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34B1 -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034B1
KR101925034B1 KR1020170039299A KR20170039299A KR101925034B1 KR 101925034 B1 KR101925034 B1 KR 101925034B1 KR 1020170039299 A KR1020170039299 A KR 1020170039299A KR 20170039299 A KR20170039299 A KR 20170039299A KR 101925034 B1 KR101925034 B1 KR 101925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device
display
comman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496A (ko
Inventor
정규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034B1/ko
Priority to US15/815,491 priority patent/US10489111B2/en
Priority to EP20181101.5A priority patent/EP3739818B1/en
Priority to EP17205847.1A priority patent/EP3382949B1/en
Priority to CN201810048141.9A priority patent/CN108668153B/zh
Publication of KR2018010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34B1/ko
Priority to US16/663,820 priority patent/US11385861B2/en
Priority to US16/663,803 priority patent/US1137261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99/005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4Segmentation; Word boundary dete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인공 지능 및/또는 음성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일 예는, 트리거 데이터와 제1 커맨드 데이터가 포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트리거 데이터 수신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및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제1 상태로 변경 제어하고, 상기 제1 커맨드 데이터의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제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인식되는 음성에 따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유저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 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 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 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 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로, 음성 인식이 가능한 오디오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오디오 장치는 스피커 시스템을 구비한 장치로,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가전 기기들과 통신함으로써, 가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오디오 장치와 대화를 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기능들을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디오 장치는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만 가능하여, 유저의 다양한 니즈나 의도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 내지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인간의 지능과 유사한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인공 지능의 기술 분야가 머신 러닝 기법을 기반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인공 지능은 종래의 인간의 사고를 통하여 기계를 조작하는 인간의 행위를 기계가 대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인공 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움직임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내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입력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입력 신호를 인공 지능에 기초하여 분석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 신호로 음성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 신호가 오디오가 아닌 경우에도 이를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인접한 다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발화자(유저)의 상황 등 이벤트에 기초하여 적응적인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발화자의 의도에 부합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인공 지능 및/또는 음성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는, 트리거 데이터와 제1 커맨드 데이터가 포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트리거 데이터 수신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및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제1 상태로 변경 제어하고, 상기 제1 커맨드 데이터의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제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는, 트리거 데이터와 커맨드 데이터를 포함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데이터에 따라 발화자의 위치를 디텍팅하는 단계; 상기 디텍팅된 발화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하는 단계; 상기 디텍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커맨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커맨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커맨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을 위한 컨트롤 커맨드와 상기 생성된 응답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 온 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응답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입력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입력 신호를 인공 지능에 기초하여 분석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입력 신호로 음성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 신호가 오디오가 아닌 경우에도 이를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인접한 다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발화자(유저)의 상황 등 이벤트에 기초하여 적응적인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발화자의 의도에 부합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한 디지털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의 일 실시 예,
도 4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의 다른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일 실시 예,
도 6은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영상 정보가 포함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영상 정보가 포함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smart controlling device)"는, 음성, 텍스트, 이미지, 모션, 터치, 시선 등 다양한 입력에 기초하여 직접, 또는 연결된 또는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응답을 출력 또는 응답으로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을 탑재 또는/및 음성 인식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로 음성 인식이 가능하여 예컨대, 입력되는 유저의 음성 명령에 따라 소정 디바이스에 컨트롤 커맨드(control command)를 전송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오디오 장치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는 인공 지능(기능)이 탑재되고 음성 인식이 가능한 오디오 장치(또는 스마트 스피커)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한 디지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는 출원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또는 연결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포함된 디지털 시스템이 도시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시스템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가 포함된다.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또는 원거리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도 1의 디지털 시스템에서 컨트롤러(Controlle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서버(external server)(19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서버(190)와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은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외에 다른 디바이스도 가능하며,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외부 서버(19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의 외부 서버 또는 디지털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은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TM), 제트-웨이브(Z-wave), 적외선 통신, 지그비, RS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한 통신 프로토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통신 프로토콜 등이 더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은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사이에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고, 중계기(relay), 갭-필러(gap filler) 등과 같은 디바이스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디지털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와 다른 디바이스들(120, 130, 140, 150, 160)은 동일 네트워크에 속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상기한 동일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에서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로, 디지털 TV(120), 스마트폰(130), 전기 또는 로봇 청소기(140), 냉장고(150), 세탁기(160)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이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일 예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에어컨의 전원을 켜거나 에어컨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IoT(Internet of Things) 하에서 또는 그와 조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와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와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일 실시 예는, 트리거 데이터(trigger data)와 커맨드 데이터(command data)가 포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트리거 데이터 수신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또는/및 선택하고, 상기 디텍팅 또는/및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제1 상태로 변경 제어하고, 상기 커맨드 데이터의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제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예컨대, 스탠드-바이 상태(stand-by state)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하였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신호 수신부(210), 제어부(220), 신호 처리부(230), 메모리(240), 신호 출력부(250)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20)는 인식부(222), AI 처리부(22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식부(222)와 AI 처리부(224)는 개별 구성일 수도 있고, 모듈화되어 하나의 구성일 수도 있다.
신호 수신부(210)는, 유저의 음성 명령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음성 명령은 예컨대, '앨리스"와 같은 시작 신호와 상기 시작 신호 외의 명령, 요청 등과 같은 동작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시작 신호는 시작 데이터, 음성 명령 트리거 신호, 음성 명령 트리거 데이터, 트리거 신호, 트리거 데이터 등 다양하게 호칭될 수 있는데, 편의상 트리거 데이터로 설명한다. 이때, 신호와 데이터는 예컨대, 형태 내지 포맷의 차이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구분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신호와 데이터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리거 데이터를 제외한 입력 신호 내 데이터는 커맨드 데이터(또는 리얼 데이터)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커맨드 데이터는 예컨대, 발화자(유저)의 실제 명령 데이터를 의미한다. 신호 수신부(210)는 수신된 음성 명령을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송되는 음성 명령에서 트리거 데이터는 제외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수신부(210)는 상기 트리거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수신되는 신호는 무시하거나 제어부(22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신호 수신부(210)는 상기에서는 음성 명령을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신호 수신부(210)는, 텍스트, 모션, 터치 등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식부(222), AI 처리부(2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식부(222)는 신호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 내 트리거 데이터와 커맨드 데이터를 그 입력 신호 포맷에 따라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신호 수신부(210)를 통한 입력 신호가 음성 포맷이면, 상기 인식부(222)는 음성 인식 기능, 툴, 모듈, 엔진 등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인식부(222)는 상기 음성 입력 신호를 STT(Sound to Text)(또는 경우에 따라 TTS(Text to Sound))에 기초하여 텍스트 포맷으로 전환한 후에 AI 처리부(224)로 전달하여 분석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AI 처리부(224)는 인식부(222)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 데이터를 분석한다. 예컨대, 상기 인식부(222) 또는 AI 처리부(224)는 수신되는 입력 신호 내 트리거 데이터가 인식 내지 분석되면, 그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선택, 제어 등을 할 수 있다. 상기 AI 처리부(224)는, 인식부(222)를 통해 인식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에서, 분석이라 함은 예를 들어, 유효한 입력 신호 여부, 트리거 또는 커맨드 데이터에 대한 속성, 종류, 타입 등을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I 처리부(224)는, 인공 지능 기술에 기반하여 정보들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정보의 학습, 정보의 추론, 정보의 지각, 자연 언어의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I 처리부(224)는 머신 러닝(machine running)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내에 저장된 정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주변의 환경 정보, 통신 가능한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 등 방대한 양의 정보(빅 데이터, big data)를 학습, 추론,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AI 처리부(224)는 상기 머신 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동작을 예측(또는 추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예측된 동작들 중 가장 실현성이 높은 동작이 실행되도록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머신 러닝 기술은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대규모의 정보들을 수집 및 학습하고, 학습된 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판단 및 예측하는 기술이다. 정보의 학습이란 정보들의 특징, 규칙, 판단 기준 등을 파악하여, 정보와 정보 사이의 관계를 정량화하고, 정량화된 패턴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들을 예측하는 동작이다.
