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251A -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251A
KR19990040251A KR1019970060578A KR19970060578A KR19990040251A KR 19990040251 A KR19990040251 A KR 19990040251A KR 1019970060578 A KR1019970060578 A KR 1019970060578A KR 19970060578 A KR19970060578 A KR 19970060578A KR 19990040251 A KR19990040251 A KR 19990040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power
contro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0251A/ko
Publication of KR1999004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251A/ko

Links

Landscapes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개시된 전원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전원의 온/오프, 플레이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각종 전자제품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장치는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와, 음성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이전에 기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음성인식부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메모리에 기록된 음성신호가 서로 일치하는가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기기의 동작을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기기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부와,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음성인식부가 동작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순간 음성인식부, 제어부 및 동작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대기모드 상태에서는 음성인식부에만 최소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크게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본 발명은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전원의 온/오프, 플레이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각종 전자제품에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 때까지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오디오기기 등의 각종 전자제품을 동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제품에 구비된, 또는 원격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해당 기능의 키를 입력시켜야 하였다.
또한, 수동조작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사전에 입력시킨 후 제품 사용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과 이전에 입력된 음성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전원의 온/오프, 플레이, 녹음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동작하는 종래의 음성인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인식부(1)는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제어부(2)는 음성인식부(1)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이전에 기록된 음성신호가 서로 일치하는가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기기의 어느 동작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3)는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기록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비교할 수 있도록 기록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부(4)는 제어부(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동작제어부(5)를 스위칭한다.
동작제어부(5)는 스위칭부(4)를 통한 제어부(2)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기기의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성인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음성이 언제 입력될지 모르기 때문에 항시 동작전원(+5V)을 기기의 각 부분에 모두 공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 인식부(1)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2)에서는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이전에 메모리(3)에 기록된 음성신호가 서로 일치하는가를 비교하게 된다.
이처럼 음성신호를 비교한 결과 입력된 음성신호가 메모리(3)에 기록된 음성신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에서는 입력된 음성신호가 기기의 어느 동작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스위칭부(4)로 출력한다.
따라서 스위칭부(4)에서는 제어부(2)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제어부(5)를 스위칭하고, 동작제어부(5)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에 따른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성인식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대기모드 상태에서 많은 전원이 소비되기 때문에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오디오기기 등의 전자제품에서는 단시간에 배터리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전원의 온/오프, 플레이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각종 전자제품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전까지의 대기모드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성인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의 전원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성인식부 20 : 전원제어부
30 : 제어부 40 : 메모리
50 : 스위칭부 60 : 동작제어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는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와, 음성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이전에 기록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와, 음성인식부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메모리에 기록된 음성신호가 서로 일치하는가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기기의 동작을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기기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부와,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음성인식부가 동작되기 위한 최소한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순간 음성인식부, 제어부 및 동작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음성인식부(10)는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전원제어부(20)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음성인식부(10)가 동작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순간 음성인식부(10)가 후술되는 제어부(40)와 동작제어부(50)에 동작전원(+5V)을 공급한다.
이 전원제어부(20)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음성인식부(10)에만 최소동작전원(+2~3V)을 공급하고 제어부(40)와 동작제어부(50)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제어부(30)는 음성인식부(10)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후술되는 메모리(40)에 기록된 음성신호가 서로 일치하는가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기기의 어느 동작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40)는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기록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를 비교할 수 있도록 기록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칭부(50)는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동작제어부(60)를 스위칭한다.
동작제어부(60)는 스위칭부(50)를 통한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기기의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음성이 언제 입력될지 모르기 때문에 전원제어부(20)를 통해 최소동작전원(+2~3V)을 음성인식부(10)에만 공급하고, 그 이외의 제어부(40)와 동작제어부(60)에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즉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배터리의 소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부(10)에만 최소한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부분에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대기모드 상태에서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이 음성 인식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순간 전원제어부(20)에서는 음성인식부(10) 뿐만 아니라 제어부(40)와 동작제어부(60)에 즉시 동작전원(+5V)을 공급한다.
그 후에 제어부(30)에서 음성인식부(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이전에 메모리(40)에 기록된 음성신호가 서로 일치하는가를 비교한다.
이처럼 음성신호를 비교한 결과 입력된 음성신호가 메모리(40)에 기록된 음성신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제어부(30)에서는 입력된 음성신호가 기기의 어느 동작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스위칭부(50)로 출력한다.
따라서 스위칭부(50)에서는 제어부(30)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제어부(30)를 스위칭하고, 동작제어부(60)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입력에 따른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대기모드 상태에서는 음성인식부에만 최소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크게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음성인식부; 상기 음성인식부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이전에 기록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상기 음성인식부에서 출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음성신호가 서로 일치하는가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기기의 동작을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기기의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제어부 ; 및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기 전까지는 상기 음성인식부가 동작되기 위한 최소한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순간 상기 음성인식부, 제어부, 및 동작제어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음성인식부에 최소동작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어부와 동작제어부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KR1019970060578A 1997-11-17 1997-11-17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KR19990040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578A KR19990040251A (ko) 1997-11-17 1997-11-17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578A KR19990040251A (ko) 1997-11-17 1997-11-17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251A true KR19990040251A (ko) 1999-06-05

