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060A -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060A
KR20160084060A KR1020150000483A KR20150000483A KR20160084060A KR 20160084060 A KR20160084060 A KR 20160084060A KR 1020150000483 A KR1020150000483 A KR 1020150000483A KR 20150000483 A KR20150000483 A KR 20150000483A KR 20160084060 A KR20160084060 A KR 20160084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device
external device
sig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신치호
정정윤
신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4060A/ko
Publication of KR2016008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으로, 복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통신 상태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 접속하고, 접속 여부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connection problem solu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미러캐스트 기능을 실행할 때,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고, 무선 상태 정보,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많은 사용자들이,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 연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는 미라캐스트(Miracast)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무선 환경이 좋은 곳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이 문제없지만, 무선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결에 문제가 생겨,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는 재생할 수 없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통신 상태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 접속하며, 접속 여부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미라캐스트 연결 시에 양 장치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무선 환경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확인하고,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통신 채널 중 현재 통신 채널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하여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외부 장치와 접속할 때,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설정하여, 디바이스를 보다 원활하게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을 실패한 경우,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접속하고 접속된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하여, 디바이스를 보다 원활하게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 시 예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할 때, 각 접속 단계마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삽입하고, 삽입한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하여, 접속이 실패한 경우, 앞 부분의 단계를 생략하고 실패한 부분부터 접속을 시도할 수 있어, 디바이스 기기간의 접속 속도가 향상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접속하고, 접속 여부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하는 단계; 및 접속 여부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통신 상태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 접속하며, 접속 여부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미라캐스트 연결시에 양 장치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무선 환경 정보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확인하고,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통신 채널 중 현재 통신 채널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하여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외부 장치와 접속할 때,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설정하여, 디바이스를 보다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을 실패한 경우,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접속하고 접속된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하여, 디바이스를 보다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 시 예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할 때, 각 접속 단계마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삽입하고, 삽입한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하여, 접속이 실패한 경우, 앞 부분의 단계를 생략하고 실패한 부분부터 접속을 시도할 수 있어, 디바이스 기기간의 접속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 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전체 화면으로 현재의 무선 환경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 접속 실패 시 문제 해결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4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HNED(40) 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인 클라이언트(100)에 대응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 해당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이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클라이언트(10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 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4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어서,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게임 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컨텐츠 소스 별로 분류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는,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 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외부 장치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및 통화와 관련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카드 오브젝트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는 카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의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 내에, 수신되는 방송 영상과,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영상은 잠금 설정에 의해 그 크기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에, 영상표시기기 내의 영상 설정, 오디오 설정, 화면 설정, 예약 설정,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터 설정, 네트워크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셋업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로그인, 도움말 또는 나가기 항목에 대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거나 전체 카드 오브젝트 중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 내의 카드 오브젝트명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접속된 외부장치 또는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포커싱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 내로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에 플레이어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할당된 플레이어 식별자에 해당하는 게임 실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 및 게임 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진행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게임 플레이 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진행에 반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플레이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소정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소정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게임 플레이 정보의 변동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80)의 소정 영역에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
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므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을 추가하거나, 도시된 모듈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13의 (b)), 앞뒤(도 1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기기(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 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는 (1900)는 무선 통신부(1910), A/V(Audio/Video) 입력부(1920), 사용자 입력부(1930), 센싱부(1940), 출력부(1950), 메모리(1960), 인터페이스부(1970), 제어부(1980) 및 전원 공급부(19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910)는 이동 단말기(19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900)와 이동 단말기(19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910)는 방송 수신 모듈(1911), 이동통신 모듈(1912), 무선 인터넷 모듈(1913), 근거리 통신 모듈(1914) 및 위치정보 모듈(19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9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모듈(19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9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9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9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은 소정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소정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에서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할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단말기를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9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9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921)와 마이크(19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9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951)에 표시될 수 있다.
