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0534A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0534A1
WO2024080534A1 PCT/KR2023/012540 KR2023012540W WO2024080534A1 WO 2024080534 A1 WO2024080534 A1 WO 2024080534A1 KR 2023012540 W KR2023012540 W KR 2023012540W WO 2024080534 A1 WO2024080534 A1 WO 20240805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ce
door
space
refrigerato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25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훈
서창호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805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05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Definitions

  •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refrigerators.
  •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 the refrigerator can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thereby keeping the stored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 the refrigerator is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a top-mount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is located above the freezer compartment. You can.
  • an ice maker is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to make ice.
  • the ice maker collect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or a water tank in a tray and then cools the water to create ic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may be stored in an ice bin.
  • Ice stored in the ice bin is discharged through a dispenser provided in the door, or the user can open the freezer door, access the ice bin, and take out the ice from the ice bin.
  • a refrigerato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36659, a prior document.
  • the refrigerator in the prior literature includes a cabinet having a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compartment below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pair of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o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one side is equipped with an ice maker and dispenser; a main water tank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cooling supplied water; A water purif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cabinet and purifying the supplied water; a sub-water tank provided at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o additionally cool supplied water;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ing the water purification device, main water tank, sub water tank, dispenser, and ice maker; It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includes a branch valve that selectively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dispenser or ice maker.
  • One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forming a space for a specific purpose behind the dispenser.
  • one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ducing ice in the space.
  • one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remove ice produced in the space.
  • one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cold air leakage is minimized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ice generated in the space.
  • one embodiment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ld of the door liner forming another part of the space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a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pace forms part of the space. .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door for dispensing water or i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pace disposed behind the dispenser.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pace door that covers the space.
  • the space may be an ice-making room, for example.
  • the space door may be an ice-making room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ice-making room.
  • the space door may include a main door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space.
  • the space door may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door and may further include a sub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portion of the space.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door for dispensing water or i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making chamber disposed behind the dispenser.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maker provided in the ice making room.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making chamber door that covers the ice-making chamber.
  • the ice-making room door may include a main door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making room.
  • the ice-making chamber door may further include a sub-door that opens and closes a portion of the ice-making chamber.
  • the ice-making room door may be movable relative to the main door.
  • the main door may include a door opening.
  • the sub door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pening.
  • the main door may cover a portion of the ice making room.
  • the sub door can open and close another part of the ice making room.
  • the main door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door receiving portion.
  • the door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door receiving portion.
  • the sub door may be located in the door receiving portion.
  • the sub door may include a door protrusion.
  • the door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door opening when the sub door is closed.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bin for storing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 the ice bin may be coupled to the sub door.
  • the ice bin When the sub-door is moved in one direction, the ice bin can be taken out of the ice-making chamber through the door opening. When the sub door is moved in another direction, the ice bin may be introduced into the ice making room through the door opening.
  • the sub door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ice bin.
  •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main door may be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second space.
  •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door may be grea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pace.
  • the sub door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door by a hinge.
  • the sub door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for coupling the sub door to the main door or the refrigerator door.
  • the locking unit may include a lev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b door.
  • the main door or the refrigerator door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lever.
  • the sub door may include a recessed receiving portion for positioning the lever.
  • the sub door may include a grip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ver.
  • the sub door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gripper.
  • the main door may include a recess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ice maker.
  • the maximum depression depth of the depression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 door.
  • the refrigerator door may include a dik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to form a part of the second space.
  • the main door may include a depression to form another part of the second space.
  •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main door may be great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dyke.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n ice-making chamber door that covers the ice-making chamber.
  • the ice-making room door may include a gasket.
  • An ice maker may be located within the ice making room.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gasket may pass through the ice maker.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gasket may pass through the ice-making cell.
  • the ice making room may be provided with an ice bin for storing ice.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gasket may pass through the ice bin.
  • the ice making room door may include a recess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ice maker.
  • the depression may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ice bin.
  •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ice-making cell may pass through the depression.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gasket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ice-making cell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ice-making cell.
  • It may further include a vacuum insulator disposed between the dispenser and the ice-making chamber.
  •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ice-making cell may pass through the vacuum insulator.
  • a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may be located below the floor of the ice-making chamber.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on the door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or i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pace formed in the door and at least partially disposed above the dispenser to generate i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ace formed in the door and disposed at least partially below the first space to generate i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pac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pa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ce maker provided in the first space and having a first ice 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ice is formed.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maker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and having a second ice 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ice is formed.
  • the types of ice produc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ice produced in the second space may be provided differently.
  • Ice generated in the first spac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penser. Ice generated in the second spac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pace door.
  • the shape of the ice creat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shape of the ice created in the second space may be provided differently.
  • the transparency of the ice created in the first space and the transparency of the ice created in the second space may be provided differently.
  • a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 first space formed in the door to generate ice; It may include a second space formed in the door, disposed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first space, and where ice is generated.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ce maker.
  • the first ice maker may include a first tray provided in the first space to provide a first ice 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ice is formed.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maker.
  • the second ice maker may include a second tray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to provide a second ice 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ice is formed.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art provided on the door and provided to discharge ice from the first space.
  • the first part may include a dispenser, a space door, or an ice bin.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art provided on the door and provided to discharge ice from the second space.
  • the second part may include a dispenser, space door, or ice bin.
  • At least some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be provid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 the ice produced in the first space may be of a different type from the ice produced in the second space.
  • the shape, size, transparency, color, and strength of the ice created in the first space may be different from the ice created in the first space.
  • the door may include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different from the first side.
  • a passage or through hol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space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surface.
  • a passage or through hol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pace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 the first surface may include a surface (eg, front, rear, top, bottom, etc.)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door is in a position to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second surface may include a surface (eg, the back) that is exposed to the user when the door is in a position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door may include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located between the first door and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first surface may be located on the first door.
  • the second surface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door.
  •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may each be located on the first door.
  •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may each be located on the second door.
  • a process for removing ice from the first tray and a process for removing ice from the second tray may be provided differently.
  • the first tray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irst space by a user so that ice can be removed from the first tray.
  • the second tray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by a driving means so that ice can be removed from the second tray.
  • the first tray may be provided so that at least part of the deformation caused by an external force can be restored.
  • the second tray may include a first part for forming the second ice-making cell, and a second part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nd separable from the first part.
  • the door may include a front, rear, side, top, and bottom sides.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mponen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mponent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among the front, rear, side, upper, and lower surfaces.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may be opened.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may be closed.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component to change.
  •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dividing the first space and the wall dividing the second space may be provided for public use.
  • At least a portion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space and the passag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pace may be provided for common use.
  • At least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space and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pace may be provided for common use.
  • At least a portion of the wall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space and the wall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space may be provided for public use.
  • Sub-parts constituting the first part e.g., hinge, handle, gasket, cap duct, chute, funnel (ice guide), switch pad, sensor, insulation, driving means, etc.
  • Sub-parts constituting the second part At least some of the parts (eg, hinge, handle, gasket, cap duct, chute, funnel (ice guide), switch pad, sensor, insulation, driving means, etc.) may be provided for public use.
  • the door may include a front, rear, side, top, and bottom sides.
  • the display for the first ice maker and the display for the second ice maker may be arranged on the same surface among the front, rear, side, upper, and lower surfaces.
  • a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 space formed in the door where ice is generated; An ice maker may include a tray provided in the space to provide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ice is formed.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space door provided on the door and provided to discharge ice from the space to close the space.
