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0536A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0536A1
WO2024080536A1 PCT/KR2023/012548 KR2023012548W WO2024080536A1 WO 2024080536 A1 WO2024080536 A1 WO 2024080536A1 KR 2023012548 W KR2023012548 W KR 2023012548W WO 2024080536 A1 WO2024080536 A1 WO 20240805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ce
space
passage
do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25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훈
서창호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805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05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Definitions

  •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 the refrigerator can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thereby keeping the stored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 the refrigerator is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 top-mount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You can.
  • an ice maker is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to make ice.
  • the ice maker collect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or a water tank in a tray and then cools the water to create ic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may be stored in an ice bin.
  • Ice stored in the ice bin is discharged through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or the user can open the freezer door, access the ice bin, and take out the ice from the ice bin.
  • a refrigerato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36659, a prior document.
  • the refrigerator in the prior literature includes a cabinet hav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be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one side is equipped with an ice maker and dispenser; a main water tank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cooling supplied water; A water purif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cabinet and purifying the supplied water; a sub-water tank provided a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o additionally cool supplied water;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main water tank, sub water tank, dispenser, and ice maker; It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includes a branch valve that selectively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dispenser or ice maker.
  • One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with a slimmer dispenser.
  • an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cold air leakage is minimized by reduc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cap duct.
  • one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ice debris is prevented from accumulating in an ice guide forming an ice passage during the ice dispensing process.
  • one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forming an ice-making room or storage space at the rear of the slimmer dispenser.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at the door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or ice to an external spa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pace formed in the door and at least partially disposed above the dispenser to store i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ace formed in the door and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space.
  • the second space may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below the first space to store ice.
  • the dispenser may include a passage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ice stored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dispenser may include a cap duct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 the passage may include a first passag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cap duct.
  • the ice in the first space may be provid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ssage and then through the cap duct.
  • a first ice maker that produces ice may be placed in the first space.
  • a second ice maker that produces ice of a different type from that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 the first passage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disposed above the first passage and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 the first passag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rough hole disposed below the first passage and opened and closed by the cap duct.
  • the rotation center of the cap duct may be arranged to not overlap the first through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rotation center of the cap duct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through hole.
  • the first passage may include a first part disposed to face the front of the door.
  • the first passage may include a second part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pace.
  • the flow path formed by the second part may extend from the first through hole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 the passage may include a second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cap duct and the external space.
  • a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It is provided on the door and may include a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or ice to the external space.
  • the refrigerator includes a first space formed in the door and at least partially disposed above the dispenser to store ice; and a second space formed in the door, separated from the first space, and at least partially disposed below the first space to store ice.
  • the dispenser may include a passage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ice stored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dispenser may include a cap duct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 the passage may include a second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cap duct and the external space.
  • ice in the first space may pass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cap duct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passage.
  • a first ice maker that produces ice may be placed in the first space.
  • a second ice maker that produces ice of a different type from that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 the second passage may include a first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door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 the second passage may include a third portion disposed further apart from the front of the door than the first portion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 the second passag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third part.
  • a virtual rectangle connecting edg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portion may be provided such that its height is smaller than its width.
  • the cap duct When the cap duct is open, the cap duct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Electric components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art.
  • the electrical componen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display and a printed circuit board.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door including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nd a dispenser.
  • the dispenser may include a passage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ice stored in the first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cap duct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 the passage may include a first passag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cap duct.
  • the passage may include a second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cap duct and the external space.
  • ice in the first space may pass through the cap duct via the first passage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passage.
  • a first ice maker that produces ice may be placed in the first space.
  • a second ice maker that produces ice of a different type from that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 an edge of the cap duct may be disposed rearward than the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 the second passage may include a first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door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 the second passage may include a third portion disposed further apart from the rear of the door than the first portion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 the first passage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assage and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and a second through hol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ssage and fluidly connected to the cap duct. may include.
  • the third part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through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in the door or cabinet and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er that produces i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provided on the door and for dispensing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 the dispenser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 the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n ice slot formed in the dispenser housing through which the ice passes.
  • the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 cap duct that opens and closes the ice slot.
  • the cap duct may include a duct body.
  • the cap duct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uct body.
  • the bracket may include a first part connected to the duct driving unit.
  • th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part and coupled to the duct body.
  • 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door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 the duct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 ice slot.
  • the first body may include a first part.
  •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part and one end of the second part.
  •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part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t.
  • Part or all of each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 Part or all of each of the third and fourth parts may extend in a curved shape.
  • the third part and the fourth part a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y can be divided into a central region, an upper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a lower region connected to the second part. .
  • the curvature of the central area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curvature of the upper or lower area.
  • the radius of curvature of a portion of the central region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pper or lower region.
  • At least one of the length of the third part and the length of the fourth par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 the duct bod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o which the bracket is connected.
  • the cap duc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that connects the first portion and the duct body and ar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body.
  • the length of the duct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duct body by the vertical lengths is 1.3 or more and 1.45. It may be below.
  • the duct body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is coupled,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coupled.
  •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ortion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 the duct body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part, and a second coupling part located below the first coupling part.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may include a coupling end for coupl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coupling end.
  •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duct body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the top of each coupling protrusion.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may include a winding portion around which the wire is wound multiple times.
  • Each elastic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 Each of the elastic members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sion portion to b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 the second extension may include a first section extending along the first portion.
  • the second extens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ction bent from the first section, extending downward, and coupled to the duct body. can do.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may be grea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 the first part may include a guide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first section.
  •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top of the duct body.
  • the dispenser guides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to the ice slot and may further include an ice chute having an ice inlet and an ice outlet.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p duc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may be small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ice entrance of the ice chut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 the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n ice guide that guides ice passing through the ice slot.
  • the ice guide may include a first body forming an ice inlet.
  • the ice guid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extending below the first body.
  • the ice guid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ody extending below the second body, having a passage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body, and forming an ice outlet. When the cap duct opens the ice slot, the lowermost end of the cap duct may overlap the third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er provided on the door and producing i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housing provided on the door and forming a receiving spa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slot formed in the dispenser housing through which the ice passes.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chute that guides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to the ice slot.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ap duct that opens and closes the ice slot.
  • the ice chute may include an ice inlet and an ice outlet.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center of the cap duc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may be small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ice inle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 the cap duct may include a duct body and a bracke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uct body.
  • the duct body may include a first part and a second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duct body further includes a third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part and one end of the second part, and a fourth part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t. It can be included.
  • each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Some or all of the third part and the fourth part may extend in a curved shape.
  • At least one of the length of the third part and the length of the fourth par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 the turning radius of the cap duct can be reduced, so the sealing force by the cap duct can be improved, the leakage of cold air through the ice chute can be minimized, and the phenomenon of dew forming around the ice guide can be prevented. there is.
  • ice debris can b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in the ice guide that forms the ice passage.
  • the slimmer dispenser has the advantage of forming an ice-making room or storage space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oor or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door.
  • FIG.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separated.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iewed from the front.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viewed from the rear.
  •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in Figure 3.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cold air flow path in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of this embodiment.
  •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chu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10 is a view of the ice chut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iewed from below.
  •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guid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een from one side.
  • Figure 12 is a bottom view of the ice guid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p du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14 is a front view of the cap du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 du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16 is a side view of the cap du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1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ap duct, ice chute, and ice gu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ice slot is closed in this embodiment.
  • Figure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ap duct, ice chute, and ice gu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ice slot is open in this embodiment.
  • FIG.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 2 is a view showing on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n a separated state.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een from the front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een from the rear
  •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the refrigerator 1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cabinet 2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19).
  • Figure 2 shows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and a freezing compartment 19.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ne or mor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5.
  • the freezer compartment 19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ne or more freezer doors 30.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include a dispenser 11 for dispensing water and/or ice.
  • the freezer door 30 may be equipped with the dispenser 11.
