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413A - 컵을 유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 등 - Google Patents

컵을 유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 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413A
KR20090129413A KR1020097018403A KR20097018403A KR20090129413A KR 20090129413 A KR20090129413 A KR 20090129413A KR 1020097018403 A KR1020097018403 A KR 1020097018403A KR 20097018403 A KR20097018403 A KR 20097018403A KR 20090129413 A KR20090129413 A KR 2009012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support
machine
rim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카 페라리스
Original Assignee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2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2Details allowing to adapt the beverage-making apparatus to the size of the brewing vessel or the beverage container, e.g. with adjustable support for the beverage container or adjustable hot wate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Tea And Coffee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제조용의 머신에 있어서 음료 받이용 용기를 유지하는 지지체 (9)를 기술하고 있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머신의 분출구(5A)에 대해서 2개의 상이한 높이에 용기(T, t)를 위치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컵을 유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 등{SUPPORT TO HOLD CUPS AND COFFEE MACHINE OR THE LIKE COMPRISING SAID SUPPORT}
본 발명은 음료, 예를 들어, 특히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커피 제조용의 머신에서 컵을 유지하는 지지체(support)에 관한 것이다.
특히, 커피 머신은 즉석에서 커피 콩을 분쇄함으로써 얻어지거나 분말 커피를 반입함으로써 얻어지거나, 또는 캡슐, 팟(pod) 등의 1회용의 작은 봉지(sachet) 내에 다시 한번 수용된, 일정 용량의 커피가 놓이는 추출기(brewing unit)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추출기는 한쪽이 가압된 온수를 공급하도록 온수 탱크(boiler) 및 펌프에 접속되고 다른 쪽은 1개 이상의 분출구(dispensing spout)에 접속되어 있고, 이 분출구 밑에는 분배된 커피를 받기 위하여 컵, 유리잔 등의 용기 혹은 1쌍의 용기가 배치되어 있다.
컵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들 머신은 상기 분출구 혹은 분출구들 밑에 배치되는 지지체를 구비한다. 통상, 분출구가 위치결정되거나 혹은 1쌍의 분출구가 위치결정되는 높이는, 분출구와 상기 지지체 상에 배치된 컵 간의 거리를 변경하도록 조정가능하다. 이것은 동일한 머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상이한 종류의 커피로서,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 커피 혹은 신선하게 막 내린 프레시-브류(fresh-brew) 커피로서 유용하다. 첫번째 경우, 소형 크기의 컵이 커피를 받기 위해 이용되는 한편, 두번째 경우에는 보다 큰 컵이 이용되어 지지체와 분출구 간에 보다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컵용의 지지체는 통상 아래쪽에 있는 드립 트레이(drip tray)를 향하여 액체의 배출을 허용하는 각종 형상의 1개 이상의 구멍, 슬롯 혹은 개구를 지닌 평탄한 요소에 의해 일반적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수평한 위치에 배치되는 그리드(grid)를 포함한다. 그리드는, 본문에서는, 격자 구조체(lattice structure)로서, 또한, 더욱 일반적으로는, 상기 그리드 밑에 있는 트레이를 향하여 액체를 배출하는 각종 형상의 1개 이상의 관통구멍, 슬롯 혹은 개구를 지닌 벽으로서 의도되어 있다.
컵이 배치될 수 있는 상이한 두 높이를 얻기 위해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00944호 공보에는 드립 트레이 위쪽에 배열된 2개의 중첩된 그리드가 설치된 커피 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작은 컵은 상부 그리드 위에 배치된다. 예컨대, 소위 프레시-브류 커피 혹은 레귤러 커피의 제조를 위한 보다 큰 컵이 이용될 경우, 상부 그리드는 제거되고, 하부 그리드 상에 당해 컵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 공지의 머신은 당해 머신 상에 제작되어 장착될 2개의 개별의 그리드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당해 장치에 맞도록 별도의 액세서리(2개의 그리드)를 취급해야만 하므로, 비용을 증가시켜, 비실용적인 장치로 된다.
