하는 일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편집을 행하지 않을 경우는 해당 처리는 스텝(S46)으로 이행하고, 편집을 행할 경우는 스텝(S114)으로 이행한다. 스텝(S114)에 있어서는 CRT(6)에 표시된 새책의 페이지를 편집함에 있어서, 원본(상기 스텝(S101)에 있어서 선택된 원본을 포함한다)의 요소를 사용할 수 있는가 여부를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검색한다. 이 검색의 수법은 제22∼24도에 관하여 후기한다. 스텝(S115)에 있어서는 상기 검색에 의하여 새책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요소가 발견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발견되지 않았다면 스텝(S116)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4-1∼4-N)(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검색된 요소의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한다. 스텝(S117)에 있어서는 검색에 의하여 호출된 1요소분의 데이터가 시스템제어기(2)에 전송되고, 그 시스템제어기(2)는 이것을 요소 D/B(22)에 등록한다.
스텝(S118)에 있어서는 검색을 계속하는가 여부가 판별되고, 계속하는 경우는 해당 처리는 스텝(S114)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115)에 있어서 새책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요소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스텝(S132)에 있어서 스텝(S144)(검색)에서 호출된 1요소분의 데이터를 클리어하다. 물론 이때 D/B(12∼14)내에 데이터는 클리어하지 않는다. 스텝(S119)에 있어서는 이미지 데이터, 문서데이터 또는 기종정보데이터, 즉 요소를 신규로 입력하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요소를 신규 입력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처리는 스텝(S118)으로 되돌아간다.
요소를 신규로 입력하는 경우는 해당처리는 스텝(S3)으로 이행한다. 스텝(S3∼S23)의 처리는 제3도의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스텝과 동일한 처리 행정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S22) 또는 스텝(S23)이 종료했다면 해당 처리는 스텝(S119)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텝(S118)에 있어서 검색을 계속하지 않는다고 판별되었을때는 스텝(S33)에 있어서 CRT(6)상에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여부가 판별된다.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경우는 스텝(S120)에 있어서 표시하고저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임시키이 또는 요소데이터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이미지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여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35)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이동하여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121)에 있어서는 상기 스텝(S120)에 있어서 임시키이가 입력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임시키이를 입력했을 경우는 스텝(S36)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제3도에 관하여 상기 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텝(S121)에 있어서 임시키이를 입력했다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 또는 스텝(S36)의 처리가 종료한 후는 스텝(S37)에 있어서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 LEN 및 그 이미지 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스텝(S35)에 있어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33)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시키는 것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스텝(S38)에 있어서 문서를 표시시키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문서를 CRT(6)에 표시시키는 경우는 스텝(S122)에 있어서 표시하고저 하는 문서의 임시키이 또는 요소데이터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문서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고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40)에 있어서 상기 문서를 이동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123)에 있어서 상기 스텝(S122)에 있어서 임시키이가 입력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임시키이를 입력했을 경우는 스텝(S41)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이 변환은 상기 스텝(S36)의 변환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상기 스텝(S123)에 있어서 임시키이를 입력했다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 또는 스텝(S41)의 처리가 종료한후는 스텝(S37)에 있어서, 요소데이터키이와,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문서데이터의 LEN 및 그 문서데이터가 1요소분의 데이터로서 상기 스텝(S35)에 있어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된다.
상기 스텝(S38)에 있어서 문서를 표시시키는 것이라고 판별되지 않았을 경우는 기종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라 판단되고, 매당어리는 스텝(S131)에 이행한다. 스텝(S131)에 있어서는 표시하고자하는 기종정보의 요소 데이터키이를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하고, 소정의 기종정보를 요소 D/B(22)로부터 호출하고 CRT(6)에 표시한다.
다음에 스텝(S43)에 있어서 상기 기종정보를 이동하고, 그 좌표를 입력한다.
스텝(S44)에 있어서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상기 스텝(S43)에 있어서 입력된 좌표와 함께 편집기(3-1)에 등록한다. 상기 스텝(S37) 또는 스텝(S44)의 처리가 종료했다면 스텝(S45)에 있어서 CRT(6)상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편집이 종료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편집이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처리는 스텝(S33)으로 되돌아가고 종료하였다면 스텝(S46)으로 이행한다. 스텝(S46)에 있어서는 편집기(3-1)에 있어서 편집후의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태로 변환된다.
다음에 스텝(S124)에 있어서는 변환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책 D/B(21)내에 있어서 갱신된다. 스텝(S48 내지 S57)의 처리는 제3도의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스텝과 동일한 처리 행정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텝(S57)에 있어서 다음 페이지의 작성(편집)을 행한다고 판별되었을 때는 해당처리는 스텝(S111)으로 돌아간다. 또한 제20도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는 스텝(S33) 이후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을 행하기전에 미리 검색을 해두고 필요한 데이터를 D/B(12∼14)로 부터 호출하고 요소 D/B(22)에 등록해두는 것으로 했으나 편집작업중에 이들의 처리를 행하도록해도 좋다는 것이 당연하다.
다음에 상기 스텝(S114)의 처리를 문서데이터 검색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이 스텝(S114)의 검색은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행한다.
제22도는 문서 D/B(12)내에 미리 설정된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22도는 각표에 나타낸 0은 널(Null) 또는 아무것도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문서 D/B(12)에는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이하 ID라 약정한다) 및 타이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문서 데이터 검색테이블이 입력 설정되어 있다.
상기 ID는 제17도에 나타낸 문서 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의 세항목코드에 대응하도록 그 세항목코드와 동일한 바이트길이(이 예에 있어서 6바이트)로 설정되어 있다.
