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346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346B1
KR102147346B1 KR1020140076365A KR20140076365A KR102147346B1 KR 102147346 B1 KR102147346 B1 KR 102147346B1 KR 1020140076365 A KR1020140076365 A KR 1020140076365A KR 20140076365 A KR20140076365 A KR 20140076365A KR 102147346 B1 KR102147346 B1 KR 10214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ontrol
peripheral device
voic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193A (ko
Inventor
이승신
정태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46B1/ko
Priority to US14/531,444 priority patent/US9544633B2/en
Priority to EP14191962.1A priority patent/EP2960882B1/en
Priority to CN201410697352.7A priority patent/CN105323607B/zh
Publication of KR2015014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1Voice inpu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도록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IR 블라스터(Blaster) 기능은 대표적으로 소정 포맷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주변 기기의 제어에 적합한 IR 신호를 주변 기기의 수광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IR 블라스터(Blaster) 기능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포함된 통합 IR 마이컴이 입력된 정보를 외부의 유선 IR 케이블로 출력한다. 유선 IR 케이블로 출력된 정보는 IR 블라스터 기능을 구비한 액세사리를 통해 주변 기기에 포함된 IR 수광부로 수신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변 기기를 제어하였다. 따라서, 기존에는 별도로 IR Blaster 기능을 구비한 액세사리 구매해야만이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리모콘과 같은 원격 제어 장치에 IR Blaster 기능이 적용되어 있어도 배터리 이슈로 미 사용시 슬립 상태를 유지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셋톱박스와 같은 주변 기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어 IR Blaster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 IR Blaster 기능을 구비한 제품들은 셋톱박스와 같은 주변 기기에 단방향 IR 통신을 하므로 인해 IR 방향성이 잘못되어 주변 기기가 제어되지 못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리모콘으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는지를 인지할 수 없어 방향성 제약을 없애기 위해 다중의 IR 모듈을 탑재하였다. 다중의 IR 모듈을 탑재하는 경우, IR 블라스터 기능을 구비한 제품들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주변 기기가 정상적으로 제어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IR 블라스터 기능을 활용하여 별도의 IR 블라스터 기능을 구비한 제품의 필요없이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원거리 음성 인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도록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 및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주변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도록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IR 블라스터 기능을 활용하여 별도의 IR 블라스터 기능을 구비한 제품의 필요없이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원거리 음성 인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수신된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사용자의 채널 변경을 위한 음성을 인식하여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지 도 15는 사용자의 볼륨 조절을 위한 음성을 인식하여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변 기기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IR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제어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원격 제어 장치(200) 및 주변 기기(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 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주변 기기(300)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IR 블라스터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IR 신호를 주변 기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IR 신호를 통해 주변 기기(3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공간 리모콘,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IR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주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변 기기(300)는 셋톱박스(Set-Top Box, STB),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 블루레이 플레이어(Blue-Ray Play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음성 인식부(171),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음성 인식부(171)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여 수신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71)는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 및 기능 제어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트리거 음성 및 기능 제어 음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음성 인식부(171)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을 제외한 주변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빔포밍부, 주변 소음이 제거된 음성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음성 인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기능 또는 주변 기기(3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 포함된 RF 송수신기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주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주변 기기(3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 제어 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 제어 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공간리모콘(201)은, 확인키(Okay key)(291), 메뉴키(292), 사방향키(293), 채널 조정키(294), 볼륨 조정키(29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291)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292)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사방향키(293)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 하, 좌우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채널 조정 키(294)는 채널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며, 볼륨 조정키(296)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백 키(back key)(297), 홈 키(home key)(2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키(back key)(297)는 이전 화면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298)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확인키(291)는, 스크롤 기능이 추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확인키(291)는 휠 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확인키(291)가 눌려지는 경우,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되고, 확인키(291) 가 상,하로 스크롤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페이지 전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보다 더 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 탐색을 위해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던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기능은, 확인키(291)가 아닌 별도의 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방향키(293)는, 도면과 같이, 원형 타입에서, 상, 하, 좌, 우키가 각각 사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방향키(293) 내의 상 키(up key)에서부터 하키(down key)까지 터치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입력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이미지 표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성 인식부(171)는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을 인식한다(S101).