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44317A1 -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 Google Patents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44317A1
WO2024144317A1 PCT/KR2023/021893 KR2023021893W WO2024144317A1 WO 2024144317 A1 WO2024144317 A1 WO 2024144317A1 KR 2023021893 W KR2023021893 W KR 2023021893W WO 2024144317 A1 WO2024144317 A1 WO 20241443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nnet
plunger
valve assembly
valve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218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택승
이준영
신상우
조홍식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19448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107024A/ko
Publication of WO20241443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443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03Intermittent control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60S1/485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assembly and a sensor cleaning distribu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lve assembly capable of reducing noise or vibration caused by impac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and to being mounted on a vehicle using the valve assembly. It relates to a sensor cleaning distributor that can distribute fluid to clean various sensors.
  • Sensing information supplied from sensors must be of the highest quality possible, and therefore, sensors mounted on vehicles need to be kept clean.
  • a sensor cleaning device was assigned to each sensor and sprayed a cleaning solution to remove contaminants on the sensor.
  • a conventional sensor cleaning device can increase in number depending on the number of sensors, making it complex to be mounted on a vehicle and making it difficult to efficiently control a large number of sensors. Therefore, a technology that can selectively distribute the cleaning solution to each sensor through a single distributor is needed.
  • noise and vibr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er, and this noise may cause discomfort to passengers in the vehicle, so technology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is need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selectively cleaning a plurality of sensors mounted on a vehicle through at least one sensor cleaning distributor.
  • a valve assembly includes a valve housing; A bobbin fixed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valve housing and having a hollow shape; a core disposed within the hollow of the bobbin and capable of being magnetized; a plunger capable of elastically moving toward or away from the core depending on whether a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core, and having a stopper formed on one side to limit movement; and a bonnet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plunger can mov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core, and having a first damper disposed to absorb shock when colliding with the stopper.
  • a coil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hollow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small diameter portion.
  • an air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plunger and the upper lower surface of the bonnet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plunger and the bonnet.
  • the bonnet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constant diameter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bobbin, and includes a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bonnet having an internal space that is cl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open on the lower surface; and a first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bonnet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pen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bonnet,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bonnet,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with an open lower surface.
  • bonnet large-diameter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pen end of the first bonnet large-diameter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nnet large-diameter portion,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with an open lower surface.
  •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portion of the bonnet and is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irst damp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lunger passes is formed at its center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through hol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nnet.
  • one end of the hollow interior of the plunger is in contact with the bonnet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a closed surface of the hollow interior of the plunger.
  • a second damper capable of colliding with the first damper is formed in the stopper when the plunger moves.
  • the valve assembly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includes a distributor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valve assembly; and an operating spa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stributor housing, having an inlet portion through which fluid flows into the interior and an outlet portion through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wherein a hole in the outlet portion is exposed and the valve assembly can operate to open and close the hole.
  • the valve assembly includes a core fixed within the valve housing and capable of being magnetized; A plung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in the outlet while elastically moving in a direction closer to or farther away from the core according to the action of magnetic force with the core, and having a stopper formed on one side to limit movement; and a bonnet having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plunger can mov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core, and having a first damper disposed to absorb shock when colliding with the stopper.
  • valv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bobbin having a hollow insertable so that the core and the bonne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an airtight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operating space and the bonnet to block movement of the fluid.
  • a plate is formed on the valve housing to close one side,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bonnet passes is formed in the plate.
  • a plate is formed on the distributor housing to close the open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p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pace are formed to be stepped from each other.
  • one end of the outle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ng space of the valve.
  • the clean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one distributor to clean the sensor mounted on the vehicle.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nsor cleaning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top to bottom.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 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obliquely from the bottom to the top
  • FIG. 7C is a perspective view cut along line B1-B1' shown in FIG. 7A
  • FIG. 7D is a top view of the mani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E is B2-B1 shown in FIG. 7A.
  • It is a perspective view cut along line B2'
  • Figure 7f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line B2-B2' shown in Figure 7a.
  • Figure 1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and the second damper
  • Figure 1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pper and the second damper combined
  • Figure 16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shown in Figure 16b. am.
  • the second bottom surface 117-21 may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P.
  • the passage (P) is formed inside the manifold body 112, and may have an opening (P1)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side thereof is open.
  • the opening (P1) may refer to a portion exposed to the second bottom surface (117-21), and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e (H) of the outlet portion (116) through this opening (P1). there is.
  • a height differen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pening part P1 and the hole H of the outlet part 116 by the protrusion length d2 of the outlet part 116 described above.
  • FIG. 11 is a view showing a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11
  • FIG. 13 is a view showing a valv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 drawing showing the bonnet
  • Figure 14 is a drawing showing the plung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 drawing showing the guide part removed from Figure 14
  • Figure 1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and the second damper.
  • 1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pper and the second damper combined
  • FIG. 16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shown in FIG. 16B.
  • the bonnet small diameter portion 130-61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interior of the bobbin 130-2.
  • the bobbin 130-2 may be arranged so that its upper surface 130-6a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130-5.
  • the diameter of the bonnet small diameter portion 130-61 corresponds to the hole 108 formed in the valve insertion portion 107, the hole formed in the plate 130-3, and the hole 142 formed in the first flange 140. You can have
  • the 1-2 damper portion 130-162 may be seated on the first bottom surface 117-11 (or seating portion) formed in the valve operating space portion 117.
  • the outer surfaces of each of the 1-1 damper part (130-161) and the 1-2 damper part (130-162) are formed on the first large-diameter part (130-62) and the second large-diameter part ( 130-63) Can be in contact with each inner surface.