Family

ID=6609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578A KR19990040251A (ko) 1997-11-17 1997-11-17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025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29A (ko) * 2000-07-24 2002-01-31 배천수 음성인식을 이용한 전원제어 방법
KR101041410B1 (ko) * 2009-04-22 2011-06-14 주식회사 스필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483374B1 (ko) * 2013-11-01 2015-01-15 박수균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US10489111B2 (en) 2017-03-28 2019-11-26 Lg Electronics Inc.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12513783A (zh) * 2019-05-23 2021-03-16 深圳博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交互智能手环
KR20210053022A (ko) 2019-11-01 2021-05-11 고덕만 숯가열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29A (ko) * 2000-07-24 2002-01-31 배천수 음성인식을 이용한 전원제어 방법
KR101041410B1 (ko) * 2009-04-22 2011-06-14 주식회사 스필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483374B1 (ko) * 2013-11-01 2015-01-15 박수균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WO2015064927A1 (ko) * 2013-11-01 2015-05-07 박수균 음성인식을 이용하는 대기전력 차단 전기장치 및 방법
US10489111B2 (en) 2017-03-28 2019-11-26 Lg Electronics Inc.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1372619B2 (en) 2017-03-28 2022-06-28 Lg Electronics Inc.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1385861B2 (en) 2017-03-28 2022-07-12 Lg Electronics Inc.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CN112513783A (zh) * 2019-05-23 2021-03-16 深圳博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交互智能手环
KR20210053022A (ko) 2019-11-01 2021-05-11 고덕만 숯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820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전원 제어 방법
JPH08234957A (ja) 音声認識を伴うキーストロークデータ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JP2707854B2 (ja) 移動電話機
KR19990040251A (ko) 음성인식기기의 전원제어장치
US4916735A (en) Power-supply transfer apparatus for telephone
JP2004096520A (ja) 音声認識リモコン
US6687830B2 (en) Energy-saving control interface and method for power-on identification
KR100747559B1 (ko) 모니터의 전원제어장치
CN108255065A (zh) 一种语音控制的knx面板
KR960013310B1 (ko) 음성등록 및 인식 제어방법
JP2000341430A (ja) 通信装置
KR100247589B1 (ko) 전원 제어회로
JPH11237896A (ja) 音声認識による制御装置及び方法、制御対象ユニット、音声認識による制御を用いるシステム並びに音声認識による制御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230139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0326921B1 (ko) 절전 제어회로
KR0136480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전원 제어회로
JPH04177400A (ja) 音声起動方式
JPH06233359A (ja) 制御装置
KR100286316B1 (ko) 영상기기의멜로디발생장치및방법
KR0132819B1 (ko) 전자제품에 구비된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14574B1 (ko) 음성 인식 기기의 등록 여부알림 방법
JPS61275972A (ja) 文章処理装置における音声入力装置
KR100378807B1 (ko) 피씨의 휴대용기기 전원 공급장치
KR20030027177A (ko) 기기의 전원 자동 온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21807U (ko) 컴퓨터시스템의 전원공급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