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음성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성 인식부(171)의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 및 활성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71)의 비활성화 상태는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 이외의 음성을 인식하지 않고,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만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음성 인식부(171)의 활성 상태는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을 인식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성 인식부(171)는 평소에 비활성화 상태에 있다가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을 인식하면,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음성 인식부(171)는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 이외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트리거 음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음성임과 동시에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저 전력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음성 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트리거 음성은 디폴트로 설정된 음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음성은 <HI TV>, <HI JUDY> 등과 같은 음성 명령어 일 수 있다. 여기서, <JUDY>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트리거 음성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인식부(17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 중앙, 좌우 측면, 하단 중앙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일 실시 예에서 음성 인식부(17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거리는 3m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트리거 음성에 대응하는 트리거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S103), 생성된 트리거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S105).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트리거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의 RF 모듈(221)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또한,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RF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의 RF 모듈(221)에 트리거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트리거 음성에 대응하는 트리거 제어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제어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저 전력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 모드는 대기 모드(suspend mode), 저 전력 모드(sniff mode), 전원 온 모드(power-on mode) 및 전원 오프 모드(power-off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대기 모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일부 구성 요소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트리거 음성에 대응하는 트리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의 대기 모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RF 모듈(221)이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200)는 RF 모듈(221)을 통해 트리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저 전력 모드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깨어나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저 전력 모드에서 기본적으로 대기 모드에서 동작하되, 주기적으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깨어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방지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전원 온 모드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의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전원 오프 모드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의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트리거 제어 명령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저 전력 모드로 변경한다(S107).
단계 S101 내지 S107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수신된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tv, 원격 제어 장치(200)는 공간 리모컨, 주변 기기(300)는 셋톱박스 임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 tv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를 시청하는 도중 <Hi judy>라는 트리거 음성을 발화한다. 스마트 tv는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트리거 음성에 대응하는 트리거 제어 명령을 공간 리모컨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tv는 음성 인식부(171)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공간 리모콘은 스마트 tv로부터 수신한 트리거 제어 명령에 따라 자신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저 전력 모드로 변경한 후, 스마트 tv로부터 후술할 기능 제어 명령의 수신을 대기한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성 인식부(171)는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을 인식한다(S109).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은 주변 기기(3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주변 기기(300)의 기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제대로 수행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300)가 셋톱박스인 경우, 기능 제어 음성은 전원 상태채널 변경, 변경을 위한 음성, 볼륨 변경을 위한 음성일 수 있다.
기능 제어 음성이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온 또는 오프 시키기 위한 음성인 경우, 기능 제어 음성은 <전원 꺼, 전원 켜> 등과 같은 음성 명령어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기능 제어 음성이 채널 변경을 위한 음성인 경우, 기능 제어 음성은 <채널 내려, 채널 올려, 11번 채널 틀어줘> 등과 같은 음성 명령어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기능 제어 음성이 볼륨 조절 변경을 위한 음성인 경우, 기능 제어 음성은 <볼륨 올려, 볼륨 내려> 등과 같은 음성 명령어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S111).
일 실시 예에서 기능 제어 명령은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여 생성된 명령으로, 주변 기기(30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음성과 기능 제어 명령을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이 채널 변경을 요청하는 음성인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부(140)를 통해 인식된 채널 변경에 대한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 명령을 검색하여 검색된 기능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생성된 기능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S113).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기능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RF 모듈(미도시)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의 RF 모듈(221)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미도시)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의 블루투스 모듈(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기능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신호를 생성한다(S115).
일 실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280)의 제어부(280)는 수신한 기능 제어 명령을 주변 기기(300)의 IR 포맷 키에 적합하도록 I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저장부(270)는 복수의 주변 기기들 각각에 대해 기능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포맷 키(IR format key)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저장부(270)를 통해 수신한 기능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포맷 키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IR 포맷 키에 기초하여 I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생성된 IR 신호를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S117).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 생성된 IR 신호를 는 IR 통신 방식을 통해 주변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80)는 IR 모듈(223)을 통해 생성된 IR 신호를 주변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변 기기(300)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모듈(223)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IR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R 신호는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여 주변 기기(3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모듈(221)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했는지를 확인한다(S119).