제22도에 나타낸 a표에 있어서는 6바이트 길이의 ID의 선두 바이트(제1바이트)에만 예를들면 A, B, C…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b표에 있어서는 ID등의 제1바이트에 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2바이트에는 A, B, C…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c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바이트에 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2바이트에는 A, B, C…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또, 동도의 d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3바이트에는 A, B, C…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e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3바이트에는 A, B, C…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동도의 f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A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4바이트에는 A, B, C…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동도의 g표에 있어서는 ID의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B인 공통의 데이터가, 제4바이트에는 A, B, C…와 같이 다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문서 D/B(12)내에 설정된 문서데이터검색용의 각 테이블은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미리 ID의 제1바이트에만 데이터가 입력된 제1계층의 표(a표)의 각 ID에 대응하도록 문서데이터의 최상위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자동 2륜차, 자동차, 작업차등…)을 입력하고 ID의 제1 및 제2바이트에만 데이터가 입력된 제2계층의 표(b, c표)의 각 ID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상위의 개념의 다음 계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설명서, 주의서등…)을 입력하고 마찬가지고 제3계층의 표(d, e표)에 다음 계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구조설명, 취급설명등…)을 제4계층의 표(f, g표)에 다시 다음의 계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타이틀(12개월 점검, 6개월 점검…) 등을 입력하는 등하여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각 테이블을 작성해두고, 또최하층의 개념을 나타내는 ID와 동일한 데이터를 제17도에 나타낸 요소데이터키이의 세항목코드에 미리 입력해두면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서데이터의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최하층의 데이터는 제6계층의 표에 설정된 필요는 없고 제6계층보다도 상위의 표에 설정되어도 좋다.
제24도는 상기 스텝(S11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검색의 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이 검색은 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제24도의 스텝(S150)에 있어서 먼저 n가 1로 설정된다.
스텝(S151)에 있어서 제n계층의 ID가 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4-1)로부터 입력된다. 스텝S(152)에 있어서는 그 ID에 제n계층 ID를 포함하는 제(n+1)계층의 데이터가 문서데이터 검색용테이블로부터 선택된다. 스텝(S153)에 있어서는 제(n+1)계층의 데이터가 존재하는가 여부, 즉 스텝(S152)에 있어서, 제(n+1)계층의 데이터가 선택되었는가 여부가 판별된다. 존재하는 것이 판별되었다면 스텝(S154)에 있어서, 제(n+1)계층의 전 타이틀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S155)에 있어서, n에 1이 가산된후 해당처리는 스텝(S151)에 돌아간다.
상기 스텝(S153)에 있어서, 제(n+1)계층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별되지 않았을 때는 해당처리는 스텝(S156)으로 이행한다.
스텝(S156)에 있어서는 제n제품 ID가 세항목코드에 포함되는 1요소분 데이터(제17도에 나타낸 1문서분의 데이터)가 호스트컴퓨터(1)을 거쳐 문서 D/B(12)로부터 호출되고 퍼스널컴퓨터(4-1)에 표시된다.
따라서 제22도와 같이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이 구성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ID로서 제1바이트에만 A를 입력하면 화살표(P)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계층중의 제1바이트에 A가 설정되어 있는 b표가 선택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ID로서 제1 및 제2바이트에 AA를 입력하면 화살표(Q)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계층중의 제1 및 제2바이트에 AA가 설정되어 있는 d표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ID로서 제1 내지 제3바이트에 AAA를 입력하면 화살표(R)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4계층중의 제1 내지 제1바이트 AAA가 설정되어 있는 f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수법에 의하여 예를들면 자동 2륜차의 구조설명에 관한 문서에 12개월 점검 매뉴얼에는 어떠한 문서가 등록되어 있는가라는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ID로서 제1 내지 제4바이트에 AAA를 입력하면, 화살표(S)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계층중의 제1내지 제4바이트에 AAAA가 설정되어 있는 표(도시생략)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최하층의 표에 대해서까지 행하면 필요로 하는 문서 데이터가 문서 D/B(12)내에 등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별할 수가 있다.
필요한 데이터가 검색된다면 스텝(S117)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검색된 데이터를 요소 D/B(22)내에 등록하면 그 데이터를 새책작성에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의 설명은 문서데이터의 검색을 예로들어 설명했으나, 이미지데이터 또는 기종정보도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하여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즉 이미지D/B(13), 기종정보 D/B(14)내에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검색용테이블을 복수설정하고 또 이미지 데이터 및 기종정보의 요소데이터키이내의 항목(3바이트 길이, 제6 내지 제9도 참조)에 상기 검색용 테이블의 ID를 입력하도록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검색을 행할 수가 있다.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종정보 및 이미지는 각각 다른 D/B(기종정보 D/B(14) 및 이미지 D/B(13))에 등록되는 것으로 했으나, 제6∼8도에표시되는 기종정보의 데이터와, 제9도에 나타낸 이미지의 데이터와 동일한 서식이므로 동일한 D/B에 등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미지 및 문서데이터의 입력시에는 임시키이를 입력하고, 실제의 편집시에 있어서, 상기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기종정보데이터의 입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임시키이를 입력하는 일 없이 처음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도록 헤도 좋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도에 나타낸 호스트컴퓨터(1)(대형범용 컴퓨터)가 소제(요소)의 관리를 행하고 시스템 제어기(2)(호스트제어기(1)와 각 펀집기(3-1∼3-N)를 중계하는 중계용 중형 컴퓨터)가 1페이지 또는 책의 단위로 데이터 관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작성된 원본 또는 원본의 요소를 이용하여 새책을 작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새책을 효율좋고 또 능룔적으로 작성할 수가 있다.
즉, 예를들면 해당 편집장치를 사용하여 서비스메뉴얼, 판매메뉴얼 등을 작성하는 경우이고, 이미 작성된 원본의 유사기종의 매뉴얼을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그 원본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유사 기종메뉴얼을 극히 단시간이고 또 저렴하게 제작할 수가 있다.
