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43938A1 -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43938A1
WO2024143938A1 PCT/KR2023/019475 KR2023019475W WO2024143938A1 WO 2024143938 A1 WO2024143938 A1 WO 2024143938A1 KR 2023019475 W KR2023019475 W KR 2023019475W WO 2024143938 A1 WO2024143938 A1 WO 20241439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unger
attachment unit
body attachment
applicator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94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원석
최현호
조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ublication of WO20241439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43938A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신체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전구간에 형성되는 리세스부가 포함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본 발명은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터와 신체 부착 유닛의 결합 및 분리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신체 부착 유닛의 제조 및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이다.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된다.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난다. 당뇨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 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저혈당 상태를 오가게 되는데, 응급 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찾아오고, 의식을 잃거나 당분 공급 없이 저혈당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CGM: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가 개발되고 있다. 연속 혈당 측정장치는 채혈에 따르는 사용자의 고통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배와 팔 등의 부위에 바늘 형태의 센서를 삽입한 후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연속 혈당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혈당 정보를 송신하는 신체 부착 유닛과 신체 부착 유닛으로부터 수신한 혈당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신체 부착 유닛은 사용자의 신체의 피부에 삽입 부착되어 사용자의 체액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트랜스미터로 구성되는데, 센서 모듈에는 피하지방에 삽입되어 세포 간질액을 추출하도록 바늘 모양으로 형성된 센서 프로브 등이 구비된다.
신체 부착 유닛을 신체에 삽입 부착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된다.
어플리케이터는 신체 부착 유닛을 신체에 삽입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체 부착 유닛을 신체에 삽입 부착하고, 신체 부착 유닛이 신체에 삽입 부착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신체로부터 분리 제거함에 따라 신체 부착 유닛만 신체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 상태를 수행하기 위해 신체 부착 유닛은 어플리케이터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신체 부착 유닛과 어플리케이터의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위해 다양한 구성요소가 사용되며, 이는 제조사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신체 부착 유닛 및 어플리케이터의 경우, 이러한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거나 아주 작은 설계 변경시에도 여러가지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특히, 신체 부착 유닛과 어플리케이터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신체 부착 유닛의 신체 부착 작업시 통증을 유발하거나 신체 부착 유닛의 신체 부착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터와 신체 부착 유닛의 결합 및 분리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신체 부착 유닛의 제조 및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며 제품 다양화를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신체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전구간에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포함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메인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신체 부착 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위치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신체 부착 유닛과 결합 해제되는 고정 후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후크의 일단부는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맞물림되며,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는 일단부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벽과 단차없이 편평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벽과 단차없이 편평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 부분이 챔퍼링되어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이 삽입 수용되는 센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센서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맞물림되거나 맞물림 해제되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메인 케이스 내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런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 후크를 상기 리세스부에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후크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고정 후크가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후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신체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측면 일측으로부터 바닥면을 거쳐 외측면 타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리세스부가 포함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홈 형태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양측단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메인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리세스부와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 후크; 및 상기 고정 후크가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후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터에 결합되는 신체 부착 유닛의 리세스부의 형상을 연속적인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의 제조 및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스펙 및 구조를 갖는 제품을 더욱 편리하게 제조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 부착 유닛과 어플리케이터의 결합 및 결합 해제 구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성능 및 신체 부착 유닛의 신체 부착 성능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혈당 측정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신체 부착 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구비되는 슈팅 플레이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의 플런저와 바늘 분리 유닛의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의 플런저와 바늘 분리 유닛의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유닛을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와 신체 부착 유닛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에 형성된 리세스부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 가이드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내부의 제 1 위치에서 플런저와 신체 부착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내부의 제 2 위치에서 플런저와 신체 부착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혈당 측정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에 신체 부착 유닛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10)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신체 부착 유닛(20)을 신체(B)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10)가 적용되는 혈당 