이러한 머신 러닝 기술이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통계학에 기반한 알고리즘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 구조 형태를 예측 모델로 사용하는 의사 결정 나무(decision tree), 생물의 신경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는 인공 신경망(neural network), 생물의 진화 알고리즘에 기반한 유전자 프로그래밍(genetic programming), 관측된 예를 군집이라는 부분집합으로 분배하는 군집화(Clustering), 무작위로 추출된 난수를 통해 함수값을 확률로 계산하는 몬테카를로 방법(Monter carlo method) 등이 될 수 있다.
머신 러닝 기술의 한 분야로써, 딥 러닝(deep running) 기술은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보들을 학습, 판단,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기술이다. 인공 신경망은 레이어(layer)와 레이어 사이를 연결하고, 레이어와 레이어 사이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딥러닝 기술은 병렬 연산에 최적화된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을 통하여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학습할 수 있다.
한편, AI 처리부(224)는 머신 러닝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방대한 양의 정보들을 수집하기 위하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구성 요소들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수집(감지, 모니터링, 추출, 검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AI 처리부(224)는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 저장소(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cloud server)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 등을 수집(감지, 모니터링, 추출, 검출,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의 수집이란, 센서를 통하여 정보를 감지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거나, 통신을 통하여, 외부 저장소로부터 정보들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AI 처리부(224)는 센싱부(미도시)를 통하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내 정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유저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AI 처리부(224)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 무선 신호, 무선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AI 처리부(224)는 입력부로부터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AI 처리부(224)는 백그라운드 상에서 실시간으로 방대한 양의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학습하여, 적절한 형태로 가공한 정보(예를 들어, 지식 그래프, 명령어 정책, 개인화 데이터베이스, 대화 엔진 등)를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AI 처리부(224)는 머신 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단말기의 동작이 예측되면, 이러한 예측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거나, 예측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예측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AI 처리부(224)는 특정 동작이 수행되면, 머신 러닝 기술을 통하여, 특정 동작의 수행을 나타내는 이력 정보를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의 학습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AI 처리부(224)는 정보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인식부(222) 또는/및 AI 처리부(224)는, 제어부(22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어부(220)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인식부(222) 또는/및 AI 처리부(224)에서 수행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와 다르게, 본 명세서에서, 인식부(222) 또는/및 AI 처리부(224)와 제어부(220)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부(222) 또는/및 AI 처리부(224)는, 제어부(220)와 서로 데이터 교환을 통하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상에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AI 처리부(224)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단말기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단말기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AI 처리부(224) 또한,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상기 수신되는 음성 명령의 분석, 상기 컨트롤 커맨드 등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데이터 처리 등과 관련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40)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 AI 처리부(224)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예를 들어, 머신 러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40)에 저장되고,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220)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신호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되는 신호에는 예컨대, 전술한 컨트롤 커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30)는, 그 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서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출력부(250)는, 신호 처리부(230)에서 처리된 신호를 소정 출력 방식에 다라 내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출력 방식은, 통신 프로토콜, 목적 디바이스, 출력 신호의 종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 또는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필요에 따라 신호/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00)는, 바디부의 외측면에 유저 입력부(323), 음향 출력부(352) 및 광 출력부(354)를 구비할 수 있다. 유저 입력부(323)는 유저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유저 입력부에 대하여, 각각 제1 유저 입력부(323a), 제2 유저 입력부(323b) 및 제3 유저 입력부(323c)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광 출력부(354)도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 제1 광출력부(354a) 및 제2 광출력부(354b)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유저 입력부 및 광 출력부를 총칭하는 경우, 도면 부호 323 및 35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디부는 원통형일 수 있으며, 그 자체가 울림통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는 디자인을 고려하여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원통의 측면을 이루는 제1 영역(310), 원통의 밑면을 이루는 제2 영역(320) 및 상기 제2 영역(32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통의 또 다른 밑면을 이루는 제3 영역(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320)과 상기 제3 영역(330)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역(310)을 외측면, 상기 제2 영역(320) 및 제3 영역(330)을 외측 상면 및 외측 하면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제1, 제2 및 제3 영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영역(310)에는, 제3 유저 입력부(323c), 제2 광 출력부(354b), 적외선 출력부(355) 및 음향 출력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 출력부(354b) 및 음향 출력부(352)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광 출력부(354b)의 적어도 일부는 음향 출력부(352)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며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설계자의 설계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 출력부(354b) 및 음향 출력부(352)는 바디부의 제1 영역(3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352)는 바디부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소리가 출력되도록 형성되고, 제2 광 출력부(354b)는 바디부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저 입력부(323c)는 제1 영역(3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저 입력부(323c)는 바디부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제3 유저 입력부(323c)를 회전시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음량을 크게 또는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출력부(355)는 적외선 신호가 사방으로 출력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310)의 상단에 적외선 출력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영역(310)의 상단 중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출력부(355)는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외부 기기에 적외선 신호가 도달하도록 적외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출력부의 배치 위치는 당업자의 설계에 의하여 적외선 신호가 사방으로 출력될 수 있는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320)에는 디스플레이부(351), 제1 및 제2 유저 입력부(323a, 323b), 제1 광 출력부(354a) 및 온도/습도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51)는 유저의 시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2 영역(3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의 주변 영역에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1 및 제2 유저 입력부(323a, 323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입력부(323a, 323b)는 눌림 조작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버튼식으로 형성되거나, 터치 조작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터치 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저 입력부(323a, 323b)는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저 입력부(323a)는 음성 인식을 중단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이고, 상기 제2 유저 입력부(323b)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 출력부(354a)는 상기 제2 영역(32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광 출력부(354a)는 제2 영역(320)의 외곽을 둘러싸는 띠(ban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출력부(354a)는 제2 영역(320)이 원형인 경우, 원을 둘러싸는 띠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광 출력부(354)는 광원에서 빛이 방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으로 LED(light emitted diode)가 이용될 수 있다. 광원은 광 출력부(354)의 내주면에 위치하고,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광 출력부(354)를 통과하여 외부를 비추게 된다. 이러한 광 출력부(354)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 출력부(354)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광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서 음성 인식이 수행되는 중인 경우, 적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서 수정 명령을 대기 중인 경우, 노란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온도/습도 센서는 외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직접 닿을 수 있는 제2 영역(320)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 영역(33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음향 수신을 위한 오디오 입력부(마이크)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하나로 고정형 디바이스로는 네트워크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 IPTV(Internet Protocol TV), PC(Personal Comput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단지 디스플레이 패널만을 구비한 사이니지(Signage) 형태 또는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셋-톱 박스(STB: Set-top Box) 등과 함께 세트(SET)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범용 OS(Operating System), 웹OS(Web OS)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범용 OS 커널(OS kernel),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등에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 삭제, 수정, 업데이트 등 처리가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더욱 유저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예컨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도 명명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로 디지털 TV를, 그리고 도 5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는 도 4와 5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이다.
디지털 TV(4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4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4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403), SI 디코더(404), 역다중화부(demuxer or demultiplexer)(4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4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4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4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4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410),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metadata DB)(4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412), 서비스 매니저(413), UI(User Interface) 매니저(4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1)는,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 (IP) packet(s)) 또는 IP 데이터그램(들)(IP datagram(s))(이하 'IP 패킷(들)'이라 한다)을 서버(405)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서버(405)로 송신한다. 일 예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1)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로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컨텐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CP/IP 매니저(402)는, 디지털 TV(4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지털 TV(4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상기 TCP/IP 매니저(402)는 수신된 패킷(들)을 적절한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분류하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4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 메타데이터 매니저(412) 등으로 상기 분류된 패킷(들)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403)는,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전달 매니저(403)는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RTP/RTCP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RTP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경우, 서비스 전달 매니저(40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역다중화부(405)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413)의 제어에 따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403)는 RTCP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측에 피드백한다.
역다중화부(4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Signaling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406/407), SI 디코더(404)에 전송한다.