만약, 주변 기기(300)가 IR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IR 신호에 대응하는 주변 기기(300)의 기능을 수행한다(S121).
일 실시 예에서 주변 기기(300)의 기능은 전원 온/오프와 같은 전원 상태 변경, 채널 변경, 볼륨 변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주변 기기(30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 후 또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기능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한다(S123).
일 실시 예에서 IR 신호에 대응하는 주변 기기(300)의 기능이 채널 변경 기능에 해당하고, 주변 기기(300)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주변 기기(300)는 채널 변경 기능의 수행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300)가 IR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한 경우, 주변 기기(300)는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했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주변 기기(300)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주변 기기(300)는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 했음을 알리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기기(300)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방향이 틀어져 주변 기기(300)가 IR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일 수 있다. 즉, IR 신호의 전송 방향이 주변 기기(300) 측으로 향하지 않아 주변 기기(300)가 IR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주변 기기(300)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주변 기기(300) 사이에 IR 신호의 전송을 방해하는 물체가 존재해 주변 기기(300)가 IR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기능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피드백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였지만, IR 신호의 세기가 약해 주변 기기(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IR 신호의 세기가 약함을 알리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주변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기능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300)의 제어 상태를 제공한다(S123).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주변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기능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300)의 제어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에 따라 주변 기기(300)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상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에 따라 주변 기기(300)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음성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에 따라 주변 기기(300)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었는지를 메시지 및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S109 내지 S125를 도 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 내지 도 11은 사용자의 채널 변경을 위한 음성을 인식하여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channel up>이라는 기능 제어 음성을 발화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화된 채널 변경을 나타내는 기능 제어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채널 변경을 나타내는 기능 제어 음성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채널 변경을 위한 기능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IR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R 신호를 주변 기기(300)에 전송한다.
주변 기기(300)는 IR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IR 신호에 대응하는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하고, 채널 변경 기능 수행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로고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에 표시된 로고를 검출하고, 검출된 로고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된 로고가 변경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된 로고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캡쳐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로고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컨텐트의 제1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로고와 일정 시간 후, 미디어 컨텐트의 제2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로고를 비교하여 로고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로고와 일정 시간 후 캡쳐된 제2 캡쳐 이미지에 포함된 로고가 동일한 경우,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고, 다른 경우,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로고는 방송사, 미디어 컨텐트를 제공하는 컨텐트 제공자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의 우측 상단에는 <KBC> 로고(10)가 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로고 검출 방법을 통해 로고가 <KBC> 로고(10)에서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NBC> 로고(20)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고, 주변 기기(300)가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여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을 캡쳐하여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일부 프레임에 대한 샘플에 기초하여 미디어 컨텐트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재생 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캡쳐 할 수 있고, 캡쳐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프레임들을 컨텐트 인식 서버(automatic contents recognition, ACR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컨텐트 인식 서버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해당 미디어 컨텐트를 식별할 수 있고, 해당 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트 인식 서버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식별 정보를 통해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트에 대한 식별 정보는 미디어 컨텐트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트 인식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채널 정보가 변경되었는지에 따라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수행 결과를 메시지 창(5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시지 창(500)을 표시함과 동시에 채널 변경에 따라 변경된 미디어 컨텐트를 화면에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수행 결과를 음성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이 변경되었습니다>라는 음성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채널이 변경되었습니다>라는 음성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채널 변경에 따라 변경된 미디어 컨텐트를 화면에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수행 결과를 메시지 창 및 음성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수행 결과를 메시지 창(500)을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채널이 변경되었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로부터 채널 변경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방송 신호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채널 변경에 따른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으로부터 채널 명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이미지로부터 채널 명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 결과에 따라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조작하는 과정 없이 단순한 음성 발화만으로 주변 기기(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설명한다.
도 12지 도 15는 사용자의 볼륨 조절을 위한 음성을 인식하여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주변 기기(300)의 볼륨 조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volume up>이라는 기능 제어 음성을 발화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의 볼륨 조절을 위한 음성 명령어와 주변 기기(300)의 볼륨 조절을 위한 음성 명령어는 다를 수 있다. 즉, <volume up>은 주변 기기(300)의 볼륨 조절을 위한 음성 명령어 일 수 있고, <sound up>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볼륨 조절을 위한 음성 명령어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화된 볼륨 조절을 위한 기능 제어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볼륨 조절을 나타내는 기능 제어 음성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볼륨 조절을 위한 기능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IR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R 신호를 주변 기기(300)에 전송한다.