  •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include one or more ice makers.
  • an ice maker is provided i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an ice make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or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 the dispenser 11 and the ice maker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door.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includes a plurality of ice makers.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for each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o include an ice maker.
  • the refrigerator 1 is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or a top mount type refrigerator. put it
  •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o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 the dispenser 11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a portion of the dispenser 11 may be recessed toward the rea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container can be placed.
  •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include a first ice maker 200.
  •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maker 500.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ice maker 200.
  • this embodiment does not ex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200 and 500 being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dispenser 11 may discharge ice generat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first ice maker 200 may include a portion located higher than the dispenser 11.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also include a portion located higher than the dispenser 11.
  • the first ice maker 200 and the second ice maker 500 are operated by a separate transfer mechanism.
  • Ice produced in one or more of the above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penser 11.
  • the dispenser 11 may include a first dispenser through which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is discharged, and a second dispenser through which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is discharged. do.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behind the dispenser 11.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n outer case 101 to form a front exterior.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door liner 102 coupled to the outer case 101.
  • the door liner 102 can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 an insulating space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101 and the door liner 102.
  •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insulating space.
  • the door liner 102 may include a first space 122 in which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 the first space 12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ice-making room.
  • the door liner 10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ace 124 in which the second ice maker 500 is located.
  • the second space 124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ice-making room.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omitted, and even in this case, the second space 124 may exist. At this time, the second space 124 may function as a door storage room used for a specific purpose.
  • the position of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changed.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 the second space 124 may exist or the second space 124 may be omitted.
  • the first space 122 may be formed as one surface of the door liner 102 is depressed toward the outer case 101.
  • the second space 124 may be formed as one surface of the door liner 102 is depressed toward the outer case 101.
  • the second space 124 may be depressed toward the dispenser 11.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 first ice bin 280 in which ice generat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is stored.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bin 600 in which ice generat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is stored.
  • the second ice bin 600 may also be omitted.
  • the first ice bin 28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22 together with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124 together with the second ice maker 500.
  • Cold generated in a cool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2.
  • the cooler may be defined as a means for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refrigerant cycle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2 .
  • Cold generated in the cool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4.
  •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4 .
  • the refrigerator 1 has a supply passage 2a that guides the cold air of the freezer compartment 19 or the cold air of the space where the evaporator that generates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is located to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0. ) may include.
  •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assage 2b that guides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0 to the freezer compartment 19 or a space where the evaporator is located.
  • the supply flow path (2a) and the discharge flow path (2b)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2).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 cold air inlet 123a.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the cold air inlet 123a may communicate with the supply passage 2a.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outlet 123b.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assage 2b.
  • the cold air inlet 123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may be the side facing the wall where the supply passage 2a is loc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 the cold air inlet 123a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may be the side facing the wall where the discharge passage 2b is loc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form of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200.
  • the second ice maker 500 can form ice in a spherical shape.
  • spherical shape means not only a spherical shape but also a shape similar to a spherical shape geometrically.
  •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 the transparency of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higher than that of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and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different.
  •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structure of the first ice maker 200 for producing ice and the method in which the ice is separated are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ice maker 500 and the method in which the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is separated. can be different.
  • the shape of the first space 122 where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second space 124 where the second ice maker 500 is located.
  • the shape may be different.
  • the depth of the second space 124 may be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space 122. Due to the difference in depth between the first space 122 and the second space 124, the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has a first side portion 102a and a second side portion 102b having different width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t can be included.
  •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ortion 102a. Due to the difference in width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10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ce maker 200.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portion where 500 is located may be thick.
  • One or more of the cold air inlet 123a and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of the door liner 102.
  •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may protrude further towar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than the first side portion 102a.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oor 130 (or first spac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space 122.
  • the first door 130 may be an insulated doo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side.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oor 132 (or a second spac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pace 124.
  • the second door 132 may be an insulated doo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side. Even if the second ice maker 500 is omitted, the second door 132 may exist.
  • heat transfer betwe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and the first and second spaces 122 and 124 can be minimized by the first and second doors 130 and 132.
  • the first door 130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by a hinge.
  • the second door 132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by a hinge.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oor 13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13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a basket 136 capable of storing foo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oor 130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the basket 136 when the basket 136 is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30,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ket 136 may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vertical direction. .
  • the basket 136 When the basket 136 is installed on the first door 130,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ket 136 may overlap the second ice maker 5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filte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one side 103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filter may be covered by a filter cover 142.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3,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cold air flow path i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of this embodiment.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passage for cold air flow.
  • the cold air flow path may be formed by a cold air duct, not shown.
  • the cold air duct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liner 102, for example.
  • the cold air flow path may guide cold air to one or more of the first space 122 and the second space 124.
  • the cold air flow path may include a first cold air flow path (P1).
  •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may guide cold air supplied from the cabinet 2 to the first space 122.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ld air may rise in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and be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pace 122. For example, cold air guided by the first cold air passage P1 may flow toward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cold air flow path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may guide cold air from the first space 122 to the second space 124.
  • Cold air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pace 122 may be discharged into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ld air passage P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 Cold air may descend from the second cold air flow path (P2) and be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4.
  • cold air guided by the second cold air passage P2 may flow toward the second ice maker 500.
  • the cold air flow path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ld air flow path (P3).
  • P3 third cold air flow path
  • the third cold air passage P3 may guide cold air in the second space 124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 Cold air i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may flow through the third cold air passage P3.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cold air passage P3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may be inclined downward.
  • the first ice maker 200 may include an ice tray 210 forming an ice-making cell.
  • the first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power to automatically rotate the ice tray 210 to separate ice from the ice tray 210.
  • the first ice maker 2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power from the driving unit to the ice tray 210.
  • the ice tray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Water discharged from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and dropped into the ice tray 210 may be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ice-making cells.
  • the ice When ice production in the ice tray 210 is completed, the 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210 as the ice tray 210 is rotated (twisted) by the driving unit. Ice separated from the ice tray 210 may be stored in the first ice bin 280.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include a first tray 510.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the second tray 550.
  • the first tray 510 and the second tray 550 may form an ice-making cell 501.
  • the second tray 550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
  • the second tray 550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may move linearly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or may perform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s.
  • the second tray 550 When the second tray 550 is a rotating type,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of the second tray 550. After completion of water supply, the second tray 550 may be rotated to the ice-making position. When the second tray 550 is a linear movement type,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second tray 550.
  • the second tray 550 When the second tray 550 is a rotating typ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550 may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ray 510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The portion of the second tray 55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510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may contact the first tray 510 at the ice making position to complete the ice making cell 501.
  • the dispenser 11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11a.
  •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form a receiving space.
  • a container such as a cup may be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Water or ice may be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space.
  •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front-back direction (X-axis direction).
  • the shortest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space 124 is greater than the shortest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first space 122 by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horizontal distance is large.
  •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pace 122 may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pace 124.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may overlap the first space 122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ice making cell 501 of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overlap the dispenser housing 11a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n ice chute 700 may be placed below the first space 122.
  • the ice chute 70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ap duct 900.
  • the ice chute 70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assage tha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ice moves or is discharged.
  • An ice guide 800 may be located below the ice chute 700.
  • the ice chute 700 may guide ice discharged from the first ice bin 280 to the ice guide 800.
  • the ice guide 800 may guide ice and allow the ice to be finally discharged.
  • the ice guide 80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assage tha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ice moves or is discharged.
  • the ice chute 700 may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pace 122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chute 700 may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water tank 34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chute 700 may overlap the water tank 34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tank 340 may overlap the ice-making cell 501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tank 340 may overlap the second ice bin 6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tank 340 may overlap the basket 136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location of the water tank 340 is not limited, and it can be placed in various positions as long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not increased or the increase in thickness is minimized.