물론 이 편집장치는 서비스메뉴얼, 판매메뉴얼등의 작성뿐만 아니라 일반서식, 잡지, 신문등의 편집에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미 편집된 책의 정보를 사용하여 새책을 작성할 경우 레이아우트 D/B(11)로부터 호출된 레이아우트정보는 호스트컴퓨터(1)에 있어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에 재구축되는 것으로 했으나, 이처리를 시스템제어기(2)에 있어서 행하도록 해도 좋음은 당연하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제어기(2)에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요소단위의 정보 및 레이아우트 정보로 분해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종 정보의 요소데이터를 입력할때는 임시키이를 입력하는 일 없이 처음부터 요소데이터 키이를 입력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문서, 이미지에 관한 요소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임시키이를 입력하도록 해도 좋은 것은 당연하다. 또, 상시의 설명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4-1∼4-N)는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스템제어기(2)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로부터 기종정보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그 퍼스널컴퓨터(4-1∼4-N)를 워드프로세서로서 기능시킴으로써 호스트컴퓨터(1) 또는 시스템제어기(2)에 문서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제26도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6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는 제2도에 나타낸 키이보드(5-1∼5-N)와 키이입력수단(163)은 동도에 나타낸 퍼스널컴퓨터(4-1∼4-N)의 키이보드와, 주사기(107)는 동도에 나타낸 주사기(8)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1의 표시수단(109)은 제2도에 나타낸 CRT(610)와 제2의 표시수단(164)은 퍼스널컴퓨터(4-1∼4-N)의 CRT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제2도의 요소 D/B(22)와,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은 동도의 레이아우트기본 D/B(23)와,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동도의 책 D/B(21)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26도에 있어서, 키이보드(106)는 기본 레이아우트코드설정수단(101), 제1의 요소 입력수단(102), 제1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51),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 및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접속되어 있다. 키이 입력수단(163)은 제2의 표시수단(164), 제2의 요소 입력수단(161) 및 제2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6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기본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은 제3도의 스텝(S1)에 있어서 입력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제4도 참조)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제1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51)은 제5도에 나타낸 임시키이의 설정수단이다.
제5도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에 부가되는 임시키이에는 선두바이트에 D가 문서데이터에 부가되는 임시키이에는 T가 입력되는 것으로 했으나 이 선두바이트의 데이터에 의하여 편집기(3-1∼3-N)에 있어서, 그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인가 문서데이터인가를 판별하고 그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요소데이터가 취급된다.
또, 임시키이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6바이트인 경우에는 상기 선두 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5바이트에는 조작자 자신에 의한 요소데이터의 식별 데이터(어떠한 데이터이더라도 좋다)가 입력된다. 이 경우 예를들면 하위의 3바이트에 수치데이터를 설정하고, 요소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그 수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앞당기도록 해도 좋다. 즉 요소데이터의 입력 개시시에 상기 수치데이터가 예를들면, 1에 설정되고, 요소데이터를 입력할때마다 상기 수치 데이터가 2, 3…과 같이 자동적으로 앞당기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1의 요소입력수단(102)은 키이보드(106)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데이터, 또는 주사기(107)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등을 백터 변환하여 도입하는 입력변환수단이고 상시 제2의 요소입력수단(161)은 키이입력수단(163)으로부터 입력되는 문서데이터 또는 기종정보데이터를 벡터 변환하여 도입하는 입력수단이다.
상기 제1 및 제2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51, 162)은 제5도에 나타낸 임시키이의 설정수단이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01)에 있어서 입력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를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이다.
상기 요소데이터 키이 변환수단(152)은 상기 제1 또는 제2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51, 162)에 있어서 입력되고,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기억된 임시키이를 제15, 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는 수단이다. 이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키이보드(106)로 부터 요소데이터키이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임시키이를 그 요소데이터에 변환해도 좋고, 또는 변환시에 요소데이터키이를 구성하는 각 코드(이미지 정보에 관하여 말하면 제9도에 나타낸 기종코드, 정보판별 코드 등의 코드)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며 소위 조작자와의 외화형의 처리동작으로 상기 각 코드를 순차 선택해 가도록 해도 좋다.
상기 기본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은 기억수단(113)내의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레이아우트기억수단(111)은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의 요소입력수단(102,161) 및 제1 및 제2의 임시키이 설정수단 (151,162)은 기억수단(113)내의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좌표 설정수단(104) 및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후기하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좌표 설정수단(104)은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 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제1의 표시수단(109)에 출력함과 동시에 마우스(108)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접속되어 있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은 페이지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 분의 데이터(제18도)의 요소데이터군으로 부터 LEN 및 요소데이터를 제거하고,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이아우트정보를 작성한다. 이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은 정보처리수단(124)에 접속된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은 제2도에 나타낸 레이아우트 D/B)(11)에 대응하는 기억수단이다. 상기 요소변환수단(122)은 페이지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 부터 요소데이터군을 코피하고, 그 요소데이터군을 1요소단위로 분해한다. 이 요소변환수단(122)은 정보처리수단(124)에 접속된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은 문서 D/B(12), 이미지 D/B(13) 및 기종정보 D/B(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은 다시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은 해당 편집장치에 의하여 이미 편집되고,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 및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된 책의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책을 작성하고저 하는 경우에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에 기재된 레이아우트 정보중, 필요한 것을 그 요소데이터 위치좌표를 설정하고, 그 좌표정보를 상기 제1의 표시수단(109) 및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출력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은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기억된 임의의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를 호출하고 그 코드를 제12도 하부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환부 레이아우트코드로 변환하고,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제1의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상기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은 새책을 완전히 신규로 작성하는 경우에 동작하고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와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부터 출력되는 변환후레이아우트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부터 출력되는 좌표정보를 사용하여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하고, 그 데이터를 기억수단(113)내에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요소입력수단(102)은 파선으로 제1의 페이지 표시수단(109)에 접속되고 있으나 이것은 키이보드(106)로 부터 문서등을 입력하는 경우에 그 문서등의 데이터가 제1의 표시수단(109)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 변환수단(122)에 독출하고 그 레이아우트정보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즉, 그 레이아우트 정보의 페이지를 식별하는 페이지 식별데이터)를 작성하고저 하는 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번호로 갱신한다. 이 갱신을 위한 데이터 입력은 키이보드(106)로 부터 행한다.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 및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은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페이지 식별 데이터 변경수단(131)으로 부터 출력되는 레이아우트정보(제19도 참조)의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의 뒤에 설정된 각 요소데이터키이에 요소데이터를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으로 부터 독출하고 그 요소데이터를 상기 요소데이터키이에 부가한다. 상기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은 ,다시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 및 상기 제1의 표시수단(10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이미 편집되어 있는 책을 사용하여 그 책에 유사한 새책을 작성하는 경우에 동작하고,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 부터 출력되는 1페이지분의 정보와, 요소데이터 키이변환수단(152)으로 부터 출력되는 요소 단위의 데이터 및 좌표설정수단(104)으로 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사용하여 상기 1페이지분의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그후 변경된 제1페이지분의 정보를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한다.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 부터 요소 단위의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 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정보를 그대로 그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되돌려 보낸다.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은 다시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본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 제1의 요소입력수단(102), 제1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51), 좌표설정수단(104),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 및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각각 제2도에 나타낸 편집기(3-1∼3-N) 또는 시스템제어기(2)에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키이 입력수단(163), 제2의 표시수단(164), 제2의 요소입력수단(161) 및 제2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62)은 각각 제2도에 나타낸 퍼스널컴퓨터(4-1∼4-N)에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요소변환수단(122), 페이지 식별 테이터 변경수단(131) 및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각각 동의 호스트 컴퓨터(1) 또는 시스템 제어기(2)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편집장치에 있어서 새책을 완전히 새롭게 작성하는 경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최초로 키이보드(106)를 사용하여 1페이지분의 기본 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이 정보는 기본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에 있어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본 레이아우트코드에 구성된다. 이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는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에 기억된다.
