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208A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208A
KR20100113208A KR1020090031646A KR20090031646A KR20100113208A KR 20100113208 A KR20100113208 A KR 20100113208A KR 1020090031646 A KR1020090031646 A KR 1020090031646A KR 20090031646 A KR20090031646 A KR 20090031646A KR 20100113208 A KR20100113208 A KR 20100113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torage basket
cold air
doo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614B1 (ko
Inventor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614B1/ko
Priority to US12/758,170 priority patent/US20100262295A1/en
Priority to CN201080016225.6A priority patent/CN102388284B/zh
Priority to PCT/KR2010/002263 priority patent/WO2010120091A2/en
Priority to EP10764630.9A priority patent/EP2419692B1/en
Publication of KR2010011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개선하여 제빙기에서의 이빙이 효율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는, 송풍팬 구동을 제어하여 냉장실에 제공되는 제빙실에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빙실에서 제빙이 완료되면, 도어에 제공되는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빙실의 이빙 모터의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에 따라 이빙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냉장실 도어, 제빙실, 얼음 저장부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빙기에서의 이빙이 효율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저장물의 보관을 위한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저장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 및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이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의 일면은 상기 저장물의 취출이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고 도어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종래에는, 얼음 제조를 위하여 사용자가 제빙 트레이에 직접 물을 공급하여 냉동실에 보관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빙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하여 사용하여야 했다.
즉, 사용자는 얼음을 획득하기 위하여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가 외부로 많이 누출되어 냉장고의 냉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에 따라 제빙기에서의 이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냉장고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제빙기에 공급되는 냉기의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제빙기에서의 이빙 시기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는, 송풍팬 구동을 제어하여 냉장실에 제공되는 제빙실에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빙실에서 제빙이 완료되면, 도어에 제공되는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빙실의 이빙 모터의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예에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 구동을 제어하여 제빙실에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빙실로의 냉기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실 도어에 얼음 저장 바스켓 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얼음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가 감지되고, 그에 따라 제빙기에서의 이빙 시기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제빙기에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할 수 있으므로, 냉기가 외부로 불필요하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제빙기의 이빙을 중단하여 얼음이 냉장고 외부로 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빙실이 냉장고 본체에 제공되고, 얼음 저장부가 냉장고 도어에 제공됨으로써 저장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냉장고 도어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외관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냉장실(15) 및 냉동실(16)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11)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15)은 냉동실(16)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15) 및 냉동실(16)은 격벽(17)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냉장실(15)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12) 및 상기 냉동실(16)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동실 도어(13)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냉장실 도어(12)는 상기 냉장실(15)의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조작 가능한 디스펜서 장치(20)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펜서 장치(20)에는, 상기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하여 눌러질 수 있는 누름부(2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11)에는 얼음이 제조되도록 하는 제빙실(100)이 제공된다. 상기 제빙실(100)은 상기 냉장실(15)의 상단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실(100)의 전면에는 상기 제빙실(100)에서 제조된 얼음이 토출되도록 하는 얼음 토출구(10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빙 유닛(100) 전면의 적어도 일부는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얼음 토출구(105)는 상기 제빙 유닛(100)의 전면 중 경사진 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얼음 토출구(105)의 형성 위치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얼음 토출구(105)는 상기 제빙 유닛(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얼음이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실 도어(12)에는 상기 제빙실(105)에서 토출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부(200)가 제공된다. 상기 얼음 저장부(200)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100)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얼음 저장부(2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1)과, 상기 하우징(201)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3) 및 상기 하우징(201)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저장 바스켓(21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01)은 상기 냉장실(15)과 얼음 저장부(200) 내부간의 열교환이 최소화되도록 단열성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에는 상기 얼음 토출구(105)로부터 토출된 얼음이 상기 얼음 저장부(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얼음 유입부(205)가 형성된다. 상기 얼음 유입부(205)는 상기 얼음 토출구(105)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얼음 유입부(205)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얼음 토출구(105)와 밀착된 상태에서 냉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208)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얼음 토출구(105)의 테두리부에 가스켓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하우징(201)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빙실(100)의 전면과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결합면(201a)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닫히면, 상기 제빙실(100)의 경사진 전면과 상기 결합면(201a)은 서로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201a)에 상기 얼음 유입구(205)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면(201a)의 형상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얼음 토출구(105)가 상기 제빙 유닛(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면(201a)이 상기 제빙 유닛(100)의 하면에 대응되어 경사지지 않고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얼음 유입구(205)가 수평한 상기 결합면(201a)에 형성되는 것은 용이하게 짐작 가능하다.