  • valve assembly 130 and the manifold 110 when the valve assembly 130 and the manifold 110 are combined, a second airtight seal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valve operating space portion 117 and the bobbin 130-2.
  • Member 130-13 may be formed. This is to prevent fluid from leaking into the distributor housing 10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valve operating space portion 117 and the bobbin 130-2.
  • the plunger 130-7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re 130-5 due to the force F2 of the fluid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F3 of the elastic member 130-8. .
  •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130-7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nnet 130-6 do not directly collide due to the guide portions 130-9 and 130-10 formed on the plunger 130-7, so noise or Vibration can be preve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Valve Housings (AREA)
  • Lift Valv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고정 배치되되, 중공을 가지는 보빈; 상기 보빈의 중공 내에 배치되고, 자화 가능한 코어; 상기 코어와의 자기력 작용 여부에 따라 상기 코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부의 홀을 개폐 가능하며, 일측에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가 이동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코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1 댐퍼가 배치된 보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본 발명은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밸브의 작동 과정에서 충격에 의한 소음 또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밸브 조립체와, 상기 밸브 조립체를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를 세척하기 위해 유체를 분배시킬 수 있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레이더(radar), 라이다(lidar) 등 점점 많은 수의 센서가 자동차에 장착되고 있다.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센싱 정보 등이 가능한 한 최상의 품질이어야 하며, 따라서, 차량에 장착된 센서는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센서 세척 장치가 각 센서에 할당되어, 세척액을 분사함으로써 센서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센서 세척 장치는 센서의 수에 따라 증가될 수 있어 차량에 장착되는 구성이 복잡하고 많은 수의 센서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 따라서, 하나의 분배기를 통해 세척액을 각 센서에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분배기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운전자에게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될 수 있어 이러한 소음에 의해 차량 내 탑승자에게 불편이 야기될 수 있어,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세척용 분배기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다수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고정 배치되되, 중공을 가지는 보빈; 상기 보빈의 중공 내에 배치되고, 자화 가능한 코어; 상기 코어와의 자기력 작용 여부에 따라 상기 코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가 이동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코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1 댐퍼가 배치된 보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빈은,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보빈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양단에 배치된 보빈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보빈 소경부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상기 중공을 감싸도록 코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의 상면과 상기 보닛의 상단 하면 간에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보닛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닛은, 상기 보빈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보닛 소경부; 및 상기 보닛 소경부의 개방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되 상기 보닛 소경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하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제1 보닛 대경부; 및 상기 제1 보닛 대경부의 개방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되 상기 제1 보닛 대경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하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제2 보닛 대경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보닛 소경부에 삽입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댐퍼는 그 중심에 상기 플런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닛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보닛 대경부에 배치되는 제1-1 댐퍼부; 및 상기 제1-1 댐퍼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1 댐퍼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보닛 대경부에 배치되는 제1-2 댐퍼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의 중공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보닛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플런저의 중공 내부 폐쇄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의 외측면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의 외측면에는 상기 플런저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유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보닛과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의 외측면과 상기 보닛의 내측면 사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런저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연장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시 상기 제1 댐퍼와 충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시 상기 제1 댐퍼와 충돌가능한 제2 댐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원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분배기 하우징;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부를 가지며, 상기 유출부의 홀이 노출되고 상기 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조립체가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을 갖는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하우징;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 내에 형성된 홀; 상기 삽입부 내에 형성된 홀 및 밸브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1 기밀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자화 가능한 코어; 상기 코어와의 자기력 작용에 따라 상기 코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부의 홀을 개폐 가능하며, 일측에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가 이동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코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1 댐퍼가 배치된 보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코어와 상기 보닛이 서로 맞닿도록 삽입 가능한 중공을 갖는 보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빈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코어 및 상기 플런저를 자화시키도록 코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닛의 양면 중, 상기 코어와 대향하는 일면은 폐쇄되고, 상기 작동공간에 노출되는 타면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닛의 일단은 상기 작동공간에 형성된 안착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제1 댐퍼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2 댐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공간과 상기 보닛 사이에는 상기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에는 일측면을 폐쇄하도록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보닛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닛이 상기 작동공간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보닛과 상기 매니폴드는 플랜지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공간과 상기 플랜지 사이로 상기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기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가 작동할 수 있는 공간과 연통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에는 상기 삽입부의 개방면을 폐쇄하도록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센싱하도록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밸브;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출부를 포함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 내부로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과, 상기 유출부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 외부로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에는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에 상기 유출부의 홀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은, 상기 밸브의 일단이 안착되는 공간인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유출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밸브의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제2 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출부의 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공간의 바닥면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부의 일단은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 내부에는 상기 유체의 이동 경로인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의 바닥면에 노출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세척하기 위해 하나의 분배기를 통해 세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기에 장착된 밸브가 동작하는 경우에도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가 차량에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를 갖는 세척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본체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본체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c는 도 7a 도시된 B1-B1'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7e는 도 7a에 도시된 B2-B2'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f는 도 7a에 도시된 B2-B2'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A-A'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센서 세척용 분배기에서 하우징을 제거하여 내부 구성이 노출되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내부 구성 중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C-C'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가이드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는 스토퍼와 제2 댐퍼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6b는 스토퍼와 제2 댐퍼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도, 도 16c는 도 16b에 도시된 D-D'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8의 X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밸브에 전원이 OFF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8의 X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밸브에 전원이 ON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가 차량에 장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를 갖는 세척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는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각종 센서에 이물질이 부착된 경우 유체를 사용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분배기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워셔액 등 액체로 구성되거나, 공기 등 기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유체의 상태 또는 성분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가 공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10)는 차량(V)의 전방 또는 후방의 내부공간, 또는 루프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 세척용 분배기(10)가 차량(V)의 전방 또는 후방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분배기(10)에 장착된 분사노즐이 차량 하부 또는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차량(V)의 루프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분배기(10)는 루프 상부의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분배기(10)에 장착된 분사노즐이 루프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분배기(10)가 차량(V)에 배치되는 방향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를 갖는 세척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시스템은, 센서 세척용 분배기(10), 컴프레셔 모듈(20), 에어 드라이어(30), 에어 탱크(40), 상위 제어부(50) 및 센서부(60)를 포함한다.