  • the space door may include a boundary surface provided to contact and separate from a wall forming the space.
  • a gasket may be provided at the interface.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may pass through the ice maker.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may pass through the ice-making cell.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ce bin provided in the space and storing ice generated by the ice maker.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may pass through the ice bin.
  • the space door may include a recess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ice maker.
  • the depression may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ice bin.
  • the horizontal center line of the ice-making cell may pass through the depression.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ice-making cell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ice-making cell.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space formed in the door to produce ice and provided in a location different from the space.
  •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ice maker having a tray provided in the additional space and providing an ice-making cell, which is a space where ice is formed.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additional ice maker.
  •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ice making cell of the additional ice maker.
  • the ice bin that stores ice produced in the space moves together with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easily take out ice from the ice bin by opening the door.
  • the ice bin is connected to the sub-door that opens and closes part of the space and moves together, so cold air leakage can be minimized.
  •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ld for the door liner that forms another part of the spac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 FIG.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s separated.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viewed from the front.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een from the rear.
  •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second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second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8-8 in Figure 4.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ure 4.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10 in Figure 3.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ure 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12 is a view showing a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sub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ice bin is separated from the sub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 do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6-16 of Figure 12.
  •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7-17 of Figure 12.
  • Figure 18 is a view showing a first refrigerating chamber do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Figure 1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second do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Figure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ure 4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 FIG.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FIG. 2 is a view showing on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in a separated state.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viewed from the front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viewed from the rear
  •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refrigerator 1 of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 cabinet 2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include a freezer compartment (19).
  • Figure 2 shows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include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and a freezing compartment 19.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ne or mor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s 5.
  • the freezer compartment 19 can be opened and closed by one or more freezer doors 30.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by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include a dispenser 11 for dispensing water and/or ice.
  • the freezer door 30 may be equipped with the dispenser 11.
  • At least one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include one or more ice makers.
  • an ice maker is provided i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an ice make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or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30.
  • the dispenser 11 and the ice maker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door.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includes a plurality of ice makers.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2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for each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to include an ice maker.
  • the refrigerator 1 is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or a top mount type refrigerator. put it
  •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or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 the dispenser 11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a portion of the dispenser 11 may be recessed toward the rea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a container can be placed.
  •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include a first ice maker 200.
  • the plurality of ice maker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maker 500.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ice maker 200.
  • this embodiment does not exclude a plurality of ice makers 200 and 500 being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dispenser 11 may discharge ice generat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first ice maker 200 may include a portion located higher than the dispenser 11.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also include a portion located higher than the dispenser 11.
  • the first ice maker 200 and the second ice maker 500 are operated by a separate transfer mechanism.
  • Ice produced in one or more of the above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penser 11.
  • the dispenser 11 may include a first dispenser through which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is discharged, and a second dispenser through which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is discharged. do.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behind the dispenser 11.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n outer case 101 to form a front exterior.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door liner 102 coupled to the outer case 101.
  • the door liner 102 can open and clos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 an insulating space may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101 and the door liner 102.
  •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insulating space.
  • the door liner 102 may include a first space 122 in which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 the first space 12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ice-making room.
  • the door liner 10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ace 124 in which the second ice maker 500 is located.
  • the second space 124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ice-making room.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omitted, and even in this case, the second space 124 may exist. At this time, the second space 124 may function as a door storage room used for a specific purpose.
  • the first space 122 may be formed as one surface of the door liner 102 is depressed toward the outer case 101.
  • the second space 124 may be formed as one surface of the door liner 102 is depressed toward the outer case 101.
  • the second space 124 may be depressed toward the dispenser 11.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 first ice bin 280 in which ice generat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is stored.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bin 600 in which ice generat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is stored.
  • the second ice bin 600 may also be omitted.
  • the first ice bin 28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22 together with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124 together with the second ice maker 500.
  • Cold generated in a cool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2.
  • the cooler may be defined as a means for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refrigerant cycle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122 .
  • Cold generated in the cool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4.
  •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pace 124 .
  • the refrigerator 1 has a supply passage 2a that guides the cold air of the freezer compartment 19 or the cold air of the space where the evaporator that generates cold air for cooling the freezer compartment 19 is located to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0. ) may include.
  •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assage 2b that guides col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0 to the freezer compartment 19 or a space where the evaporator is located.
  • the supply flow path (2a) and the discharge flow path (2b)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2).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 cold air inlet 123a.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the cold air inlet 123a may communicate with the supply passage 2a.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cold air outlet 123b.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assage 2b.
  • the cold air inlet 123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Although not limited,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may be the side facing the wall where the supply passage 2a is loc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
  •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Although not limited,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may be the side facing the wall where the discharge passage 2b is loc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whe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closed. .
  • the form of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200.
  • the second ice maker 500 can form ice in a spherical shape.
  • spherical shape means not only a spherical shape but also a shape similar to a spherical shape geometrically.
  •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transparency of the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 the transparency of ice produced by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higher than that of ice produced by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and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different.
  •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r volume) of ice produced in the first ice maker 200.
  • the structure of the first ice maker 200 for producing ice and the method in which the ice is separated are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ice maker 500 and the method in which the ice produced in the second ice maker 500 is separated. can be different.
  • the shape of the first space 122 where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second space 124 where the second ice maker 500 is located.
  • the shape may be different.
  • the depth of the second space 124 may be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space 122. Due to the difference in depth between the first space 122 and the second space 124, the one side of the door liner 102 is divided into a first side portion 102a and a second side portion 102a having different widths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dth in the X-axis direction). It may include 2 side portions 102b.
  •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ide portion 102a. Due to the difference in width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102a and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portion where the first ice maker 200 is located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ce maker 200.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e portion where 500 is located may be thick.
  • One or more of the cold air inlet 123a and the cold air outlet 123b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of the door liner 102.
  • the second side portion 102b may protrude further towar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than the first side portion 102a.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oor 130 (or a first space door or a first ice-making compartment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space 122.
  • the first door 130 may be an insulated doo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side.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oor 132 (or a second space door or a second ice-making compartment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econd space 124.
  • the second door 132 may be an insulated doo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side. Even if the second ice maker 500 is omitted, the second door 132 may exist.
  • heat transfer betwee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8 and the first space 122 and the second space 124 can be minimized by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32.
  • the first door 130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by a hinge.
  • the second door 132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by a hinge (see 132a in FIG. 6).
  •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oor 13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13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a basket 136 capable of storing foo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oor 130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the basket 136 When the basket 136 is installed on the first door 130,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ket 136 may overlap the second ice maker 50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basket 136 When the basket 136 is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30 and the second door 132 is clo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ket 136 overlaps the second door 132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 a filte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one side 103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filter may be covered by a filter cover 142.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pen state of the second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second do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8-8 in Figure 4.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in Figure 4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0-10 in Figure 3.
  • the second door 132 may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space 124 .
  • the second door 132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liner 102 by a hinge 132a.
  •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oor 132. Accordingly, the second ice bin 600 can move together with the second door 132.
  • the second door 132 When the second door 13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open the second space 124,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extracted from the second space 124. Accordingly, when the second door 132 is opened, the user can immediately access the second ice bin 600. Accordingly,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remove the second ice bin 600 from the second space 124 can be eliminated.
  •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ace 124.
  • One side wall 124a forming the second space 124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or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cold air flows.
  • the inlet portion may overlap the second ice maker 5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inlet portion may overlap the second ice maker 500 in the Z-axis direction.
  • One side wall 124a forming the second space 124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126 (or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cold air is discharged.