SI 디코더(404)는, 역다중화된 SI 데이터 즉,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DVB-SI(Digital Video Broadcasting-Service Information), DTMB/CMMB(Digital Television Terrestrial Multimedia Broadcasting/Coding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서비스 정보를 디코딩한다. 또한, SI 디코더(404)는, 디코딩된 서비스 정보들을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서비스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의 요청 등에 의해 해당 구성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406/407)는,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408)를 통하여 유저에게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를 들어, UI 매니저(414)와 서비스 매니저(413)를 포함하며, 디지털 TV(400)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디지털 TV(4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
UI 매니저(414)는, 유저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UI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제공하며, 유저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디바이스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I 매니저(414)는 유저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키 입력을 받으면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413)에 전송한다.
서비스 매니저(4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4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 메타데이터 매니저(4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413)는, 채널 맵을 생성하고 UI 매니저(414)로부터 수신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채널 맵을 이용하여 채널을 선택 등을 제어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413)는 SI 디코더(404)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역다중화부(405)에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되는 PID는 상술한 역다중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역다중화부(405)는 상기 PID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SI 데이터를 필터링(PID or section filtering) 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4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는 유저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RTSP 프로토콜은 실시간 스트리밍에 대해 트릭 모드(trick mod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 매니저(409)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IMS 게이트웨이(430)를 통하는 세션을 초기화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들은 일 실시 예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매니저(4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를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한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411)는, SI 디코더(404)가 디코딩한 서비스 정보, 메타데이터 매니저(4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410)가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4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SI&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411)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RAM: NV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IMS 게이트웨이(43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디지털 TV(400)는, 방송 수신부(435),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448), 저장부(455),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80), 제어부(450), 디스플레이부(460), 오디오 출력부(465), 전원 공급부(47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43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442), 복조부(44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435)는 튜너(442)와 복조부(444)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43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442)를 거쳐 복조부(444)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43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44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유저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442)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442)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44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45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442)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44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444)는, 튜너(442)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444)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444)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 Transport Stream)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일 수 있다. 복조부(444)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45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46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46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는, 디지털 TV(400)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블루투스 디바이스, 클라우드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디지털 TV의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제어부(450)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TV(4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 단자, HDMI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TV(4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DLNA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450) 또는 저장부(455)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는, 디지털 TV(4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 Wibro, Wimax, HSDPA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유저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TV(4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유저 또는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중 선택된 유저 또는 선택된 디지털 디바이스에, 상기 디지털 TV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455)는, 제어부(4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455)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455)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55)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46)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55)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455)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TV(400)는, 저장부(455)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b는 저장부(455)가 제어부(45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저장부(455)는 제어부(45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480)는, 유저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45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450)의 신호를 유저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48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디바이스(49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450)의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디바이스(49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48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50)에 전달할 수 있다.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480)는, 유저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45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45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튜너(442), 복조부(444)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6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46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도 4b에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어부(45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디지털 TV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튜너(442)를 제어하여, 유저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480)를 통하여 입력된 유저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TV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유저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TV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50)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48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442)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450)는, 유저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460) 또는 오디오 출력부(46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450)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48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460) 또는 오디오 출력부(46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45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4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442)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455)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6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5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지털 TV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45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TV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4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TV는,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444)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45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45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5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46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460)는, 제어부(45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48)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46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6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465)는, 제어부(45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46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유저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TV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480)를 통해 제어부(45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유저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45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유저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470)는, 디지털 TV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45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46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46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4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6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 디바이스(490)는, 유저 입력을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48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 디바이스(490)는, 블루투스, RF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 지그비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 디바이스(490)는, 유저입력 인터페이스부(48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 디바이스(49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TV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전술한 제어부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OSD 생성부, 믹서(mixer),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 포맷터(formatter)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는, 영상 디코더 및 스케일러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H.265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H.265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는, 유저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는 유저 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이나 텍스트 형태/포맷으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TV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는, OSD 생성부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이면,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포맷으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TV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TV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TV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 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4a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460)와 오디오 출력부(46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전술한 도 4a 내지 4b의 구성은 디지털 TV(400)와 같은 고정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후술하는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음성 인식 스피커,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다른 하나로 이동 단말기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입력부(520), 감지부(540), 출력부(550), 인터페이스부(560), 메모리(570), 제어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510)는, 이동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510)는, 이동 단말기(5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510)는, 방송 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2), 무선 인터넷 모듈(513), 근거리 통신 모듈(514), 위치정보 모듈(5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5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5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유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입력부(5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유저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5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유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540)는 근접센서(5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5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5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5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551), 음향 출력부(552), 햅팁 모듈(553), 광 출력부(554), 적외선 출력부(5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500)와 유저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저 입력부(5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500)와 유저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5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5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70)는 이동 단말기(5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570)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5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5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5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5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5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5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유저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메모리(5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5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5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단말기(5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5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5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5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5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510)의 방송 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5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512)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SUPA, LTE, LTE-A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5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5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이동 단말기(5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저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유저는, 이동 단말기(5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5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 정보 모듈(5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 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 모듈을 활용하면, Wi-Fi 모듈과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 정보 모듈(5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5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5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5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유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5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5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5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5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5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5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521)는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5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5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입력부(523)는 유저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유저 입력부(5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5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저 입력부(52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 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5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유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5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5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5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5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5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5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5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5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5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5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터치 스크린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5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5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580)는 디스플레이부(5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5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5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광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5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5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5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포토다이오드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 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551)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5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552)는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5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552)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5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553)은 유저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5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유저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5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5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저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3)은 이동 단말기(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554)는 이동 단말기(5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5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5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 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유저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적외선 출력부(555)는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infrared ray)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외부 기기는 적외선 수신기를 구비한 기기로써, 적외선 신호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하는 등과 같은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는 TV, 조명,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보일러, 스위치, 플러그, 가스락, 홈 CCTV 등이 될 수 있다.
적외선 신호는 발광부에서 적외선을 발광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nfrared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신호는 유저 요청에 근거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5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5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유저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유저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560)를 통하여 단말기(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유저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5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5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570)는 제어부(5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70)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5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5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유저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5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590)는 연결 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 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5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 공급부(5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 공급부(5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디지털 시스템 내 별개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며, 그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예시로 도 4와 5에서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를 각각 예시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도 4와 5에서 각각 설명된 디지털 TV와 이동 단말기에 임베디드나 결합 가능한 형태와 같이, 그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서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등 다양한 명칭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6은 음성 인식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 특히, 도 6a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b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음성 인식 기능은 마이크 등의 오디오 센서를 통하여 수신한 음향 신호를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또한, 음성 인식 기능은 상기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된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즉, 음성 인식 기능은 수신된 음성이 특정 단어에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또는 수신된 음성에 대응되는 음성 명령을 검출하는 기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메모리(240)에 음성 인식 기능과 관련된 음성 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애플리케이션은 자체적으로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거나, 통신 연결된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성 인식 기능이 시작된 상태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종래 음성 인식 기능은 복수의 실행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상태를 음성 인식 기능의 시작을 위하여, 트리거 데이터의 입력을 대기하는 음성 인식 대기 상태(610) 또는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인식 상태(620)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대기 상태(610)는 소정 크기 이상의 음량을 갖는 음성을 감지하는 리스닝 상태(listening state, 611)와 특정 단어를 검출하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리스닝 상태(611)에서 외부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음량을 갖는 음성의 수신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리스닝 상태(611)에서 소정 크기 이상의 음량을 갖는 음성을 검출할 뿐,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220)는 소정 크기 이상의 음량을 갖는 음성이 수신되면,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상태를 리스닝 상태(611)에서 키워드 검출 상태(612)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특정 단어의 수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단어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시작을 위한 트리거 데이터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마다 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마다 서로 다른 신호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수신된 음성이 특정 단어에 해당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특정 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이 수신되면, 인식 상태(620)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기설정된 특정 단어, "앨리스"라는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앨리스"라는 음성이 특정 단어에 해당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앨리스"가 특정 단어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음성 인식기능의 실행 상태를 음성 인식이 가능한 인식 상태(620)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특정 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이 수신되지 않으면,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상태를 다시 리스닝 상태(611)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소정 시간 동안 음성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상태를 리스닝 상태(611)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수신된 음성이 특정 단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상태를 다시 리스닝 상태(611)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도 6b를 참조하여 인식 상태에서의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b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220)는 키워드 검출 상태(612)에서 음성 인식 트리거 데이터를 수신(S610)하면, 음성 인식 기능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인식 상태(620)에서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620).