센서 세척용 분배기(10)는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복수의 노즐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센서 세척용 분배기(10)에서 분사된 압축공기는 센서부(60)로 이동할 수 있다. 센서부(60)는 차량에 장착된 라이다(Lidar), 레이더(radar), 카메라 센서, 초음파 센서 등 복수의 센서(S1, S2, S3, ··· SN)를 의미하는 것으로, 센서 세척용 분배기(10)에서 분사된 압축공기는 각 센서(S1, S2, S3, ··· SN)로 이동할 수 있다.
센서 세척용 분배기(10)에는 컴프레셔(24) 또는 모터(26)를 제어하거나, 내장된 밸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컴프레셔 모듈(20)은 대기 중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22)와, 모터(26)의 구동력을 받아 상기 필터(22)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공기를 생성시키는 컴프레셔(24)를 포함한다. 에어 드라이어(30)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에어 탱크(40)는 압축공기를 저장하거나, 센서 세척용 분배기(10)로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위 제어부(50)는 세척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세척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정리하면, 컴프레셔 모듈(20)을 통해 생성된 압축공기는 에어 드라이어(30) 및 에어 탱크(40)를 거쳐 센서 세척용 분배기(10)로 유입될 수 있고, 센서 세척용 분배기(10)에 배치된 복수의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 각각은 차량 내에 장착된 각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기(10)를 통해 분사된 압축공기는 각 센서로 전달되어 세척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센서 세척용 분배기(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본체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본체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를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를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c는 도 7a 도시된 B1-B1'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폴드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7e는 도 7a에 도시된 B2-B2'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f는 도 7a에 도시된 B2-B2'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에 도시된 A-A'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용 분배기(10)는, 분배기 하우징(100)과, 매니폴드(110) 및 밸브 조립체(130)를 포함한다.
분배기 하우징(100)은 하우징 본체(101)와 하우징 커버(102)를 포함한다. 하우징 본체(101)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본체(101)의 개방된 일측에는 하우징 커버(102)가 결합될 수 있고, 타측에는 매니폴드(11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01)에 하우징 커버(102)와 매니폴드(110)가 장착됨으로써 하우징(100)은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본체(101)에는 차량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109)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본체(101)에 형성된 복수의 브라켓(109)들은 모두 동일 평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차량의 구조 또는 분배기(10)가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브라켓(109)은 다양한 모양 및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01)에는 커넥터(103)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03)는 하우징 본체(10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하우징 본체(101)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03)에 형성된 전극 단자(T)는 분배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전극 단자(CT)와 연결되고, 상기 전극 단자(CT)는 회로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03)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상위 제어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01) 내부공간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 본체(101)의 내부공간에는 압력센서(120)가 삽입될 수 있는 센서 삽입부(104)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삽입부(104)의 일측은 압력센서(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고, 센서 삽입부(104)의 타측에는 센서 삽입부(104)에는 압력센서(1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홀(1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05) 주변으로는 압력센서(1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04-1)이 형성될 수 있다. 센서 삽입부(104)에는 상기 홀(105)과 연통되도록 파이프(106)가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01)의 내부공간에는 밸브 조립체(130)가 삽입될 수 있는 밸브 삽입부(107)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삽입부(107)는 하우징 본체(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으나, 밸브 삽입부(107)의 형상, 개수 또는 형성 방향에는 제한이 없다. 밸브 삽입부(107)의 일측은 밸브 조립체(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고, 밸브 삽입부(107)의 타측에는 삽입된 밸브 조립체(130)의 일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홀(1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08) 주변으로는 밸브 조립체(13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107-1)이 형성될 수 있다.