측정장치는 연속 혈당 측정장치(CGM)를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에 의해 신체(B)에 부착되어 신체(B)로부터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외부 단말기(40)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일부분이 신체에 삽입되는 센서 부재(21), 신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22), 외부 단말기(4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칩 및 배터리를 포함하며,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무선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터(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장착되어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에 따라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토출됨으로써 신체(B)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내부에 신체 부착 유닛(20)이 장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체 부착 유닛(20)의 일측에는 접착 테이프(22)가 구비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 테이프(22)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 테이프(22)가 이형지로 덮인 상태로 어플리케이터(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형지는 어플리케이터(10)의 보호캡(200)이 메인 케이스(10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보호캡(200)에 부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10)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하고, 신체 부착 유닛(20)이 토출된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에서 토출된 후 신체 부착 유닛(20)은 어플리케이터(10)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토출되는 과정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의 센서 부재(21)가 사용자의 신체(B)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신체 부착 유닛(20)에는 바늘(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늘(30)은 센서 부재(21)의 일단부가 신체(B)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센서 부재(21)의 일단부를 감싸며 센서 부재(21)와 함께 신체(B)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바늘(30)은 신체 부착 유닛(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된다. 바늘(30)의 일단은 사용자의 신체(B)의 피부를 뚫고 사용자의 신체(B) 속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늘(30)의 타단에는 바늘 헤드(31)가 구비된다. 바늘(3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토출될 때 센서 부재(21)보다 먼저 사용자의 신체(B)의 피부를 뚫고 들어가 센서 부재(21)가 안정적으로 신체(B)에 삽입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바늘(3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 후에는 어플리케이터(10)의 바늘 분리 유닛(400)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도록 가압 버튼(140)이 장착되는 메인 케이스(100)와, 신체 부착 유닛(20)을 지지하면서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300)와, 플런저(300)에 탄성력을 가하는 플런저 스프링(340)과,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된 바늘(30)을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바늘 분리 유닛(400)을 포함한다.
플런저(300)는 메인 케이스(100) 내부의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외부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P1)는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측을 의미하고, 제 2 위치(P2)는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하측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방향은 외부 토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0)의 일단부에는 메인 케이스(100) 내부의 신체 부착 유닛(2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캡(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캡(20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플런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케이스(100)에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는 보호캡(200)을 분리한 이후에만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신체 부착 유닛(20)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보호 캡(200)은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된 신체 부착 유닛(2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신체 부착 유닛(20)에 대한 지지 기능도 수행한다. 보호캡(200)은 메인 케이스(100)에 결합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10)의 전체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0)는 일측에 가압 버튼(140)이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105)와, 외부 케이스(105)의 내부에 결합되어 플런저(300)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이너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플런저(300)와, 바늘 분리 유닛(400)과, 신체 부착 유닛(20) 등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15)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115)은 외측으로 개방되고 신체 부착 유닛(20)의 수용 공간(115)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5)의 개방된 부분은 보호캡(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가압 버튼(140)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될 수 있다. 메인 케이스(100) 내부에는 가압 버튼(14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슈팅 플레이트(1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슈팅 플레이트(130)는 이너 케이스(110)에 안착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다. 슈팅 플레이트(130)는 가압 버튼(140)의 누름 조작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300)는 제 1 위치(P1)에서 슈팅 플레이트(130)와 맞물림되고, 슈팅 플레이트(130)의 이동에 따라 슈팅 플레이트(130)와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플런저(300)는 슈팅 플레이트(130)와 맞물림 해제될 때 플런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버튼(140)은 도시된 것과 같은 누름 조작 방식 이외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슈팅 플레이트(130)를 작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슈팅 플레이트(130)의 일측에는 플런저(300)의 맞물림 후크(310)가 맞물릴 수 있는 받침부(131)가 구비된다. 플런저(300)는 맞물림 후크(310)가 받침부(131)에 걸림으로써 제 1 위치(P1)에 고정될 수 있다. 슈팅 플레이트(130)가 가압 버튼(140)에 의해 움직이면 맞물림 후크(310)가 받침부(131)에서 걸림 해제되어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슈팅 플레이트(13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슈팅 플레이트(130)와 플런저(300)의 맞물림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너 케이스(110)에는 슈팅 플레이트(1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리턴 부재(120)가 구비된다. 리턴 부재(120)는 슈팅 플레이트(130)에 대해 가압 버튼(140)에 의한 가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슈팅 플레이트(130)는 리턴 부재(1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플런저(300)의 맞물림 후크(310)와 안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플런저(300)는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지지할 수 있다. 플런저(300)는 플런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을 메인 케이스(100)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플런저(300)에는 플런저 돌기(315)가 구비된다. 플런저 돌기(315)는 플런저(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한다.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이동할 때 플런저 돌기(315)가 이너 케이스(110)의 일측에 맞물림되는 방식으로 플런저(30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300)는 플런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P2)까지만 이동하여 정지하고 메인 케이스(100)를 벗어나지 않는다.