이 기본 레이아우트의 입력 및 기억은 필요에 따라서 복수 행해진다.
다음에 입력하고자 하는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입력한다.
이때 요소데이터 키이에 이어서 입력되는 요소데이터가 사진, 삽화 등의 이미지 데이터이고 그 입력에 주사기(107) 등의 특수한 입력수단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인 경우 그 임시키이는 키이보드(106)(제2도의 편집기(3-1)에 접속된 키이보드(5-1)로부터 입력한다. 또 그 요소 데이터가 문자, 기호, 문서라고 하는 키이 조작에 의하여 입력할 수가 있는 편집 데이터인 경우 그 임시키이는 상기 키이보드(106) 또는 키이 입력수단(163)(제2의퍼스널컴퓨터(4-1∼4-N)의 어느것)으로 부터 입력된다.
이 임시키이의 선두 바이트를 제외한 데이터는 해당편집장치의 조작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요소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조작자 자신에 의하여 결정되는 코드이고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 또는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내에서 요소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 임시키이는 제1의 임시키이를 설정수단(151), 또는 제2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62)에 있어서 제5도에 나타낸 형으로 설정된다. 이 임시키이를 상기 키이보드(106)로 부터 입력했을 경우는 그후 키이보드(106)로 부터 문서 또는 기종 정보를 입력하고, 또는 주사기(107)로부터 이미지를 취입하고, 그들의 데이터를 제1의 요소 입력수단(102)에 출력한다. 또 임시키이를 상기 키이 입력수단(163)으로부터 입력했을 경우는 그후 키이입력수단(163)으로 부터 문서 또는 기종정보를 입력하고, 그들의 데이터가 제2의 요소입력수단(161)을 거쳐 출력된다.
상기 제1 또는 제2의 요소 입력수단(102) 또는 (161)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요소데이터에 그 요소데이터의 LEN을 부가하고 이것이 상기 임시키이와 함께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출력되고 기억된다. 이 임시키이 및 요소데이터의 입력 및 기억도 필요에 따라복수 행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키이 입력수단(163)을 사용하여 문자, 기호등으로 이루지는 문서, 기종정보등의 키이 조작에 의하여 입력할 수가 있는 편집데이터를 입력할 수가 있다.
각종 요소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했으면 편집기(제2도)를 사용하여 요소데이터의 배치설정(편집작업)을 개시한다. 먼저, 상기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내에 기억된 리본레이아우트코드중 필요한 것 즉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레이아우트데이터가 설정된 기본 레이아우트코드가 키이보드(106)로 부터 레이아우느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제2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11)으로 부터 독출되고, 그리고 레이아우트코드는 변환수단(114)으로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에 있어서는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중의 레이아우트코드가 키이보드(106)로 부터 입력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환된다. 즉,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제12도하도)가 작성된다.
이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 및 제1의 표시수단(109)에 출력되고 다시 제1의 표시수단(109)에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그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에 대응한 기본 레이아우트가 표시된다.
여기서 조작자가 1기본 레이아우트상에 표시하고 싶은 요소데이터에 대응한 임시키이를 키이보드(106)로 부터 입력하면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으로 부터는 요소데이터키이를 구비한 요소데이터가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출력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와, 요소데이터 또는 LEN 및 요소데이터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설정수단(105) 및 좌표설정수단(104)으로 출력된다.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은 요소데이터를 제1의 표시수단(109)에 출력한다. 마우스(108)를 사용하여 제1의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요소데이터를 이동하면 그 이동위치에 따른 위치좌표가 상기 좌표설정수단(104)에 의하여 설정되고, 그 좌표는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요소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복수 기본레이아우트상의 소정위치에 표시하고 페이지의 편집을 향한다.
1페이지분의 편집작업이 종료하면 제1의 페이지 테이터 설정수단(105)에 있어서는 상기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 및 좌표설정수단(104)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세히 말하면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우트코드 변경수단(114)으로 부터 출력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와, 좌표설정수단(104)으로 부터 출력되는 위치좌표 및 그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의 요소데이터키이로 부터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와, 그 편집상의 레이아우트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요소데이터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에 있어서 작성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 내에 기억된다. 이 페이지 기억수단(112)에는 편집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해당책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매수분만큼 기억된다. 그리고 이들의 데이터는 도시되지 않는 하드코피작성장치에 출력된다.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요소데이터(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에 전송된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에 있어서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 부터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레이아우트 정보를 작성한다. 상기 레이아우투 정보는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또 상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기억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요소변환수당(122)에 전송된다. 상기 요소변환수단(122)에 있어서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로부터 요소데이터군이 코피되고 그 요소데이터군이 1요소 단위로 분해되고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에 전송된다. 분해된 요소 데이터군중 문서 요소에 관한 것은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문장 D/B(12)에 이미지 요소에 관한 것은 이미지 D/B(13) 에, 그리고 기종 정보요소에 관한 것은 기종정보 D/B(14)에 기억된다.