매니폴드(110)는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매니폴드 본체(112)와, 유입부(114) 및 유출부(116)를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면, 매니폴드 본체(112)에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유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P)는 본체(112)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압력센서(120) 및 밸브 조립체(130)의 배치 방향을 고려하여 매니폴드 본체(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d에는 상기 유로(P)를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C1)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밸브 조립체(130)에 형성된 유로(P)의 위치, 개수, 또는 단면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매니폴드 본체(112)의 일측에는 본체(112) 외부에서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114)는 유로(P)와 연통될 수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14)는 상기 유로(P)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P)를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C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부(114)는 호스 등의 연결관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에어 탱크(4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유로(P)의 일측에는 마개(T)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T)는 유체가 유입부(114)로 유입되어 유로(P)를 따라 이동하다가 설계자가 의도하지 않은 경로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매니폴드 본체(112)의 타측에는 본체(112) 내부에서 외부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부(116)는 유로(P)와 연통될 수 있다. 유출부(116)에는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H)은 상기 유출부(1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출부(116)의 홀(H)을 따라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도 7f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출부(116)의 홀(H)을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C2)이 도시되어 있다. 유출부(116)는 호스 등의 연결관을 통해 차량에 장착된 각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매니폴드 본체(112)에는 유로(P)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밸브 작동공간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작동공간부(117)는 매니폴드 본체(112)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밸브 작동공간부(117)는 밸브 조립체(130) 중 전원이 인가되거나 해제됨에 따라 이동하는 부재, 구체적으로는 플런저(130-7)의 작동 공간일 수 있다. 밸브 작동공간부(117) 내에는 유로(P)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밸브 작동공간부(117)의 형성 깊이에 따라 밸브 작동공간부(117)에서의 유로(P)는 홈(도 7에 도시된 유로(P) 참조) 또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밸브 작동공간부(117)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매니폴드 본체(112)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은 밸브 조립체(130)의 안착을 도와줄 수 있는 공간으로, 제1 바닥면(117-11), 제1 측면(117-12) 및 상측 개방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닥면(117-11) 또는 제1 측면(117-12)은 밸브 조립체(130)가 안착되는 안착부라 할 수 있다. 제1 바닥면(117-11)은 밸브 조립체(130)의 하단이 안착되는 면일 수 있다, 제1 바닥부(117-11)는 제1 공간 내에 매니폴드 본체(112)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닥면(117-11)은 제2 공간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닥면(117-11)은 내경와 외경을 가진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117-12)은 밸브 조립체(130)의 측면 일부와 접촉되는 면일 수 있다. 제1 측면(117-12)은 상기 제1 바닥면(117-11)의 일측에서 일정 각도로 꺾인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바닥면(117-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은 유출부(116)와 연결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제2 바닥면(117-21), 제2 측면(117-22) 및 상측 개방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닥면(117-21)은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닥면(117-21)에는 유출부(116)의 홀(H)이 제2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유출부(116)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면(117-22)은 상기 제2 바닥면(117-21)의 일측에서 일정 각도로 꺾인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상기 제1 바닥면(117-11)의 내경 부위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바닥면(117-21)은 제1 바닥면(117-11)과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출부(116)는 제2 바닥면(117-21)에서 일정 길이(d2)를 가지고 상기 매니폴드 본체(112)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출부(116)의 돌출 길이(d2)는 제2 공간의 높이와 동일 또는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닥면(117-21)은 유로(P)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P)는 매니폴드 본체(112) 내부에 형성되되, 그 상측의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P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방부(P1)는 상기 제2 바닥면(117-21)에 노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개방부(P1)를 통해 상기 유출부(116)의 홀(H)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부(P1)와 상기 유출부(116)의 홀(H) 사이에는 상술한 유출부(116)의 돌출 길이(d2)만큼 높이 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유출부(116)의 일단이 상기 제2 바닥면(117-21)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유로(P)의 개방부(P1)를 통해 제2 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유출부(116)의 돌출 높이 만큼 제2 공간을 채운 후에 유출부(116)의 홀(H)을 통해 매니폴드(11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배출될 때 차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P)는 상기 유출부(11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P)는 상기 유출부(116)와 일정 거리(d1)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d 내지 도 7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P)를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C1)과 상기 유출부(116)의 홀(H)을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C2)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한편, 하우징 본체(101)와 매니폴드(110)가 결합되는 경우, 밸브 삽입부(107)에 형성된 홀(108)은 밸브 작동공간부(117)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매니폴드 본체(112)에는 유로(P) 상에 센싱 공간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센싱 공간부(119)는 압력센서(120)가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작동 공간일 수 있다. 센싱 공간부(119)에는 유로(P)와 연통되는 유로홀(P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홀(PH)은 상기 유로(P)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P)를 따라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C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01)와 매니폴드(110)가 결합하는 경우, 하우징 본체(101)에 형성된 파이프(106)가 센싱 공간부(119)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본체(101)에 형성된 홀(105)은 센싱 공간부(119)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싱 공간부(119)에 삽입된 파이프(106)의 측면과 매니폴드(110) 사이에는 기밀부재(127)가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106)측면 둘레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밀부재(127)는 상기 홈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니폴드(110)와 하우징 본체(101)와의 기밀성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센서 세척용 분배기에서 하우징을 제거하여 내부 구성이 노출되도록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내부 구성 중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한편, 하우징 본체(101) 내에는 압력센서(120)와, 밸브 조립체(130) 및 회로기판(160)이 수용될 수 있다.
회로기판(160)은 제어부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회로기판(160)에는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제어를 위한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세척 시스템의 컴프레셔(24) 또는 모터(26)의 동작이나, 밸브 조립체(130)의 동작은 회로기판(160)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회로기판(160)에는 전극 단자(CT)가 삽입될 수 있는 홀(CTH)과, 압력센서(120)의 전극 단자(ST)가 삽입될 수 있는 홀(STH)과, 밸브 조립체(130)의 전극 단자(BT)가 삽입될 수 있는 홀(BTH)이 형성될 수 있다.
