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90624A1 -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 - Google Patents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90624A1
WO2024090624A1 PCT/KR2022/016693 KR2022016693W WO2024090624A1 WO 2024090624 A1 WO2024090624 A1 WO 2024090624A1 KR 2022016693 W KR2022016693 W KR 2022016693W WO 2024090624 A1 WO2024090624 A1 WO 20240906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ok
protrusions
commercial vehicle
adjustable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66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대환
김미옥
김진국
김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특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특장
Publication of WO20240906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906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ercial vehicle in which a hook for fastening cargo is movable depending on the location, shape, and amount of the cargo.
  • the loading box of a boxcar-type cargo vehicle has a closed structure and has a hinged door only at the rear.
  • the above truck has a problem in that when loading heavy cargo,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the cargo to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and load it.
  • wing body trucks that open and close both sides of the cargo compartment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used. By using these wing body trucks, heavy cargo can be loaded more easily.
  • the ratchet bar and fixing strap are used to tie to multiple binding ring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eneral cargo truck, thereby securing the cargo at the risk of deformation and damage to the left and right wings.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ercial vehicle in which a hook for fastening cargo is movable depending on the location, shape, and amount of the cargo.
  •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ercial vehicle having an adjustable hook, including a rail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hook unit that can be hung with a rope for fixing cargo and is movable along the rail. .
  • I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frame or fence of the vehicle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hook unit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mmercial vehicle.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may have a high protrusion height.
  •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have high first protrusions repeated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pacing at which the high first protrusions are arranged may be equal to or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hook unit.
  • the hook unit includes a moving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rail; and a movement limit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and sel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 the hook unit may further include a ratchet assembly that selectively restricts rotation of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 the position of the hook that secures the cargo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location, shape, and amount of the cargo, thereby stably fixing the cargo.
  • Figure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ercial vehicle including a hook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ercial vehicle including a hook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ercial vehicle including a hook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some components of a commercial vehicle including a hook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ercial vehicle including a hook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ercial vehicle including a hook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xpressions such as “or” include any and all combinations of words listed together.
  •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modify various elements of the various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elements. No.
  •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 the above expressions can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user device and the second user device are both user devices and represent different user devices.
  •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ercial vehicle (1) having a hook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off the side of Figure 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is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ommercial vehicle 1 having a hook whos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ly.
  • a commercial vehicle 1 having a hook whose position is adjustable includes a rail 100 and a hook unit 200. Moreover, 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rusion 300.
  • the commercial vehicle 1 is, for example, a truck and includes a frame, cabin, wheels, engine, cargo box, etc.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generally refers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rail 10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 the rail 100 is formed on the frame, door 10, or fence of the commercial vehicle 1,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frame may form the skeleton of the car body and may be a separately provided component for the rail 100.
  • the door 10 or fence is a component to prevent cargo loaded on the commercial vehicle 1 from falling off, and is arrang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vehicle body. At this time, since the door 10 or the fence is a known componen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 the rail 100 may be concavely formed so that a hook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and moved as shown. That is, the rail 1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pe with an interior wider than the inlet to prevent the moving member 210 of the hook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being removed. 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rail 100 is open,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rail 1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oving member 210 can be changed to a shape that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 the hook unit 200 includes a moving member 210 that moves along the rail 100, and a hook bracket 22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10 and coupled to a hook on which a rope, etc. is caught.
  • the hook unit 200 can move along the rail 100 even when fixing cargo. To prevent this, the components described below are included.
  • the first protrusion 300 is formed on a frame or fenc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 the first protrusion 300 may protrude outwar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in order to prevent the hook unit 200 from mov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r the rail 100.
  •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first protrusion 3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mmercial vehicle 1.
  • it is formed on the door 10 or the fence,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lower part of the exposed side of the door 10 or the fence.
  • the first protrusion 300 may have different protruding heights. In more detail,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300 may protrude from the frame, door 10, or fence at a higher height than other portions. Because of this, when combined with the hook unit 200, the first protrusion 300 can more firmly fix the hook unit 200.