  • the outlet portion 126 may overlap the second ice bin 6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second ice bin 60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124 .
  • the outlet portion 126 may overlap the second ice bin 600 in the Z-axis direction.
  • the second door 132 may include a first frame 1321.
  • the second door 13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rame 1322 coupled to the first frame 1321.
  • the first frame 1321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second door 132 when the second door 132 is closed.
  • the surface of the first frame 1321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second door 132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surface.
  • the second frame 1322 can view the second space 124 when the second door 132 is closed.
  • the side of the second frame 1322 facing the second space 124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side.
  •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1322.
  • the second ice bin 600 may include a first body 610 coupled to the second door 132 .
  • the second door 132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325 for coupling the second ice bin 600.
  •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frame 1232.
  •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32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32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 coupling hole 612 for coupling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610.
  • the coupling hole 612 may include a first portion 612a where a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is positioned.
  • the coupling hole 61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rtion 612b that provides a passage dur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rt 612b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art 612a.
  •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may include a first part 1325a protruding from the second frame 1322.
  •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may include a second part 1325b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 1325a.
  • the diameter of the second part 1325b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art 1325a.
  • the first part 1325a When the first part 1325a is positioned in the first part 612a while the second part 1325b penetrates the second part 612b, the first part 1325a is positioned in the first part 612a. 1
  • the first body 610 is hung on the body 610 and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
  • the second ice bin 6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614 facing the first body 610.
  • the top of the second body 614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top of the first body 61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ody 620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6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body 614.
  • the second ice bin 60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body 630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61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614.
  • the height of the upper ends of the third body 620 and the fourth body 630 may be variable.
  • Each of the third body 620 and the fourth body 630 has a first upper part 621 connected to the first body 610 and a second upper part (621)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614. 624).
  • the first upper part 621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upper part 624.
  • the third body 62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ne side wall 124a.
  • a cold air through hole 623 may be formed in the third body 620,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aligned with the outlet portion 126. Accordingly, cold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second ice bin 600 may pass through the cold air through hole 623 and flow toward the outlet portion 126.
  • the second door 132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660 that allows the second door 132 to be coupled to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 the second door 132 can remain coupled to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with the second space 124 closed (locked). situation).
  •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door 132 and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is released, and the second door 132 can be rotated ( unlocked state).
  • the locking unit 660 may include a lever 661.
  • the lever 66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door 132.
  • the second door 132 may be provided with a shaft 1321b for rotation of the lever 661.
  • the rotation center line of the lever 661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lever 661 may include a shaft coupling portion 663 to which the shaft 1321b is coupled.
  • the lever 661 may further include a hook 665.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further include a lever receiving portion 127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lever 661.
  • the lever receiving portion 127 may be formed as a portion of the door liner 102 is depressed toward the outer case 101.
  • the lever 661 may be inserted into the lever accommodating part 127 through the opening 127a of the lever accommodating part 127.
  • the lever receiving portion 127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27b for catching the hook 665 of the locking portion 660.
  • the second door 132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1321c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lever 661.
  • the lever 661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slot 664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1321c is accommodated.
  • the guide slot 664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ed on the shaft 1321b.
  • the guide protrusion 1321c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haft 1321b.
  • the second door 132 may include a recessed receiving portion 1321a.
  • the receiving portion 1321a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side of the second door 132.
  • the receiving portion 132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frame 1321, for example.
  • the locking unit 660 may further include a gripping unit 666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ver 661. The user can rotate the lever 661 while holding the grip part 666.
  • the lever 661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662 to be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666.
  • the connection portion 662 may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hinge portion 667 of the grip portion 666 is inserted.
  • the connection portion 66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shaft coupling portion 663.
  • the gripping portion 666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for example, and may include a space 668 for inserting the user's hand.
  • the rotation center line of the gripper 666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666 with respect to the lever 661 may be different from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ever 661 with respect to the shaft 663.
  • the second door 132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groove 1321d in which the grip part 666 is seated.
  • the seating groove 1321d may be formed in the first frame 1321, for example.
  • the seating groove 1321d may be formed as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rame 1321 is depressed toward the second frame 1322.
  • the second door 132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1329.
  • the gasket 1329 can prevent cold air leakage in the second space 124 by contacting the door liner 102 when the second door 132 closes the second space 124.
  • the gasket 1329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rame 1322, for example.
  • the second door 132 may include a first recessed portion 1323a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second ice maker 500.
  • the first depression 1323a may be formed as a portion of the second frame 1322 is depressed toward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door 132.
  • a portion of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depression 1323a.
  • the coupling protrusion 1325 may be located in the first depression 1323a.
  • the second door 13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ssed portion 1323b that is additionally recessed from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23a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second ice maker 500.
  • the first depression 1323a and the second depression 1323b may also form the second space 124. Accordingly, the size of the second space 124 can be increased while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an ice chute 700 may be placed below the first space 122.
  • the ice chute 70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ap duct 900.
  • An ice guide 800 may be located below the ice chute 700.
  • the ice chute 700 may guide ice discharged from the first ice bin 280 to the ice guide 800.
  • the ice guide 800 may guide ice to the dispenser 11.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chute 700 may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include a first tray 510.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the second tray 550.
  • the first tray 510 and the second tray 550 may form an ice-making cell 501, which is a space where ice is formed.
  • the second tray 550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
  • the second tray 550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may move linearly relative to the first tray 510, or may perform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s.
  • the second tray 550 When the second tray 550 is a rotating type,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at the water supply location of the second tray 550. After completion of water supply, the second tray 550 may be rotated to the ice-making position. When the second tray 550 is a linear movement type, water supply may be performed at the ice-making position of the second tray 550.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tray 550 may be spaced apart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ray 510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The portion of the second tray 55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y 510 at the water supply position may contact the first tray 510 at the ice making position to complete the ice making cell 501.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580 for moving the second tray 550.
  • the driving unit 580 may be located adjacent to one side wall 124a where the outlet unit 126 is formed.
  • the rear wall 124c forming the second space 124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124d in which a portion of the driving unit 580 is accommodated.
  • the receiving groove 124d may be formed as a portion of the rear wall 124c is de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door 132.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usher 540 for separating ice from the first tray 510 during the moving process.
  • the first pusher 540 may pressurize ice so that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usher 540 .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sher 590 that presses the second tray 550 while the second tray 550 is moved.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first tray cases 520 and 530 that support the first tray 510 .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ray case 560 supporting the second tray 510.
  • a portion of the first tray cases 520 and 53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recessed portion 1323b.
  • the dispenser 11 may include a dispenser housing 11a.
  •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form a receiving space.
  • a container such as a cup may be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Water or ice may be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space.
  •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enser housing 11a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front-back direction (for example, the X-axis direction).
  • the shortest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second space 124 is greater than the shortest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and the first space 122 by the dispenser housing 11a. Horizontal distances can be large.
  • a pad 19 that the user presses to dispense water or ice may be installed in the dispenser housing 11a.
  • the pad 19 may overlap the second space 12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ice making cell 501 of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overlap the dispenser housing 11a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pad 19 may overlap the ice-making cell 50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rear wall 124c forming the second space 124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dispenser housing 11a. Since the space between the dispenser housing 11a and the rear wall 124c is narrow, a vacuum insulator 392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dispenser housing 11a and the rear wall 124c. A portion of the vacuum insulator 392 may be located between the pad 19 and the ice-making cell 501. An insulator formed by hardening the foam liquid may be located in the remaining area other than the area excluded by the vacuum insulator 392. Another part of the vacuum insulator 392 may be located below the bottom wall 124b forming the second space 124.