WO-A-01/72190호 공보에는 컵 지지 그리드를 포함하여, 배출구로부터 이 그 리드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커피 머신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리드 주변 및 트레이의 측벽의 적어도 두 대향하는 영역에 걸쳐 분포되어 미끄럼 이동에 의해 높이를 조절가능한 서로 나란히 배치된 네스팅 요소(nesting elements)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성은 제작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
독일 실용신안 제7915161호 공보에는 상이한 두 높이에 배열될 수 있는 컵 지지판을 구비한 에스프레소 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지의 머신은 트립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개요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머신 혹은 음료 제조용의 기타 머신에 있어서의 컵용의 지지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받기 위한 컵이 분출구 혹은 분출구들에 대해서 배치되는 높이의 융통성(adaptability)을 얻는 것과 관련하여 더욱 경제적인 음료 제조용의 머신, 특히 배타적이지는 않지만,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음료 분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 밑에 위치결정된 트레이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료 수용 용기, 예컨대, 컵 등을 위한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분출구로부터 2개의 상이한 거리에 위치결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음료 제조용 머신이 제공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용기 유지용 그리드를 구비하며, 당해 용기 유지용 그리드에는 주변 테두리부(rim)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그리드의 단지 하나의 측면으로부터만 돌출하여, 아래쪽의 상기 드립 트레이에 대해서 스페이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에 의해 취해진 배향(orientation)에 의하면, 그리드는 아래쪽의 드립 트레이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결정될 것이다. 그리드가 스페이서 테두리부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삽입되면,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결정될 것이다. 또, 테두리부가 위쪽으로 배향되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음료 분출구 또는 노즐의 분배 높이를 조절가능하게 할 필요없이, 높이를 상당히 달리하는 용기를 수용하도록 음료 수용 컵의 지지면을 실질적으로 상이한 두 높이에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머신의 유압 회로(hydraulic circuit)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결과적으로, 머신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컵을 유지하는 그리드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테두리부는 당해 그리드의 양 면 혹은 양 측면으로부터 상이한 각도만큼 돌출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한쪽 측면으로부터만 돌출하도록 배치될 것인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컵을 유지하는 그리드의 면은 평활하게 되거나, 기껏해야 컵이 뜻하지 않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변 혹은 당해 주변의 일부를 따라 돌출부가 설치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용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을 지닌 용기(즉, 컵) 유지용 그리드; 및
- 상기 그리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면서, 당해 그리드의 상기 제1면과 제2면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 돌출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리드의 단지 두 측면만 혹은 단지 세 측면만을 둘러싸는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두리부는, 컵의 삽입과 컵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그리드의 제4측면을 자유롭게 남긴 채, 실질적으로 3개의 측면을 따라 당해 그리드를 둘러싼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당해 지지체가 장착된 경우, 뜻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머신과 걸어맞춤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컵 유지용 그리드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안내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요소는 상기 머신의 고정 구조체와 일체인 대응하는 안내 요소와 협동한다. 예를 들어, 안내 홈(들) 및 그와 협동하는 돌출부(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이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가 머신의 섀시 상에 형성되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컵 지지체가 2개의 상이한 교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이 편입되는 커피 머신의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2개의 별개의 위치에 있는 지지체의 2개의 사시도.
첨부 도면에 있어서, (1)은 전체로서 유리하게는 자동형, 조합형 혹은 수동형의 커피 머신을 나타낸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보다 큰 정도 혹은 보다 적은 정도의 자동화 방식을 지닌 다른 유형의 커피 머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유형의 음료의 제조용의 머신에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머신(1)은, 통상의 머신 구성 부품, 예컨대, 온수 탱크, 물 펌프, 전원 회로, 추출기, 이동가능한 추출기를 이동하기 위한 모터(존재할 경우), 커피 콩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존재할 경우), 관련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전자 회로 및 머신의 작동에 필요한 기타 모든 구성 부품(이들은 모두 공지되어 있어 이하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본체(3)를 구비한다.
머신의 본체(3)의 정면상에는, 단일 분출구(5A)를 지닌 분배기(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출구(5A)는 이들 머신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보다 간단하고 더욱 경제적인 구조를 지닌 채 일정 높이에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분출구의 높이는 조정가능하다. 또한, 상이한 수의 분출구, 예를 들어, 1쌍의 분출구 혹은 3개 이상의 분출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출구(5A) 밑에는, 예를 들어, 탈스케일 사이클(descaling cycle) 혹은 기타 상황에 있어서, 커피의 추출을 진행하는 가열 단계 동안 노즐 혹은 분출구(5A)로부터 뜻하지 않게 혹은 의도적으로 배달된 어떠한 액 체라도 회수하기 위하여, 정면으로부터 제거가능한 트레이(7)가 위치결정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7) 위쪽에는, 도 1A에서는 (t)로, 도 1B에서는 (T)로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컵용의 유지 지지체(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9)는 관통 개구부(13)를 지닌 벽(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벽은 이하 컵(t), (T)을 유지하는 그리드로 지칭될 것이다. 그리드(11)의 대향면은 (11A), (11B)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컵(t), (T)은, 컵(t)의 경우에는 커피, 전형적으로 에스프레소 커피를, 컵(T)의 경우에는 프레시 브류 커피를 상이한 양으로 받도록 의도된 실질적으로 서로 상이한 치수, 특히 높이를 지닌다.