마이크(19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9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9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940)는 이동 단말기(19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9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9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9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9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9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940)는 근접 센서(19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940)는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중인 소정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소정의 게임 진행 신호로 이용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포커 카드 게임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을 함으로써 센싱부(1940)가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를 무선통신부(191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여 포커게임에서 배팅금액을 감소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19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951), 음향 출력 모듈(1952), 알람부(1953), 및 햅틱 모듈(19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51)는 이동 단말기(19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 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9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9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9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9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51)는 사용자 단말기(1900)가 소정의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소정의 게임 진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포커 카드 게임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951)에는 사용자 단말기(1900)에 부여된 플레이어 식별자에 해당하는 히든(hidden) 카드 패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9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9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9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9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9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980)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을 상기 게임의 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포커 카드 게임인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951)의 소정의 카드가 디스플레이된 부분에 터치 입력을 하면, 터치 센서는 상기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 제어기 및 제어부(1980)로 전송되며, 무선통신부(1910)를 통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신호를 전송받아 포커 게임에서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카드를 제출한 동작을 입력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9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9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9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9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9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9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9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952)은 이동 단말기(19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9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953)는 이동 단말기(19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9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951)나 음성 출력 모듈(19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951, 1952)은 알람부(19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 19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9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9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9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9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954)은 이동 단말기(19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960)는 제어부(19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9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9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9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970)는 이동 단말기(19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9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9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9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9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9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9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9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9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9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981)은 제어부(19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9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9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80)는,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951)에 소정의 게임 실행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각 모듈 또는 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98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로부터 사용자 컨트롤러로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컨트롤러 모드로 설정하여 소정의 게임 실행 정보를 무선 통신부(1910)를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1951)에 출력하고, 터치 센서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위치 정보 모듈에서 판단되는 위치 변경 신호등을 무선 인터넷 모듈(1913)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을 통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90)는 제어부(19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통신 모듈(710), 컨트롤러(720), 디스플레이 모듈(730), 메모리(74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710)은 복수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AP와 같은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포함한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통신 상태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 통신 모듈(710)을 통하여 접속하고, 접속 여부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확인하고,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통신 채널 중 현재 통신 채널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장치와 접속이 잘 되지 않을 때,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 현재 통신 주파수가 2.4 GHz 인 경우, 컨트롤러(720)는 현재 통신 주파수를 5 GHz로 변경하여 접속할 수 있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확인하고,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통신 채널 중 현재 통신 채널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장치와 접속이 잘 되지 않을 때,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 현재 통신 채널이 1번 채널이고 외부 장치와 연결된 6, 10, 11번 채널인 경우, 컨트롤러(720)는 1번 채널을 6, 10, 11번 채널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720)는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통신 채널 중 가장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할 수 있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 접속할 때,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미러캐스트 연결할 때, P2P 단계에서는 그룹 오너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가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그룹에서는 그룹 오너와 그룹 클라이언트가 있다.
그룹 오너는 기기 연결 시 무선 환경의 조건의 선택이 가능하고, 기기간의 채널을 선택을 할 수 있다.
무선 환경에서, 특정 채널을 사용하는 기기들이 많아질수록, 그룹 오너와 같은 클라이언트 기기에서 그룹 클라이언트 기기와 같은 소스 기기로 전달되는 무선 패킷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든다.
따라서, 그룹 오너가 외부 장치의 영향을 적게 받는 채널을 검색하고, 현재 채널을 검색한 채널로 변경하면, 외부 장치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신호 송출 장치 사이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그룹 오너가 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력을 가장 많이 공급받기 때문에, 무선 환경과 채널 선택을 할 때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 접속할 때,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그룹 오너가 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컨트롤러(720)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을 실패한 경우,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접속하고 접속된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한다. 상세한 설명은 도 10에서 후술한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할 때, 각 접속 단계마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삽입하고, 삽입한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 연결을 할 때, 각 접속 단계마다, 접속의 성공/실패를 알 수 있는 메시지를 삽입한다.
여기서, 각 메시지는 고유의 에러 번호를 갖고 있고, 문제가 발생하면, 메뉴얼과 문제에 가장 적절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20)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에 무선 연결을 할 때, 1) 물리적인 와이파이 연결 -> 2)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 3) RTSP 미러 캐스트 전송 규약 연결을 실행하여 무선 연결을 하는데, 세부 단계마다 접속의 성공/실패를 알 수 있는 메시지를 삽입한다.
즉, 컨트롤러(720)는 단계 진행할 때, 세부 단계마다 로그를 남겨서, 재연결 할 때, 로그를 참조하여 재접속을 한다.
컨트롤러(720)는 접속에 실패를 하면, 삽입한 메시지를 기초하여 재시도시 실패한 단계부터 다시 연결을 시도한다. 따라서, 컨트롤러(720)는 앞 부분의 단계는 생략하고, 실패한 부분부터 접속할 수 있어, 디바이스 간의 접속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로 연결 정보 리셋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 후, 외부 장치와 재 접속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외부 장치의 연결을 실패한 경우,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로 리셋 패킷을 포함하는 연결 정보 리셋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컨트롤러(7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안에도 리셋 패킷을 포함하는 연결 정보 리셋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셋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 정보를 리셋하고, 컨트롤러(7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외부 장치를 새롭게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30)은 컨트롤러(72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740)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저장한다.
메모리(740)은 각각의 에러 코드가 어떠한 의미이고, 이러한 에러가 발생시에 사용자가 어떻게 접속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720)에 의해 수행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복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한다(S810).
다음으로, 검색된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한다(S820).
모니터링된 통신 상태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 접속한다(S830).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확인하고,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통신 채널 중 현재 통신 채널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한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로 연결 정보 리셋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 후, 외부 장치와 재 접속한다.
컨트롤러(720)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할 때, 각 접속 단계마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삽입하고, 삽입한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한다.
컨트롤러(720)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을 실패한 경우,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접속하고, 접속된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한다.