  • the ice guide 800 may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reason that the second space 124 can be arranged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be due to the slimmer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shape of the ice guide 800, which forms part of the ice passage, may be important. The structure of the ice guide 8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the dispenser 11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11a.
  •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form a receiving space 11c.
  • the receiving space 11c may be formed as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is depressed backward.
  • the dispenser 11 may further include a pad 1010.
  • the pad 1010 may be movably installed in the dispenser housing 11a. A user can manipulate the pad 1010 to dispense ice and/or water. For example, the user may push or press the pad 1010.
  • a lever 1070 operated by the pad 1010 may be installed in the dispenser housing 11a.
  • a switch 1050 that is selectively turned on or off by the lever 1070 may be installed in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switch 1050 may be turned off.
  • the manipulation force of the pad 1010 is transmitted to the lever 1070, so that the lever 1070 turns on the switch 1050.
  •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further include an ice slot 111 through which ice guided by the ice chute 700 passes.
  • the ice slot 111 may be formed on the inclined wall 111a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inclined wall 111a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ront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from the top to the bottom.
  • the ice chute 7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ice chute 70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clined wall 111a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ice guide 800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c.
  • the ice guide 800 may guide i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ce slot 111.
  • the ice guide 800 may be located below the inclined wall 111a.
  • the ice slot 11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ap duct 900.
  • the cap duct 900 can open and close the ice slot 111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c.
  • the cap duct 900 is driven by the duct driver 990 to open and close the ice slot 111.
  • the duct driving unit 990 may include a motor.
  • the cap duct 900 may be rotated by driving a motor to open the ice slot 111.
  • the dispenser 11 may further include a water outlet 870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 the water outlet 870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c.
  • the water outlet 87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ice guide 800.
  • the dispenser 11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890 that supports the water outlet 870.
  • the dispenser 11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ing device 880 for sterilizing the water outlet 870.
  • the sterilizing device 880 may sterilize the water flow path formed by the water outlet 870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 the sterilizing device 880 can be omitted.
  • the dispenser 11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device.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1100.
  • the display 1100 can display the operating status of the refrigerator.
  • the display 1100 can function as an input unit that can receive user commands. The user can select or change the temperature or various functions by manipulating or touching the buttons displayed on the display 1100.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frame 1120 supporting the display 1100.
  • the display frame 1120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c.
  • the display frame 1120 may include an opening 1122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display 1100 passes.
  • An input module 1160 may be installed in the display frame 1120.
  • the type of ice can be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1160.
  • the state of ice to be discharged can be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1160.
  • transparent ice or opaque ice can be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1160.
  • ice of different sizes can be distinguished and selected through the input module 1160.
  • the input module 1160 may include a button,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input module 116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installed on the display frame 1120.
  • the input module 1160 may be installed or supported in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display frame 1120.
  • the display 1100 it is possible for the display 1100 to additionally perform the function of an input module without a separate input module 1160.
  •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supporter 1140 located behind the display frame 1120.
  • the display supporter 1140 may support the display 1100 penetrating the opening 1122.
  • the display supporter 1140 can be omitted.
  •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be coupled to the door liner 102.
  • the door liner 102 may include a space forming wall 124g that forms the second space 124.
  •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space forming wall 124g.
  • a mounting bracket 480 that guides water to the second space 124 may be installed on the space forming wall 124g.
  • the mounting bracket 480 may be located behind the ice guide 800. That is, the mounting bracket 480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ice guide 800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su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10 is a view of the ice su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viewed from the bottom.
  • the ice chute 700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711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122 .
  • the first through hole 710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assage.
  • the ice chute 7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rough hole 712 disposed below the ice chute 700 .
  • the second through hole 712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ap duct 900.
  • the ice chute 700 may include a chute body 710 having the first through hole 7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712.
  • the suit body 710 may include a first body 720 in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711 is formed.
  • the first through hole 7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720.
  • the first body 720 may include a flange 740 bent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720.
  • the flange 740 may contact the wall forming the first space 122.
  • the suit body 7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730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irst body 720 .
  • the second through hole 71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730.
  • the ice suit 700 may include a first part 710a disposed to face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a second part 710m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pace 124.
  • the flow path formed by the second part 710b may extend from the first through hole 711 toward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guid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een from one side
  • Figure 12 is a bottom view of the ice guid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the ice guide 80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810.
  • the first part 8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ce guide 800.
  • the ice guide 8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rt 850.
  • the third part 850 may be arranged to be further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than the first part 810 and may be provided below the ice guide 800.
  • the ice guide 8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830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rt 810 and the third part 850.
  • a virtual rectangle connecting edg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part 830 may be provided so that its height is smaller than its width.
  • the first portion 810 may include an ice inlet 813.
  • the third portion 850 may include an ice outlet 851.
  • the ice guide 8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xing part 814 for fixing the ice guide 800.
  • the ice guide 8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xing part 838 for fixing the ice guide 800.
  • the second fixing part 838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art 814 in the vertical direction.
  •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p du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14 is a front view of the cap du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 du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Figure 16 is a side view of the cap du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 the cap duct 9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duct body 901.
  • the duct body 901 may include a first body 910.
  • the first body 910 can open and close the ice slot 111.
  • the first body 91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912 forming a space 913 therein.
  • An opening 912a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912, and the first insulation foam 930 can be accommodated through the opening 912a.
  • the thickness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insulation foam 930 may be smaller than the depth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space 913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912.
  • the X-axis direction may be the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or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 the first body 910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914 extending around the receiving portion 912.
  • the flange 914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nsulation foam 9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912.
  • the flange 914 may serve to reduce ice debris accumulation on the ice guide 700 during the ice discharge process.
  • the receiving portion 912 may be formed in a non-circular shape. Although not limited, the receiving portion 912 may be formed in an oval or oval-like shape.
  • the first body 910 may include a first part 921.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rt 92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 the first body 910 may include a second part 922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 921.
  • the second part 9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 921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art 922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rt 921 may face the second part 922.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art 921 may be parallel to the second part 922.
  • the first body 9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art 923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part 921 and one end of the second part 922.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part 923 may be rounded.
  • the first body 91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part 924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part 92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rt 922.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th part 924 may be rounded.
  • the third part 923 and the fourth part 924 a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central region, the upper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the lower region (second connected to the part).
  • the curvature of the central region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curvature of the upper region and/or the lower region.
  • the radius of curvatur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central region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pper region and/or the lower region.
  •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third part 923 may be located between the third part 923 and the fourth part 924.
  •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fourth part 924 may be located between the third part 923 and the fourth part 924.
  • the length of the third part 923 may be greater than each of the first part 921 and the second part 922.
  • the length of the third part 923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t 921 and the second part 922.
  • the length of the fourth part 924 may be greater than each of the first part 921 and the second part 922.
  • the length of the fourth part 924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t 921 and the second part 922.
  • the maximum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part 923 and the fourth part 924 may be greater than the maximum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t 921 and the second part 922.
  •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910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That is, the length of the duct body 90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duct body 90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t this time,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duct body 901 by the vertical length is 1.3 or more and 1.45. It may be below.
  • the duct body 90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950 coupled to the first body 910.
  • the second body 95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912, for example. That is, the first insulating foam 93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913 of the receiving portion 912, and the second body 950 can be inserted into the remaining area.
  • the second body 950 may accommodate a second insulating foam 940. Accordingly, the second insulation foam 940 can als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912.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nsulation foam 94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ulation foam 930.
  •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cap duct 900 can be improved by the first insulation foam 930 and the second insulation foam 940.
  • the second body 950 may include a base 951.
  • An elastic member 9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950.
  • the second body 950 may further include a peripheral wall 952 extending around the base 951.
  • the second insulation foam 940 may be accommodated within the peripheral wall 952.
  • the peripheral wall 95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rtion 912. Substantially, the peripheral wall 952 may also include first to fourth parts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portion 912.