도 1A 및 도 1B의 두 도면을 비교하면, 컵(T), (t)용의 지지체(9)는 그리드(11)가 분출구(5A)에 대해서 상이한 높이, 따라서, 상이한 두 거리를 취하게 되는 2개의 개별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A에 있어서, 지지체(9)는 분출구(5A)에 보다 가까운, 보다 높은 높이에 그리드(11)를 배치한다. 또, 도 1B에 있어서, 지지체(9)는, 상기 분출구 밑에 보다 높은 높이의 컵(T)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보다 낮은 높이, 따라서 분출구(5A)로부터 더욱 멀리 그리드(11)를 배치하고 있다.
지지체(9)의 이 가능성 혹은 가역적인 장착은 그의 특별한 상대적 배치(configuration)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지지체는 도 1A 및 도 1B에서 각각 취한 두 위치에 있어서 도 2A 및 도 2B에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특히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리드(11)는, 당해 그리드(11)의 긴 변을 따른 부분 및 짧은 변을 따른 2개의 부분을 각각 나타내는, 상당한 높이의 테두리부(15)에 의해 3개의 측면(15A), (15B) 및 (15C)으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테두리부(15)는 상기 그리드(11)가 상기 머신(1) 내에 위치결정될 수 있는 높이의 차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이(h)에 있다.
지지체(9)가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신 내에 배치된 경우, 테두리부(15)의 정면 부분(15A)과 그리드(11)는 트레이(7)가 배치되어 있는 바닥부에 있는 일종의 틈새부(niche)를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그리드(11)는 머신(1)의 본체(3)의 섀시 상에 설치된 2개의 횡방향 면(19)을 지닌 연속 평면을 형성한다. 그리드(11)는 최대 높이에 있고, 따라서, 분출구(5A)에 보다 가깝게 되어 있다.
도 1B 및 도 2B의 레이아웃에 있어서, 그리드(11)는 트레이(7) 위쪽에 직접, 또한 도 1A 및 도 2A에서 채택된 높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보다 낮은 높이(높이 h)에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테두리부(15)는 트레이(7)에 의해 바닥부에서 폐쇄되는 틈새부 안쪽에 위치결정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테두리부(15)의 부분(15A)은, 분출구(5A)가 끼워맞춤되는 머신의 본체(3)의 중앙부에 대항해서, 머신(1)의 정면부에 대해서 더욱 뒤쪽으로 위치결정된다.
지지체(9)의 삽입과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두 레이아웃에 있어서 그의 위치결정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있어서, 측면 부분(15B), (15C) 상에는, 그리드(11)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안내부(21)가 설 치되어 있고, 당해 안내부에는, 머신(1)의 본체(3)의 정면 영역에 형성되어 제거가능한 트레이(7) 위에 뻗어 있는 틈새부의 측면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돌출부(도시 생략)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해서, 지지체(9)는, 도 1A, 도 2A 및 도 1B, 도 2B 각각의 두 위치의 한쪽 및 다른 쪽의 양쪽 모두에서 상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수직 이동하면서 삽입되어, 머신 상에 일단 위치결정되면 지지체가 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탑재를 간단화하고, 지지체의 위치를 안정하게 해준다. 변형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체 상에는, 머신(9)과 일체인 홈에 안내되는 돌출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지지체에 의하면, 상기 머신은, 대안적으로는, 분출구(5A)를 제거가능하거나 조정가능하게 할 필요없이, 에스프레소 커피 컵이나 프레시 브류 커피 컵을 이용하는 두 레이아웃 중 한쪽 혹은 다른 쪽에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Claims (12)

  1. 음료 제조용의 머신에서 음료 수용 용기를 유지하며, 당해 머신의 분출구(dispensing spout)에 대해서 2개의 상이한 높이에서 상기 음료 수용 용기를 위치결정하도록 설계되고, 제1 및 제2대향면을 지닌 그리드를 구비한 지지체로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용기를 2개의 상이한 높이에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그리드의 상기 제1 및 제2대향면 중의 한쪽 혹은 다른 쪽이 위쪽으로 배향된 상태에서 교대로 2개의 배향(orientation)으로 상기 머신의 트레이 상에 위치결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의 상기 제1 및 제2대향면으로부터 상이한 각도로 돌출하는 테두리부가 상기 그리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그리드의 상기 대향면들 중 단지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그리드의 제4측면을 자유롭게 남긴 채, 실질적으로 3개의 측면을 따라 당해 그리드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5.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그리드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안내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요소는 상기 지지체가 장착되는 상기 머신의 고정 구조체와 일체인 대응하는 안내 요소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체.