상기 제어부(220)는 인식 상태(620)에서 음성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을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분석할 수 있다. 기설정된 알고리즘은 종래 알려진 음성 인식 알고리즘으로, 그 자세한 내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와 관련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220)는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을 한 개만 검출할 수도 있고, 복수로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음성에 대응되는 복수로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이복수로 검출된 경우, 복수의 기능 중 제1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642).
상기 제1 기능은 기본 기능으로 설정된 기능, 또는 우선순위가 높은 기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본 기능은 하나의 음성에 복수의 기능이 대응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기능 중 가장 처음에 실행될 기능으로 설정된 기능이다. 상기 우선순위는 알파벳 순서, 실행 빈도, 사용 패턴, 음원 차트 순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노래 재생 기능이 검출되는 경우, 각 노래의 재생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소녀시대"라는 음성의 분석 결과, "소녀시대"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가수 소녀시대 음악 재생 기능"과 "노래 제목 소녀시대 음악 재생 기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20)는 제1 기능으로 설정된 "가수 소녀시대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이 복수로 검출된 경우, 제1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기능이 실행되지 않고, 유저가 음성을 재입력하도록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복수의 음원이 검출되었습니다, 정확하게 알려 주십시오."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이 한 개만 검출된 경우, 상기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을 곧바로 실행할 수 있다(S641).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1번 노래 틀어줘"라는 음성을 분석하고, 1번 노래로 저장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인식 상태(620)에서 음성 명령에 근거하여, 특정 동작이 수행되면,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상태를 다시 대기 상태(610)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220)는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모든 음성을 분석하지 않고, 음성 인식이 필요한 음성만을 선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모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저는 음성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매번 특정 단어에 해당하는 음성을 발화한 후,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음성을 발화해야 한다. 즉, 유저는 제1 음성의 발화 후, 상기 제1 음성과 연관된 제2 음성을 발화하는 경우, 특정 단어를 발화 후, 제2 음성을 발화해야 한다. 이에, 유저는 관련된 음성을 여러 번 입력할 때에도 각 음성마다 매번 특정 단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제1 음성과 연관된 제2 음성의 발화가 필요한 경우, 특정 단어를 발화하지 않고도, 제2 음성을 발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인공 지능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탑재되고 실행 또는 실행 가능한 상태를 가정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먼저, 호출 명령을 대기하며(S710), 호출 명령어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720). 여기서, 호출 명령이라 함은 예컨대, 트리거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S720 단계 판단 결과, 호출 명령어가 수신되었으면 커맨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일반 명령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S730).
상기 S730 단계와 같이, 커맨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일반 명령 대기 상태로 전환 이후, 발화된 명령 즉, 커맨드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처리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S740).
그리고 상기 결과 데이터로부터 응답을 생성하고 재생한다(S7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 상태에서 트리거 데이터가 수신되면(S802), 커맨드 데이터 수신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트리거 데이터를 발화한 발화자 즉, 유저의 위치를 디텍팅한다(S804).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유저 위치가 디텍팅되면, 상기 디텍딩된 유저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한 범위 내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존재 여부를 디텍팅한다(S806).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존재 여부 디텍팅의 기준이 되는 유저 위치는 경우에 따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로 변경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존재 여부 디텍팅의 기준이 유저가 아니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 함은, 전술한 도 4의 디지털 TV와 도 5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가 채용된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한편, 상기에서 S806 단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텍팅 결과, 만약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의 기준은 예컨대, 유저(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상으로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현재 디스플레이 상태가 대기 상태 또는 전원이 온되어 있는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즉, 대기 상태나 디스플레이 전원이 온 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복수 개이면, 상기 유저(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상으로 더 가까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상기에서 반드시 유저(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현재 위치만이 아니라 상기 유저의 방향성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유저가 12시 방향으로 쳐다보고 있거나 해당 방향으로 이동 중인데,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로 6시 방향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선택되었다면, 유저는 고개를 돌리거나 회전 또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야만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으므로, 이는 상기 유저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은 상기 위치를 대체하는 독자 기준이 될 수도 있고, 위치와 함께 조합되어 하나의 기준이 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출원인의 설명의 편의상 디텍팅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만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상기 S806 단계에서 디텍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모두 동등한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으나, 편의상 전술한 기준들을 참고하여 우선순위를 두어 후술하는 제어를 함으로써 유저의 편의를 기할 수 있고, 선택된 특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관계에서 오류, 네트워크 문제 등 다양한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기 S806 단계에서 유저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텍팅되고 선택되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S808).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라 함은 예컨대, 전원 오프 상태, 대기 상태(Stand-by) 또는 전원 온 상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가 전원 온 상태인지 판단하여(S810),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가 전원 온 상태가 아니면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대기 모드 유지 또는 대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한다(S812). 여기서, 만약 상기 S81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가 전원 온 상태는 아니나 이미 대기 상태라면, 본 S812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텍팅, 선택,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 제어 등의 의미는, 상세하게 설명하진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스마트 컨트롤러(110)와의 상호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등을 위해 필요한 동작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요한 동작으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와이파이 인터페이스 등의 초기화, 전원 턴-온, 인증, 등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이 대기 상태로 전환되었으면, 상기 S802 단계 이후에 수신된 실제 음성 명령 신호 즉, 커맨드 데이터를 분석한다. 상기 커맨드 데이터 분석 결과, 만약 상기 커맨드 데이터가 응답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을 요구하는 신호인지 판단한다(S814). 다시 말해, 상기 커맨드 데이터에 따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서 응답 신호 또는 타 디바이스 제어를 통해 그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가 오디오 포맷이 아닌 이미지, 텍스트 등의 포맷으로 출력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814 단계 판단 결과, 응답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를 통한 출력 포맷으로 판단되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대기 상태에서 다시 디스플레이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 턴-온을 위한 컨트롤 커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816).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S816 단계와 함께 또는 그 이후에 실제 상기 턴-온 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응답 데이터와 상기 응답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 커맨드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818).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응답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S822). 한편, 상기 응답 데이터의 출력과 관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이미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다른 데이터나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자체적으로 기실행 중인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을 중단(중지 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전환)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전체 화면, 팝-업 윈도우, 화면 분할,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오버레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응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시 상기 응답 데이터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상기 응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출력에 관한 가이드 데이터(디스플레이 시작, 디스플레이 종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식별 등에 관한)는, 상기 응답 데이터와는 다른 출력 포맷 예컨대, 오디오 출력 포맷으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S810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이 이미 턴-온 상태인 경우에는, 전술한 S814 단계와 같이, 상기 트리거 데이터 수신 이후에 수신된 커맨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응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한 출력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S818), 그럴 경우에는 S820 단계와 같이, 상기 응답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한다. 다만, 상기 S814 또는 S818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출력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다시 말해, 응답 데이터를 단지 오디오 출력 포맷으로 출력하여도 충분한 경우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오디오 출력 장치(신호 출력부)를 통해 응답 데이터를 오디오 포맷으로 출력하고(S824), 상기 S812 단계에서 수행된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대기 모드 전환을 해제한다(S826). 다만, 상기 경우에도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오디오 출력 장치가 아니라 기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기 모드 전환 해제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턴-온 또는 현재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제어 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예시이다.
도 9a와 9b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복수 개 존재하는 상황이고, 도 9c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한 개만 존재하는 상황이다.