압력센서(120)는 에어 탱크(40) 또는 분배기 하우징(100)내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본체(101)에 형성된 센서 삽입부(104)에 삽입될 수 있다. 압력센서(120)는 몸체(121)와, 몸체(121)에서 연장된 측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1)는 센서 삽입부(104)에 형성된 안착면(104-1)에 안착될 수 있고, 측정부(122)는 센서 삽입부(104)에 형성된 홀(105)로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01)와 매니폴드(110)가 결합하는 경우, 압력센서(120)의 측정부(122)는 파이프(106)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센싱 공간부(119)의 내부 환경을 센싱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압력센서(120)의 일측에는 전극 단자(ST)가 형성되고, 이러한 전극 단자(ST)는 회로기판(160)에 형성된 홀(STH)에 삽입됨으로써 압력센서(120)와 회로기판(16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력센서(120)에서 측정된 신호는 회로기판(16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130)는 매니폴드(110)에서 유체가 매니폴드(110)에 형성된 유출부(116)를 통해 유출되거나 유출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것으로, 하우징 본체(101)에 형성된 밸브 삽입부(107)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130)는 전자기력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밸브 조립체(130)의 일측에는 전극 단자(BT)가 형성되고, 이러한 전극 단자(BT)는 회로기판(160)에 형성된 홀(BTH)에 삽입됨으로써 밸브 조립체(130)와 회로기판(16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는 회로기판(160)을 통해 밸브 조립체(13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밸브 조립체(130)와 매니폴드(110) 사이에는 제1 플랜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40)는 밸브 조립체(130)와 매니폴드(110)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플랜지(140)에는 밸브 조립체(130)가 삽입될 수 있는 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140)에 형성된 홀(142)은 밸브 삽입부(107)에 형성된 홀(108)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플랜지(140)에 형성된 홀(142)은 상기 밸브 삽입부(107)에 형성된 홀(108)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추후에 설명할 기밀부재(130-12)의 배치를고려한 것이다.
밸브 조립체(130)와 하우징 본체(101) 사이에는 제2 플랜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50)는 밸브 조립체(130)와 하우징 본체(101)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8 내지 10을 다시 참조하면, 제2 플랜지(150)는 밸브 조립체(130)의 상측과 결합되면서 하우징 본체(101)에 형성된 밸브 삽입부(107)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50)에는 후술할 전극 단자(BT)가 관통될 수 있는 홀(1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50)에는 후술할 코어(130-5)의 돌출부(130-51)가 삽입될 수 있는 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밸브 조립체(130)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B-B'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조립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가이드부를 제거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a는 스토퍼와 제2 댐퍼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6b는 스토퍼와 제2 댐퍼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도, 도 16c는 도 16b에 도시된 D-D'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130)는, 밸브 하우징(130-1)과, 보빈(130-2)과, 코어(130-5)와, 보닛(130-6) 및 플런저(130-7)를 포함한다.
밸브 하우징(130-1)은 내부에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수용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130-1)은 하우징 본체(101)에 형성된 밸브 삽입부(107)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하우징(130-1)은 밸브 삽입부(10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밸브 하우징(130-1)은 양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밸브 하우징(130-1)은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수용된 후, 그 양측면을 폐쇄하도록 부재들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밸브 하우징(130-1)의 일측면에는 플레이트(130-3)가 결합될 수 있고, 타측면에는 제2 플랜지(15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30-3)에는 밸브 삽입부(107)에 형성된 홀(108)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30-3)에 형성된 홀은 밸브 삽입부(107)에 형성된 홀(108)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30-3)에 형성된 홀은 제1 플랜지(140)에 형성된 홀(14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빈(130-2)은 밸브 하우징(130-1)의 내부에 배치되되, 중공을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빈(130-2)은 외경이 큰 보빈 대경부(130-21)와, 보빈 대경부(130-21)보다 외경이 작은 보빈 소경부(130-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 대경부(130-21)는 보빈(130-2)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고, 보빈 대경부(130-21)의 외경은 밸브 하우징(130-21)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보빈 소경부(130-22)는 보빈(130-2) 양단에 배치된 보빈 대경부(130-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빈 대경부(130-21)와 보빈 소경부(130-22)간 외경 차이로 인해 보빈(130-2)의 중공을 둘러싸도록 밸브 하우징(130-1)과 보빈(130-2)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빈 공간에는 코일부(130-4)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130-4)는 코일이 소경부(130-22)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일부(130-4)는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보빈(130-2)에는 코일부(13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극 단자(BT)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극 단자(BT)가 밸브 조립체(130)에 형성되는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코어(130-5)는 보빈(130-2)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도록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코어(130-5)는 보빈(130-5)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코어(130-5)는 보빈(130-2)의 중공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코어(130-5)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코일부(130-4)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화될 수 있다. 코어(130-5)의 일면에는 돌출부(130-5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0-51)가 제2 플랜지(150)에 형성된 홀(154)에 삽입되면, 코어(130-5)와 제2 플랜지(150)간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닛(130-6)은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원통 형상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보닛(130-6)의 일면은 폐쇄되고, 그 반대면은 개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보닛(130-6)은 직경이 작은 보닛 소경부(130-61)와, 보닛 소경부(130-61)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 및 외경을 갖는 제1 보닛 대경부(130-62)와, 제1 보닛 대경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과 외경을 갖는 제2 보닛 대경부(130-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닛 소경부(130-61)의 상면(130-6a)은 폐쇄되어 있고, 제2 보닛 대경부(130-63)의 하면(130-6b)은 개방되어 있다.
보닛 소경부(130-61)는 보빈(130-2)의 중공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보빈(130-2)은 그 상면(130-6a)이 코어(130-5)의 하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닛 소경부(130-61)의 직경은 밸브 삽입부(107)에 형성된 홀(108), 플레이트(130-3)에 형성된 홀 및 제1 플랜지(140)에 형성된 홀(142)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보닛 대경부(130-62) 및 제2 보닛 대경부(130-63)는 밸브 작동공간부(117)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매니폴드(110)에 제1 플랜지(140)가 결합되는 경우, 제1 플랜지(140)는 대경부(130-62)의 상면(130-62a)에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닛 대경부(130-63)의 일단은 밸브 작동공간부(117)에 형성된 제1 바닥면(117-11)(또는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닛 대경부(130-63)의 외측면은 밸브 작동공간부(117)의 내측벽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보닛 대경부(130-62)의 외측면은 제2 보닛 대경부(130-63)보다 직경이 작으므로 밸브 작동공간부(117)의 내측벽과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는,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제1 기밀부재(130-12)와, 보닛(130-6)과 제1 플랜지(140)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130-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30-11)는 후술할 제2 기밀부재(130-13)와 제1 플랜지(140)사이에 배치되어 제2 기밀부재(130-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보닛 대경부(130-62) 및 제2 보닛 대경부(130-62)의 내부에는 제2 댐퍼(130-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댐퍼(130-16)는 그 중심에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홀로 플런저(130-7)가 관통될 수 있다.