주변 기기(300)는 IR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IR 신호에 대응하는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볼륨 조절 기능 수행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세기 변화를 검출하여 주변 기기(300)가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세기가 변화된 경우, 주변 기기(300)가 사용자의 볼륨 조절을 위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여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세기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 주변 기기(300)가 주변 기기(300)가 사용자의 볼륨 조절을 위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여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세기가 변화된 경우, 주변 기기(300)의 볼륨 조절 수행 결과를 메시지 창(5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볼륨 조절 수행 결과를 음성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볼륨이 조절되었습니다>라는 음성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볼륨 조절 수행 결과를 메시지 창 및 음성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볼륨 조절 수행 결과를 메시지 창(500)을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볼륨이 조절되었습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세기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가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세기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 주변 기기(300)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을 변경해주세요>라는 메시지 창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원격 제어 장치(200)의 방향을 주변 기기(300)를 향하게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조작하는 과정 없이 단순한 음성 발화만으로 주변 기기(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9를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변 기기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IR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channel up>이라는 기능 제어 음성을 발화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발화된 채널 변경을 나타내는 기능 제어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채널 변경을 나타내는 기능 제어 음성을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채널 변경을 위한 기능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IR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IR 신호를 주변 기기(300)에 전송한다.
주변 기기(300)는 IR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IR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로고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트의 재생 화면 상에 표시된 로고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주변 기기(300)가 채널 변경을 위한 기능 제어 음식에 대응하여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기기(300)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수행 결과를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을 변경해주세요>라는 메시지 창(52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수행 결과를 음성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을 변경해주세요 >라는 음성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수행 결과를 메시지 창 및 음성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채널 변경 수행 결과를 메시지 창(500)을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을 변경해주세요 >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메시지 창(520) 또는 음성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의 방향을 올바른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변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도록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기기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IR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수신된 IR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주변 기기의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출력하고,
    상기 주변 기기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을 지시하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 명령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기능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메시지 창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을 지시하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 변경을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메시지 창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인식된 트리거 음성에 대응하는 트리거 제어 명령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제어 명령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상기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모드인 저 전력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채널 변경 기능인 경우,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채널 변경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된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으로부터 채널 명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명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채널 변경 기능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9.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 및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주변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도록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인식된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상기 주변 기기에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IR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수신된 IR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주변 기기의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출력하고,
    상기 주변 기기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을 지시하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 명령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능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메시지 창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IR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수신된 IR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주변 기기의 기능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메시지 창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상기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 변경을 나타내는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메시지 창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트리거 음성을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식된 트리거 음성에 대응하는 트리거 제어 명령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트리거 제어 명령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상기 기능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모드인 저 전력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인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채널 변경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채널 변경에 따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으로부터 로고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채널 변경 기능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 상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제어 음성에 따라 상기 로고가 변경된 경우, 상기 주변 기기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로고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기기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볼륨 조절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세기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디오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기기가 볼륨 조절 기능을 수행했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음성에 대응하는 기능이 채널 변경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미디어 컨텐트의 일부 프레임의 샘플을 컨텐트 인식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트 인식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컨텐트의 채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채널 정보의 변경 여부에 따라 상기 주변 기기가 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했는지를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F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76365A 2014-06-23 2014-06-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4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365A KR102147346B1 (ko) 2014-06-23 2014-06-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4/531,444 US9544633B2 (en) 2014-06-23 2014-11-03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14191962.1A EP2960882B1 (en) 2014-06-23 2014-11-05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1410697352.7A CN105323607B (zh) 2014-06-23 2014-11-27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365A KR102147346B1 (ko) 2014-06-23 2014-06-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193A KR20150146193A (ko) 2015-12-31