  6. 적어도 하나의 음료 분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 밑에 위치결정된 트레이 위쪽에 배치된 컵 등의 음료 수용 용기용의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상기 용기를 유지하는 그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그리드는 제1 및 제2대향면을 포함하는 것인 음료 제조용 머신으로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그리드의 상기 제1 및 제2대향면 중의 한쪽 혹은 다른 쪽이 상기 분출구와 대면하는 상태에서, 교대로 2개의 배향으로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결정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의 2개의 배향은 상기 배출구로부터 2개의 상이한 거리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결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머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용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하는 제1면과 제2면을 지닌 용기 유지용 그리드; 및
    - 상기 그리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면서, 당해 그리드의 상기 제1면 과 제2면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 돌출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머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트레이 위쪽에서 2개의 상이한 거리에서 상기 지지체를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면으로부터 또한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이한 각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머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그리드의 상기 면들 중 한쪽 면으로부터만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머신.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그리드의 제4측면을 자유롭게 남긴 채, 실질적으로 3개의 측면을 따라 당해 그리드를 둘러싸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머신.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그리드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안내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요소는 상기 머신의 고정 구조체와 일체인 대응하는 안내 요소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머신.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출구 밑 에는, 상기 트레이에 의해 하부가 규정되고 상부 및 정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틈새부(niche)를 포함하고, 그 틈새 내에는 상기 지지체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체가 그의 테두리부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삽입된 경우,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틈새부를 정면에서 폐쇄하는 한편, 상기 지지체가 그의 테두리부를 위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삽입된 경우, 테두리부가 없는 그의 측면은, 상기 틈새부가 실질적으로 정면 및 상부면에서 개방된 채로, 바깥쪽으로 향하며, 상기 그리드는 상기 틈새부의 바닥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용 머신.
KR1020097018403A 2007-04-06 2008-03-28 컵을 유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 등 KR200901294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07U000020 2007-04-06
IT000020U ITFI20070020U1 (it) 2007-04-06 2007-04-06 Supporto appoggio per tazze e macchina da caffe' o simili comprendente detto support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413A true KR20090129413A (ko) 2009-12-16

Family

ID=3851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403A KR20090129413A (ko) 2007-04-06 2008-03-28 컵을 유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 등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453561B2 (ko)
EP (1) EP2131705B1 (ko)
JP (1) JP5270660B2 (ko)
KR (1) KR20090129413A (ko)
CN (1) CN101657131B (ko)
AT (1) ATE492197T1 (ko)
AU (1) AU2008236332B2 (ko)
BR (1) BRPI0809972B1 (ko)
DE (1) DE602008004118D1 (ko)
ES (1) ES2357078T3 (ko)
IT (1) ITFI20070020U1 (ko)
MX (1) MX2009010521A (ko)
PL (1) PL2131705T3 (ko)
RU (1) RU2471400C2 (ko)
TW (1) TW200932172A (ko)
WO (1) WO20081230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070184A1 (it) 2007-08-02 2009-02-03 Saeco Ipr Ltd "supporto a doppio piano di appoggio per tazze e altri contenitori in macchin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BR112014010318A2 (pt) * 2011-10-31 2017-05-02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 A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com regulação de descarga de bebida em altura
RU2619002C2 (ru) * 2012-01-17 2017-05-11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патрубком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DE102013010110A1 (de) * 2013-06-18 2014-12-18 Beem Blitz-Elektro-Erzeugnisse Manufaktur Handels-Gmbh Kaffeemaschine
US9844293B2 (en) * 2015-03-06 2017-12-19 Spectrum Brands,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WO2016156364A1 (en) * 2015-04-02 2016-10-06 Nestec S.A. Shallow machine
WO2017157489A1 (de) 2016-03-17 2017-09-21 Eugster / Frismag Ag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sowie betriebsverfahren
US10820748B1 (en) * 2019-01-10 2020-11-03 Reptura, LLC Tea steep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7344670B2 (ja) * 2019-05-08 2023-09-14 株式会社ツインバード コーヒーメーカー
EP4085801A1 (de) * 2021-05-06 2022-11-09 Tchibo GmbH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mit abstellelement zur positionierung unterschiedlicher gefässe zur getränkeaufnahme
CN113397386A (zh) * 2021-08-03 2021-09-17 丹顶鹤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可适用于不同杯具的咖啡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867A (en) * 1900-06-05 1901-02-26 James T Ashe Cooler for bottled wine or other beverages.