플런저(300)의 일단부에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삽입되는 센서 수용부(320)가 형성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센서 수용부(320)에 장착되어 플런저(300)와 함께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300) 및 신체 부착 유닛(20)이 제 2 위치(P2)까지 이동할 때 신체 부착 유닛(20)의 센서 부재(21)가 사용자의 신체(B)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 수용부(320)의 가장자리에는 센서 수용부(320)에 삽입된 신체 부착 유닛(20)의 가장자리에 맞물림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고정시키는 고정 후크(325)가 구비된다. 고정 후크(325)는 플런저(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런저(300)가 제 1 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의 가장자리에 맞물림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후크(325)는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10)를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신체 부착 유닛(20)과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도 14 내지 도 21을 중심으로 후술한다.
이 밖에, 플런저(300)에는 바늘(3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335)가 형성된다. 관통구(335)는 센서 수용부(320)와 연결되도록 플런저(300)의 내측에 마련된다. 바늘(30)이 관통구(335)를 통과하여 센서 수용부(320)에 장착되는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바늘 분리 유닛(400)은 신체 부착 유닛(20)이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함에 따라 신체 부착 유닛(20)에 결합된 바늘(30)을 사용자의 신체(B)로부터 분리시킨다. 바늘 분리 유닛(400)은 플런저(300)에 고정되는 지지 컬럼(410)과, 지지 컬럼(4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늘 헤드(31)와 결합되는 바늘 홀더(422)와, 바늘 홀더(42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바늘 분리 스프링(435)을 포함한다.
지지 컬럼(410)은 플런저(300)에 고정되어 플런저(300)와 함께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며, 바늘 분리 스프링(435)은 바늘 홀더(422)를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바늘 홀더(42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장착되고, 바늘 홀더(422)는 지지 컬럼(410)에 맞물림된 상태로 고정되며 외측면에는 트리거(428)가 형성되어 지지 칼럼(4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지지 컬럼(410)이 플런저(300)와 함께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중에 트리거(428)와 가압 접촉할 수 있는 가압부(125)가 이너 케이스(110)에 형성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에 따라 플런저(300)가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트리거(428)가 가압부(125)에 의해 가압되고, 이에 따라 바늘 홀더(422)의 지지 컬럼(410)에 대한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며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탄성력에 의해 바늘 홀더(422) 및 바늘(30)이 상향 이동하며 신체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 제거하면, 신체에는 신체 부착 유닛(20)만 부착된 상태로 남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10)를 이용하여 신체 부착 유닛(20)을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호캡(200)을 분리한다. 보호캡(2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신체 부착 유닛(20)의 이형지가 보호캡(200)과 함께 분리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의 접착 테이프(22)가 노출될 수 있다.