이와 같이하여 새책이 작성되고, 또 그 책의 데이터가 레이아우트에 관한 것과 요소에 관한 것으로 분해되어 기억된다. 이때 상기 D/B에 기억되어 있는 문서, 이미지 등의 요소에 데이터는 편집의 목적이외에도 단지 그 요소데이터를 열람하는 것만의 목적으로도 그 D/B로 부터 호출할 수가 있다. 즉 키이보드(106), 또는 키이입력수단(163)으로 부터 열람하고싶은 요소데이터에 대응한 요소데이터키이를 입력하면 그 키이보드(106)로 부터 입력했을 경우는 제1의 표시수단(109)상에 그 키이 입력수단(163)으로부터 입력한 경우는 제2의 표시수단(164)상에 각각 희망하는 요소데이터를 호출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하여 편집된 책을 이용하여 그 책에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 편집된 책중, 어느책의 어느 페이지가 이용가능한가를 조작자가 현물을 실제로 손에잡고 판단한후 이용하는 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페이지 식별 데이터)를 입력하고, 해당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으로부터 독출한다. 독출된 데이터는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전송된다.
키이보드(106) 또는 페이지 식별 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접속된 키이 입력수단(163)(도시생략)으로 부터 작성하고저하는 책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를 입력하면 상기 페이지 식별데이터 변경수단(131)에 있어서, 독출된 데이터의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가 입력된 자료관리 No 및 페이지로 변경된다.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은 변경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편집상의 레이아우트의 뒤에 설정된 요소데이터키이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으로 부터 독출하고, 상기 요소 데이터키이의 뒤에 부가한다. 이에 의하여 1페이지분의 데이터가 완성된다.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내에 기억된 후, 제1의 표시수단(109)에 전송되어 그 제1의 표시수단(109)에 의하여 표시되고 또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전송된다.
조작자는 제1의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보고, 그 데이터의 변경이 필요한가 여부를 판별한다. 데이터변경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별되었을 경우는 그 위치의 정보가 도시되지 않는 수단으로 부터 출력되고, 상기 데이터는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전송되고, 다시 레이아우트 변경수단(121) 및 요소변환수단(12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요소 및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된다. 이 경우 요소에 관한 데이터는 이미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만이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에 출력되어 기억된다.
제1의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희망하는 요소데이터를 삭제 또는 다른 요소 데이터로 변경하는 경우 즉 제1의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하는 경우는 필요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요소정보, 즉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상기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으로 부터 독출하고,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등록한다. 상기 요소정보의 독출은 키이보드(106) 또는 키이입력수단(163)을 사용하여 행한다.
또 필요한 요소데이터가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임시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신규로 입력하고 그 임시키이 및 요소데이터를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등록한다. 즉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임시키이 및 요소데이터로 부터 요소정보와,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정보를 기억할 수가 있다.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은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하여 가세되고 필요한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키이 또는 요소데이터 및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에 출력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은 요소데이터 및 임시키이가 호출되었을 경우에는 그 임시키이를 키이보드(106)로 부터 입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또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가 호출되었을 경우에는 그 요소데이터키이를 다른 키이로 변환하는 일 없이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 부터 출력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요소데이터는 좌표설정(104)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전송된다. 좌표 설정수단(104)은 상기 요소데이터를 제1의 표시수단(109)에 출력하고 또 마우스(108)의 조작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기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필요에 따라 반복하고, 제1의 표시수단(109)에 표시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변경(편집)이 종료하면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 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를 편집후의 1페이지분의 데이터에 다시 설정한다. 상세히 말하면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은 페이지 기억수단(112)으로 부터 전송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중 편집에 의하여 새롭게 레이아우트상에 설정된 요소데이터에 의하여 다시쓰여진 요소데이터 및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위치좌표를 소거하고 상기 편집에 의하여 새롭게 레이아우트상에 설정된 요소데이터 및 그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그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추가한다.
이와 같이하여 변경된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으로 부터 페이지 기억수단(112)에 출력되어 기억된다.
이 1페이지분의 데이터는 페이지 단위 또는 책단위로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 변환수단(122)에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 변환수단(122)에 출력된다. 상기 레이아우트 변환수단(121) 및 요소 변환수단(122)은 출력된 데이터를 요소 및 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로 분해하고, 각각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 및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에 출력하여 기억시킨다. 이 경우 요소에 관한 데이터중 이미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 기억되어 있는 것은 그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내에는 기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동작함으로써 이미 편집된 책에 유사하는 책을 작성하는 경우 공통하는 요소데이터는 그대로 공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책의 작성시간이 대폭으로 단축된다.
제3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31도에 있어서, 제26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31도에 있어서, 특수 문자 판정 코드 설정수단(165)은 키이입력수단(163)으로 부터 입력되는 기호가 키이보드로 부터 직접 입력할 수가 없는 ..(움라우트), `(액센트표) 등의 특수문자를 구성하는 기호인 경우에 특수문자 판정코드를 출력한다. 문서작성수단(166)은 키이입력수단(163)으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및 상기 특수문자 판정코드 설정수단(165)으로 부터 출력되는 특수문자 판정코드를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그 문서 작성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상기 문서작성수단(166)은 제26도에 나타낸 제2의 요소 입력수단(161)과, 입력된 문서를 편집(이동, 코피등)하는 기능실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2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2의 퍼스컴(4-1∼4-N)은 워드프로세서로서 기능한다. 특수문자 판정코드 판별수단(167)은 상기 문서작성수단(166)으로 부터 출력되는 문서데이터가 상기 특수문자 판정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특수문자 판정코드에 이어서 출력되는 신호 및 그 기호에 이어서 출력되는 문자를 특수문자 변환수단(168)으로 출력하고 특수문자 판정코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 문서 데이터의 기호 또는 문자를 그대로 제2의 요소 기억수단(110)에 출력한다. 상기 특수문자 변환수단(168)은 상기 특수문자 판정코드 판별수단(167)으로 부터 출력되는 상기 기호 및 그 기호에 이어서 출력되는 문자로 부터 소정의 특수문자를 구성하고, 그 특수문자 코드를 상기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출력한다.