  • some of the first protrusions 300 may be formed high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at is, three low protrusions and one high protrusion can be repeatedly arranged. At this time, the spacing between the high protrusions may be equal to or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hook unit 200. Accordingly, the hook unit 200 can always be engaged with at least one high protrusion.
  • Figure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hook unit 200.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 section.
  • the hook unit 200 can hold a rope or strap for fixing cargo, can move along the rail 100,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300.
  • the hook unit 200 includes a moving member 210 movably coupled to the rail 100, and a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10. do. At this time,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10. Additionally,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231 that corresponds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300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300.
  • the movable member 210 is movably coupled to the rail 100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21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rail 100, and the other portion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moving member 210 may be approximately 8 to 16 cm.
  •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10. At this time,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10 itself, or is indirectly rotated by being coupled to the hook bracket 220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10 as shown. Possibly combined.
  • the hook bracket 220 is approximately “L” shaped, and both open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210. At this time,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may be disposed and coupled between both legs of the hook bracket 220. Additionally, the hook bracket 220 may be coupled to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300,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231 that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300 and are selectively coupled to each other.
  • the second protrusion 231 is crossed and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300 when the hook bracket 220 and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rotate clockwise, and when the hook bracket 220 and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rotate clockwise, the second protrusion 231 is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300 when the hook bracket 220 and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rotate clockwise. 1 is separated from the protrusion 300. Because of this, the hook unit 200 can be fixed or moved as needed.
  •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is formed as a plate or block to correspond to the frame, door 10, or fence.
  • the second protrusion 231 is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movement limiting member 230 to correspond to the first protrusion 300. That is, since the second protrusion 231 corresponds to the first protrusion 300, it is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protrudes outward. Additionally, the second protrusion 231 extend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rather tha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 the hook unit 200 includes a hook 250 for fixing the rope to the hook bracket 220, a rotating member 240 to which the hook 250 is coupled, and a rotating member 240. ) may further include a ratchet assembly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hook.
  • the rotation member 2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ok bracket 220 and serves as the rotation axis of the hook.
  • Rotating member 240 (24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located between the hook brackets (220). Additionally, the rotating member 240 may have holes for fixing straps formed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 the hook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240 as shown and secures the strap or rope.
  • the ratchet assembly 260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240 and may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hook 250.
  • the ratchet assembly 260 includes a ratchet wheel 261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240 and a ratchet pawl coupled to the hook bracket 220 and acting on the ratchet pawl 262.
  • the hook unit 200 can freely move along the rail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hook unit 200 to a position suitable for the size, capacity, and shape of the cargo.
  • the hook bracket 220 rotates upward, and the first protrusion 30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1 are coupled. At this time, by fixing the rope, the hook unit 200 can be firmly fixed even if force is applied to the cargo as it moves.
  • a ratchet assembly 270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ratchet assembly 270 may further include a ratchet assembly 270 that limits movement of the hook bracket 220.
  • the ratchet assembly 270 includes a ratchet wheel 271 and a ratchet pole 272.
  • the ratchet wheel 271 is coupled to a rotating shaft that allows the hook bracket 220 to rotate on the moving member 210, and the rotating shaft rotates together with the hook bracket 220, so it follows the rotation of the hook bracket 220.
  • the ratchet wheel 271 also rotates.
  • the ratchet pole 27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ok bracket 220 and interacts with the ratchet wheel 271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hook bracket 220.