KR102147346B1 true KR102147346B1 (ko) 2020-08-24

Family

ID=5194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365A KR102147346B1 (ko) 2014-06-23 2014-06-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44633B2 (ko)
EP (1) EP2960882B1 (ko)
KR (1) KR102147346B1 (ko)
CN (1) CN1053236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433B1 (ko) * 2014-01-21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KR102185564B1 (ko) * 2014-07-09 202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81953A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406380B1 (ko) * 2016-01-05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111459A (ko) * 2016-03-28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면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WO2018169380A1 (ko) * 2017-03-17 2018-09-20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98390B1 (ko) 2017-03-22 2022-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25034B1 (ko) * 2017-03-28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컨트롤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8806672A (zh) * 2017-04-28 2018-11-13 辛雪峰 一种语音双模式的风扇控制方法
US10283117B2 (en) * 2017-06-19 2019-05-07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response cue at peripheral device
CN107331145A (zh) * 2017-06-27 2017-11-07 广州市威士丹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多协议的遥控器
KR102392087B1 (ko) 2017-07-10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사용자 음성 수신방법
US10599377B2 (en) 2017-07-11 2020-03-24 Roku, Inc. Controlling visual indicators in an audio responsive electronic device, and capturing and providing audio using an API, by native and non-native computing devices and services
US10455322B2 (en) 2017-08-18 2019-10-22 Roku, Inc. Remote control with presence sensor
US10777197B2 (en) 2017-08-28 2020-09-15 Roku, Inc. Audio responsive device with play/stop and tell me something buttons
US11062702B2 (en) 2017-08-28 2021-07-13 Roku, Inc. Media system with multiple digital assistants
US11062710B2 (en) 2017-08-28 2021-07-13 Roku, Inc. Local and cloud speech recognition
US11145298B2 (en) 2018-02-13 2021-10-12 Roku, Inc. Trigger word detection with multiple digital assistants
JP6882615B2 (ja) * 2018-03-12 2021-06-02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音声制御マルチメディアデバイス
US10847176B2 (en) 2018-03-12 2020-11-24 Amazon Technologies, Inc. Detection of TV state using sub-audible signal
US10560737B2 (en) 2018-03-12 2020-02-11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controlled multimedia device
CN108737748A (zh) * 2018-05-28 2018-11-02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画面切换方法、装置及终端
US10978062B1 (en) * 2018-09-27 2021-04-13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controlled device switching between modes based on speech input
CN111866566B (zh) * 2019-04-25 2022-06-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图像显示系统和图像显示系统的控制方法
KR20200126509A (ko) * 2019-04-30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533041A (zh) 2019-09-19 2021-03-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2489413B (zh) * 2020-11-27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遥控器的控制方法及系统、存储介质、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78693A1 (en) 2009-07-31 2012-03-01 Thomas A. Valerio Method and system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wire and other metal from processed recycled materials
EP2421252A1 (en) * 2010-08-17 2012-02-22 LG Electronic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36656B1 (ko) * 2011-03-15 2011-05-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Nfc 기반의 기기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제어 시스템
US9076323B2 (en) * 2011-09-29 2015-07-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with multiple devices
CN202818524U (zh) * 2011-10-11 2013-03-20 Lg电子株式会社 多媒体设备和遥控器
KR101917182B1 (ko) * 2012-04-30 2019-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음성취득장치, 그 음성인식방법 및 음성인식시스템
KR101605862B1 (ko) * 2012-06-29 2016-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대화형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20140060040A (ko) * 2012-11-09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음성취득장치 및 그 음성인식방법
KR20140100694A (ko) * 2013-02-07 201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주변장치 제어방법
US10447826B2 (en) * 2013-03-14 2019-10-15 Google Llc Detecting user interest in presented media items by observing volume change events
KR102178635B1 (ko) * 2013-12-16 2020-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TWI528802B (zh) * 2013-12-27 2016-04-01 瑞軒科技股份有限公司 電視控制方法及系統
US9009805B1 (en) * 2014-09-30 2015-04-14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ing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73393A1 (en) 2015-12-24
EP2960882B1 (en) 2019-01-02
KR20150146193A (ko) 2015-12-31
US9544633B2 (en) 2017-01-10
CN105323607B (zh) 2019-04-16
CN105323607A (zh) 2016-02-10
EP2960882A1 (en)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3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6267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unted on a display apparatus
JP6184098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47329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022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17238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45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9354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336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763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94011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241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028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6656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2827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사운드 제어방법
KR202200055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553597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8832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02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900197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69096A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