  • the cap duct 900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970 coupled to the duct body 901.
  • the bracket 970 is connected to the duct driver 990 and can transmit the power of the duct driver 990 to the duct body 901.
  • the bracket 97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950.
  • the bracket 970 may include a first part 971.
  • the first part 971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driver 990.
  • the first part 97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9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910 .
  • the first part 971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 921 of the first body 910.
  • the first part 971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lange 914 side to the base 951 side.
  • the bracket 97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975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971.
  • the second part 975 may exten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part 971.
  • the left and right width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second part 975 may be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first part 975.
  • the first part 971 may include a slot 971a.
  • the slot 971a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art 971 where the second part 975 is located.
  • the first part 971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shaft 972 to which the elastic member 980 is coupled.
  • the coupling shaft 972 may protrude into the slot 971a.
  •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98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971.
  •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98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ortion 971 while being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98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Accordingly, the first part 971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shafts 972.
  • the first part 971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arm 973a.
  • the extension arm 973a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driving unit 990.
  • the extension arm 973a may provide the center of rotation (RC) of the cap duct 900.
  • a shaft 973b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nsion arm 973a in the first portion 971.
  • the shaft 973b may be connected to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rotation center RC may pass through the shaft 973b.
  • the duct body 901 may further include first coupling portions 958 and 959 for coupling the second portion 975.
  • first coupling portions 958 and 959 may protrude from the base 951.
  •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958 and 959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958 and 959 may extend from the base 951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 the first coupling portion 958 on the left may include a first inner rib 958a and a first outer rib 958b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ner rib 958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n end of the first inner rib 958a may be bent toward the first outer rib 958b.
  • An end of the first outer rib 958b may be bent toward the first inner rib 958a.
  • the first coupling portion 959 on the right may include a second inner rib 959a and a second outer rib 959b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ner rib 959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n end of the second inner rib 959a may be bent toward the second outer rib 959b.
  • An end of the second outer rib 959b may be bent toward the second inner rib 959a.
  • the first inner rib 958a and the second inner rib 959a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outer rib 958b and the second outer rib 959b.
  • the first inner rib 958a and the second inner rib 959a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second portion 975 may include a first rib hole 976 through which the first inner rib 958a passes.
  • the second portion 975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ib hole 977 through which the second inner rib 959a passes.
  • One side of the second portion 975 may contact or be close to the first outer rib 958b.
  •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ortion 976 may contact or be close to the second outer rib 959b.
  • the duct body ( 901) relative rotation may be limited.
  • the duct body 90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second portion 975 is coupled.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coupling portions 958 and 959.
  • the second coupling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protruding from the base 951.
  • the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956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957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95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956 and 957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ase 951, and some portions may be bent downward.
  • the second portion 975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slot 978 to whic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coupl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956 and 957 penetrating the coupling slot 978, the first coupling portions 958 and 959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ortion 975.
  • the second coupling part essentially serves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duct driving unit 990 to the duct body 901. That is, when the bracket 970 is rotated by the duct driving unit 990, the bracket 970 can pull the duct body 901 to rotate the duct body 901.
  • the elastic member 980 accumulates elastic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cap duct 900 opens the ice slot 111 and exerts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 duct 900 closes the ice slot 111.
  • the cap duct 900 may provide elastic force.
  • the elastic member 980 may be a torsion spring, for example.
  • the elastic member 980 may include a winding portion 981 formed by winding a wire multiple times.
  • the coupling shaft 972 may be located inside the winding portion 981.
  • the elastic member 98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982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winding portion 981.
  • the first extension 982 may be supported on the dispenser housing 11a or on a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elastic member 98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sion part 983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winding part 981.
  • the second extension part 983 may be coupled to the duct body 901.
  •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983 may be bent one or more times.
  • the first part 971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art 974 in which the second extension part 983 is accommodated. Within the guide portion 974,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983 may be guided toward the second portion 975. While the second extension part 983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part 974, movement of the guide part 974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restricted.
  • a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974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top of the duct body 901. Alternatively, a portion of the first part 921 may be located between two spaced apart guide portions 974.
  • the second extension part 983 may include a first section 983a received in the guide part 974.
  •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983 may include a second section 983b bent from the first section 983a.
  • the second section 983b may be bent from the first section 983a and extend downward.
  • the duct body 901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elastic member 980 is coupled.
  •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953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954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95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 first elastic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953, and a second elastic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954.
  •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953 and 954 may protrude from the base 951.
  • the second coupling parts 956 and 957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953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954.
  •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983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end 984.
  • the coupling end 984 may extend from the second section 983b.
  • the engaging end 984 may be received in each of the engaging protrusions 956 and 957, and a portion may penetrate the engaging protrusions 956 and 957.
  • the length L1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part 971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L2 (X-axis direction) of the second part 975.
  • the distance may be reduced.
  • the rotation radius of the cap duct 900 may be reduced. Therefore, when a certain amount of torque is generated in the duct driver 990, the force with which the cap duct 900 presses the wall where the ice slot 111 is formed increases, so that the sealing force by the cap duct 900 increases. can be increased. Then, cold air leakage through the ice chute 700 can be minimized. Additionally, the phenomenon of dew forming on the ice guide 800 due to leaked cold air can be prevented.
  • the lower end 956a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953 and 954.
  • the lower end 975a of the second part 975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953a of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953 and 954.
  • the lower end 975a of the second part 975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956a of the second coupling part.
  • the lower end 956a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coupling end 984 of the elastic member 980.
  • the distance (for example, horizontal distance or Y-axis direc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953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954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t 921 and the second part 922 ( For example, it may be greater than the vertical distance or the Z-axis distance) or the height of the second body 950.
  •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astic members 980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953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954 may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ection 983b.
  • the distance (L3) from the top surface 921a of the first part 921 or the top surface of the duct body 901 to the top surface 959c of the first coupling part (for example, the top surface of the rib) (Z-axis direction distance)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tance L4 from the top surface 959c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to the top 953b of the coupling protrusions 953 and 954.
  • Figure 1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ap duct, ice chute, and ice gu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ice slot is closed in this embodiment.
  • Figure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cap duct, ice chute, and ice gu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ice slot is opened in this embodiment.
  •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include a cover wall 110 surrounding the ice guide 800.
  • the cover wall 110 may include the inclined wall 111a.
  • a coupling wall 112 may extend around the ice slot 111 in the cover wall 110a.
  • the ice chute 70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wall 112.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ice chute 7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wall 112.
  • the second through hole 7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ce slot 111. Accordingly, the coupling wall 112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ice moves.
  • the first portion 810 of the ice guide 80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wall 812.
  • the first extension wall 812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ce slot 111.
  • the second part 830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wall 832 located below the first extension wall 812.
  • the second part 83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xtension wall 834 located below the ice inlet 813.
  •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and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may decrease downward.
  •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and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may be inclined walls.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may be different from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may be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guide wall.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is large, ice can be smoothly discharged.
  • the third portion 85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extension wall 852 exten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 the third portion 850 may further include a fifth extension wall 853 extending from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extension wall 834 may be a round wall. At least a portion of the fifth extension wall 853 may be a round wall.
  • the electrical componen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display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ourth extension wall 85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 the rotation center RC of the cap duct 900 may be located ahead of the ice inlet 711 of the ice chute 700. That is,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center (RC) of the cap duct 900 and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equal to the ice inlet 711 of the ice chute 700 and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t may be less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 the rotation center of the cap duct 900 may be arranged to not overlap the first through hole 711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portion of the cap duct 900 may overlap the fourth extension wall 852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portion of the cap duct 900 may be located inside the ice guide 800 when the cap duct 900 closes the ice slot 111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cap duct 900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to approach the first extension wall 812.
  • a part of the cap duct 900 may be located inside the ice guide 800.