이후,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을 부착할 사용자의 신체(B)에 어플리케이터(10)를 위치시키고, 가압 버튼(140)을 누름 조작한다. 가압 버튼(140)이 조작되면, 슈팅 플레이트(130)가 이동함으로써 제 1 위치(P1)에 고정된 플런저(300)의 고정력이 해제된다. 슈팅 플레이트(130)에 의한 플런저(300)의 고정력이 해제되면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이 장착된 플런저(300)가 플런저 스프링(340)에 의해 제 2 위치(P2)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늘(30) 및 신체 부착 유닛(20)의 센서 부재(21)가 사용자의 피부를 뚫고 신체(B) 속으로 삽입된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중에 바늘 분리 유닛(400)의 트리거(428)가 메인 케이스(100)의 가압부(125)에 도달하면, 트리거(428)가 가압부(125)에 의해 가압되고 바늘 홀더(422)에 대한 고정력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바늘 홀더(422)는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바늘 홀더(422)가 바늘 분리 스프링(435)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신체 부착 유닛(20)의 센서 부재(21)와 함께 신체(B)에 삽입되었던 바늘(30)은 바늘 홀더(422)에 의해 당겨져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된다.
계속해서,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런저(300)는 플런저 스프링(3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P2)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 이때, 신체 부착 유닛(20)은 접착 테이프(22)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다.
신체 부착 유닛(20)이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중에 바늘 홀더(422)가 바늘(30)을 신체 부착 유닛(20)에서 분리하는 시점은 바늘(30)이 사용자의 신체(B)의 피부를 뚫고 센서 부재(21)를 사용자의 신체(B)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한 이후의 적절한 시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125)는 바늘(30)의 길이 등에 따라 바늘 홀더(422)의 이동 경로 중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신체 부착 유닛(20)이 사용자의 신체(B)에 부착된 후, 어플리케이터(10)를 신체 부착 유닛(20)에서 분리하면 신체 부착 유닛(20)의 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신체 부착 유닛(20)은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4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런저(300)와 신체 부착 유닛(20)의 결합 구조에 대해 도 14 내지 도 21을 중심으로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와 신체 부착 유닛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 부착 유닛에 형성된 리세스부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 가이드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내부의 제 1 위치에서 플런저와 신체 부착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내부의 제 2 위치에서 플런저와 신체 부착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는 플런저(300)가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고, 신체 부착 유닛(20)은 플런저(300)의 센서 수용부(320)에 삽입 수용되어 플런저(300)와 함께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한다.
이때, 플런저(300)에는 제 1 위치(P1)에서 신체 부착 유닛(20)과 결합하고 제 2 위치(P2)에서 신체 부착 유닛(20)과 결합 해제될 수 있는 고정 후크(325)가 결합되고, 신체 부착 유닛(20)에는 고정 후크(325)가 맞물림 결합될 수 있는 리세스부(2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300)에는 신체 부착 유닛(20)을 결합 및 결합 해제하도록 고정 후크(325)가 장착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 후크(325) 없이 신체 부착 유닛(20)이 플런저(300)에 단순 삽입 결합될 수도 있는 등 신체 부착 유닛(20)과 플런저(30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런저(300)에 고정 후크(325)가 장착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신체 부착 유닛(20)은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210)과, 일단부가 하우징(210)의 외부에 하향 돌출되도록 타단부가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 부재(21)(도 3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리세스부(211)는 하우징(21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은 상부 프레임(2102) 및 상부 프레임(2102)의 하부에 배치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면을 갖는 하부 프레임(2101)을 포함하고, 리세스부(211)는 하부 프레임(210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고정 후크(325)는 플런저(300)의 센서 수용부(3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센서 수용부(320)에 삽입된 신체 부착 유닛(20)의 리세스부(211)와 맞물림 결합되어 신체 부착 유닛(20)을 결합 고정시키도록 형성된다. 고정 후크(325)는 힌지축(325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런저(300)가 제 1 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고정 후크(325)가 이너 케이스(110)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신체 부착 유닛(20)과 맞물림 결합되고,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고정 후크(325)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신체 부착 유닛(20)과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고정 후크(325)에 대한 가압 및 가압 해제를 위해 메인 케이스(100)에는, 좀더 구체적으로는 메인 케이스(100)의 이너 케이스(110)에는 후크 가이드부(112)가 형성된다.