먼저, 도 9a를 참조하면, 유저가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를 통해 소정 애플리케이션을 시청 중에,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 트리거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는 예컨대,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또는 유저를 기준으로 미리 정한 거리 범위 밖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유저로부터 트리거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가 미리 정한 범위 밖으로 판단되면, 상기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를 디텍팅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이렇게 디텍팅된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가 오프이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1 컨트롤 커맨드를 먼저 전송한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컨트롤 커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오프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그 상태를 유지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거 데이터 이후에 수신된 커맨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커맨드 데이터의 응답으로 오디오 포맷의 출력이 아닌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출력 포맷인지 즉, 응답 출력의 포맷을 판단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응답 출력 포맷이 오디오 포맷이 아니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2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전원 온 상태로 변경 제어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이 턴-온 이후에,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커맨드 데이터의 대응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커맨드 데이터의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가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를 통해 출력되면, 상기 커맨드 데이터에 따른 응답은 종료되었으므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추가 제어할 수도 있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예컨대, 상기 응답 데이터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를 통해 출력 또는 재생 종료가 되면,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유저의 추가 커맨드 데이터(또는 트리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20)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이전 상태 즉, 대기 상태 또는 바로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다시 소정 시간 내에 추가 음성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하기 위한 추가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9a와 9b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은, 기본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는 이미 소정 애플리케이션이 출력 중인 관계로 화면 가림을 최소화하거나 함께 시청하는 다른 유저의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또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가 전술한 미리 정한 범위 내라고 하더라도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가깝거나 유저의 시선 방향 또는 이동 방향을 고려할 때 응답 데이터의 디스플레이에 더 적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 있다.
도 9c는, 전술한 도 9a 및 9b와는 달리, 기시청 중인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없고, 범위 내에 싱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30)만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데이터 처리이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트리거 데이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30)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30)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에 따라 대기 모드 전환 제어 및 실제 음성 명령 분석 결과에 따른 데이터 디스플레이 제어를 한다.
한편, 도 9a 내지 9c에서 예컨대,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유저(발화자)를 기준으로 미리 정한 범위(예를 들어, 제1 범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텍트되지 않으면, 설정에 따라 추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동작이라 함은 예컨대, 상기 제1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텍트될 때까지 디텍팅 동작을 일정 횟수 또는 계속하여 반복하거나 상기 제1 범위를 제2 범위 또는 제3 범위까지 확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텍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은, 해당 범위 내에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텍트되었다고 하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에 대한 대기 모드 또는 턴-온 변경 제어에도 불구하고 반응하지 않거나 그를 실행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미리 정한 범위 내 또는 확장된 범위 내에서도 유효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텍트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록 응답 데이터의 포맷으로 결정된 출력 포맷이 오디오 출력 포맷이 아닌 경우라고 하더라도, 임의로 상기 출력 포맷을 오디오 출력 포맷으로 변경 내지 변환하여 이를 직접 출력 또는 타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만약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가 자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경우에는 그를 통한 출력도 가능하다. 이 경우, 미리 가이드 데이터를 발화자에게 제공하면 족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특히, 주변 장치로 트리거 데이터와 커맨드 데이터의 대응 응답 데이터 즉, 피드백 전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호출 명령 대기 상태(S1002)에서 소정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신호는 발화자의 음성, 발화자에 의해 전송된 텍스트, 발화자의 모션 등 다양한 형태로 수신될 수 있으나, 편의상 음성 포맷으로 수신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신호가 트리거 데이터 또는 상기 트리거 데이터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S1004).
상기 입력 신호가 트리거 데이터이거나 포함되었으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커맨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일반 명령 대기 상태로 전환(S1012)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동작(1010)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1010)이라 함은 먼저, 상기 소정 신호를 발화자 즉, 유저의 위치를 디텍팅하고(S1006), 상기 디텍팅된 유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TV, 이동 단말기, 태블릿, 냉장고 등과 같은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한다(S1008).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S1008 단계 이후에 상기 디텍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S1010).
S1010 단계 이후에,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트리거 데이터 이후에 입력된 유저의 커맨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응답의 출력 포맷을 판단한다. 이렇게 판단 결과 상기 유저의 커맨드 데이터의 대응 출력 포맷이 오디오 출력 포맷이 아닌 즉,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야 하는지 판단한다(S1020).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S1020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커맨드 데이터 대응 응답 데이터의 출력 포맷이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오디오 출력 포맷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동작(1010) 즉,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턴-오프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하여 피드백하고, 상기 응답 데이터를 오디오 포맷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오디오 포맷 출력은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서 직접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동작(1010)과 유사한 방식으로 선택된 외부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 중에 유저를 기준으로 미리 정한 범위 내에 위치한 오디오 출력 장치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오디오 출력 장치의 오디오 출력 가능 상태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대기 모드나 턴-온 이후에 응답 데이터를 출력 또는 다시 턴-오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S1020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커맨드 데이터 대응 응답 데이터의 출력 포맷이 오디오 출력 포맷이 아닌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야 하는 포맷인 경우에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동작(1010)에 따라 선택된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을 턴-온 한 후에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한다(S1024).
그 밖에, 상기 S1012 단계의 경우에는, 일반 명령 대기 상태에서 커맨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명령 결과 즉,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S1014).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생성된 응답 데이터를 유저의 명령 발화(즉, 커맨드 데이터 전송)에 따라 피드백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를 이용 필요를 판단한다(S1016). 상기 판단 결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피드백 시에 디스플레이 이용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S1024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이때,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미리 본 발명에 따른 동작(1010)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이때 상기 S1006 내지 S1010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S1016 단계 판단 결과, 상기 피드백 시에 디스플레이 이용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생성된 응답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 형태로 출력한다(S1018).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앨리스, 오늘 수목 드라마 뭐하지"라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 결과, 만약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의 출력 포맷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포맷으로 판단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신사임당이 SBC에서 9시 50분에 시작합니다."라고 피드백/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1이 오디오 입력에 따른 오디오 출력 포맷에 대한 것이라면, 도 12 내지 14는 유저의 입력 신호에 따라 피드백 데이터 즉, 응답 데이터의 출력 포맷이 오디오 출력 포맷이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포맷인 경우에 대한 실시 예 내지 사용 시나리오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도 12에서는 디지털 TV, 도 13에서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 그리고 도 14에서는 태블릿 PC를 예시하였다.
도 12a를 참조하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앨리스, 오늘 TV 편성표 좀 보여줘."라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유저로부터 수신한 신호 중 음성 트리거 데이터(앨리스)에 기초하여 먼저, 상기 유저의 위치를 디텍팅하고, 디텍팅된 유저의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디텍팅된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이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디텍팅 과정들 및 컨트롤 커맨드 전송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트리거 데이터 이후 또는 함께 수신된 입력 신호 즉, 커맨드 데이터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용 여부(즉, 응답 데이터의 출력 포맷)를 판단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을 턴-오프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디텍팅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모두에 턴-오프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턴-오프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소모 전력 절감을 위한 것이다.
반대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도 12b와 같이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의 화면상에 TV 편성표(1220)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TV 편성표 데이터를 만약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저장 내지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지 디스플레이를 위한 컨트롤 커맨드만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직접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를 통해 상기 TV 편성표 데이터를 외부 서버 등을 통해 수신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2b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를 통해 TV 편성표가 응답 데이터로 출력되는 경우에도 관련 오디오 데이터("이 시간 이후의 편성표입니다.")(가이드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 형태로도 직접 또는 간접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유저의 경우, 그 시선 방향 등에 따라 어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지 알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상기 관련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 상에서 TV 편성표가 출력되기 이전에 먼저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10)를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은 도 12와 달리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냉장고를 이용하는 사용 시나리오이다. 이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발화자의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선택할 때, 단지 유저의 위치, 방향 등뿐만 아니라 실제 명령 데이터의 분석 결과 그 속성 또는 응답 데이터의 속성 등을 참고할 수도 있다.