끝으로, 접속 여부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84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720)는 주변의 무선 기기를 검색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에 일정 신호 세기 이상의 영향을 줄 수 있는 기기들을 검색하여 무선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는 모바일 디바이스(920)과 직접 연결되고나, AP와 같은 무선 신호 송출 장치(930)는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92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주변의 다른 무선 신호 송출 장치(940, 950)에 의하여 주파수 간섭과 같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720)는 우선 자동으로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거나 주파수 채널을 변경한다. 다음으로, 컨트톨러(720)는 주변 무선 환경 정보와 주파수 대역, 주파수 채널을 변경하는 내용, 에러 번호 등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720) 팝업창 형태로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텍스트를 참조하여 접속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 문제가 해결 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720)는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를 통하여 에러 번호, QR 코드 수신 입력을 입력 받는다.
컨트롤러(720)는 입력 받은 에러 번호, QR 코드를 고객 서비스 센터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 서비스 센터에서는 에러 번호, QR 코드를 보고 접속 문제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고, 이에 적절하게 조치할 수 있으므로, 접속 문제 해결을 위해, 고객 서비스 센터 기사가 현장까지 오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720)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10)가 모바일 디바이스(1020)와 접속을 실패한 경우,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와 접속하고 접속된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20)와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020)가 AP와 같은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10)가 모바일 디바이스(1020)와 직접 연결하는 것을 실패하면,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에 우선 접속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10)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과의 접속이 성공하면, 접속된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20)에게 연결 정보를 전달하고, 이를 기초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10)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무선 신호 송출 장치(10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20)와 무선으로 연결 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간의 직접 연결이 어려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된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간에 연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전체 화면으로 현재의 무선 환경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왼쪽 그림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환경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운데 그림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간에 연결이 완료 되었을 때, 비트 레이트 전송 수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오른쪽 그림은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에 보안 모듈 체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장치와 접속 실패 시 문제 해결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외부 장치와 접속을 실패하면,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1210).
도 12에서, 상단의 NOTIFICATION 404는 에러 유형이 클래스와 케이스로 나누어져 있고, 404번에 해당하는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의미이다. 하단의 TIMEOUT_OR_INVALID_CERT_INFO는 에러의 기술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에 발생한 404번 에러 메시지를 참조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다시 접속할 수 있고, 접속에 문제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미라캐스트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러(720)는 자동으로 미라캐스트 연결 모드에 진입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외부 장치를 미라캐스트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미라캐스트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미라캐스트 연결을 실행하는 모드를 리스닝 모드라고 한다. 자동으로 미라캐스트 연결을 실행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일일이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디바이스 기기간의 연결 시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통신 상태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 접속하며, 접속 여부를 기초로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미라캐스트 연결시에 양 장치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무선 환경 정보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확인하고,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통신 채널 중 현재 통신 채널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하여 디바이스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외부 장치와 접속할 때,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설정하여, 디바이스를 보다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을 실패한 경우,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접속하고 접속된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하여, 디바이스를 보다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 시 예는 외부 장치와의 접속할 때, 각 접속 단계마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삽입하고, 삽입한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하여, 접속이 실패한 경우, 앞 부분의 단계를 생략하고 실패한 부분부터 접속을 시도할 수 있어, 디바이스 기기간의 접속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영상표시기기
105: 방송 수신부
110: 튜너
120: 복조부
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5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부
185: 오디오 출력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장치
7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10: 통신 모듈 720: 컨트롤러
730: 디스플레이 모듈 740: 메모리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외부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접속하고, 접속 여부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확인하고,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상기 통신 채널 중 상기 현재 통신 채널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할 때,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을 실패한 경우, 상기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접속하고 접속된 상기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접속할 때, 각 접속 단계마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삽입하고, 삽입한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외부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상기 통신 상태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하는 단계; 및
    접속 여부를 기초로 상기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결된 통신 채널을 확인하는 단계; 및
    현재 통신 채널을 확인된 상기 통신 채널 중 상기 현재 통신 채널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통신 채널로 변경하여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 연결 정보 리셋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 후, 상기 외부 장치와 재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접속할 때, 각 접속 단계마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를 삽입하는 단계; 및
    삽입한 상기 메시지를 기초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는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을 실패한 경우, 상기 무선 신호 송출 장치와 접속하는 단계; 및
    접속된 상기 무선 신호 송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50000483A 2015-01-05 2015-01-05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4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483A KR20160084060A (ko) 2015-01-05 2015-01-05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483A KR20160084060A (ko) 2015-01-05 2015-01-05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60A true KR20160084060A (ko) 2016-07-13

Family

ID=5650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483A KR20160084060A (ko) 2015-01-05 2015-01-05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40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7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11949955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CN107018434B (zh) 包括数字设备和外部设备的系统及其处理数据的方法
KR102063075B1 (ko) 서비스 시스템, 디지털 기기 및 그 서비스 처리 방법
KR102273751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54894B1 (ko)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8957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324595B2 (en) Digital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with plurality of operation devices and method of displaying second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second operation device in response to dragging of first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first operation device in the same
KR1023811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3763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8004196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06760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US202200303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475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8210B1 (ko)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538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3537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무선연결 설정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20150049243A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189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6404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36958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6000456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4060A (ko) 접속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8664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