고정 후크(325)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수평 방향의 힌지축(3252)이 형성되는 회동 바디(3251)와, 회동 바디(3251)의 하단에 신체 부착 유닛(20)의 리세스부(211)와 맞물림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후크 돌기(32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동 바디(3251)의 일측면(후크 돌기(3253)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면)에는 이너 케이스(110)의 후크 가이드부(112)에 의한 가압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압 가이드(325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가이드(3254)는 회동 바디(3251)의 일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300)에는 고정 후크(325)의 힌지축(325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축 결합홈(301)이 형성되는데, 힌지축 결합홈(301)은 플런저(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 돌출부(302)의 상단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돌출부(302)는 플런저(300)가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플런저(30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플런저(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이너 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플런저(300)의 이동 가이드 돌출부(302)가 삽입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후크(325)는 플런저(300)에 복수개 결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00)의 양측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2개 설치된다. 물론, 이외에도 1쌍씩 서로 대향되는 형태로 4개 설치될 수 있는 등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신체 부착 유닛(20)에 형성되는 리세스부(211)는 하우징(2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데,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외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단턱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외측면 하단 모서리 부분이 챔퍼링되어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외에도 고정 후크(325)가 맞물림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리세스부(211)는 하우징(210)의 외측면 하단부 둘레를 따라 전체 구간에서 연속 형성되며, 하우징(210)의 외측면이 오목한 형태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102)과 하부 프레임(2101)을 포함하는데, 하부 프레임(2101)은 상부의 제 1 영역(2101a)과 하부의 제 2 영역(2101b)을 포함한다. 제 1 영역(2101a)은 상부 프레임(2102)의 측벽과 단차없이 편평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되며, 제 2 영역(2101b)은 제 1 영역(2101a)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 1 영역(2101a)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리세스부(211)가 오목하게 단턱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고정 후크(325)가 리세스부(211)의 단턱진 부분에 용이하게 맞물림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후크(325)가 복수개 결합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리세스부(211)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5에서는 리세스부(211)가 하우징(210)의 외측면에 연속되는 형태로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복수개의 고정 후크(325)가 동시에 하나의 리세스부(211)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리세스부(211)를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고, 특히, 고정 후크(325)의 개수 또는 위치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신체 부착 유닛(20)의 리세스부(211)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 없이 동일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어 부품의 제조 및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부(211)는 하우징(210)의 외측면 일측으로부터 바닥면을 거쳐 외측면 타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연속 형성되며, 하우징(210)의 외측면이 오목한 형태로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10)은 상부 프레임(2102)과 하부 프레임(2101)을 포함하는데, 이때, 리세스부(21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101)의 외측면 일측으로부터 바닥면을 거쳐 외측면 타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연속 형성된다. 