  • the vertical center line Y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door 132 than the rear wall 124c.
  •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29 may pass through the second ice maker 500.
  •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29 may pass through the ice making cell 501.
  •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29 may pass between the first pusher 540 and the second door 132.
  •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29 may pass through the second ice bin 600.
  • the first pusher 54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door 132 than the rear wall 124c.
  • a case where the gasket 1329 is omitted may also be considered.
  • the surface that contacts the second door 132 and the door liner 102 can be defined as the boundary surface.
  •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29 may be replaced with a vertical line Y2 extending along the boundary surface.
  • the horizontal center line (X1) of the ice-making cell 501 may pass through the pad 19.
  • the horizontal center line (X1) of the ice-making cell 501 may pass through the vacuum insulator 392.
  • the ice guide 800 may include a through hole 802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 the horizontal center line (X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through hole 802.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ure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ice bin has been removed.
  •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respects, but differs in the shape of the door liner and the shape of the second door.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second door 133 may form a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 a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may be formed by the dyke 102e of the door liner 102, and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may be formed by the second door 133.
  • the length of the dyke 102e may be reduced.
  • the door liner 102 may be formed by a mold. If the length of the die 102e is reduced, the size of the mold may be reduced,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 the second door 133 may include a first frame 1331.
  • the second door 133 may further include the second frame 1332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331.
  •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rame 1331 and the second frame 1332.
  • the second door 133 may include a first recessed portion 1333a to accommodate the second ice maker 50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depression 1333a.
  • the first depression 1333a may be de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ar wall 124c of the second space 124.
  • the second door 13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ssed portion 1333b that is additionally recessed from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33a. Based on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door 133, the second recessed portion 1333b may be rec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ar wall 124c of the second space 124.
  • the first depression 1333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rame 1332.
  • the first depression 1333a and the second depression 1333b may not be distinguished and may be interpreted as a single depression.
  • the depression depth of the depression may vary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 the depression depth of the second depression 1333b may be greater than the front-back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door 133 where the second depression 1333b is formed.
  • the ice making cell 501 When the second door 133 is closed, at least a portion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located in the first recessed portion 1333a.
  • the horizontal center line (X1) of the ice-making cell 501 may pass through the second recessed portion 1333b.
  • the second door 133 may be provided with a gasket 1329.
  • the gasket 1329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usher 540 may be located in the area formed by the gasket 1329.
  • the vertical center line Y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door 133 than the rear wall 124c.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29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Y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ice making cell 501.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29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Y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small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line Y2 and the second depression 1333b.
  •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329 may pass through the ice making cell 501.
  • the horizontal center line (X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through hole 802 of the ice guide 800.
  •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sub door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sub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 ice bin in a separated state
  •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b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6-16 of FIG. 12.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7-17 of FIG. 12.
  •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respect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door.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second door 1340 of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door 1350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 the main door 1350 may be rotated by a hinge, for example (movable type).
  • a gasket may exist between the main door 1350 and the door liner 102.
  • the main door 1350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by a fastening member and maintained in a fixed state (fixed type).
  • a fastening member when the fastening member is separated, the main door 135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the main door 135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passes, and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astened may be formed in the door liner 102.
  • a gasket may be present between the main door 1350 and the door liner 102, or the gasket may be omitted.
  • the left-right and top-bottom lengths of the main door 1350 may be larger than the left-right and top-bottom lengths of the second space 124.
  • the main door 1350 may include a door opening 1352.
  • the door opening 1352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space 124.
  • the door opening 135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door 1350.
  • the door opening 1352 may be provided below a line that bisects the height of the main door 1350. That is, the height of the door opening 1352 may be less than 1/2 of the height of the main door 1350.
  • the second door 1340 may further include a sub door 1370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opening 1352.
  • the fact that the sub-door 1370 opens and closes the door opening 1352 can be explained as the sub-door 1370 opening and closing a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 the sub door 137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door 1350 by a hinge. When the main door 1350 is rotatabl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ain door 135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b door 130 may be the same.
  • the sub door 1370 may open the door opening 1352.
  • the door opening 1352 is opened,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f the main door 135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storage room door 10 while the sub door 1370 closes the door opening 1352, the entire second space 12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 the main door 1350 may remain fixed and cover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 the sub door 1370 can open and close another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 the sub door 1370 may be located below the main door 1350.
  • the sub door 137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door 1350 or to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Of course, if the main door 1350 is separated and the sub door 1370 is rotated, the entire second space 124 can be opened.
  • the sub door 1370 can be rotated to take out the ice stored in the second ice bin 600.
  • the size of the second space 124 exposed to the outside is reduced, so that the size of the second space 124 within the second space 124 is reduced.
  • the amount of cold air leaking to the outside can be reduced.
  • the main door 1340 is positioned so that the front of the sub-door 1370 and the front of the main door 1340 are positioned on substantially the same vertical line when the sub-door 1370 closes the door opening 1352.
  • the door opening 1352 may be formed in the door receiving portion 1351.
  • the sub door 1370 may include a first frame 1371.
  • the sub door 137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rame 1375 coupled to the first frame 1371.
  • the sub door 1370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1379.
  • the gasket 1379 can prevent cold air leakage in the second space 124 by contacting the main door 1350 when the sub door 1370 closes the door opening 1352.
  • the gasket 1379 may contact the door receiving portion 1351.
  • the gasket 1379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1375, for example.
  • the sub door 137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660a.
  • the locking unit 660a may allow the sub door 1370 to be coupled to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or the main door 1350.
  • the locking portion 660a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 the basic structure of the locking unit 660a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locking unit 66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locking unit 660a may include a lever 661a rotatably coupled to the sub door 1370.
  • the locking part 660a may further include a gripping part 666a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ver 661a. The user can rotate the lever 661a while holding the grip part 666a.
  • a lever penetration hole 1353 through which the lever 661a passes may be formed in the main door 1350.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 lever receiving portion (see 127 in FIG. 8)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lever 661a.
  • the lever through-hole 1353 is omitted and the lever receiving portion 127 and the locking protrusion 127b are formed on the main door 1350. possible.
  • the sub door 1370 may include a recessed receiving portion 1372.
  • the receiving portion 1372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side of the sub door 1370.
  • the receiving portion 1372 may be formed in the first frame 1371, for example.
  • the lever 661a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72.
  • the sub door 1370 may be provided with a shaft 1373a for rotation of the lever 661a.
  • the shaft 1373a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72, for example.
  • the sub door 137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1373b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lever 661a.
  • the lever 661a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slot 664a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1321c is accommodated.
  • the guide slot 664a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centered on the shaft 1373a.
  • the sub door 1370 may further include a door protrusion 1380.
  • the door protrusion 138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ing 1352.
  • the door protrusion 1380 When the sub door 1370 is closed, the door protrusion 1380 may be inserted into the door opening 1352. When the sub door 1370 is closed, the door protrusion 1380 can reduce the amount of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door opening 1352.
  • the door protrusion 1380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frame 1375.
  • the gasket 1379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oor protrusion 1380.
  • the door protrusion 1380 may be located within the area formed by the gasket 1379.
  • the area of the door protrusion 1380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remaining portion.
  • the second ice bin 600 of this embodiment may be supported on the sub door 1370.
  • the second ice bin 600 can move together with the sub door 137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pass through the door opening 1352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sub door 137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space 124 when the sub door 1370 is closed.