도 13a에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유저로부터 "앨리스, 닭볶음탕 만드는 방법 알려줘."라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앨리스라는 트리거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응답 데이터(닭볶음탕 Recipi - 준비물, 조리법/조리 과정 등)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응답 데이터에는 텍스트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다양한 데이터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응답 데이터 출력과 관련하여, 응답 데이터 출력을 식별 가능하도록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등을 통해서 오디오 출력 데이터(냉장고에 출력 중입니다)(가이드 데이터)도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트리거 데이터는 단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트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 제어를 위한 시발점으로만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통상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트리거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에만, 이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 대한 유효한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유저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에 어떤 명령을 하달하거나 요청할 때, 트리거 데이터와 실제 명령(커맨드 데이터)을 구분하여 하기보다는 동시, 짧은 시간 내 또는 이어서 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경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유저로부터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트리거 데이터가 포함되었으면, 유효한 유저의 입력으로 판단하고 유저의 위치를 디텍트하고, 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선택함에 있어서, 미리 상기 입력 신호에 포함된 커맨드 데이터에 대한 분석 데이터에 기초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13과 같이, 트리거 데이터 이후에 커맨드 데이터가 예를 들어, 음식에 대한 것으로 그 속성 내지 타입을 간단히 분석하여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디텍트할 때의 오류 방지나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유저의 의도가 음식에 대한 것이라면, TV를 통해 해당 데이터를 시청하기보다는 부엌과 같이, 음식과 관련된 장소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술한 미리 정한 범위를 변경하거나 확장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그 기준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유저로부터 "앨리스, 기분 전환되는 I.O.I 뮤비 보여줘."라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기준에 따라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태블릿 PC(1410))를 선택하고, 그를 통해 뮤직 비디오 데이터를 응답 데이터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태블릿 PC(1410)는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의 제어에 따라 응답 데이터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즉, 뮤직 플레이어(1420)를 실행하고, 실행된 뮤직 플레이어를 통해 응답 데이터(1430)(가사도 포함 가능)를 출력한다.
도 14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선택 기준과 함께 또는 별도로 디텍트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뿐만 아니라 리소스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저의 입력 신호 또는/및 응답 신호의 포맷이 특정 포맷인 경우에는, 비록 가장 가까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고 하더라도 상기 신호나 데이터를 재생할 수 없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라면 선택의 의미가 없다. 따라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디텍트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인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텍트 시에 미리 리소스에 대한 데이터를 참고하여 디텍트하거나 선택 시에 이를 참조할 수 있다. 그 밖에, 유사한 상태 내지 리소스를 보유한 경우에는 전술한, 거리, 방향, 속성 등뿐만 아니라 유저에 대해 학습된 패턴이나 해당 데이터의 해상도 등을 더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특히, 영상 정보의 전달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 초기 전원 온 시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본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호출 명령 대기 상태(S1502)에서 소정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신호는 음성, 텍스트, 모션 등 다양할 수 있으나, 편의상 음성 신호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신호가 트리거 데이터 여부 또는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S1504).
상기 입력 신호가 트리거 데이터이거나 포함되었으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1510)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1510)이라 함은 먼저, 상기 소정 신호를 발화자 즉, 유저의 위치를 디텍팅하고, 상기 디텍팅된 유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TV, 이동 단말기, 태블릿, 냉장고 등과 같은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즉,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확인한다(S1506).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S1506 단계 이후에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상 정보를 확인한다(S1510).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일반 명령 대기 상태(S1510)에서 커맨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명령 결과 즉,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S1512).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생성된 응답 데이터를 유저의 명령 발화에 따라 피드백하는 경우에 먼저 영상 정보가 공유될 위치 또는/및 디스플레이 유무를 판단한다(S1514). 상기 판단 결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피드백 시에 공유 위치 또는/및 디스플레이 유무가 있으면, 그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S1518). 그리고 상기 S1518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전원을 대기 상태로 전환 제어(S1520), 그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공유한다(S1522).
상기에서 만약 영상 정보를 공유할 위치 또는/및 디스플레이가 없는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형태 등으로 응답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S1516).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영상 정보가 포함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유저로부터 "앨리스, TV 영상을 태블릿으로 보내줘."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TV(1610)과 태블릿(1630)을 모두 디텍트한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트된 TV(1610)의 화면(1620) 상에 출력 중인 영상이 디텍트된 태블릿 PC(1630)로 전송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상기 TV(1610)로 전송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태블릿 PC(1630)로도 영상 수신 및 재생 제어를 위한 컨트롤 커맨드가 별도 전송될 수 있다. 태블릿 PC(1630)는 상기 TV(1610)로부터 화면 영상(1620)이 수신되면, 그에 따라 적절한 애플리케이션(비디오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640)을 실행 제어하고, 실행된 비디오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640)을 통해 상기 TV 영상(1620)을 재생(1650)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데이터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전술한 도 15 내지 16과 달리 영상 정보를 타디바이스로부터 가져오는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호출 명령 대기 상태(S1702)에서 소정 신호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신호는 음성, 텍스트, 모션 등 다양할 수 있으나, 편의상 음성 신호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신호가 트리거 데이터 여부 또는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S1704).
상기 입력 신호가 트리거 데이터이거나 포함되었으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1710)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1710)이라 함은 먼저, 상기 소정 신호를 발화자 즉, 유저의 위치를 디텍팅하고, 상기 디텍팅된 유저의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한 TV, 이동 단말기, 태블릿, 냉장고 등과 같은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즉,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확인한다(S1706).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S1706 단계 이후에 상기 확인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상 정보를 확인한다(S1710).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일반 명령 대기 상태(S1710)에서 커맨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명령 결과 즉,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S1712).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생성된 응답 데이터를 유저의 명령 발화에 따라 피드백하는 경우에 먼저 영상 정보를 가져올 인접 위치 또는/및 디스플레이 유무를 판단한다(S1714). 상기 판단 결과,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상기 피드백 시에 영상 정보를 가져올 인접 위치 또는/및 디스플레이 유무가 있으면, 그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S1716). 그리고 상기 S1716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전원을 대기 상태로 전환 제어(S1718), 그리고 영상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공유한다(S1720).