US866807A (en) * 1907-04-24 1907-09-24 David L Pitts Drip cup or receptacle.
US3327902A (en) * 1965-10-22 1967-06-27 Alterwitz Melvin Chill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S4859043U (ko) * 1971-11-05 1973-07-26
DE7915161U1 (de) 1979-05-25 1979-08-23 Gruetzmacher, Bernd, 2000 Hamburg Kaffee- und/oder Espressomaschine
US5556692A (en) * 1994-12-22 1996-09-17 Zheng; Joe Dual purpose parking pad
CH690161A5 (de) * 1996-03-25 2000-05-31 Arthur Schmed Filterkaffeemaschine.
US5960995A (en) * 1997-11-04 1999-10-05 Leatherman; Sandra Ann Adjustable and collapsible drip collection device
FR2806605B1 (fr) 2000-03-27 2003-04-04 Moulinex Sa Machine a infusion
CN2530553Y (zh) * 2002-03-18 2003-01-15 延边未来星饮品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饮料冲饮机上的搅拌装置
DE60301124T2 (de) * 2002-09-13 2006-03-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Kissenstütze für eine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schäumeinheit und getränkezubereitungs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kissenstütze und verfahren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schaumschicht unter verwendung einer solchen kissenstütze
ATE415119T1 (de) * 2003-01-06 2008-1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ehälteraufnahmeeinheit mit gleichmässiger getränkverteilung
JP2005329054A (ja) * 2004-05-20 2005-12-02 Zojirushi Corp 飲料抽出装置
DE602005016320D1 (de) * 2005-06-07 2009-10-08 Nestec Sa Schaumspender mit Milchgefäß, abnehmbarer Düse und Tropfenfangvorrichtung für Empfänger von unterschiedlicher Höhe
WO2007022388A2 (en) * 2005-08-17 2007-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bever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70660B2 (ja) 2013-08-21
MX2009010521A (es) 2009-10-26
WO2008123003A2 (en) 2008-10-16
ATE492197T1 (de) 2011-01-15
US20100242738A1 (en) 2010-09-30
DE602008004118D1 (de) 2011-02-03
BRPI0809972A2 (pt) 2014-10-07
AU2008236332B2 (en) 2014-05-29
WO2008123003A3 (en) 2008-12-18
RU2471400C2 (ru) 2013-01-10
RU2009140751A (ru) 2011-06-10
EP2131705B1 (en) 2010-12-22
PL2131705T3 (pl) 2012-04-30
CN101657131A (zh) 2010-02-24
ES2357078T3 (es) 2011-04-18
CN101657131B (zh) 2012-02-01
TW200932172A (en) 2009-08-01
ITFI20070020U1 (it) 2008-10-07
EP2131705A2 (en) 2009-12-16
US8453561B2 (en) 2013-06-04
AU2008236332A1 (en) 2008-10-16
BRPI0809972B1 (pt) 2018-11-13
JP2010523194A (ja)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9413A (ko) 컵을 유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커피 머신 등
AU2013208992B2 (en) Beverage machine for short and tall cups
EP2579754B1 (en) Ergonomic service arrangement for beverage machine
EP3373779B1 (en) Easy connection of a liquid tank to a beverage machine
CA2718656A1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US11744397B2 (en) Beverage machines with modularity
EP3629858A1 (en) Beverage machine with ergonomic power switch
US11517136B2 (en) Beverage machine with a stabilizing foot
US20200178721A1 (en) Beverage machine with a collapsible interface
EP3412182A1 (en) Coffee machine water tank handle and cover system
EP3687347B1 (en) Beverage machines with a removable module
CN117677325A (zh) 咖啡机和牛奶拉花装置
WO2022246513A1 (en) Coffee machine and milk texturing device
JP2014050470A (ja) 飲料抽出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