  • the second ice bin 600 may pass through the door opening 1352 and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space 124. Accordingly, by opening the sub door 1370,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second ice bin 600 and easily take out the ice.
  • the second ice bin 600 may pass through the door opening 1352 and enter the second space 124.
  • the height of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door opening 1352.
  •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door opening 1352.
  • the sub door 137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382 for coupling the second ice bin 600.
  • the coupling protrusion 1382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frame 1375.
  • the coupling protrusion 1382 may protrude from the door protrusion 1380.
  •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38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38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 coupling hole 612 for coupling the coupling protrusion 138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ce bin 600. Since the shape of the coupling hole 612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oupling hol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sub door 137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1384 for supporting the second ice bin 600 coupled to the sub door 1370.
  • the support portion 1384 may protrude from the door protrusion 138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include a first body 610 coupled to the sub door 137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 the second ice bin 6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614 located opposite the first body 61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ody 620 connecting one side of the first body 610 and one side of the second body 614.
  • the second ice bin 60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body 630 connec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61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ody 614.
  • the third body 620 may be located adjacent to one side wall 124a forming the second space 124.
  • the fourth body 63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wall 124e, which is the opposite wall of the one side wall 124a.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body 62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sub door 1370 than the fourth body 630.
  • the second ice bin 600 may penetrate the door opening 1352 while rotating. At this time, to prevent the fourth body 630 from interfering with the main door 1350, there is a gap between the third body 620 and the fourth body 63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body 610.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body 620 and the fourth body 630 may be smaller than the horizontal distance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second body 614.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third body 620 and the fourth body 630 may decrease from the first body 620 to the second body 614.
  • the curvature of the fourth body 630 may be variable.
  • the curvature of the portion of the fourth body 630 adjacent to the second body 614 may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body 610.
  • the gap between the one side wall 124a and the third body 620 may increase from the first body 620 side to the second body 614 side.
  • the gap between the other side wall 124e and the fourth body 640 may increase from the first body 620 side to the second body 614 side.
  • the increase rate of the gap between the other side wall 124e and the fourth body 640 may be greater than the increase rate of the gap between the one side wall 124a and the third body 620.
  • the gap between the other side wall 124e and the fourth body 640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body 614 may be larger than the gap between the one side wall 124a and the third body 620.
  • the main door 1350 may further include a recess 1353 in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ice maker 500 is accommodated.
  • FIG. 18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FIG. 1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cond do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a closed state.
  •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in other respects,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door.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second door 1400 may include a main door 1410 that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
  • the second door 1400 may further include a sub door 1420 that opens and closes a portion of the second space 124.
  • the sub door 1420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main door 1410.
  • a second ice bin 600 may be coupled to the sub door 1420.
  • the firs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0 may include a protruding dike 1020 to form the second space 124.
  • a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may be formed by the dyke 1020, and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space 124 may be formed by the second door 1400.
  • the length of the dyke 1020 may be reduced.
  • the door liner 102 may be formed by a mold. If the length of the dyke 1020 is reduced, the size of the mold can be reduced,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 the horizontal length L2 of the second door 14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L1 (or protrusion length) of the dyke 1020.
  • the main door 1410 may include a recess 1415 to form the second space 124.
  • a portion of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in the depression 1415.
  • the second ice bin 600 may be located in the depression 1415.
  • the depression depth of the depression 1415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 door 1420.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4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respects, but differs in the shape of the door liner and the shape of the second door. Therefore, hereinafter,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 the second door 1440 may have a surface facing the second space 124 formed in a flat shape.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not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door 1440, but may be located outside the second door 1440.
  • the second door 1440 may be provided with a gasket 1450.
  • the gasket 1450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 the second ice maker 5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area formed by the gasket 1450.
  • the ice-making cell 501 formed in the first tray 510 and the second tray 5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450. That is,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450 may be located outside the ice-making cell 501.
  • the first tray 510 and the second tray 550 may be spaced apart from a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450.
  • the vertical center line Y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door 1440 than the rear side wall 124c.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450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Y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ice making cell 501.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line Y2 passing through the gasket 1450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Y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door 1440.
  • the horizontal center line (X1) of the ice making cell 501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through hole 802 of the ice guide 800.
  • the vertical line Y3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center C1 of the second tray 550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rear wall 124c than the vertical center line Y1 of the ice making cell 5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아이스 빈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에 보관된 얼음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열고 상기 아이스 빈에 접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659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 하방의 냉동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좌우양측에 한쌍이 배치되며, 어느 일측에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메인 워터탱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추가 냉각시키는 서브 워터탱크; 상기 정수장치, 메인 워터탱크, 서브 워터탱크, 디스펜서 및 아이스 메이커를 연통시키는 급수유로;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 또는 아이스 메이커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지 밸브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디스펜서의 후측에 서브 워터탱크와 분지 밸브가 구비되므로, 디스펜서 후측의 공간을 별도의 저장공간이나 제빙실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의 경우, 하나의 아이스메이커를 냉장실 도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을 뿐, 필요에 따라서 다수 종류의 얼음을 생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 예는, 디스펜서의 후측에 특정 용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는 상기 공간에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는 상기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을 사용자가 쉽게 꺼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는 상기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을 꺼내는 과정에서 냉기 유출이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 실시 예는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상기 공간의 일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공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의 금형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공간을 커버하는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일례로 제빙실일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제빙실을 개폐하는 제빙실 도어일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빙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는, 도어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도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다른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에는 함몰된 형태의 도어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는 상기 도어 수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용부에 상기 서브 도어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도어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돌출부는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은 상기 서브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상기 제빙실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가 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상기 제빙실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아이스 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의 좌우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의 상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록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서브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레버와 결합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레버가 위치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파지부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최대 함몰 깊이는 상기 서브 도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제 2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다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 2 공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다이크의 돌출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내에 제빙기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기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에는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아이스 빈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함몰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상기 제빙셀의 수직 중심선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제빙실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 단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진공 단열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체의 일부는 상기 제빙실의 바닥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1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2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1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1 제빙셀을 구비하는 제 1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제빙셀을 구비하는 제 2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과 상기 제 2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에 생성된 얼음은 상기 공간 도어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과 상기 제 2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와 상기 제 2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1 공간; 상기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얼음이 생성되는 제 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제 1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는, 상기 제 1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1 제빙셀을 제공하는 제 1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제 2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는, 상기 제 2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제빙셀을 제공하는 제 2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제 1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품은, 디스펜서, 공간 도어 또는 아이스 빈 등을 포함할 수 잇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제 2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품은, 디스펜서, 공간 도어 또는 아이스 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품 및 상기 제 2 부품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르게 제공되거나 서로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은 