  • the lowermost end 901a (or edge) of the cap duct 900 may overlap the fourth extension wall 852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lowermost end 901a of the cap duct 900 may be a part of the flange 914.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ourth extension wall 852, ice debris may accumulate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during the ice discharge process. There is a possibility.
  • ice debris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What you can do may be limited.
  • the lowermost end 901 of the cap duct 900 may overlap the ice outlet 851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ap duct 900 may contact the first extension wall 812 while the ice slot 111 is open. Alternatively, the cap duct 9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wall 812 while the ice slot 111 is open.
  • the cap duct 900 may contact the second extension wall 832 while the ice slot 111 is open.
  • the turning radius of the cap duct can be reduced, so the sealing force by the cap duct can be improved, the leakage of cold air through the ice chute can be minimized, and the phenomenon of dew forming around the ice guide can be prevented. there is.
  • ice debris can b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in the ice guide forming the ice passage.
  • an ice-making room or storage space can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dispenser withou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door or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door due to the slimmer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외부공간으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과는 구분되며,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 1 공간에 저장되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캡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캡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통로를 포함하고, 싱기 캡 덕트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공간의 얼음은 상기 제 1 통로를 지난 후, 상기 캡 덕트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아이스 빈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에 보관된 얼음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열고 상기 아이스 빈에 접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659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 하방의 냉동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좌우양측에 한쌍이 배치되며, 어느 일측에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메인 워터탱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추가 냉각시키는 서브 워터탱크; 상기 정수장치, 메인 워터탱크, 서브 워터탱크, 디스펜서 및 아이스 메이커를 연통시키는 급수유로;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 또는 아이스 메이커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지 밸브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디스펜서의 후측에 서브 워터탱크와 분지 밸브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므로, 디스펜서 후측의 공간을 별도의 저장공간이나 제빙실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설령, 선행문헌의 경우, 디스펜서 후측에 추가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두꺼워진 도어의 두께 만큼 냉장실의 용적인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 예는, 디스펜서가 슬림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에는 캡 덕트의 회전 반경을 줄여, 냉기 누설 현상이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는,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얼음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가이드에 누적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는, 슬림해진 디스펜서의 후측에 제빙실이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외부공간으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과는 구분되는 제 2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 1 공간에 저장되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캡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캡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싱기 캡 덕트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공간의 얼음은 상기 제 1 통로를 지난 후, 상기 캡 덕트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 1 제빙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에는 상기 제 1 제빙기가 생성하는 얼음과 다른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 2 제빙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제 1 통로에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제 1 통로에서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캡 덕트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 2 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의 회전중심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1 통공과 미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의 회전 중심은 상기 제 1 통공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제 2 공간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가 형성하는 유로는 상기 제 1 통공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캡 덕트와 상기 외부공간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외부공간으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과는 구분되며,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 1 공간에 저장되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캡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캡 덕트와 상기 외부공간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공간의 얼음은 상기 캡 덕트가 개방한 부분을 지난 후, 상기 제 2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 1 제빙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에는 상기 제 1 제빙기가 생성하는 얼음과 다른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 2 제빙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통로에서 상부에 제공되는 제 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 1 부분보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더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통로에서 하부에 제공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의 양단에 형성된 에지를 연결하는 가상의 사각형은 높이가 폭보다 작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는 상기 제 2 부분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의 하측에는 전기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부품은 디스플레이 및 인쇄회로기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포함하는 도어와,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제 1 공간에 저장되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와,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캡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캡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상기 캡 덕트와 상기 외부공간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공간의 얼음은 상기 제 1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캡 덕트를 지난 후, 상기 제 2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 1 제빙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에는 상기 제 1 제빙기가 생성하는 얼음과 다른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 2 제빙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에지는 상기 제 2 통로의 제 2 부분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도어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통로에서 상부에 제공되는 제 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 1 부분보다 상기 도어의 후면에서 더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통로에서 하부에 제공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제 1 통로에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통공 및 상기 제 1 통로에서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캡 덕트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1 통공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 또는 캐비닛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이 통과하는 아이스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폐하는 캡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는, 덕트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는 상기 덕트 바디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덕트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 1 부분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덕트 바디와 결합되는 제 2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의 상기 제 1 부분의 길이는, 상기 도어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제 2 부분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는,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폐하는 제 1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제 1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제 1 파트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제 1 파트의 일단부와 상기 제 2 파트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3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제 1 파트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파트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4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2 파트 각각의 일부 또는 전부는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 및 제 4 파트 각각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 및 상기 제 4 파트를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 중앙 영역과, 상기 제 1 파트와 연결되는 상측 영역과, 상기 제 2 파트와 연결되는 하측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의 곡률은 상기 상측 영역 또는 하측 영역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의 일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상측 영역 또는 하측 영역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의 길이 및 제 4 파트의 길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 1 파트와 제 2 파트 간의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는, 상기 제 1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이 연결되는 제 2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덕트 바디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탄성 부재와 제 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2 바디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하 방향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의 좌우 방향 길이를 상하 방향 길이로 나눈 값은 1.3이상 1.4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제 1 결합 돌출부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제 2 결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의 하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출부 각각의 하단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는, 상기 제 2 부분과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출부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의 하단부는 상기 결합 단부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의 상면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상면 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상면에서 각 결합 돌출부의 상단 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 각각은, 와이어가 다수 회 권취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탄성 부재는, 상기 권취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상기 권취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출부 각각과 결합되기 위한 제 2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1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1 섹션에서 절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덕트 바디에 결합되는 제 2 섹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제 2 탄성 부재 간의 거리는 상기 제 2 섹션의 상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섹션을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는 상기 덕트 바디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슬롯으로 안내하며, 얼음 입구과 얼음 출구를 구비하는 아이스 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의 회전 중심과 상기 도어의 전면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아이스 슈트의 얼음 입구와 상기 도어이 전면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아이스 슬롯을 통과한 얼음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얼음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상기 제 1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상기 제 2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통로 폭이 상기 제 2 바디 보다 작고, 얼음 출구를 형성하는 제 3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제 3 바디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이 통과하는 아이스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슬롯으로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안내하는 아이스 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폐하는 캡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는 얼음 입구와 얼음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의 회전 중심과 상기 도어의 전면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얼음 입구와 상기 도어이 전면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캡 덕트는, 덕트 바디와, 상기 덕트 바디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는, 제 1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는, 상기 제 1 파트의 일단부와 상기 제 2 파트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제 3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파트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제 4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 각각의 일부 또는 전부는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 및 상기 제 4 파트 각각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의 길이 및 제 4 파트의 길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 1 파트와 제 2 파트 간의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캡 덕트의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캡 덕트에 의한 실링력이 향상되어 아이스 슈트를 통한 냉기 누설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아이스 가이드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얼음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가이드에 누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슬림해진 디스펜서에 의해서 도어의 두께 증가 없이 또는 도어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펜서의 후측에 제빙실이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슈트의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슈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의 저면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캡 덕트의 사시도.
도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캡 덕트의 정면도.