제1 댐퍼(130-16)는 그 중심에 형성된 홀 방향으로 돌출된 제1-1 댐퍼부(130-161)와, 상기 제1-1 댐퍼부(130-161)의 일단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 댐퍼(130-16)의 중심에 형성된 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2 댐퍼부(130-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댐퍼부(130-162)가 제1-1 댐퍼부(130-161)보다 더 돌출되므로, 밸브 작동공간부(117)에 존재하는 유체가 하우징(10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2 댐퍼부(130-162)는 밸브 작동공간부(117)에 형성된 제1 바닥면(117-11)(또는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1 댐퍼부(130-161) 및 제1-2 댐퍼부(130-162) 각각의 외측면은 보닛(130-6)의 제1 대경부(130-62) 및 제2 대경부(130-63) 각각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댐퍼(130-16)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댐퍼(130-16)는 NBR, NEM, SBR, CR, ACM, FKM, EPDM, VMQ, AU/EU 등의 다양한 합성고무로 구성되거나 천연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130-7)는 보닛(130-6)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중공(130-71)을 가진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플런저(130-7)에 형성된 중공(130-71)의 일면은 개방되고, 타면은 폐쇄될 수 있다.
플런저(130-7)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코일부(130-4)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자화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코어(130-5)와 플런저(130-7) 간에는 자기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플런저(130-7)는 코어(130-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코일부(130-4)에 전원 인가가 해제되면, 플런저(130-7)는 코어(130-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플런저(130-7)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플런저(130-7)의 상면과 보닛(130-6)의 상단 하면은 떨어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에어 갭(air gap)으로서, 플런저(130-7)와 코어(130-5)가 서로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에어 갭의 간격은 0.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런저(130-7)의 중공(130-71) 내부에는 탄성부재(130-8)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8)의 일단은 보닛(130-6) 상단의 하면에 접촉되고, 타단은 플런저(130-7) 중공(130-71)의 폐쇄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플런저(130-7)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부(130-9, 130-10)가 삽입될 수 있는 홈 형상의 삽입부(130-73, 130-7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30-9, 130-10)는 보닛(130-6)의 내측면과 플런저(130-7)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플런저(130-7)가 보닛(130-6)의 내측면에 직접 닿지 않고 보닛(130-6) 내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가이드부(130-9, 130-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9, 130-10)는 플런저(130-7)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의 띠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플런저(130-7)의 특정 영역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가이드부(130-9, 130-10)는 테프론, 카본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플런저(130-7)가 이동할 때, 플런저(130-7) 외주면과 보닛(130-6)의 내측면이 맞닿아 생기는 소음 및 내구성 문제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분배기(10)가 차량의 상부에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내구성 문제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줄 일 수 있다.
플런저(130-7)의 외주면에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홈 형상의 유로부(130-7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로부(130-72)의 홈 깊이는 삽입부(130-73, 130-74)의 홈 깊이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130-9, 130-10)는 유로부(130-72)와 삽입부(130-73, 130-74)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플런저(130-7)와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돌출부(130-91)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30-9, 130-10)와 플런저(130-7)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30-9, 130-10)가 플런저(130-7)의 외주면 특정 위치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되거나, 별도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부(130-9, 130-10)와 플런저(130-7)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30-7)의 외주면에는 중공(130-71)과 연통되도록 홀(130-7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로부(130-72)에 상기 홀(130-75)이 형성되어 있으나, 홀(130-75)의 형성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홀(130-75)이 형성되면, 플런저(130-7)를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은 두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플런저(130-7)쪽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경우에, 첫 번째 유체의 흐름 방향은 유로부(130-72)를 통해 플런저(130-7)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이고, 두 번째 유체의 흐름은 유로홀(130-75)을 통해 플런저(130-7) 내부로 이동한 후 중공(130-71)의 개방면으로 이동하는 방향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플런저(130-7)에는 플런저(130-7)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130-14)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30-14)는 플런저(130-7)가 삽입되는 삽입부(130-141)와, 삽입부(130-141)의 일단에서 연장된 확장부(130-14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30-141)는 플런저(130-7)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일면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30-141)의 내측 중심에는 후술할 제2 댐퍼(130-15)의 고정부(130-153)가 삽입될 홀(130-143)이 형성된다.
확장부(130-142)는 삽입부(130-141)의 일측 둘레를 감싸면서, 삽입부(130-14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30-142)는 제2-1 댐퍼부(130-161)의 돌출 부분에 충돌할 수 있을 정도로 삽입부(130-141)에서 연장될 수 있다.