상기 제 2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과 종류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의 형상, 크기, 투명도, 색상, 강도는 상기 제 1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과 다를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는 다른 제 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 혹은 관통공은 상기 제 1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 혹은 관통공은 제 2 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냉장고의 외부공간에 노출되는 면(일례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은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면(일례로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 1 도어 및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저장실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은 상기 제 1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2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은 각각 상기 제 1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은 각각 상기 제 2 도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제거되는 과정과 상기 제 2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제거되는 과정이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트레이는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트레이는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는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된 적어도 일부는 복원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는, 상기 제 2 제빙셀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전면, 후면, 측면, 상면,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품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부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면,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에서 서로 같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제 1 부품이 이동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 1 부품이 이동하면, 상기 제 2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부품이 가지는 특징(일례로 색상, 투명도, 위치 등)이 변화되면, 상기 제 2 부품이 가지는 특징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을 구획하는 벽과 상기 제 2 공간을 구획하는 벽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와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관통공과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관통공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벽과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벽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품을 구성하는 서브부품(일례로, 힌지, 핸들, 가스켓, 캡 덕트,슈트, 퍼넬(아이스 가이드), 스위치 패드, 센서, 단열재, 구동 수단 등)과 상기 제 2 부품을 구성하는 서브 부품(일례로, 힌지, 핸들, 가스켓, 캡덕트, 슈트, 퍼넬(아이스 가이드), 스위치패드, 센서, 단열재, 구동 수단 등)의 적어도 일부는 공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전면, 후면, 측면, 상면, 하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를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 제빙기를 위한 디스플레이는 상기 전면, 후면, 측면, 상면, 하면 중에서 서로 같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 상기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빙셀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공간을 걔폐하는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벽과 접촉 및 분리 가능도록 제공되는 경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에는 가스켓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기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아이스 빈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공간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아이스 빈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함몰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상기 제빙셀의 수직 중심선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얼음이 생성되며 상기 공간과는 다른 위치에 제공되는 추가적인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추가적인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빙셀을 제공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추가적인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추가적인 제빙기를 미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계면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추가적인 제빙기의 제빙셀을 미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후측에 특정 용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 후측의 공간에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서, 도어 개방에 의해서 사용자가 쉽게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공간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에 아이스 빈이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므로 냉기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상기 공간의 일부를 형성함에 따라서, 상기 공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의 금형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배면도.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에서 제 2 아이스 빈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의 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16-1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2의 17-17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8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20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동실(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저장실이 냉장실(18)과 냉동실(1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냉장실(18)은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9)은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8)은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상기 디스펜서(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0)나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11)와 상기 제빙기는 동일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각 냉장실 도어가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또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거나 냉장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1 제빙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2 제빙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제빙기(200, 5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도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제빙기(200) 및 제 2 제빙기(500)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디스펜서(11)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별도의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 1 제빙기(200) 및 제 2 제빙기(500) 중 하나 이상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1)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1 디스펜서와,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디스펜서(11)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냉장실(18)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을 제 1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2 공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제 2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공간(124)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간(124)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저장실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디스펜서(11) 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아이스 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아이스 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은 상기 제 1 제빙기(200)와 함께 상기 제 1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함께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과,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기 또는 냉동실(19)의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9) 또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2a)와 상기 배출 유로(2b)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입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공급 유로(2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출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배출 유로(2b)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공급 유로(2a)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배출 유로(2b)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구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 형태"는 기하학적으로 구 형태 뿐만 아니라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투명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빙기(200)의 구조 및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구조 및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빙기 들의 구조 및/또는 이빙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122)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하는 제 2 공간(124)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깊이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 및 제 2 공간(124)의 깊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상기 일측면은, 전후 방향 폭(X축 방향 폭)이 다른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의 폭은 상기 제 1 측면부(10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의 폭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 및 상기 냉기 출구(123b)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제 2 측면부(10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는 상기 제 1 측면부(102a) 보다 상기 냉장실(18)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30)(또는 제 1 공간 도어 또는 제 1 제빙실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32)(또는 제 2 공간 도어 또는 제 2 제빙실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어도 상기 제 2 도어(132)는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130) 및 제 2 도어(132)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8)과 상기 제 1 공간(122) 및 제 2 공간(124) 간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도 6의 132a참조)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의 가변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130)에는 음식물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36)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일례로 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일 측면(10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필터 커버(1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132)는 회전 동작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132a)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도어(13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도어(132)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공간(124)에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132)를 개방시키면 사용자는 바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을 별도로 상기 제 2 공간(124)에서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2 공간(124)을 닫기 위하여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일측벽(124a)에는 냉기가 유입되는 입구부(또는 제 1 관통공)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일측벽(124a)에는 냉기가 배출되는 출구부(126)(또는 제 2 관통공)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126)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출구부(126)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제 1 프레임(1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제 1 프레임(1321)과 결합되는 제 2 프레임(1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21)은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13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1321)에서 상기 제 2 도어(132)의 외관을 형성하는 면을 제 1 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2)은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공간(124)을 바라볼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22)에서 상기 제 2 공간(124)을 바라보는 면을 제 2 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프레임(1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도어(132)에 결합되는 제 1 바디(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3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5)는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23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복수의 결합 돌기(1325)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25)는 일례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610)에는 상기 결합 돌기(1325)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612)은, 상기 결합 돌기(1325)의 일부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부분(6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612)은 상기 결합 돌기(1325)의 결합 과정에서 통로를 제공하는 제 2 부분(6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612b)의 직경은 상기 제 1 부분(612a)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5)는 상기 제 2 프레임(1322)에서 돌출되는 제 1 파트(132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5)는 상기 제 1 파트(1325a)에서 연장되는 제 2 파트(132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1325b)의 직경은 상기 제 1 파트(1325a)의 직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1325b)가 상기 제 2 부분(612b)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파트(1325a)가 상기 제 1 부분(612a)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제 1 파트(1325a)가 상기 제 1 바디(610)에 걸려 상기 제 1 바디(610)가 상기 결합 돌기(1325)에 지지되면서 상기 결합 돌기(132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와 마주보는 제 2 바디(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614)의 상단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상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일측과 상기 제 2 바디(614)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3 바디(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타측과 상기 제 2 바디(614)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4 바디(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는 상단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 각각은 상기 제 1 바디(610)와 연결되는 제 1 상단부(621)와, 상기 제 2 바디(614)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상단부(6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단부(621)는 상기 제 2 상단부(62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는 상기 일측벽(124a)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출구부(126)와 정렬되는 냉기 관통홀(62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형성하는 공간에 인입된 냉기는 상기 냉기 관통홀(623)을 통과하여 상기 출구부(126)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록킹부(66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2 공간(124)을 닫은 상태에서 제 1 냉장실 도어(1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잠금 상태). 사용자가 상기 록킹부(66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2 도어(132)와 제 1 냉장실 도어(1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잠금 해제 상태).