이러한 리세스부(211)는 하부 프레임(2101)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홈 형태로 하우징(210)의 바닥면을 양측단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부(211) 또한 서로 연결된 형태로 하나의 일체형을 이루며, 이러한 하나의 리세스부(211)에 복수개의 고정 후크(325)가 동시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서로 대향되는 2개의 고정 후크(325)가 하나의 일체형 리세스부(211)의 양측단부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리세스부(211)는 하우징(210)의 하부 프레임(2101) 외측면 하단 모서리 부분이 챔퍼링되어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 후크(325)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대향되는 2개의 고정 후크(325)의 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대향되는 2개의 리세스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세스부(211)가 하우징(210)의 외측면 하단 모서리 부분이 챔퍼링되는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성형 공정 등이 필요하지 않아 제작이 용이하며, 고정 후크(325)와의 맞물림 기능 또한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챔퍼링 형태의 리세스부(21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외측면 하단 모서리 부분 전체 둘레를 따라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102)과 하부 프레임(2101)을 포함하고, 하부 프레임(2101)은 상부의 제 1 영역(2101a)과 하부의 제 2 영역(2101b)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리세스부(211)는 하부 프레임(2101)의 제 2 영역(2101b)에 형성된 외곽 하단 모서리 부분이 전체 둘레를 따라 챔퍼링되어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된 리세스부(211)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고정 후크(325)가 동시에 하나의 리세스부(211)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고, 고정 후크(325)의 개수 또는 위치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신체 부착 유닛(20)의 리세스부(211)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 없이 동일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어 부품의 제조 및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5,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세스부(211)는 복수개의 고정 후크(325)가 동시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고정 후크(325)가 각각 맞물림되는 위치를 따라 연속되는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이를 통해 부품의 제조 및 부품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9에는 메인 케이스(100)의 이너 케이스(110) 내측면에 형성된 후크 가이드부(112)의 형상이 도시된다. 후크 가이드부(112)는 플런저(300)의 위치에 따라 고정 후크(325)를 신체 부착 유닛(20)의 리세스부(211)에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형성된다.
후크 가이드부(112)는 이너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내측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후크 가이드부(112)는 내측면이 돌출면(1121) 및 오목면(1122)을 갖도록 형성되며, 오목면(1122)은 돌출면(1121)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크 가이드부(112)의 양측에는 플런저(300)의 이동 가이드 돌출부(302)가 삽입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가이드부(112)의 돌출면(1121)은 고정 후크(325)를 가압하고 오목면(1122)은 고정 후크(325)를 가압 해제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면(1121)은 플런저(300)가 제 1 위치(P1)에서 제 2 위치(P2)로 이동하는 동안 고정 후크(325)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고정 후크(325)의 가압 가이드(3254)와 접촉하며 가압 가이드(3254)를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오목면(1122)은 고정 후크(325)가 플런저(300)와 함께 제 2 위치(P2)에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 후크(325)를 가압 해제하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면(1121)은 상대적으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플런저(300)의 제 1 위치(P1)에서부터 제 2 위치(P2) 이동 직전 구간까지 이동 과정에서 고정 후크(325)를 리세스부(211)를 향해 가압하게 되고, 오목면(1122)은 상대적으로 오목한 형태이므로,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 후크(325)를 가압 해제하게 된다. 이때, 고정 후크(325)는 가압 상태에 따라 힌지축(325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신체 부착 유닛(20)의 리세스부(211)에 맞물림되거나 또는 맞물림 해제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고정 후크(325)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00)가 제 1 위치(P1)로부터 제 2 위치(P2)에 이동하는 동안 후크 가이드부(112)의 돌출면(1121)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고, 고정 후크(325)가 힌지축(3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플런저(300)의 센서 수용부(301)에 삽입 수용된 신체 부착 유닛(20)의 리세스부(211)와 맞물림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직선 이동하면, 고정 후크(325)는 후크 가이드부(112)의 오목면(1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 후크(325)는 후크 가이드부(112)의 오목면(1122)에 의해 가압 상태가 해제되므로, 고정 후크(325)가 힌지축(325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여 신체 부착 유닛(20)과 맞물림 상태도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즉, 플런저(300)가 신체 부착 유닛(20)과 함께 제 2 위치(P2)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신체 부착 유닛(20)이 접착 테이프(22)에 의해 신체에 부착된 상태이며(도 12 참조), 이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10)를 신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분리 제거하면(도 13 참조), 고정 후크(325)와 신체 부착 유닛(20)이 맞물림 해제된 상태이므로, 어플리케이터(10)만 신체로부터 분리 제거되고, 신체에는 신체 부착 유닛(20)만 부착된 상태로 남게 된다.