  • the hook unit 200 maintains a specific angle when not fixing the cargo, thereby preventing noise generation and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의 위치, 형태, 양에 따라 화물을 결속하는 후크가 이동 가능한 상용차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과,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로프가 걸릴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후크 유닛을 포함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
본 발명은 화물의 위치, 형태, 양에 따라 화물을 결속하는 후크가 이동 가능한 상용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과 같은 화물을 적재하는 차량은 무개차와 유개차로 나뉜다. 무개차는 우천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누수로 인한 화물의 손상을 막기가 어렵다. 근래에는 이삿짐이나 중요한 화물과 같이 화물의 손상이 발생하여서는 안되는 경우에는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으로서 윙바디 트럭 또는 탑차와 같은 유개차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유개차형 화물차의 적재함은 폐쇄구조를 가지면서 후면에만 여닫이 형태의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위와 같은 화물차는 무게가 무거운 화물을 적재할 때엔 화물을 적재함의 전면까지 이송시켜 적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적재함의 양쪽 면이 개폐되는 윙바디 트럭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윙바디 트럭을 사용함으로써 무거운 화물을 보다 쉽게 적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윙바디 트럭의 경우 상차된 화물을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결속장치가 마련되기 어려운 구조인 단점이 존재한다. 일 예로 일반 카고 트럭의 경우 라쳇 자동바 및 고정끈을 이용해 일반 카고 트럭 양측에 다수개 형성된 결속고리에 결속함으로써 좌/우측 날개의 변형 및 파손을 감수하고 화물을 고정하게 된다.
반면에, 윙바디 트럭의 경우 윙바디 날개에 의해 적재함이 밀폐되는 구조로 고정끈이 외부로 노출되지 어려운 구조임에 따라 도 2와 같은 일반 카고 트럭의 형태와 같은 결속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윙바디 트럭을 이용한 화물 운송시 적재된 화물을 결속하지 않고 운송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되고, 운송 중에 화물의 쓰러짐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별도의 고정고리 또는 홈을 적재함 바닥면에 형성하고, 라쳇 자동바와 고정끈을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을 하나의 대안으로 적용하고 있으나, 라쳇 자동바를 통해 고정끈 하나하나 상당한 인력에 의해 견고히 고정 시켜야 함과 동시에, 화물의 고정상태 해제시 역시 인력에 의해 하나하나 고정상태를 해제해야 함에 따른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별도의 고정 장치를 적재함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 적재함 내부의 적재 공간이 감소됨에 따라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유형 및 그 양에 있어서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화물의 위치, 형태, 양에 따라 화물을 결속하는 후크가 이동 가능한 상용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과,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로프가 걸릴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후크 유닛을 포함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를 제공한다.
차량의 프레임 또는 펜스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 유닛은 상기 복수 제1 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상용차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중 일부는 돌출된 높이가 높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높은 제1 돌출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높은 제1 돌출부가 배치된 간격은 상기 후크 유닛의 폭보다 같거나 좁을 수 있다.
상기 후크 유닛은,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에 대응하며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이동 제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을 포함하는, 위치 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상기 후크 유닛은 상기 이동 제한 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라챗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물의 위치, 형태, 양에 따라 화물을 고정하는 후크의 위치를 변경하여,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의 일부 구성요소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을 절단한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1)의 일부를 개략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1)는 레일(100),후크 유닛(200)을 포함한다. 더욱이 제1 돌출부(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용차(1)는 예컨대 트럭으로, 프레임, 캐빈, 휠, 엔진, 적재함 등을 포함한다. 차체의 길이방향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후 이동방향을 지칭한다.
레일(100)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레일(100)은 상용차(1)의 프레임, 도어(10) 또는 펜스에 형성되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프레임은 차체의 골격을 이룰 수 있으며, 레일(100)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어(10) 또는 펜스는 상용차(1)에 적재된 화물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차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때, 도어(10) 또는 펜스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레일(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후크 유닛(200)이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100)은 후술하는 후크 유닛(200)의 이동 부재(21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략 입구보다 내부가 넓은 사각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100)은 하방이 개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일(100)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이동 부재(210)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후크 유닛(200)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210)와, 이동 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로프 등이 걸리는 후크와 결합되는 후크 브라켓(220)을 포함한다.