도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캡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캡 덕트의 측면도.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아이스 슬롯이 닫힌 상태에서의 캡 덕트와 아이스 슈트 및 아이스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아이스 슬롯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캡 덕트와 아이스 슈트 및 아이스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동실(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저장실이 냉장실(18)과 냉동실(1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냉장실(18)은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9)은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8)은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상기 디스펜서(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0)나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11)와 상기 제빙기는 동일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각 냉장실 도어가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또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거나 냉장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1 제빙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2 제빙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제빙기(200, 5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도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제빙기(200) 및 제 2 제빙기(500)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디스펜서(11)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별도의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 1 제빙기(200) 및 제 2 제빙기(500) 중 하나 이상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1)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1 디스펜서와,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디스펜서(11)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냉장실(18)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을 제 1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2 공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제 2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공간(124)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간(124)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저장실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저장 공간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2 공간(124)이 존재하거나 상기 제 2 공간(124)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디스펜서(11) 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아이스 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아이스 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은 상기 제 1 제빙기(200)와 함께 상기 제 1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함께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과,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기 또는 냉동실(19)의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9) 또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2a)와 상기 배출 유로(2b)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입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공급 유로(2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출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배출 유로(2b)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공급 유로(2a)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배출 유로(2b)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구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 형태"는 기하학적으로 구 형태 뿐만 아니라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투명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빙기(200)의 구조 및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구조 및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빙기 들의 구조 및/또는 이빙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122)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하는 제 2 공간(124)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깊이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 및 제 2 공간(124)의 깊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상기 일측면은, 전후 방향 폭이 다른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의 폭은 상기 제 1 측면부(10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의 폭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 및 상기 냉기 출구(123b)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제 2 측면부(10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는 상기 제 1 측면부(102a) 보다 상기 냉장실(18)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30)(또는 제 1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32)(또는 제 2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어도 상기 제 2 도어(132)는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130, 132)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8)과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 간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의 가변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130)에는 음식물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36)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일 측면(10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필터 커버(1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유동을 위한 냉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도시되지 않은 냉기 덕트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는 일례로 도어 라이너(10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기 제 2 공간(124) 중 하나 이상으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1 냉기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는 상기 캐비닛(2)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상기 제 1 공간(12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서 냉기는 상승하여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측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1 제빙기(200)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2 냉기 유로(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냉기를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부의 냉기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서 냉기는 하강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2 제빙기(5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3 냉기 유로(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하측부의 냉기가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하향 경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제빙셀을 형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급수부에서 배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복수의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회전(트위스트)됨에 따라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셀(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직선 운동하거나 또는 직선 및 회전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직선 이동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55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된 부분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 컵 등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다. 물이나 얼음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전후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상기 제 1 공간(122) 간의 최단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제 2 공간(124)의 최단 수평 거리가 크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상하 길이 보다 길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제빙셀(50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에는 아이스 슈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를 얼음이 이동 또는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통로라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하측에는 아이스 가이드(8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을 가이드하고 얼음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를 얼음이 이동 또는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통로라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는 물 탱크(3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 탱크(34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50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스켓(136)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탱크(340)의 위치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두께 증가가 최소화되는 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후측에 상기 제 2 공간(124)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이 슬림해진 것에 기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슬림화를 위해서 얼음의 통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형태가 중요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11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1c)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전면이 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패드(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1010)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얼음 및/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1010)를 조작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패드(1010)를 푸시 또는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는 상기 패드(1010)에 의해서 동작하는 레버(10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는 상기 레버(107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온되거나 오프되는 스위치(105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드(1010)의 미조작 시 상기 스위치(1050)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패드(1010)의 조작 시 상기 패드(1010)의 조작력이 상기 레버(1070)로 전달되어 상기 레버(1070)가 상기 스위치(1050)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상기 아이스 슈트(700)에 의해서 안내되는 얼음이 통과하는 아이스 슬롯(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슬롯(111)은 일례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경사벽(111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벽(111a)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외측에 상기 아이스 슈트(700)가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경사벽(111a)의 상측에 상기 아이스 슈트(7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수용 공간(11c)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통과한 얼음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경사벽(111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슬롯(111)은 상기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수용 공간(11c)에서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는 덕트 구동부(990)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덕트 구동부(99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일례로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870)는 상기 수용 공간(11c)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870)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물 배출구(870)를 지지하는 서포터(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물 배출구(870)의 살균을 위한 살균 장치(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880)는 일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물 배출구(870)가 형성하는 물 유로를 살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살균 장치(88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0)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되는 버튼을 조작하거나 터치하여 온도나, 다양한 기능 등을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1100)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은 상기 수용 공간(11c)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은, 상기 디스플레이(110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 플레이 프레임(1120)에는 입력 모듈(11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160)을 통해서 얼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모듈(1160)을 통해서 배출될 얼음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모듈(1160)을 통해서 투명한 얼음을 선택하거나 불투명한 얼음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입력 모듈(1160)을 통해서 크기가 다른 얼음 들을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160)은 일례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160)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160)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 외의 다른 구성에 설치되거나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별도의 입력 모듈(1160)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1100)가 입력 모듈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의 후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서포터(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서포터(1140)는 상기 개구(1122)를 관통한 상기 디스플레이(1100)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서포터(1140)는 생락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벽(124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상기 공간 형성벽(124g)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124g)에는 물을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안내하는 장착 브라켓(4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480)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 브라켓(480)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슈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슈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통공(7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공(710)은 상기 제 1 통로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아이스 슈트(700)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통공(7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공(712)는 상기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되는 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통공(711)과 상기 제 2 통공(712)을 구비하는 슈트 바디(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슈트 바디(710)는 상기 제 1 통공(711)이 형성된 제 1 바디(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720)의 상측에 상기 제 1 통공(7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720)는 상기 제 1 바디(720)의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플랜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74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형성하는 벽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슈트 바디(710)는 상기 제 1 바디(720)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 2 바디(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730)의 하측에 상기 제 2 통공(7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트(710a) 및 상기 제 2 공간(124)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파트(710ㅁ)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710b)가 형성하는 유로는 상기 제 1 통공(711)으로부터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의 저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제 1 부분(8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810)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제 3 부분(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850)는, 상기 제 1 부분(810)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서 더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에서 하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1 부분(810)과 상기 제 3 부분(850)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부분(8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830)의 양단에 형성된 에지를 연결하는 가상의 사각형은 높이가 폭보다 작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810)은 얼음 입구(8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850)은 얼음 출구(8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고정을 위한 제 1 고정부(8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고정을 위한 제 2 고정부(8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838)는 상기 제 1 고정부(814)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캡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캡 덕트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캡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캡 덕트의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캡 덕트(900)는, 덕트 바디(9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901)는, 제 1 바디(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910)는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910)는, 내부에 공간(913)을 형성하는 수용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912)에는 개구(912a)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912a)를 통해서 제 1 단열폼(93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폼(930)의 두께(X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 1 수용부(912)의 공간(913)의 깊이(X축 방향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X축 방향은 냉장고의 전후 방향 또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910)는, 상기 수용부(912)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플랜지(9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부(912)에 상기 제 1 단열폼(930)이 삽입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플랜지(914)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914)는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가이드(700)에 