확장부(130-142)에는 제2 댐퍼(130-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댐퍼(130-15)는 제1 댐퍼(130-16)와의 충돌시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확장부(130-142)의 영역 중 제1 댐퍼(130-16)와 충돌이 가능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댐퍼(130-15)는 제1 스토퍼(130-14)의 삽입부(130-141) 내측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부(130-151)와, 상기 중심부(130-151)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주변부(130-156)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부(130-151)의 하측면에는 고정부(130-15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0-153)가 제1 스토퍼(130-14)의 홀(140-143)에 삽입되면 제2 댐퍼(130-15)와 제1 스토퍼(130-14)간 고정력이 향상된다. 상기 중심부(130-151)의 상면에는 플런저(130-7)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돌기(130-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30-154)는 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반경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돌기(130-154)의 형상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주변부(130-156)는 제1 스토퍼(130-14)의 확장부(130-142)를 감싸는 형태를 마련될 수 있다. 주변부(130-156)의 상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쿠션부(130-157)가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130-157)는 제1 댐퍼(130-14)와 충돌할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쿠션부(130-157)에는 홈(130-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30-152)은 제2 댐퍼(130-15)가 충격을 받을 시 수축됨으로써 제1 댐퍼(130-15)가 받는 충격량이 더 줄어들 수 있다.
제2 댐퍼(130-15)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댐퍼(130-15)는 상술한 제1 댐퍼(130-16)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밸브 작동공간부(117)에 있는 유체가 분배기 하우징(100) 내부로 이동하여 회로기판(160)에 닿으면 쇼트 등이 발생하거나 심한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조립체(130)와 매니폴드(110)가 결합된 경우, 밸브 작동공간부(117)의 내측벽과 보빈(130-2)사이에는 제2 기밀부재(130-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유체가 밸브 작동공간부(117)의 내측벽과 보빈(130-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분배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체가 제1 플랜지(140)와 보빈(130-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분배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빈(130-2)의 외측 둘레 중 제1 플랜지(140)와 보빈(130-2) 사이에 기밀부재(130-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도 8의 X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밸브에 전원이 OFF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도 8의 X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밸브에 전원이 ON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17은 전원이 OFF되어 코어(130-5) 및 플런저(130-7)가 자화되지 않은 상태로서, 플런저(130-7)는 탄성부재(130-8)의 탄성력으로 인해 코어(130-5)와 멀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플런저(130-7)의 하측에 결합된 스토퍼(130-14)는 유출부(116)에 형성된 홀(H)을 폐쇄한 상태이므로, 유체가 유출부(116)를 통해 이동하지 못한다. 한편, 플런저(130-7)의 상면과 보닛(130-6) 상단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D1이다. 그리고, 제1 댐퍼(130-15)와 제2 댐퍼(130-16) 사이의 거리는 D2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의 상태에서 전원이 ON되면, 코어(130-5) 및 플런저(130-7)가 자화되고, 플런저(130-7)는 코어(130-5)와 가까워지는 방향(상측 방향)으로 전자기력(F1)이 작용한다. 이러한 전자기력(F1)은 플런저(130-7)를 코어(130-5)와 멀어지게 하는 방향(하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유체의 힘(F2)과 탄성부재(130-8)의 탄성 복원력(F3)보다 크다. 여기서, 유체의 힘(F2)이란 에어 갭에 존재하는 유체로 인해 플런저(130-7)의 상면에 작용하는 힘을 의미한다. 이러한 힘의 관계에 따라, 플런저(130-7)는 코어(130-5)쪽으로 이동한다. 플런저(130-7)가 이동하면서 스토퍼(130-14)에 의해 막힌 홀(H)이 개방되므로, 유체는 유출부(116)를 통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130-7)가 이동하다가 제1 댐퍼(130-15)가 제2 댐퍼(130-15)에 닿으면서 플런저(130-7)는 이동을 멈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댐퍼(130-15)와 제2 댐퍼(130-16)는 서로 충돌하여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소음 또는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에어 갭의 간격, 즉 플런저(130-7)의 상면과 보닛(130-6) 상단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D3이다. 여기서, D3는 도 17에 도시된 에어 갭의 간격인 D1보다 작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이 ON된 경우 플런저(130-7)가 최대로 이동하여도 플런저(130-7)의 상면이 보닛(130-6)과 충돌하지 않는다. 한편, 플런저(130-7)가 이동하는 동안 플런저(130-7)에 형성된 가이드부(130-9, 130-10)에 의해 플런저(130-7)의 외측면과 보닛(130-6)의 내측면은 직접 충돌하지 않으므로, 소음 또는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8의 상태에서 전원이 OFF되면 플런저(130-7)는 유체의 힘(F2) 및 탄성 부재(130-8)의 탄성 복원력(F3)으로 인해 코어(130-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플런저(130-7)에 형성된 가이드부(130-9, 130-10)에 의해 플런저(130-7)의 외측면과 보닛(130-6)의 내측면은 직접 충돌하지 않으므로, 소음 또는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7)

  1.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고정 배치되되, 중공을 가지는 보빈;
    상기 보빈의 중공 내에 배치되고, 자화 가능한 코어;
    상기 코어와의 자기력 작용 여부에 따라 상기 코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가 이동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코어의 하측에 배치되며,상기 스토퍼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1 댐퍼가 배치된 보닛;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보빈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양단에 배치된 보빈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보빈 소경부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 상기 중공을 감싸도록 코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면과 상기 보닛의 상단 하면 간에는 상기 플런저와 상기 보닛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상기 보빈의 중공에 삽입되도록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은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보닛 소경부;
    상기 보닛 소경부의 개방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되 상기 보닛 소경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하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제1 보닛 대경부; 및
    상기 제1 보닛 대경부의 개방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되 상기 제1 보닛 대경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하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제2 보닛 대경부;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보닛 소경부에 삽입되어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그 중심에 상기 플런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닛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보닛 대경부에 배치되는 제1-1 댐퍼부; 및
    상기 제1-1 댐퍼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1 댐퍼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보닛 대경부에 배치되는 제1-2 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중공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보닛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플런저의 중공 내부 폐쇄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외측면에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외측면에는 상기 플런저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유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보닛과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플런저의 외측면과 상기 보닛의 내측면 사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플런저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연장된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시 상기 제1 댐퍼와 충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플런저의 이동시 상기 제1 댐퍼와 충돌가능한 제2 댐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조립체.