상기에서 만약 영상 정보를 공유할 위치 또는/및 디스플레이가 없는 경우에는 오디오 출력 포맷 등으로 응답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S1714).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영상 정보가 포함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유저로부터 "앨리스, 태블릿 PC 영상을 TV로 보내줘."라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태블릿 PC(1810)와 TV(1840)을 모두 디텍트한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트된 태블릿 PC(1810)의 화면(1820) 상에 출력 중인 이미지(웹 브라우저 상의)(1830)를 디텍트된 TV(1840)로 전송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상기 태블릿 PC(1810)로 전송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TV(1840)로도 영상 수신 및 재생 제어를 위한 컨트롤 커맨드가 별도 전송될 수 있다. TV(1840)는 상기 태블릿 PC(1810)로부터 웹 브라우저의 이미지(1830)가 수신되면, 그에 따라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1840)의 재생을 제어(1650)한다. 한편, 이때, TV(1840)에서 만약 기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1830)는 TV의 화면 전체,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분할 등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스피커(110)는 음성 트리거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유저의 이동 여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유저의 움직임이 디텍트되지 않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하나, 만약 유저의 움직임이 예측되면 상기 유저의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그에 따라 인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하고 선택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개수를 결정 등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저의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라 함은, 유저의 움직임 속력, 움직임 방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움직임 속력과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복수 개 선택하고, 모두 대기 상태 및 턴-온 이후에 마치 슬라이드와 같은 형태로 상기 유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응답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110)는, 트리거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때 아이-트랙킹 센서 등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방향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유저의 시선 방향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입력 신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입력 신호를 인공 지능에 기초하여 분석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입력 신호로 음성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 신호가 오디오가 아닌 경우에도 이를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인접한 다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발화자(유저)의 상황 등 이벤트에 기초하여 적응적인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발화자의 의도에 부합하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210: 신호 수신부 220: 제어부
222: 분석부 224: AI 처리부
230: 신호 처리부 240: 메모리
250: 신호 출력부

Claims (20)

  1. 발화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트리거 데이터와 제 1 커맨드 데이터가 포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트리거 데이터 수신에 따라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및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제 1 상태로 변경 제어하고, 상기 제 1 커맨드 데이터의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1 상태로 전환 제어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트리거 데이터로부터 상기 발화자의 제 1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커맨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발화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제 2 커맨드 데이터가,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
    상기 제 2 커맨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2 커맨드 데이터 발화자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 2 위치 데이터가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및 선택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영상 정보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 3 커맨드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선택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영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 내 트리거 데이터와 제1 커맨드 데이터를 구분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제1 커맨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발화자의 위치 데이터 또는 상기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텍팅 결과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텍팅되면, 상기 발화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상기 응답 데이터를 출력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 데이터의 속성, 상기 제1 커맨드 데이터의 속성, 상기 응답 데이터의 속성, 상기 트리거 데이터 발화자의 위치, 상기 트리거 데이터 발화자의 시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속성 내지 리소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사이즈,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현재 전원 상태 중 하나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텍팅 및 선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현재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변경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현재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가 전원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전원 오프에서 대기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1 컨트롤 커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커맨드 데이터 분석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응답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가 제1 상태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이 요구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2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컨트롤 커맨드와 함께 또는 별도의 신호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커맨드 데이터 분석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응답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가 제1 상태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 이전 상태로 다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제3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텍팅 결과 제1 범위 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텍팅되지 않으면, 제2 범위로 범위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다시 디텍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 데이터와 함께 제1 커맨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고 미리 정한 시간 내에 상기 제1 커맨드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제1 상태로의 변경을 해제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커맨드 데이터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커맨드 데이터 발화자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발화자의 위치 데이터가 이전 획득 위치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한 범위 내이면, 상기 기선택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커맨드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내 트리거 데이터와 커맨드 데이터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커맨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인공지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데이터의 응답 데이터가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제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과 동시 또는 그 직전에 상기 응답 데이터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가이드 데이터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20. 발화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트리거 데이터와 제 1 커맨드 데이터를 포함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데이터에 따라 발화자의 제 1 위치를 디텍팅하는 단계;
    상기 디텍팅된 발화자의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하는 단계;
    상기 디텍팅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 전원 상태를 대기 상태로 전환하도록 컨트롤 커맨드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커맨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커맨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전원 온 상태로 전환을 위한 컨트롤 커맨드와 상기 생성된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 온 된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응답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데이터로부터 상기 발화자의 제 1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커맨드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이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발화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제 2 커맨드 데이터가,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면,상기 제 2 커맨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2 커맨드 데이터 발화자의 제 2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 데이터가 상기 제 1 위치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디텍팅 및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영상 정보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 3 커맨드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영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0039299A 2017-03-28 2017-03-28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5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299A KR101925034B1 (ko) 2017-03-28 2017-03-28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5/815,491 US10489111B2 (en) 2017-03-28 2017-11-16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20181101.5A EP3739818B1 (en) 2017-03-28 2017-12-07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EP17205847.1A EP3382949B1 (en) 2017-03-28 2017-12-07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201810048141.9A CN108668153B (zh) 2017-03-28 2018-01-18 智能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US16/663,820 US11385861B2 (en) 2017-03-28 2019-10-25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6/663,803 US11372619B2 (en) 2017-03-28 2019-10-25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299A KR101925034B1 (ko) 2017-03-28 2017-03-28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496A KR20180109496A (ko) 2018-10-08
KR101925034B1 true KR101925034B1 (ko) 2018-12-04

Family

ID=6081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299A KR101925034B1 (ko) 2017-03-28 2017-03-28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489111B2 (ko)
EP (2) EP3739818B1 (ko)
KR (1) KR101925034B1 (ko)
CN (1) CN10866815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834A (ko) *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20210033289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US11900929B2 (en) 2019-12-02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voice-based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978458B2 (en) 2019-07-15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peech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46437A (ja) * 2016-02-17 2017-08-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音声入力処理装置
JP6995770B2 (ja) * 2016-06-15 2022-01-17 アイロボ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自律移動ロボット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783883B2 (en) * 2016-11-03 2020-09-22 Google Llc Focus session at a voice interface device
KR101925034B1 (ko) 2017-03-2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401890B1 (en) * 2017-05-11 2020-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thereof
US10599377B2 (en) 2017-07-11 2020-03-24 Roku, Inc. Controlling visual indicators in an audio responsive electronic device, and capturing and providing audio using an API, by native and non-native computing devices and services
KR102389041B1 (ko) * 2017-08-11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머신 러닝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US11062710B2 (en) * 2017-08-28 2021-07-13 Roku, Inc. Local and cloud speech recognition
US11062702B2 (en) 2017-08-28 2021-07-13 Roku, Inc. Media system with multiple digital assistants
US10777197B2 (en) 2017-08-28 2020-09-15 Roku, Inc. Audio responsive device with play/stop and tell me something buttons
EP3679773B1 (en) * 2017-09-06 2023-08-30 Vertiv Corporation Cooling unit energy optimization via smart supply air temperature setpoint control
JP6862582B2 (ja) * 2017-10-03 2021-04-21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Google LLC レイテンシを考慮したディスプレイモード依存応答生成
US10971173B2 (en) * 2017-12-08 2021-04-06 Google Llc Signal processing coordination among digital voice assistant computing devices
EP4191412A1 (en) 2017-12-08 2023-06-07 Google LLC Signal processing coordination among digital voice assistant computing devices
US11599927B1 (en) * 2018-01-17 2023-03-07 Amazon Technologie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using deep neural networks for pairwise character-level text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US11145298B2 (en) 2018-02-13 2021-10-12 Roku, Inc. Trigger word detection with multiple digital assistants
US10540015B2 (en) * 2018-03-26 2020-01-21 Chian Chiu Li Present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a task based on gaze and voice detection
WO2019216874A1 (en) * 2018-05-07 2019-11-14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e graphical assistant interfaces for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WO2019216964A1 (en) 2018-05-07 2019-11-14 Google Llc Providing composite graphical assistant interfaces for controlling various connected devices
KR102025566B1 (ko) * 2018-07-27 2019-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홈어플라이언스 및 음성 인식 서버 시스템과, 이의 제어 방법
KR20230145521A (ko) * 2018-08-23 2023-10-17 구글 엘엘씨 멀티-어시스턴트 환경의 특성에 따른 어시스턴트 응답성 규정하기