한편, 후크 유닛(200)은 화물 고정시에도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돌출부(300)를 설명하면, 제1 돌출부(300)는 프레임 또는 펜스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차체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300)는 후크 유닛(200)이 차량의 이동방향 또는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1 돌출부(300)는 상용차(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 또는 펜스에 형성되되, 도어(10) 또는 펜스의 노출된 측면 하부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돌출부(300)는 돌출된 높이가 다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비록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제1 돌출부(300) 중 일부는 프레임, 도어(10) 또는 펜스에서 돌출된 높이가 다른 일부보다 높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후크 유닛(200)과 결합 시 제1 돌출부(300)는 보다 견고하게 후크 유닛(200)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300) 중 일부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낮은 돌출부 3개, 높은 돌출부 1개가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높은 돌출부가 배치된 간격은 후크 유닛(200)의 폭보다 같거나 좁을 수 있다. 따라서, 후크 유닛(200)은 항상 적어도 하나의 높은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후크 유닛(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후크 유닛(200)은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로프 또는 스트랩 등이 걸릴 수 있으며,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복수의 제1 돌출부(3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후크 유닛(200)은 레일(1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210), 이동 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제한 부재(230)를 포함한다. 이때 이동 제한 부재(230)는 이동 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이동 제한 부재(230)는 복수의 제1 돌출부(300)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제1 돌출부(300)와 결합되는 제2 돌출부(231)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동 부재(210)는 일부가 레일(100)의 형상에 대응하며, 다른 일부는 차체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이동 부재(210)의 길이는 대략 8~16cm 사이일 수 있다.
이동 제한 부재(230)는 이동 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동 제한 부재(230)는 그 자체로 이동 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후크 브라켓(220)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크 브라켓(220)은 대략 “ㄷ”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양 단부가 이동 부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동 제한 부재(230)는 후크 브라켓(220)의 양 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 브라켓(220)은 제1 돌출부(3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 제한 부재(230)가 결합되거나, 이동 제한 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이동 제한 부재(230)를 설명하면, 이동 제한 부재(230)는 복수의 제1 돌출부(300)에 대응하며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231)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제2 돌출부(231)는 후크 브라켓(220) 및 이동 제한 부재(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돌출부(300)와 엇갈려 결합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돌출부(300)에서 분리된다. 이로 인해, 후크 유닛(200)은 필요에 따라 고정되거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돌출부(231)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 제한 부재(230)는 프레임, 도어(10) 또는 펜스에 대응하도록 플레이트 또는 블록로 형성된다. 이때, 제2 돌출부(231)는 제1 돌출부(300)에 대응하도록 이동 제한 부재(230)의 일부가 삭제되어 형성된다. 즉, 제2 돌출부(231)는 제1 돌출부(300)에 대응하므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2 돌출부(231)는 차체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보다 상세히,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후크 유닛(200)은 후크 브라켓(220)에 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250), 후크(250)가 결합되는 회전 부재(240), 회전 부재(240)와 결합되어 후크의 이동을 제한하는 라챗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240)는 후크 브라켓(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크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회전 부재(240)(24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후크 브라켓(22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회전 부재(240)는 스트랩 고정을 위한 홀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는 회전 부재(2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며, 스트랩 또는 로프를 고정한다.
라챗 어셈블리(260)는 회전 부재(240)에 결합되며, 후크(25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라챗 어셈블리(260)는 회전 부재(240)에 결합되는 라챗 휠(261)과, 후크 브라켓(220)에 결합되어 라챗 폴(262)과 작용하는 라챗 폴을 포함한다.
위치 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1)의 동작을 설명하면, 화물을 고정하기 전에는, 후크 유닛(200)은 레일(100)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크 유닛(200)을 화물의 크기, 용량, 형태에 맞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화물 고정시에는 후크 브라켓(220)이 상방으로 회전하여, 제1 돌출부(300)와 제2 돌출부(231)가 결합된다. 이때, 로프를 고정하면 후크 유닛(200)이 이동에 따라 화물에 힘이 가해져도,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후크 유닛(200)은 자유롭게 회전하므로 화물을 고정하지 않을 시 상용차(1)의 이동에 따라 프레임, 도어(10) 등에 부딪혀 소음을 유발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챗 어셈블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후크 브라켓(220)의 이동을 제한하는 라챗 어셈블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라챗 어셈블리(270)는 라챗 휠(271)과 라챗 폴(272)을 포함한다. 라챗 휠(271)은 후크 브라켓(220)을 이동 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 샤프트와 결합되며, 회전사프트는 후크 브라켓(220)과 함께 회전하므로, 후크 브라켓(220)의 회전에 따라 라챗 휠(271)도 함께 회전한다.