상기 록킹부(660)는, 레버(6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661)는 상기 제 2 도어(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에는 상기 레버(661)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132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의 회전 중심선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는 상기 샤프트(1321b)가 결합되기 위한 샤프트 결합부(6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661)는 후크(6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레버(661)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기 위한 레버 수용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수용부(127)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부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수용부(127)의 개구(127a)를 통해서 상기 레버(661)가 상기 레버 수용부(12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수용부(127)에는 상기 록킹부(660)의 후크(665)가 걸리기 위한 걸림 돌기(127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레버(661)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661)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1c)가 수용되는 가이드 슬롯(66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의 회전이 가이드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664)은 상기 샤프트(1321b)를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321c)는 상기 샤프트(1321b)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도어(132)는 함몰된 형태의 수용부(1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21a)는 상기 제 2 도어(132)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21a)는 일례로 상기 제 1 프레임(13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60)는, 상기 레버(6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지부(6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666)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6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661)는 상기 파지부(666)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6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62)는 상기 파지부(666)의 힌지부(667)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62)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66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666)는 일례로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6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666)의 회전 중심선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661)에 대한 상기 파지부(666)의 회전 방향은 상기 샤프트(663)에 대한 상기 레버(661)의 회전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상기 파지부(666)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파지부(666)가 안착되는 안착홈(13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21d)은 일례로 상기 제 1 프레임(132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321d)은 일례로 상기 제 1 프레임(1321)의 전면이 상기 제 2 프레임(1322)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가스켓(13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은 상기 제 2 도어(132)가 상기 제 2 공간(124)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공간(124)에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은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함몰부(13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23a)는 상기 제 2 프레임(1322)의 일부가 상기 제 2 도어(132)의 제 1 면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23a)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25)는 일례로 상기 제 1 함몰부(1323a)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함몰부(1323a)에서 추가로 함몰되는 제 2 함몰부(13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23a) 및 상기 제 2 함몰부(1323b)도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상기 제 2 공간(124)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에는 아이스 슈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하측에는 아이스 가이드(8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1)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빙셀(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직선 운동하거나 또는 직선 및 회전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직선 이동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55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된 부분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는 상기 출구부(126)가 형성되는 일측벽(124a)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후측벽(124c)은 상기 구동부(580)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124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4d)은 상기 후측벽(124c)의 일부가 상기 제 2 도어(13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제 1 푸셔(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푸셔(540)는 얼음을 가압하여 얼음이 상기 제 1 푸셔(54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가압하는 제 2 푸셔(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지지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520, 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10)를 지지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520, 530)의 일부가 제 2 함몰부(1323b)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 컵 등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다. 물이나 얼음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전후 방향(일례로 X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상기 제 1 공간(122) 간의 최단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제 2 공간(124)의 최단 수평 거리가 클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는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 취출을 위하여 가압하는 패드(1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드(19)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제빙셀(50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패드(19)는 상기 제빙셀(501)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크기가 증가되기 위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후측벽(124c)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상기 후측벽(124c) 사이의 공간이 좁으므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상기 후측벽(124c) 사이의 공간에는 진공 단열체(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체(392)의 일부는 상기 패드(19)와 상기 제빙셀(50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체(392)가 차치하는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에는 발포액의 경화에 의해서 형성되는 단열재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체(392)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바닥벽(124b)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은 상기 후측벽(124c) 보다 상기 제 2 도어(132)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 2 제빙기(50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빙셀(50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 1 푸셔(540)와 상기 제 2 도어(13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540)는 상기 후측벽(124c) 보다 상기 제 2 도어(132)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이 생략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와 접촉하는 면을 경계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경계면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선(Y2)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패드(19)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진공 단열체(392)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이 배출되는 관통공(8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관통공(802)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는 제 2 아이스 빈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된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도어 라이너의 형상 및 제 2 도어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133)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다이크(102e)가 형성하고, 상기 제 2 공간(124)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3)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상기 제 2 도어(133)가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크(102e)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금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다이크(102e)의 길이가 줄어들면 금형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어, 제조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는 제 1 프레임(1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는 상기 제 1 프레임(1331)과 연결되는 상기 제 2 프레임(13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임(1331)과 상기 제 2 프레임(1332) 사이에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수용을 위한 제 1 함몰부(133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33a)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함몰부(1333a)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후측벽(124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는, 상기 제 1 함몰부(1333a)에서 추가로 함몰되는 제 2 함몰부(13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함몰부(1333b)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후측벽(124c)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함몰부(1333a)는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32)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함몰부(1333a)와 제 2 함몰부(1333b)가 구분되지 않고 단일의 함몰부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함몰부의 함몰 깊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함몰부(1333b)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제 2 도어(133)에서 상기 제 2 함몰부(1333b)가 형성되는 부분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빙셀(50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함몰부(1333a)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제 2 함몰부(1333b)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3)에는 가스켓(132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은 폐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제 1 푸셔(54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은 상기 후측벽(124c) 보다 상기 제 2 도어(133)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501)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수직선(Y2)과 상기 제 2 함몰부(1333b)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29)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빙셀(50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관통공(802)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2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에서 제 2 아이스 빈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16-1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17-17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 3 실시 예의 제 2 도어(1340)는,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1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는 일례로 힌지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이동 타입). 이 경우에는 상기 메인 도어(1350)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 사이에는 가스켓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도어(1350)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정 타입). 물론, 상기 체결부재를 분리하면 상기 메인 도어(1350)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도어(1350)는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 라이너(102)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도어(1350)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 사이에는 가스켓이 존재할 수도 있고, 가스켓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도어(1350)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좌우 길이 및 상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는, 도어 개구(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1352)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1352)는 상기 메인 도어(1350)의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도어(1350)의 높이를 이등분하는 선의 하측에 상기 도어 개구(135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개구(1352)의 높이는 상기 메인 도어(1350)의 높이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40)는 상기 도어 개구(1352)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1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개폐하는 것은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일례로 힌지에 의해서 상기 메인 도어(1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가 회전 가능한 경우, 상기 메인 도어(135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서브 도어(130)의 회전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1352)가 개방되면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1350)를 상기 제 1 저장실 도어(10)에서 분리시키면 상기 제 2 공간(124)의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메인 도어(1350)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를 커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다른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메인 도어(135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메인 도어(1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 도어(1350)를 분리하고 상기 서브 도어(137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공간(124)의 전체가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서브 도어(13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서브 도어(1370)를 회전시킬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제 2 공간(124) 내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양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1370)의 전면과 상기 메인 도어(1340)의 전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 도어(1340)는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위치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도어 수용부(1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1352)는 상기 도어 수용부(13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제 1 프레임(13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제 1 프레임(1371)과 결합되는 제 2 프레임(13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가스켓(137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은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1350)와 접촉되어 상기 제 2 공간(124)에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은 일례로 상기 도어 수용부(1351)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은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7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록킹부(6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60a)는 상기 서브 도어(1370)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 또는 상기 메인 도어(1350)에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록킹부(660a)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결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록킹부(660a)의 기본적인 구조는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록킹부(66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60a)는, 상기 서브 도어(13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66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660a)는, 상기 레버(66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지부(66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666a)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661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350)에는 상기 레버(661a)가 관통하기 위한 레버 관통홀(13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레버(661a)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기 위한 레버 수용부(도 8의 127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메인 도어(1350)가 고정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레버 관통홀(1353)이 생략되고 상기 레버 수용부(127) 및 걸림 돌기(127b)가 상기 메인 도어(135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함몰된 형태의 수용부(1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72)는 