US10978062B1 (en) * 2018-09-27 2021-04-13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controlled device switching between modes based on speech input
CN109412908B (zh) * 2018-10-19 2020-1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显示可控制设备的方法和设备
US20200135191A1 (en) * 2018-10-30 2020-04-30 Bby Solutions, Inc. Digital Voice Butler
KR20200049020A (ko) * 2018-10-31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12931B1 (ko) * 2018-11-15 2020-05-19 김철회 Tv 제어 시스템
CN109788360A (zh) 2018-12-12 2019-05-2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基于语音的电视控制方法和装置
US10817246B2 (en) * 2018-12-28 2020-10-27 Baidu Usa Llc Deactivating a display of a smart display device based on a sound-based mechanism
JPWO2020145071A1 (ja) * 2019-01-07 2021-11-1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9816830B (zh) * 2019-01-31 2021-07-30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及装置
EP3933828A1 (en) * 2019-02-25 2022-01-05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003419B2 (en) * 2019-03-19 2021-05-11 Spotify Ab Refinement of voice query interpretation
US11593725B2 (en) 2019-04-16 2023-02-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aze-based workflow adaptation
US10847159B1 (en) 2019-05-01 2020-11-24 Chian Chiu Li Present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a task based on gaze, gesture, and voice detection
WO2020222539A1 (en) 2019-05-02 2020-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b device, multi-device system including the hub device and plurality of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10116671A (ko) * 2019-05-24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US11735187B2 (en) * 2019-05-29 2023-08-22 Apple Inc. Hybrid routing for hands-free voice assistan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WO2020241923A1 (ko) * 2019-05-29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환경에서의 음성 인식 모델의 성능을 예측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WO2020256184A1 (ko) * 2019-06-20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5234A (ko) 2019-08-01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음성 명령에 따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KR20210015428A (ko) * 2019-08-02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568239B2 (en) * 2019-08-13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user
CN110704004B (zh) * 2019-08-26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的分屏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10025812A (ko) * 2019-08-28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321961A1 (en) * 2019-09-19 2022-10-06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unction-mounted display device
CN110557681A (zh) * 2019-09-27 2019-12-10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多媒体信息播放控制方法及装置、多媒体播放系统
CN110908504B (zh) * 2019-10-10 2021-03-23 浙江大学 一种增强现实博物馆协作交互方法与系统
CN112786032A (zh) * 2019-11-01 2021-05-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内容控制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2220981B1 (ko) * 2019-11-29 2021-02-26 주식회사 신흥정밀 무선 포스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145741B (zh) * 2019-12-17 2022-12-27 中移(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多媒体内容的提供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050200A (zh) * 2019-12-30 2020-04-2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机及其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11314442B (zh) * 2020-01-21 2023-07-18 维达力实业(深圳)有限公司 基于分时控制的终端控制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设备
CN111312249A (zh) * 2020-02-21 2020-06-19 珠海荣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10146737A (ko) * 2020-05-27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60873B1 (ko) * 2020-06-22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1580408A (zh) * 2020-06-29 2020-08-2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电系统和控制方法
KR20220005348A (ko) 2020-07-06 2022-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공지능 가상 비서 서비스에서의 화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서버
CN111679617A (zh) * 2020-07-09 2020-09-18 上海长江唯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班牌监控管理的方法及系统
US11292489B2 (en) * 2020-07-29 2022-04-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aggregation and event management in a vehicle
CN112217695A (zh) * 2020-08-28 2021-01-12 星络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第一控制器、计算机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66063B1 (en) * 2020-12-08 2021-11-02 Rovi Guides, Inc. Enhanced set-top box control
CN115033091B (zh) * 2021-03-03 2023-08-11 上海艾为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手持移动设备功耗的方法及装置
US20230017308A1 (en) * 2021-07-14 2023-0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healthcare assistant
US20240015045A1 (en) * 2022-07-07 2024-01-11 Paulmicheal Lee King Touch screen controlled smart appliance and communication network
CN117762532A (zh) * 2022-09-19 2024-03-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振动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030812B (zh) * 2023-03-29 2023-06-16 广东海新智能厨房股份有限公司 用于燃气灶的智能互联语音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6564280B (zh) * 2023-07-05 2023-09-08 深圳市彤兴电子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的显示器控制方法、装置以及计算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128A (ja) * 2003-09-25 2005-05-12 Fuji Photo Film Co Ltd 音声認識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4017735A (ja) * 2012-07-10 2014-01-30 Toshiba Corp 情報処理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2467A (en) * 1995-09-28 1998-09-01 Innovative Intelcom Industries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s, command, control and sensing system for sound and/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19990040251A (ko) 1997-11-17 1999-06-05 윤종용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AU2006233359B2 (en) * 2005-02-28 2012-04-05 22Nd Century Limited, Llc Reducing levels of nicotinic alkaloids in plants
KR100664935B1 (ko) 2005-03-1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방법
JP2007267270A (ja) * 2006-03-29 2007-10-11 Kenwood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79135A (ja) * 2006-09-22 2008-04-03 Toshiba Corp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20080091432A1 (en) * 2006-10-17 2008-04-17 Donald Dalto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ontrol of electrically powered devices
JP4728982B2 (ja) * 2007-03-05 2011-07-20 株式会社東芝 利用者と対話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64948B1 (ko) 2008-12-10 2011-09-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지능형 로봇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TW201038077A (en) * 2009-04-13 2010-10-16 Avermedia Tech Inc Remote wake-up method, host to be awakened remotely, and wake-up management server
US20130073293A1 (en) * 2011-09-20 2013-03-2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452602B1 (en) * 2011-09-30 2013-05-28 Google Inc. Structuring verbal commands to allow concatenation in a voice interface in a mobile device
KR102003267B1 (ko) * 2011-12-30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88449A (ko) * 2013-01-02 2014-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842489B2 (en) * 2013-02-14 2017-12-12 Google Llc Waking other devices for additional data
US9698999B2 (en) * 2013-12-02 2017-07-04 Amazon Technologies, Inc. Natural language control of secondary device
KR102209519B1 (ko) * 2014-01-27 2021-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KR20150089168A (ko) 2014-01-27 2015-08-05 최재용 인공지능을 활용한 언어분석 방법 및 시스템
CN106030459B (zh) * 2014-02-24 2018-11-23 三菱电机株式会社 多模态信息处理装置
US10031721B2 (en) * 2014-05-15 2018-07-24 Tyco Safety Products Canada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commands in a voice interactive system
WO2015182976A1 (en) * 2014-05-28 2015-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ultimedia output method using the same
KR102147346B1 (ko) 2014-06-23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338493B2 (en) *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10204622B2 (en) * 2015-09-10 2019-02-12 Crestron Electronics, Inc. Acoustic sensory network
US9548053B1 (en) * 2014-09-19 2017-01-17 Amazon Technologies, Inc. Audible command filtering
KR20160055446A (ko) * 2014-11-10 2016-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811312B2 (en) * 2014-12-22 2017-11-07 Intel Corporation Connected device voice command support
US20160225372A1 (en) * 2015-02-03 2016-08-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mart home connected device contextual learning using audio commands
US9484021B1 (en) 2015-03-30 2016-11-01 Amazon Technologies, Inc. Disambiguation in speech recognition
US20170032783A1 (en) * 2015-04-01 2017-02-02 Elwha Llc Hierarchical Networked Command Recognition
JP6739907B2 (ja) * 2015-06-18 2020-08-1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機器特定方法、機器特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048936B2 (en) * 2015-08-31 2018-08-14 Roku, Inc. Audio command interface for a multimedia device
US9875081B2 (en) * 2015-09-21 2018-01-23 Amazon Technologies, Inc. Device selection for providing a response
US9749583B1 (en) * 2016-03-31 2017-08-29 Amazon Technologies, Inc. Location based device grouping with voice control
US10056078B1 (en) * 2016-06-28 2018-08-21 Amazon Technology, Inc. Output of content based on speech-based searching and browsing requests
US10210863B2 (en) * 2016-11-02 2019-02-19 Roku, Inc. Reception of audio commands
KR20180085931A (ko) * 2017-01-20 2018-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925034B1 (ko) 2017-03-2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2128A (ja) * 2003-09-25 2005-05-12 Fuji Photo Film Co Ltd 音声認識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4017735A (ja) * 2012-07-10 2014-01-30 Toshiba Corp 情報処理端末及び情報処理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8458B2 (en) 2019-07-15 202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peech thereof
KR20210032834A (ko) *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102356229B1 (ko) * 2019-09-17 2022-01-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20210033289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KR102370161B1 (ko) * 2019-09-18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oT 연동 서비스를 위한 IoT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위한 IoT 서버
US11900929B2 (en) 2019-12-02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voice-based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9818A1 (en) 2020-11-18
US20180285065A1 (en) 2018-10-04
EP3382949B1 (en) 2020-07-22
US20200057607A1 (en) 2020-02-20
US11385861B2 (en) 2022-07-12
EP3382949A1 (en) 2018-10-03
CN108668153A (zh) 2018-10-16
US11372619B2 (en) 2022-06-28
US10489111B2 (en) 2019-11-26
US20200057606A1 (en) 2020-02-20
CN108668153B (zh) 2022-03-29
KR20180109496A (ko) 2018-10-08
EP3739818B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034B1 (ko)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7259B1 (ko)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디지털 디바이스 및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
US10057317B2 (en) Sink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46556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4356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34103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92407A (ko) 메인 스피커, 서브 스피커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KR20180036169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84059A (ko)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6760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20160088652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3537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무선연결 설정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6003538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38788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958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42159A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68664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31976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90103A (ko)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87323A (ko)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5966A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2518A (ko) 카메라를 이용한 색상 변형 방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20160084060A (ko)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