라챗 폴(272)은 후크 브라켓(220)의 측면에 구비되어, 라챗 휠(271)과 상호작용하여, 후크 브라켓(2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크 유닛(200)이 화물을 고정하지 않을 시 특정 각도를 유지하여, 소음발생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 및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로프가 걸릴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후크 유닛;
    를 포함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프레임 또는 펜스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 유닛은 상기 복수 제1 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상용차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 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 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 중 일부는 돌출된 높이가 높은, 위치 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높은 제1 돌출부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높은 제1 돌출부가 배치된 간격은 상기 후크 유닛의 폭보다 같거나 좁은, 위치 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유닛은,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돌출부에 대응하며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이동 제한 부재;
    을 포함하는, 위치 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유닛은 상기 이동 제한 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라챗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위치 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갖는 상용차.
PCT/KR2022/016693 2022-10-27 2022-10-28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 WO202409062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349A KR20240059282A (ko) 2022-10-27 2022-10-27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
KR10-2022-0140349 2022-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624A1 true WO2024090624A1 (ko) 2024-05-02

Family

ID=9083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6693 WO2024090624A1 (ko) 2022-10-27 2022-10-28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9282A (ko)
WO (1) WO202409062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096A (ko) * 2016-11-02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KR102102474B1 (ko) * 2019-07-01 2020-04-20 김현희 트럭 적재함용 문짝
KR102102475B1 (ko) * 2019-07-01 2020-04-20 김현희 트럭 적재함용 조립식 문짝
CN210822004U (zh) * 2019-07-29 2020-06-23 常州市盛沃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厢盖锁紧装置、车厢及货车
KR20210034427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범훈 로프걸이와 도어경첩구가 구비된 알루미늄 일체형 차량 적재함 도어
CN112918370A (zh) * 2021-04-11 2021-06-08 单晓丽 一种交通运输用货物固定封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909A (ko) 2015-09-16 2015-10-07 이해수 화물차용 로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096A (ko) * 2016-11-02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KR102102474B1 (ko) * 2019-07-01 2020-04-20 김현희 트럭 적재함용 문짝
KR102102475B1 (ko) * 2019-07-01 2020-04-20 김현희 트럭 적재함용 조립식 문짝
CN210822004U (zh) * 2019-07-29 2020-06-23 常州市盛沃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厢盖锁紧装置、车厢及货车
KR20210034427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범훈 로프걸이와 도어경첩구가 구비된 알루미늄 일체형 차량 적재함 도어
CN112918370A (zh) * 2021-04-11 2021-06-08 单晓丽 一种交通运输用货物固定封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282A (ko)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065B2 (en) Multifunctional cargo hold system
US3069199A (en) Cover for the beds of pick-up trucks
CA1231589A (en) System for stacking containers on a flat bed vehicle
CA1335090C (en) Vehicle mountable luggage carrier assembly
US20020047032A1 (en) Device for the fixation of dimensionally stable suitcases
WO2011087230A2 (ko) 트럭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US4828316A (en) Vehicle curtain quick release device
WO2017086579A1 (ko) 차량용 다목적 캐리어
US3911831A (en) End door for enclosed rail cars
WO2012074182A1 (ko)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WO2024090624A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용차
US4826236A (en) Curtain-sided vehicle apparatus
US5215349A (en) Support system for flexible side walls for cargo vehicles
JPH09503468A (ja) 航空機貨物パニエアセンブリ
CN112105553A (zh) 装船用遮雨装置
WO2016060309A1 (ko) 화물차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US20180111577A1 (en) A mechanism for changing the luggage compartment width in a vehicle
US5782521A (en) Air flow management system for tractor trailers
KR200143425Y1 (ko) 트럭 적재함의 로프걸이
WO2021015304A1 (ko) 화물차의 화물 결박기구 세트
CN202541659U (zh) 厢式货车车厢三面板正弹簧式紧固装置
RU3256U1 (ru) Багажник для крыши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CN220363284U (zh) 车辆
KR100806206B1 (ko) 화물차량용 호로
AU674797B2 (en) Aircraft cargo panni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6358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