한편,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이동한 상태에서, 고정 후크(325)는 후크 가이드부(112)의 오목면(1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엄밀하게는, 고정 후크(325)에 대해 돌출면(1121)에 의한 가압 상태가 해제될 뿐 고정 후크(325)가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강제 회동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 고정 후크(325)가 힌지축(3252)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하게 되므로, 어플리케이터(10)를 신체로부터 분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즉,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플런저(300) 및 고정 후크(325)가 신체 부착 유닛(20)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고정 후크(325)와 리세스부(211)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다.
혹시라도, 고정 후크(325)의 자유 회전 상태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어플리케이터(10)를 신체로부터 분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고정 후크(325)와 리세스부(211)의 맞물림 상태가 원활하게 해제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터(10)를 신체로부터 분리 제거하는 힘이 신체 부착 유닛(20)에 일부 전달될 수 있어 신체 부착 유닛(20)의 접착 테이프(22)가 신체로부터 일부 떨어질 수 있는 등 신체 부착 유닛(20)의 신체에 대한 부착 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후크(325)가 리세스부(211)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고정 후크(325)에 탄성력을 가하는 별도의 탄성 부재(326)가 장착될 수 있다. 탄성 부재(326)는 고정 후크(325)와 플런저(300)의 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힌지축(3252)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326)에 의해 고정 후크(325)가 리세스부(211)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플런저(300)가 제 2 위치(P2)로 이동하면, 고정 후크(325)가 탄성 부재(326)의 탄성력에 의해 강제 회동하여 리세스부(211)와의 맞물림 상태가 강제 해제된다. 따라서, 고정 후크(325)와 리세스부(211)와의 맞물림 해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0 및 도 21에는 도 15에 도시된 신체 부착 유닛(20)의 형상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며,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신체 부착 유닛(20)의 형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신체 부착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전구간에 형성되는 리세스부를 포함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메인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신체 부착 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위치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신체 부착 유닛과 결합 해제되는 고정 후크가 결합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크의 일단부는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세스부에 맞물림되며,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는 일단부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벽과 단차없이 편평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측벽과 단차없이 편평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 부분이 챔퍼링되어 경사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이 삽입 수용되는 센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후크는,
    상기 센서 수용부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맞물림되거나 맞물림 해제되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메인 케이스 내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런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 후크를 상기 리세스부에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도록 후크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고정 후크가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후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10. 어플리케이터; 및
    상기 어플리케이터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신체 부착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외측면 일측으로부터 바닥면을 거쳐 외측면 타측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리세스부가 포함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부착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바닥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홈 형태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양측단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메인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리세스부와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되도록 결합되는 고정 후크; 및
    상기 고정 후크가 상기 리세스부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 후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PCT/KR2023/019475 2022-12-30 2023-11-29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414393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422 2022-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43938A1 true WO2024143938A1 (ko) 2024-07-0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2009A1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18222012A1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0027424A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0027427A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18222011A1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0036402A1 (ko)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WO2020027426A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WO2021033863A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센서 부재
WO2012081807A1 (ko) 채혈기구의 격발구조
WO2021025257A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용 삽입 가이드 니들 제작 방법
WO2020027434A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WO2020027425A1 (ko) 연속 혈당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
WO2020027433A1 (ko) 연속 혈당 측정 장치
WO2024143938A1 (ko)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18222010A1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4143869A1 (ko)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1020688A1 (ko)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의 안정화 방법
WO2023277270A1 (ko) 생체 정보 측정용 센서 유닛
WO2022186444A1 (ko) 연속 혈당 측정장치용 어플리케이터
WO2018222015A1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18222014A1 (ko)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3277268A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3277271A1 (ko) 경피성 센서를 삽입하기 위한 니들 및 니들 어셈블리
WO2023200078A1 (ko)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3277269A1 (ko) 생체 정보 측정용 신체 부착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