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873B1 -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873B1
KR102360873B1 KR1020200075541A KR20200075541A KR102360873B1 KR 102360873 B1 KR102360873 B1 KR 102360873B1 KR 1020200075541 A KR1020200075541 A KR 1020200075541A KR 20200075541 A KR20200075541 A KR 20200075541A KR 102360873 B1 KR102360873 B1 KR 10236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nit
command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586A (ko
Inventor
윤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873B1/ko
Priority to EP21180287.1A priority patent/EP3929724A1/en
Priority to US17/354,845 priority patent/US20210398532A1/en
Publication of KR2021015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명령을 확인하고, 제1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인 경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1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아닌 경우, 제1 명령에 대한 응답을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CONTROL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근래에는 정보화 사회의 발전과 함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함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고,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은 출력할 수 있으나, 오디오 출력을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하거나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결되어야 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스피커가 구비되는 경우, 스피커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단, 상하단 또는 후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스피커가 구비되는 경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진행 방향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바라보는 방향이 서로 어긋나,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고, 스피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 및 무게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의 진동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개발되어,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경량화와 심미감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타 제품과의 차별화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의 수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 출력 등을 위해 항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 전체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는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음성을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명령을 확인하고, 제1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인 경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1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아닌 경우, 제1 명령에 대한 응답을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메인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서브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대기 모드에서, 제1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명령을 확인하고, 제1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1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아닌 경우, 제1 명령에 대한 응답을 서브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제어 장치에 별도로 구비된 서브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명령에 대한 응답을 출력할 수 있어, 응답 대기 및 출력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스템 전체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고, 대기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4 및 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8b는,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제어 장치(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및/또는 원격제어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및/또는 음성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TV,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모니터 등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원격제어장치(300)는, 제어 장치(1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장치(100)로 각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300)는 제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수립된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를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제어장치(300)로는 마우스, 키보드, 공간 리모콘, 트랙볼, 조이스틱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300)는 외부 디바이스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원격제어장치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제어 장치(100)는 단일의 원격제어장치(300)만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원격제어장치(300)와 동시에 연결되어, 각 원격제어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10)은, 외부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장치(100)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와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V 입출력부는,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MHL (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을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미도시)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TV,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5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40)와 메모리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3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제어 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제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음성에 포함된 명령을 확인할 수 있고, 명령에 대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자연어 처리 기술(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을 이용한 음성인식을 통해, 음성에 포함된 단어를 추출하여, 음성 입력에 포함된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자연어 처리 기술은, 인간의 언어 현상을 기계적으로 분석하여 전자 장치가 해당 언어 현상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외부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고, 음성에 대한 음성인식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음성에 포함된 명령을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및/또는 음성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달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제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제어 장치(100)의 상부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제어 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유선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3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3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3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3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고, 도 4 및 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0), 디스플레이(220), 오디오 출력부(230), 저장부(240) 및/또는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0)는, 제어 장치(100)와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고, 제어장치(100)로부터 영상신호 및/또는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제어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제어부(25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및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제어부(25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22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패널 구동부는, 제어부(25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와,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2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오 출력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발생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231)는, 디스플레이(22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키는 익사이터(exciter)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231)는, 디스플레이(22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되어, 음성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발생기(23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으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진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2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복수의 진동 발생기(231a, 231b)가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기(231a, 231b)는, 각각이 배치된 영역을 독립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진동 발생기(231a)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영역에 부착되어, 고음역대 음향과 저음역대 음향이 동시에 생성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고, 제2 진동 발생기(231b)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영역에 부착되어, 고음역대 음향이 생성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 장치(100)에 구비되는 오디오 출력부(185)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오디오 출력부(230)의 구분을 위해, 제어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부(185)를 서브 오디오 출력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오디오 출력부(230)를 메인 오디오 출력부로 명명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240)는, 제어부(25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240)는, 제어부(25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25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2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저장부(240) 및/또는 제어부(25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기기일 수 있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그대로 출력하거나, 음성신호를 오디오 출력부(230)를 통해 그대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일 수도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S601 동작에서, 대기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모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동작 및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제어 장치(100)만 활성화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예컨대, 원격제어장치(300)로부터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신호가 수신되거나, 입력부(160)에 구비된 대기 모드를 설정/해제하는 로컬키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 장치(100)는 대기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00)는, 대기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02 동작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03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입력이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에 대응하는 음성 입력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04 동작에서, 음성 입력이 아닌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예컨대, 원격제어장치(300)로부터 전원을 온(on)시키는 신호가 수신되거나, 입력부(160)에 구비된 대기 모드를 설정/해제하는 로컬키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대기 모드를 해제하고, 서브 오디오 출력부(185)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서 서브 오디오 출력부(185)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서브 오디오 출력부(185)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05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는, 제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공급되는 