얼음 부스러기가 쌓이는 것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912)는 일례로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수용부(912)는 타원 또는 타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910)는 제 1 파트(9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921)의 적어도 일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910)는 상기 제 1 파트(921)와 이격되는 제 2 파트(9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922)는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제 1 파트(92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922)의 적어도 일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92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파트(922)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92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파트(922)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910)는, 상기 제 1 파트(921)의 일단과 제 2 파트(92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 3 파트(9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923)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910)는, 상기 제 1 파트(921)의 타단과 제 2 파트(922)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 4 파트(9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파트(924)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질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923) 및 상기 제 4 파트(924)를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 중앙 영역, 상측 영역(제 1 파트와 연결됨) 및 하측 영역(제 2 파트와 연결됨) 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중앙 영역의 곡률은 상측 영역 및/또는 하측 영역의 곡률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중앙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상측 영역 및/또는 하측 영역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923)의 곡률의 중심은 상기 제 3 파트(923)와 제 4 파트(9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파트(924)의 곡률의 중심은 상기 제 3 파트(923)와 제 4 파트(9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923)의 길이는 상기 제 1 파트(921) 및 제 2 파트(922) 각각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923)의 길이는 상기 제 1 파트(921)와 제 2 파트(922) 간의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4 파트(924)의 길이는 상기 제 1 파트(921) 및 제 2 파트(922) 각각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4 파트(924)의 길이는 상기 제 1 파트(921)와 제 2 파트(922) 간의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파트(923)와 제 4 파트(924) 간의 최대 수평 거리는 상기 제 1 파트(921)와 제 2 파트(922) 간의 최대 수직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바디(910)의 Y축 방향 길이는 Z축 방향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상기 덕트 바디(901)의 길이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기 덕트 바디(901)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덕트 바디(901)의 좌우 방향 길이를 상하 방향 길이로 나눈 값은 1.3이상 1.4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901)는, 상기 제 1 바디(910)와 결합되는 제 2 바디(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950)는 일례로 상기 수용부(91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912)의 공간(913)에서 상기 제 1 단열폼(930)이 수용되고 남은 영역에 상기 제 2 바디(9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950)에는 제 2 단열폼(940)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단열폼(940)도 상기 수용부(91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폼(940)의 두께는 상기 제 1 단열폼(930)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단열폼(930) 및 제 2 단열폼(940)에 의해서, 상기 캡 덕트(9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950)는, 베이스(9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950)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9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950)는, 상기 베이스(951)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둘레벽(9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벽(952) 내에 상기 제 2 단열폼(94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둘레벽(952)은 상기 수용부(912)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둘레벽(952)도, 상기 수용부(912)와 대응되도록 제 1 파트 내지 제 4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덕트 바디(901)와 결합되는 브라켓(9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970)은 상기 덕트 구동부(990)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 구동부(990)의 동력을 상기 덕트 바디(901)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970)은 상기 제 2 바디(9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970)은, 제 1 부분(9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은 상기 덕트 구동부(99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은 상기 제 1 바디(910)의 상측에 상기 제 1 바디(910)와 이격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은 상기 제 1 바디(910)의 제 1 파트(921)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부분(971)은 상기 플랜지(914) 측에서 상기 베이스(951)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브라켓(970)은 상기 제 1 부분(971)에서 연장되는 제 2 부분(9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은 상기 제 1 부분(971)의 일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의 좌우 폭(Y축 방향 길이)은, 상기 제 1 부분(975)의 좌우 폭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은 슬롯(97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971a)은 제 1 부분(971)에서 상기 제 2 부분(975)이 위치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은 탄성 부재(98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 샤프트(9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샤프트(972)는 상기 슬롯(971a)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탄성 부재(980)가 상기 제 1 부분(971)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탄성 부재(980)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 1 부분(971)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980)는 제 1 탄성 부재와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부분(971)도 복수의 결합 샤프트(9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은 연장암(97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암(973a)은 상기 덕트 구동부(99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암(973a)은 상기 캡 덕트(900)의 회전 중심(RC)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에서 상기 연장암(973a)의 반대편에는 샤프트(97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973b)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중심(RC)은 상기 샤프트(973b)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901)는, 상기 제 2 부분(975)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부(958, 9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958, 959)는 일례로 상기 베이스(95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제 1 결합부(958, 959)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결합부(958, 959)는 상기 베이스(951)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제 1 결합부(958)는, 제 1 내측 리브(958a)와, 제 1 내측 리브(958a)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외측 리브(95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 리브(958a)의 단부는 상기 제 1 외측 리브(958b)를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리브(958b)의 단부는 상기 제 1 내측 리브(958a)를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의 제 1 결합부(959)는, 제 2 내측 리브(959a)와, 제 2 내측 리브(959a)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외측 리브(95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내측 리브(959a)의 단부는 상기 제 2 외측 리브(959b)를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 외측 리브(959b)의 단부는 상기 제 2 내측 리브(959a)를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외측 리브(958b)와 제 2 외측 리브(959b) 사이에 상기 제 1 내측 리브(958a)와 제 2 내측 리브(959a)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 리브(958a)와 제 2 내측 리브(959a)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은, 상기 제 1 내측 리브(958a)가 관통하는 제 1 리브 홀(9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은 상기 제 2 내측 리브(959a)가 관통하는 제 2 리브 홀(9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측 리브(958a)가 상기 제 1 리브 홀(976)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내측 리브(959a)가 상기 제 2 리브 홀(977)에 삽입되면, 상기 제 2 부분(975)은 상기 제 1 외측 리브(958b)와 제 2 내측 리브(959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외측 리브(958b)와 접촉하거나 근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6)의 타측면은 상기 제 2 외측 리브(959b)와 접촉하거나 근접할 수 있다.
상기 덕트 구동부(990)의 동력이 상기 덕트 바디(901)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외측 리브(958b, 959b)에 의해서, 상기 제 2 부분(975)에 대한 상기 덕트 바디(901)의 상대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901)는, 상기 제 2 부분(975)이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958, 959)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951)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는 제 1 걸림부(956)와, 제 1 걸림부(956)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걸림부(9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956, 957)는 상기 베이스(951)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일부는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은 상기 제 2 결합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 슬롯(97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부(956, 957)가 상기 결합 슬롯(978)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결합부(958, 959)가 상기 제 2 부분(975)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덕트 구동부(990)의 동력이 상기 덕트 바디(901)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덕트 구동부(990)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970)이 회전될 때, 상기 브라켓(970)이 상기 덕트 바디(901)를 당겨 상기 덕트 바디(9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980)는,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탄성력을 축적하여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상기 캡 덕트(900)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980)는, 일례로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980)는, 와이어가 다수 회 권취되어 형성되는 권취부(9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981)의 내부에 상기 결합 샤프트(97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980)는, 상기 권취부(98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9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연장부(982)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지지되거나,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수용되는 부품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980)는, 상기 권취부(98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9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983)는 상기 덕트 바디(9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983)는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에는 상기 제 2 연장부(983)가 수용되는 가이드부(9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974) 내에서 상기 제 2 연장부(983)는 상기 제 2 부분(975)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974)에 상기 제 2 연장부(983)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974)의 Y축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974)의 일부는 상기 덕트 바디(901)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이격되는 가이드부(974) 사이에 상기 제 1 파트(921)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983)는, 상기 가이드부(974)에 수용되는 제 1 섹션(98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983)는 상기 제 1 섹션(983a)에서 절곡되는 제 2 섹션(98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섹션(983b)은 상기 제 1 섹션(983a)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덕트 바디(901)는, 상기 탄성 부재(980)가 결합되기 위한 탄성 부재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는, 제 1 결합 돌출부(953)와,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953)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2 결합 돌출부(9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953)에 제 1 탄성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954)에 제 2 탄성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 돌출부(953, 954)는 상기 베이스(95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953)와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954) 사이에 상기 제 2 결합부(956, 957)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983)는 결합 단부(9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단부(984)는 상기 제 2 섹션(983b)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단부(984)는 상기 각 결합 돌출부(956, 957)에 수용될 수 있고, 일부는 상기 결합 돌출부(956, 957)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971)의 길이(L1)(X축 방향)는 상기 제 2 부분(975)의 길이(L2)(X축 방향)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의 길이(L2)가 줄어들면, 상기 캡 덕트(900)의 회전 중심(RC)에서 상기 캡 덕트(900)로 동력이 전달되는 지점(일 례로 제 2 결합부)까지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 덕트(900)의 회전 반경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덕트 구동부(990)에서 일정 크기의 토크가 발생할 때에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이 형성되는 벽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어 상기 캡 덕트(900)에 의한 실링력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아이스 슈트(700)를 통한 냉기 누설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누설된 냉기에 의해서 아이스 가이드(800)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의 하단부(956a)는 상기 각 결합 돌출부(953, 95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의 하단부(975a)는 상기 각 결합 돌출부(953, 954)의 하단부(953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975)의 하단부(975a)는 상기 제 2 결합부의 하단부(956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의 하단부(956a)는, 상기 탄성 부재(980)의 결합 단부(98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953)와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954) 사이의 거리(일례로 수평 거리 또는 Y축 방향 거리)는 상기 제 1 파트(921)와 상기 제 2 파트(922)의 거리(일례로 수직 거리 또는 Z축 방향 거리) 또는 상기 제 2 바디(950)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두 개의 탄성 부재(980) 간의 거리 또는 상기 제 1 결합 돌출부(953)와 상기 제 2 결합 돌출부(95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섹션(983b)의 상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도 16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파트(921)의 상면(921a) 또는 덕트 바디(901)의 상면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의 상면(959c)(일례로 리브의 상면임) 까지의 거리(L3)(Z축 방향 거리)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상면(959c)에서 상기 결합 돌출부(953, 954)의 상단(953b) 까지의 거리(L4)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아이스 슬롯이 닫힌 상태에서의 캡 덕트와 아이스 슈트 및 아이스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아이스 슬롯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캡 덕트와 아이스 슈트 및 아이스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를 둘러싸는 커버 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벽(110)이 상기 경사벽(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벽(110a)에서 상기 아이스 슬롯(111)의 둘레에서 결합 벽(112)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벽(112)에 상기 아이스 슈트(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일부가 상기 결합 벽(1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제 2 바디(730)가 상기 결합 벽(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통공(712)은 상기 아이스 슬롯(111)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벽(112)은 얼음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을 기준으로,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상기 제 1 부분(810)은 제 1 연장벽(8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벽(812)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830)은 상기 제 1 연장벽(812)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연장벽(8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830)은, 상기 얼음 입구(813)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3 연장벽(8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은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832)과 상기 제 3 연장벽(834) 간의 거리는 하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832)과 상기 제 3 연장벽(834)은 경사벽일 수 있다.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경사 각도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을 가이드 벽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경사 각도가 크면, 얼음의 배출이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850)은, 상기 제 2 연장벽(832)에서 연장되는 제 4 연장벽(8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부분(850)은, 상기 제 3 연장벽(834)에서 연장되는 제 5 연장벽(8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벽일 수 있다. 상기 제 5 연장벽(853)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벽일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경사 각도 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수직 방향 연장선과 상기 제 4 연장벽(852) 간의 수평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하측에 전기 부품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기 부품은 디스플레이 및 PCB(인쇄회로기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4 연장벽(852)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 보다 크다.