상기 제2의 임시키이 설정수단(162), 키이입력수단(163), 제2의 표시수단(164), 특수문자 판정코드 설정수단(165) 및 문서작성수단(166)은 각각 제2도에 나타낸 퍼스컴(4-1∼4-N)에 구비되어 있다.
또 특수문자 판정코드 판별수단(167) 및 특수문자 변환수단(168)은 각각 제2도에 나타낸 퍼스컴(4-1∼4-N), 호스트컴퓨터(1) 또는 시스템 제어기(2)에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워크스테이션(퍼스컴(4-1∼4-N)을 사용하여 예를들면 프랑스어로 문서를 작성하고 그 문서를 문서데이터로서 입력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호스트컴퓨터에 접속된 워크스테니션을 워드프로세서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조작자는 그 워드프로세서기능을 구사함으로써 문서를 작성한다. 그러나 그 워드프로세서기능은 통상의 알파벳트, 숫자 및 기본적인 기호 등의 입력기능밖에 가지지 않고 예를들면 프랑스어의
Figure kpo00001
라는 문자를 입력하고자 해도 그
Figure kpo00002
라는문자가 키이보드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키이보드로 부터 직접 입력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본원 제2발명의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Figure kpo00003
라고 입력하는 대신에 먼저 특수문자 판정코드 설정수단(165)으로 부터 특수문자 판정코드를 출력하고 그후 키이입력수단(163)으로 부터 ` 라는 기호와 e 라는 알파벳(문자)을 계속하여 입력한다. 예를들면, 키이 입력수단(163)으로부터
Figure kpo00004
라는 불어단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자는 먼저 temp까지를 키이 입력수단(163)에 접속된 키이보드로부터 입력한다. 그리고 다음에 입력해야할
Figure kpo00005
라는 특수문자는 그대로의 형으로는 그 키이보드로부터 입력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특수문자 판정모드 설정수단(165)을 조작함으로써 특수문자 판정코드를 출력하고, 그후 키이입력수단으로부터 `라는 기호와 e라는 문자를 계속하여 입력하고 그후 나머지의 reture을 입력함으로서 그 불어단어의 입력을 종료한다.
문서 작성수단(166)에서는 상기 특수문자 판정코드 설정수단(165)으로 부터 입력되는 특수문자 판정코드 및 키이 입력수단(163)으로 부터 입력되는 기호, 문자등으로 부터 문서를 작성하고, 제2의 표시수단(164)에 출력함과 동시에 그 문서를 문서데이터로서 특수문자판정 코드 판별수단(167)에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한 불어단어
Figure kpo00006
의 그 문서작성수단(166)으로 부터 출력될 경우의 데이터 시식은 temp#'er ature가 된다. 여기서 #는 특수문자 판정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단, 특수문자판정코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2의 표시수단(164)상에서는 그 특수문자 판정수단 자신은 표시되지 않고 그 대신 그 특수문자판정코드의 다음에 입력된 기호 및 문자가 다른 문자와는 다른색, 또는 고위도로 표시되고 그 문자가 특수문자임을 구별한다. 특수문자 판정코드 판별코드(167)에서는 상기 문서작성수단(166)으로부터 출력되는 그 문서데이터에 상기 특수문자 판정코드 즉 #가 포함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특수문자 판정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그 문서데이터를 그대로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에 출력한다. 또 그 문서데이터중의 그 특수문자 판정코드가 존재하면, 그 특수문자 판정코드의 다음에 입력되는 기호와 그 기호의 다음에 입력되는 문자가 특수문자 변환수단(168)에 출력된다. 즉 상기 안에서는 기호 `와, 문자 e가 특수문자 변환수단(168)에 출력된다.
그 특수문자 변환수단(168)에서는 그 기호 `와 e로부터 소정의 특수문자, 즉
Figure kpo00007
를 제2의 요소기억수단에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30도의 실시예의 편집장치에 있어서는 종레 워크스테이션을 워드프로세서로서만 기능시킨 것으로는 취급할 수 없으며 소형컴퓨터로 부터가 아니면 입력할 수가 없었던 특수문자를 워드스페이션에서도 취급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그 워크 스테이션의 용도가 넓어진다.
따라서, 고가 또 조작의 복잡한 소형컴퓨터를 많이 설치하는 일이 없이 효율좋은 편집작업을 행할 수가 있게 된다.
제2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27도에 있어서, 제26도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6도와 제27도의 대비로 부터 명백한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페이지 식별 데이터 변경수단(131), 요소데이터 부가수단(132) 및 제2의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33)이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미 편집되어 있는 책의 정보(레이아우트에 관한 데이터 및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새책작성을 행할 수 없으나 편집에 사용한 요소데이터를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내로 부터 소기하지 않도록 하면 그 요소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른책을 편집할 수가 있다. 또, 제26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성된 책의 요소데이터등을 편집처리 이외의 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수단(124)이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28도에 있어서, 제27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7도와 제28도와의 대비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아어우트 변환수단(121), 요소변환수단(122), 제1의 요소기억수단(123) 및 제1의 레이아우트 기억수단(125)이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편집된 책의 데이터를 요소 정보 및 레이아우트 정보를 분해아여 보존할 수가 없으므로 그 요소정보를 해당 편집장치 이외의 정보처리수단(제27도의 정보처리수단(124)에 이용할 수가 없으나 편집된 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제2의 요소기억수단(110)으로 부터 소거되지 않도록 하면 제27도에 나타낸 편집장치와 마찬가지로 이미 편집된 책과 유사한 책을 작성하는 경우에 공통하는 요소데이터를 공용 할 수가 있다.