전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공급되도록,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06 동작에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07 동작에서, 대기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08 동작에서,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음성 입력에 대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통해 음성에 포함된 명령을 확인할 수 있고, 명령에 대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09 동작에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생성된 응답을 포함하는 신호(이하, 응답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영상신호 및/또는 음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1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300)로부터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입력부(160)에 구비된 대기 모드를 설정/해제하는 로컬키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및/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등에 해당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S611 동작에서, 음성 입력이 수신된 경우,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통해 음성에 포함된 명령을 직접 확인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인식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에 포함된 명령을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12 동작에서, 음성에 포함된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S613 및 S614 동작에서, 음성에 포함된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아닌 경우, 음성에 포함된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 입력에 대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서브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응답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00)는, 음성에 포함된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아닌 경우, S601 동작으로 분기하여,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고, 음성에 포함된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인 경우, S604 동작으로 분기하여, 대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7 내지 8b는,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의 모드가 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700)가 현재 날씨의 확인을 요청하는 음성(710)을 발화하는 경우,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710)에 포함된 명령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00)의 모드가 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제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대한 전원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700)가 발화한 음성(710)에 현재 날씨의 확인을 요구하는 명령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서브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710)에 포함된 명령에 대한 응답인, 현재 날씨에 대한 음성(720)을 출력할 수 있고, 대기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의 모드가 대기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800)가 홈 화면(815)의 출력을 요청하는 음성(810)을 발화하는 경우,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800)가 발화한 음성(810)에 홈 화면(815)의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홈 화면의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대기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100)는,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원을 다시 공급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고, 전원 공급부(190)에서 서브 오디오 출력부(185)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서브 오디오 출력부(185)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명령에 따라 홈 화면(815)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홈 화면(815)을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통해 홈 화면(815)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800)가 일정 확인을 요청하는 음성(820)을 발화하는 경우,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800)가 발화한 음성(820)에 일정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00)는, 대기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음성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일정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명령에 응답하여, 기 등록된 일정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일정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응답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확인된 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825)를 메인 오디오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제어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서브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명령에 대한 응답을 출력할 수 있어, 응답 대기 및 출력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기능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스템(10) 전체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100)는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원을 공급하고, 대기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은, 제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제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대기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1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명령에 대한 응답을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명령이 상기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1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해제된 동안,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2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2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2 명령에 대한 응답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는,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전원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한 영상 출력의 종료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메인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서브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대기 모드에서, 제1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1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명령이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이 아닌 경우, 상기 제1 명령에 대한 응답을 상기 서브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명령이 상기 영상 출력에 관한 명령인 경우,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1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대기 모드가 해제된 동안, 상기 오디오 출력부의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이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대기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제2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2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제2 명령에 대한 응답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음성을, 상기 메인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서브 오디오 출력부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서브 오디오 출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공급되는 전원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메인 오디오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대기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대기 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한 영상 출력의 종료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기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되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진동 발생기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0075541A 2020-06-22 2020-06-22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36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41A KR102360873B1 (ko) 2020-06-22 2020-06-22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EP21180287.1A EP3929724A1 (en) 2020-06-22 2021-06-18 Control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7/354,845 US20210398532A1 (en) 2020-06-22 2021-06-22 Control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541A KR102360873B1 (ko) 2020-06-22 2020-06-22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586A KR20210157586A (ko) 2021-12-29
KR102360873B1 true KR102360873B1 (ko) 2022-02-08

Family

ID=7653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541A KR102360873B1 (ko) 2020-06-22 2020-06-22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98532A1 (ko)
EP (1) EP3929724A1 (ko)
KR (1) KR102360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74A1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 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249A (ko) * 2008-06-20 2009-12-30 주식회사 코메스타 음성 사용자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의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KR20150093491A (ko) * 2014-02-07 201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출력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91592B1 (ko) * 2014-11-12 2021-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1925034B1 (ko) * 2017-03-2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586A (ko) 2021-12-29
EP3929724A1 (en) 2021-12-29
US20210398532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466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broadcast receiver
US7283104B2 (en) PIP processing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14172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EP3324380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198651B1 (ja)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KR102360873B1 (ko)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9802128B2 (en)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20160127677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46221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21925A (ko)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영상송신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송신장치의 구동방법
US201500027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5002473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216214A1 (en) Controller and system comprising same
KR2021014239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US20130076983A1 (en)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of watching television programs
KR10260855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40181657A1 (en) Portable device and audio controlling method for portable device
JP2009141940A (ja) 映像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映像処理装置
US12003315B2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30247254A1 (en)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5073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923276A1 (en)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1798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3017713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US2022039478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