상기 캡 덕트(900)의 회전 중심(RC)은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얼음 입구(711)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캡 덕트(900)의 회전 중심(RC)과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얼음 입구(711)와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의 회전 중심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1 통공(711)과 미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아이스 슬롯(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의 일부는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아이스 슬롯(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의 일부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슬롯(111)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제 1 연장벽(812)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캡 덕트(900)의 일부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의 최하단부(901a)(또는 에지)는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 덕트(900)의 최하단부(901a)는 상기 플랜지(914)의 일부일 수 있다.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 4 연장벽(852)의 경사 각도 보다 작으므로,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상측에 쌓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캡 덕트(900)의 최하단부(901)가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경우, 얼음 부스러기가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의 최하단부(901)는 상기 얼음 출구(851)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제 1 연장벽(812)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제 1 연장벽(812)과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제 2 연장벽(832)에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캡 덕트의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캡 덕트에 의한 실링력이 향상되어 아이스 슈트를 통한 냉기 누설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아이스 가이드 주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얼음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가이드에 누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림해진 디스펜서에 의해서 도어의 두께 증가 없이 또는 도어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펜서의 후측에 제빙실이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외부공간으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과는 구분되며,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 1 공간에 저장되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캡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캡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통로를 포함하고,
    싱기 캡 덕트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공간의 얼음은 상기 제 1 통로를 지난 후, 상기 캡 덕트를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 1 제빙기가 배치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에는 상기 제 1 제빙기가 생성하는 얼음과 다른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 2 제빙기가 배치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제 1 통로에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통공, 및
    상기 제 1 통로에서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캡 덕트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 2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캡 덕트의 회전중심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1 통공과 미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덕트의 회전 중심은 상기 제 1 통공의 전방에 배치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1 파트, 및
    상기 제 2 공간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파트가 형성하는 유로는 상기 제 1 통공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7.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외부공간으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과는 구분되며,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 1 공간에 저장되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캡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캡 덕트와 상기 외부공간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캡 덕트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공간의 얼음은 상기 캡 덕트가 개방한 부분을 지난 후, 상기 제 2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 1 제빙기가 배치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에는 상기 제 1 제빙기가 생성하는 얼음과 다른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 2 제빙기가 배치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통로에서 상부에 제공되는 제 1 부분,
    상기 제 1 부분보다 상기 도어의 전면에서 더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통로에서 하부에 제공되는 제 3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3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의 양단에 형성된 에지를 연결하는 가상의 사각형은 높이가 폭보다 작도록 제공되는 냉장고.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덕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는 상기 제 2 부분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냉장고.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의 하측에는 전기 부품이 제공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부품은 디스플레이 및 인쇄회로기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냉장고.
  14.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외부공간으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공간; 및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과는 구분되며,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제1공간에 저장되는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 및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캡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캡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통로, 및
    상기 캡 덕트와 상기 외부공간 사이에 제공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캡 덕트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공간의 얼음은 상기 제 1 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캡 덕트를 지난 후, 상기 제 2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 1 제빙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에는 상기 제 1 제빙기가 생성하는 얼음과 다른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 2 제빙기가 배치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덕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에지는 상기 제 2 통로의 제 2 부분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냉장고.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도어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통로에서 상부에 제공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보다 상기 도어의 후면에서 더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통로에서 하부에 제공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는, 상기 제 1 통로에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간과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1 통공, 및 상기 제 1 통로에서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캡 덕트와 유체적으로 연결되는 제 2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1 통공의 전방에 배치되는 냉장고.
PCT/KR2023/012548 2022-10-13 2023-08-24 냉장고 WO202408053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22A KR20240051627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KR10-2022-0131522 2022-10-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536A1 true WO2024080536A1 (ko) 2024-04-18

Family

ID=9066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2548 WO2024080536A1 (ko) 2022-10-13 2023-08-24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1627A (ko)
WO (1) WO202408053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715A (ko) * 2007-06-22 2008-12-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CN102441995A (zh) * 2010-07-30 2012-05-09 Lg电子株式会社 制造冰箱气阀组件的方法
US20140124688A1 (en) * 2011-07-15 2014-05-08 Illinois Tool Works Inc. Rotary actuator for energy efficient ice cube dispenser door system
KR20180054874A (ko) * 2015-08-31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31250A (ko) * 2019-09-11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715A (ko) * 2007-06-22 2008-12-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CN102441995A (zh) * 2010-07-30 2012-05-09 Lg电子株式会社 制造冰箱气阀组件的方法
US20140124688A1 (en) * 2011-07-15 2014-05-08 Illinois Tool Works Inc. Rotary actuator for energy efficient ice cube dispenser door system
KR20180054874A (ko) * 2015-08-31 2018-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31250A (ko) * 2019-09-11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27A (ko)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333A1 (ko) 냉장고
WO2010123175A1 (en) Refrigerator
WO2011081498A2 (en) Refrigerator
WO2010123177A1 (en) Refrigerator
WO2014200316A1 (en) Refrigerator
WO2016036213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039334A1 (ko) 냉장고
WO2017039332A1 (ko) 냉장고
WO2018199600A1 (ko) 냉장고
WO2011081500A2 (en) Refrigerator
WO2017065507A1 (en) Refrigerator
WO202010140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20218817A1 (ko) 냉장고
WO2014200315A1 (en) Refrigerator
AU2019381567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20045991A1 (en) Refrigerator
WO2024080536A1 (ko) 냉장고
WO2020071766A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5105331A1 (ko)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WO2020071761A1 (ko) 냉장고
WO2024080576A1 (ko) 냉장고
WO2024080538A1 (ko) 냉장고
WO2024080546A1 (ko) 냉장고
WO2020256474A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4080534A1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