제29도는 제28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29도에 있어서, 제28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29도에 있어서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20)은 키이보드(106)를 사용하여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직접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페이지 편집을 행할때마다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페이지수가 많은 편집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으나 제26, 27, 28도에 나타낸 각 실시예에 비교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다. 제1데이터는 제29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이고, 본 발명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볼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제29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요소데이터를 입력할때마다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다수의 데이터가 필요한 책의 편집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으나 제26, 27, 28, 29도에 나타낸 각 실시예에 비교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다.
제30, 32, 33, 34도는 각각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27, 28, 29도에 나타낸 제2의 요소 입력수단(161)은 특수문자 판정코드 설정수단(165), 문서작성수단(166), 특수문자 판정코드 판별수단(167) 및 특수문자 변환수단(168)으로 치환함으로써 상기 특수문자의 입력이 가능해지는 또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숫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편집 데이터(기종 정보)는 물론 문서데이터와 워크스테이션(파스컴, 워드프로세서등)에 의하여 작성하고 그대로 입력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진, 삽화등의 이미지 데이터와 같이 특수한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는 복잡한 데이터의 입력 또는 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편집작업시만 소형 컴퓨터를 사용하면 좋으므로 소형 컴퓨터를 다수 설치할 필요가 없으지므로 해당 편집장치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문자, 기종 정보와 같이 키이보드의 조작만으로 입력할 수 있는 간단한 데이터의 입력은 조작이 복잡한 소형컴퓨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조작이 간단한 워크스테이션 효율이 좋은 편집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알파벳만으로는 완전히 처리할 수 없는 문자를 포함하는 프랑스어, 동일어 등의 문서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으므로 워드프로세서의 용도가 넓어지고, 상기한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 전기제품 등의 취급명서, 일반서적, 잡지, 신문등(이하, 단지책이라 칭한다)의 편집을 단시간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제2도는 제1실시예의 개략 블록도이다.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제1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루챠트이다.
제4도는 기본 레이아우트코드의 서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는 이미지 데이터 또는 문서데이터를 신규입력했을 경우의 그 데이터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6도는 기종정보중의 스팩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7도는 기종정보중의 서비스 데이터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8도는 기종정보중의 토오크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9도는 편집시에 변환되는 이미지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10도는 제7도에 나타낸 서비스 데이터 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중의 요소데이터만을 나타낸 도이다.
제11도는 새책작성 파일을 나타낸 도이다.
제12도는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로부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가 작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13도는 기본 레이아우트의 표시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제14도는 편집시에 있어서의 표면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제15도는 신규입력된 이미지 정보의 1요소분의 데이터의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 키이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16도는 신규입력된 문서정보의 1요소분의 데이터의 임시키이가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17도는 편집시에 변환되는 문서정보 1요소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18도는 편집기에 있어서 작성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19도는 레이아우트 D/B(11)내에 등록되기 위하여 호스트컴퓨터에서 변환되는 1페이지분의 데이터의 서식을 나타낸 도이다.
제20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제2의 편집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21도는 제20도의 스텝(S104)에 있어서의 데이터갱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22도는 문장 D/B(12)내에 설정된 문서데이터 검색용의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3도는 문서 검색용 테이블의 계층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제2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검색의 수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25도는 환산구분과, 이미지구분과, 서비스 데이터의 CRT상에서의 표시와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제26도는 제1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2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2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3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제31도는 제4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기능블록도이다.

Claims (11)

  1. D/B가 접속된 호스트컴퓨터(1)와, 상기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편집수단(2)(3-1∼3-N)과, 상시 호스트컴퓨터(1) 및 편집수단(2)(3-1∼3-N)중 어느 한쪽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4-1∼4-N)를 구비하고, 상기 편집수단(2)(3-1∼3-N)은 요소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요소입력수단(5-1∼5-N)(102)과, 상기 제1요소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는 제1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요소데이터(5-1∼5-N)을 구비하고,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는 적어도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를 입력하는 제2요소입력수단(161)(163)과,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는 제2요소데이터키이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편집수단(2)(3-1∼3-N)은 적어도 편집을 행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를 지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과,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서 각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는 좌표설정수단(104)과,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데이터 편집에 이용된 요소데이터, 상기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상기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페이지분 데이터를 설정하는 페이지 데이터 설정수단(105)(13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은 레이아우트데이터 및 레이아우트코드로 이루어지는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기본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코드를 기억하는 레이아우트기억수단(111) 및 편집시 상기 레이아우트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기본레이아우트코드의 레이아우트코드를 편집하고자 하는 책의 자료관리 No. 및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번호로 변환하여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장치는 요소기억수단(110)을 더욱 구비하고,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키이는 상기 요소기억수단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의 적어도 한쪽은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설정하는 임시키이 설정수단(151)(162)과, 상기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요소데이터입력수단의 적어도 한쪽에 의하여 입력된 요소데이터 및 상기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임시키이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임시키이는 상기 요소기억수단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컴퓨터(1)는 대형컴퓨터이고, 상기 편집수단(2)(3-1∼3-N)은 중형 및 소형컴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6. D/B가 접속된 호스트컴퓨터(1)와 상기 호스트컴퓨터(1)에 접속된 편집수단(2)(3-1∼3-N)과, 상기 호스트컴퓨터(1) 및 편집수단중 어느한쪽에 접속된 퍼스널컴퓨터(4-1∼4-N)를 구비하고, 상기 편집수단은 요소데이터를 입력하는 제1요소데이터입력수단(5-1∼5-N)(102)과, 상기 제1요소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는 제1요소데이터키이설정수단(5-1∼5-N)을 구비하고, 상기 퍼스널컴퓨터(4-1∼4-N)는 적어도 각 페이지를 구성하는 요소데이터를 입력하는 제2요소입력수단(161)(163)과, 상기 요소데이터의 소정문자가 특수문자인 것을 지정하는 특수문자 판별코드를 설정하는 특수문자 판별코드 설정수단(165)과, 상기 요소데이터내에 포함되는 특수문자 판별코드를 판별하는 특수문자 코드판별수단(167)과 상기 특수문자 판별코드에 계속해서 입력된 소정의 요소데이터를 소정의 특수문자로 변환하는 특수문자 변환수단(168)과,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를 설정하는 제2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169)을 구비하고, 상기 편집수단(2)(3-1∼3-N)은 적어도 편집을 행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기본레이아우트을 지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과, 상기 기본레이아우트상에서 각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설정하는 좌표설정수단(104)과,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데이터 편집에 이용된 요소데이터, 상기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및 상기 요소데이터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페이지분 데이터를 설정하는 페이지데이터설정수단(105)(13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은 레이아우트데이터 및 레이아우트코드로 이루어지는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기본 레이아우트코드 설정수단(101), 상기 기본 레이아우트코드를 기억하는 레이아우트기억수단(111) 및 편집기 상기 레이아우트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된 기본 레이아우트코드의 레이아우트코드를 편집하고자 하는 책의 자료관리 No. 및 편집하고자 하는 페이지번호로 변환하여 변환후 레이아우트코드를 설정하는 레이아우트코드 변환수단(1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장치는 다시 요소기억수단(110)을 구비하고, 요소데이터 및 요소데이터키이는 상기 요소기억수단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요소데이터키이 설정수단의 적어도 한쪽은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는 임시키이를 설정하는 임시키이 설정수단(151)(162)과, 상기 임시키이를 요소데이터키이로 변환하는 요소데이터키이 변환수단(1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요소데이터입력수단의 적어도 한쪽에 의하여 입력된 요소데이터 및 상기 요소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상기 임시키이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되는 임시키이는 상기 요소기억수단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컴퓨터(1)는 대형컴퓨터이고, 상기 편집수단(2)(3-1∼3-N)은 중형 및 소형컴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소입력수단은 문서편집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장치.