  16. 전원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밸브 조립체;
    상기 밸브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분배기 하우징;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고,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부를 가지며, 상기 유출부의 홀이 노출되고 상기 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조립체가 작동할 수 있는 작동공간을 갖는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는,
    밸브 하우징; 및
    상기 분배기 하우징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 내에 형성된 홀 및 밸브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1 기밀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자화 가능한 코어;
    상기 코어와의 자기력 작용에 따라 상기 코어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면서 상기 유출부의 홀을 개폐 가능하며, 일측에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가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가 이동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코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1 댐퍼가 배치된 보닛;을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상기 코어와 상기 보닛이 서로 맞닿도록 삽입 가능한 중공을 갖는 보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코어 및 상기 플런저를 자화시키도록 코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양면 중, 상기 코어와 대향하는 일면은 폐쇄되고, 상기 작동공간에 노출되는 타면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일단은 상기 작동공간에 형성된 안착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제1 댐퍼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제2 댐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과 상기 보닛 사이에는 상기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기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에는 일측면을 폐쇄하도록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보닛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이 상기 작동공간에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보닛과 상기 매니폴드는 플랜지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과 상기 플랜지 사이로 상기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기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가 작동할 수 있는 공간과 연통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하우징에는 상기 삽입부의 개방면을 폐쇄하도록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2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체의 압력을 센싱하도록 압력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30.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밸브;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의 개폐에 따라 상기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출부를 포함하는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 내부로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과, 상기 유출부를 통해 상기 매니폴드 외부로 흐르는 유체 흐름의 중심 라인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에는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에 상기 유출부의 홀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은, 상기 밸브의 일단이 안착되는 공간인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유출부의 일부가 배치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밸브의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제2 공간의 바닥면에는 상기 유출부의 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의 바닥면과 상기 제2 공간의 바닥면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의 일단은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내부에는 상기 유체의 이동 경로인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밸브의 작동 공간의 바닥면에 노출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PCT/KR2023/021893 2022-12-29 2023-12-28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WO202414431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89318 2022-12-29
KR10-2022-0189318 2022-12-29
KR10-2023-0194484 2023-12-28
KR1020230194484A KR20240107024A (ko) 2022-12-29 2023-12-28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44317A1 true WO2024144317A1 (ko) 2024-07-04

Family

ID=9171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21893 WO2024144317A1 (ko) 2022-12-29 2023-12-28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107058A (ko)
WO (1) WO202414431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811A (ja) * 2009-04-28 2010-11-11 Toyota Motor Corp 流体用制御弁
EP2620560A1 (en) * 2010-09-26 2013-07-31 Li, Feiyu A pneumatic push button with air compensating structure
JP2017214852A (ja) * 2016-05-31 2017-12-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圧燃料供給ポンプの制御装置、及び高圧燃料供給ポンプ
WO2021254784A2 (de) * 2020-06-15 2021-12-23 Kendrion (Villingen) Gmbh Ventilblock und verfahren zur reinigungsmediumversorgung sowie verwendung eines ventilblocks
US20220234544A1 (en) * 2018-05-22 2022-07-28 Vitesco Technologies USA, LLC Vehicle Camera And Sensor Washer Manifold Assemb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5811A (ja) * 2009-04-28 2010-11-11 Toyota Motor Corp 流体用制御弁
EP2620560A1 (en) * 2010-09-26 2013-07-31 Li, Feiyu A pneumatic push button with air compensating structure
JP2017214852A (ja) * 2016-05-31 2017-12-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圧燃料供給ポンプの制御装置、及び高圧燃料供給ポンプ
US20220234544A1 (en) * 2018-05-22 2022-07-28 Vitesco Technologies USA, LLC Vehicle Camera And Sensor Washer Manifold Assembly
WO2021254784A2 (de) * 2020-06-15 2021-12-23 Kendrion (Villingen) Gmbh Ventilblock und verfahren zur reinigungsmediumversorgung sowie verwendung eines ventilblo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7058A (ko) 202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586A1 (ko) 청소기
WO2010044611A2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WO2024144317A1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WO2018199650A1 (en) Blender including noise blocking device
WO2017150862A1 (ko) 진공 청소기
KR20190132511A (ko) 광학 또는 광전자 디바이스의 투명한 커버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디바이스
WO2017034197A1 (ko) 세탁기
WO2013118619A1 (ja) 半導体試験装置
WO2020059946A1 (ko) 스프레이 펌프
WO2020080684A1 (ko) 구동 모터 방수 기능을 갖는 유량 조절 밸브 및 유량 조절 밸브가 적용된 비데 장치
WO2020189881A1 (ko) 평평한 하부면을 갖는 비데 본체
WO2021096042A1 (ko) 자동차용 복합노즐
WO2019004691A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다이어프램 조립체
WO2017003058A1 (ko) 마찰저항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WO2019132201A1 (ko) 광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WO2021020925A1 (ko) 로봇청소기
WO2024122758A1 (ko) 세로형 진공 그리퍼 장치
WO2020166836A1 (ko) 진공밸브
KR20240107024A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세척용 분배기
EP3841241A2 (en) Washing machine
WO2023096202A1 (ko) 식기세척기
WO2022139160A1 (ko) 로봇 청소기
WO2018043900A1 (ko) 진공 펌프 및 그 어레이
WO2023096204A1 (ko) 세제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WO2023096203A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9129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