상기 서브 도어(1370)의 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72)는 일례로 상기 제 1 프레임(137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72)에 상기 레버(661a)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에는 상기 레버(661a)의 회전을 위한 샤프트(137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373a)는 일례로 상기 수용부(1372)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에는 상기 레버(661a)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37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a)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21c)가 수용되는 가이드 슬롯(664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661a)의 회전이 가이드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슬롯(664a)은 상기 샤프트(1373a)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도어 돌출부(1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돌출부(1380)는 상기 도어 개구(135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돌출부(1380)는 상기 도어 개구(135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돌출부(1380)는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하는 냉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도어 돌출부(1380)는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75)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은 상기 도어 돌출부(138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379)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도어 돌출부(138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375)에서 상기 도어 돌출부(1380)의 면적은 나머지 부분의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서브 도어(137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서브 도어(1370)에 지지되면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서브 도어(137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서브 도어(1370)의 개방 과정 및 닫힘 과정에서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서브 도어(137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공간(124)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에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서브 도어(1370)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얼음을 쉽게 꺼낼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상기 도어 개구(135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높이는 상기 도어 개구(1352)의 상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좌우 폭은 상기 도어 개구(1352)의 좌우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370)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3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82)는 일례로 상기 제 2 프레임(1375)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82)는 상기 도어 돌출부(138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복수의 결합 돌기(1382)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1382)는 일례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는 상기 결합 돌기(138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612)의 형상은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결합홀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서브 도어(1370)는 상기 서브 도어(1370)에 결합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84)는 상기 도어 돌출부(138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84)에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지지되면,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의 하중이 상기 결합 돌기(1382)로 집중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상기 결합 돌기(138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상기 서브 도어(1370)에 결합되는 제 1 바디(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바디(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일측과 상기 제 2 바디(614)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 3 바디(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1 바디(610)의 타측과 상기 제 2 바디(614)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 4 바디(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62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일측벽(124a)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바디(630)는 상기 일측벽(124a)의 반대편 벽인 타측벽(124e)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3 바디(620)는 상기 제 4 바디(630) 보다 상기 서브 도어(1370)의 회전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회전 동작하면서 도어 개구(1352)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바디(630)가 상기 메인 도어(135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 1 바디(610)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 간의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2 바디(614)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 간의 수평 거리가 작을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3 바디(620)와 상기 제 4 바디(630)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1 바디(620)에서 상기 제 2 바디(614) 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4 바디(630)의 곡률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4 바디(630)에서 상기 제 2 바디(614)와 인접한 부분의 곡률은 상기 제 1 바디(610)와 인접한 부분의 곡률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일측벽(124a)과 상기 제 3 바디(620) 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바디(620) 측에서 상기 제 2 바디(614) 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타측벽(124e)과 상기 제 4 바디(640) 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바디(620) 측에서 상기 제 2 바디(614) 측으로 갈수록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타측벽(124e)과 상기 제 4 바디(640) 간의 간격 증가율은 상기 일측벽(124a)과 상기 제 3 바디(620) 간의 간격 증가율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614)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타측벽(124e)과 상기 제 4 바디(640) 간의 간격은 상기 일측벽(124a)과 상기 제 3 바디(620) 간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135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일부가 수용되는 함몰부(1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3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 2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 4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1400)는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1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40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420)는 상기 메인 도어(141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1420)에는 제 2 아이스 빈(600)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또는 도어 라이너)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태의 다이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공간(124)의 일부는 상기 다이크(1020)가 형성하고, 상기 제 2 공간(124)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40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상기 제 2 도어(1400)가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이크(1020)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금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다이크(1020)의 길이가 줄어들면 금형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어, 제조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다이크(1020)의 수평 길이(L1)(또는 돌출 길이) 보다 상기 제 2 도어(1400)의 전후 방향 수평 길이(L2)가 클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14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415)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415)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415)의 함몰 깊이는 상기 서브 도어(14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도 20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도어 라이너의 형상 및 제 2 도어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 5 실시 예에 따른 제 2 도어(144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바라보는 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도어(1440)의 형태에 의해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도어(1440)에 수용되지 않고, 상기 제 2 도어(144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440)에는 가스켓(14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50)은 폐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50)이 형성하는 영역의 외측에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에서 형성되는 제빙셀(501)은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은 상기 제빙셀(50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은 상기 후측벽(124c) 보다 상기 제 2 도어(1440)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501)의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스켓(1450)을 통과하는 수직선(Y2)과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 2 도어(1440)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의 수평 중심선(X1)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관통공(802)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회전 중심(C1)을 지나는 수직선(Y3)은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Y1) 보다 상기 후측벽(124c)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Claims (20)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제빙실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인 도어; 및
    상기 메인 도어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빙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는, 도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도어 개구를 개폐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에는 함몰된 형태의 도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개구는 상기 도어 수용부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도어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도어 수용부에 위치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도어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도어 개구에 삽입되는 도어 돌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 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빈은 상기 서브 도어에 결합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상기 제빙실에서 인출되고,
    상기 서브 도어가 타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아이스 빈이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상기 제빙실로 인입되는 냉장고.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의 좌우 길이 보다 크고,
    상기 메인 도어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의 상하 갈이 보다 큰 냉장고.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서브 도어가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서브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레버와 결합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레버가 위치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수용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안착을 위한 안착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빙기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다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는 상기 제빙실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도어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다이크의 돌출 길이 보다 큰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냉장고 도어와 접촉하는 가스켓과,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기를 통과하거나,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제빙셀을 통과하거나,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은 상기 아이스 빈을 통과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제빙기 및 상기 아이스 빈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함몰부를 통과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 도어는 상기 냉장고 도어와 접촉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셀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을 통과하는 수직선과 상기 제빙셀의 수직 중심선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제빙셀의 반경 보다 작은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와 상기 제빙실 사이에 배치되는 진공 단열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셀의 수평 중심선은 상기 진공 단열체를 통과하는 냉장고.
  19.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1 공간;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의 하측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2 공간;
    상기 제 2 공간을 개폐하는 공간 도어;
    상기 제 1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1 제빙셀을 구비하는 제1제빙기; 및
    상기 제 2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제빙셀을 포함하는 제 2 제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되는 얼음과 상기 제 2 공간에 생성되는 얼음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제공되고,
    상기 제 1 공간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생성된 얼음은 상기 공간 도어를 통해 배출되는 냉장고.
  20.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형성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제 1 공간;
    상기 도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얼음이 생성되는 제 2 공간;
    상기 제 1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1 제빙셀을 제공하는 제 1 트레이를 구비하는 제 1 제빙기; 및
    상기 제 2 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인 제 2 제빙셀을 제공하는 제 2 트레이를 구비하는 제 2 제빙기;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제 1 부품;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공간으로부터 얼음이 배출되도록 제공되는 제 2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품 및 상기 제 2 부품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르게 제공되거나 서로 구분되어 제공되는 냉장고.
PCT/KR2023/012540 2022-10-13 2023-08-24 냉장고 WO20240805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20 2022-10-13
KR1020220131520A KR20240051626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534A1 true WO2024080534A1 (ko) 2024-04-18

Family

ID=9066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2540 WO2024080534A1 (ko) 2022-10-13 2023-08-24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1626A (ko)
WO (1) WO202408053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758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제빙실 차폐구조
KR20100113208A (ko) * 2009-04-13 201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50131715A (ko)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57717A (ko) * 2015-08-31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31250A (ko) * 2019-09-11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758A (ko) *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제빙실 차폐구조
KR20100113208A (ko) * 2009-04-13 201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50131715A (ko)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57717A (ko) * 2015-08-31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31250A (ko) * 2019-09-11 2021-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26A (ko)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23175A1 (en) Refrigerator
WO2010123177A1 (en) Refrigerator
WO2014200316A1 (en) Refrigerator
WO2016036213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065507A1 (en) Refrigerator
WO2015105332A1 (ko) 냉장고
WO2011081498A2 (en) Refrigerator
WO2015105333A1 (ko) 냉장고
WO2011081500A2 (en) Refrigerator
WO2020218817A1 (ko) 냉장고
WO2015105305A1 (ko) 냉장고
WO2014200315A1 (en) Refrigerator
WO2024080534A1 (ko) 냉장고
WO2020045991A1 (en) Refrigerator
WO2024080546A1 (ko) 냉장고
WO2015105331A1 (ko) 냉장고, 이에 적용되는 도어 어셈블리,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제조 방법
WO2024034853A1 (ko) 냉장고
WO2024080536A1 (ko) 냉장고
WO2020071762A1 (ko) 냉장고
WO2024080538A1 (ko) 냉장고
WO2022092593A1 (ko) 냉장고
WO2024080576A1 (ko) 냉장고
WO2023249432A1 (en) Refrigerator
WO2024080561A1 (ko) 냉장고
WO2020071790A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74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