KR1019880701762A 1987-08-28 1988-08-17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KR970001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16231A JPS6458048A (en) 1987-08-28 1987-08-28 Data processor
JP87-216231 1987-08-28
JP25829287A JPS6458049A (en) 1987-10-15 1987-10-15 Editing device
JP87-258292 1987-10-15
PCT/JP1988/000810 WO1989002116A1 (en) 1987-08-28 1988-08-17 Data processing system and edi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2133A KR890702133A (ko) 1989-12-22
KR970001905B1 true KR970001905B1 (ko) 1997-02-18

Family

ID=2652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762A KR970001905B1 (ko) 1987-08-28 1988-08-17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97121A (ko)
EP (1) EP0328684B1 (ko)
KR (1) KR970001905B1 (ko)
DE (1) DE3889652T2 (ko)
WO (1) WO1989002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354A (en) * 1991-03-15 1995-02-14 Itt Corporation Computerized directory pagination system and method
US5724596A (en) * 1992-08-25 1998-03-03 Lathrop; Stephen P. Algorithmic character-space adjustment computed from character-sequence-based constants and font size
JP2808390B2 (ja) * 1992-12-14 1998-10-08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製版処理装置
US8290272B2 (en) * 2007-09-14 2012-10-16 Abbyy Software Ltd. Creating a document template for capturing data from a document image and capturing data from a document image
JP4875024B2 (ja) * 2008-05-09 2012-02-15 株式会社東芝 画像情報伝送装置
US9390321B2 (en) 2008-09-08 2016-07-12 Abbyy Development Llc Flexible structure descriptions for multi-page documents
US8547589B2 (en) * 2008-09-08 2013-10-01 Abbyy Software Ltd. Data capture from multi-page documents
US8989485B2 (en) 2012-04-27 2015-03-24 Abbyy Development Llc Detecting a junction in a text line of CJK characters
US8971630B2 (en) 2012-04-27 2015-03-03 Abbyy Development Llc Fast CJK character recogni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5751A (ko) * 1972-10-25 1974-06-26
US4075695A (en) * 1976-06-01 1978-02-21 Raytheon Company Display processor system
DE3272696D1 (en) * 1982-05-24 1986-09-25 Ibm Deutschland Process for preparing dot screen data for character and/or picture representations
JPS59214966A (ja) * 1983-05-20 1984-12-04 Toshiba Corp 画像情報編集装置
JPS61133454A (ja) * 1984-12-03 1986-06-20 Hitachi Ltd 端末制御方式
JPS6324448A (ja) * 1986-07-17 1988-02-01 Toshiba Corp 複合文書処理装置
US5107419A (en) * 1987-12-23 1992-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assigning retention and deletion criteria to electronic documents stored in an interactiv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9652D1 (de) 1994-06-23
EP0328684A1 (en) 1989-08-23
US5197121A (en) 1993-03-23
KR890702133A (ko) 1989-12-22
DE3889652T2 (de) 1994-09-29
WO1989002116A1 (en) 1989-03-09
EP0328684B1 (en) 1994-05-18
EP0328684A4 (en) 198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940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JP2537482B2 (ja) ドキュメントプロセッシング装置
US5274757A (en) Book editing apparatus
JPH0991301A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文書情報管理方法
US5608857A (en) Document preparation support system using knowledge database to determine document layout
JPH07200786A (ja) ファイリング装置
KR970001905B1 (ko) 정보처리 시스템 및 그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KR0121574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는 편집장치
JPH01197878A (ja) 文書管理装置
US5655128A (en) Electronic dictionary
CA1316265C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editing device aided thereby
JP3480890B2 (ja) 文書情報管理システム
JP4737659B2 (ja) 表組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および表組データ作成装置
JPH08161350A (ja) 電子ファイリ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S61151734A (ja) 文書作成装置
EP03588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corresponding to labels
JPH04274558A (ja) 美術館・博物館等における所蔵品の検索表示装置
JP2978178B2 (ja) 文書作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S62271048A (ja) 索引出力装置
JP3267223B2 (ja) メッセージ編集方式
JPH01158561A (ja) 編集方法
JPH01131954A (ja) 編集方法
JPH01154218A (ja) 帳票印刷出力制御方式
JPH08202736A (ja) 図形処理装置及び図形処理方法
JPH06301674A (ja) 文書編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