상기 도어(203)에는, 상기 도어(203)의 개방을 위하여 파지 가능한 도어 손잡이(204)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204)는 상기 도어(203)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3)에는 상기 하우징(201)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후크가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201)에는 상기 걸림 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의 개구된 전면 테두리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200) 내부의 냉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20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1)은 상기 실링 부재(209)에 의하여 상기 도어(203)에 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01)과 도어(203)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얼음 저장부(200)를 구성하고 있으나, 미국 특허번호 US 7,469,553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얼음 저장부재 및 제 2 얼음 저장부재가 제공되어 얼음이 저장 및 디스펜스 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얼음 저장부재 및 제 2 얼음 저장부재 중 어느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1)의 일측에는, 상기 얼음 저장부(200)로 공급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냉기 토출공(20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빙실(100)로부터 상기 얼음 저장부(200)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토출공(206)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냉기 토출공(206)에서 배출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유입공(19)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 유입공(19)은,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기 토출공(206)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입공(19)을 통하여 유입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16)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실(100)의 외측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7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70)는 상기 제빙실(10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스위치(70)와 접촉되도록 하는 스위치 누름부(75)가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 누름부(75)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는 상기 도어 스위치(70)가 상기 제빙실(100)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저장실(15)의 하부 또는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누름부(75)는 상기 도어 스위치(7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하부 또는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스위치 누름부(75)가 생략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상기 스위치(70)를 직접 누르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얼음 저장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스켓이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200)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내측에 제공되는 하우징(201)과, 상기 하우징(201)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203) 및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에 수용되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저장 바스켓(210)이 포함된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은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일측면에는 함몰부(212: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212)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좌측면 및 우측면 상단으로부터 각각 하방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207)이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07)은 상기 하우징(201)의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 레일(207)의 위치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하우징(201)의 하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 바스켓(21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07)과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20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저장 바스켓은 일 방향으로 틸팅된 후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저장 바스켓에 가이드 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하우징에 가이드 레일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된 구성은 미국 특허번호 US 7,469,553에서 개시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202)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은 상기 안착부(20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07)은 상기 안착부(202)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1)의 양측 벽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결합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감지 장치로서 센서(220:도 8 참조)가 제공된다. 상기 센서(220)에는, 상기 하우징(201)의 일측 벽에 제공되며 빛(신호)을 송신하는 송신부(221) 및 상기 하우징(201)의 타측 벽에 제공되며 상기 송신부(221)에서 송신하는 빛(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2)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상기 하우징(201)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송신부(221) 및 수신부(222)은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함몰부(212)와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221)의 일측에는, 상기 송신부(22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차단되도록 하는 차단 부재(225)가 제공된다. 상기 차단 부재(225)에는 일 방향으로 함몰되는 절개부(225a)가 형성된다. 상기 송신부(221)는 상기 절개부(225a)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절개부(225a)가 상기 차단 부재(225)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절개부(225a)는 상기 차단 부재(225)의 하단 또는 일측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차단 부재(225)의 대략 중앙부에 관통되어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차단 부재(225)의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 부재(225)가 상기 송신부(221)의 일측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수신부(222)의 일측에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송신부(221) 및 수신부(222)의 각각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차단 부재(225)는 상기 하우징(2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 부재(225)의 일측에는, 상기 차단 부재(225)가 상기 하우징(201)에 탄성 결합되도록 하는 제 1 스프링(226)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스프링(226)에는, 상기 차단 부재(225)가 소정 범위만큼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에는, 저장된 얼음이 취출되는 출구(231) 및 상기 출구(23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셔터(232)가 포함된다. 상기 누름부(21)가 눌러지면, 상기 셔터(232)는 상기 출구(231)의 개방을 위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내부에는, 저장된 얼음이 상기 출구(231)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오거(238)와, 상기 오거(238)의 일측에 제공되며 얼음이 적절한 크기로 분쇄되도록 하는 얼음 분쇄기(239) 및 상기 오거(238)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회전 축(236)이 포함된다. 상기 회전 축(236)은 상기 오거(238) 및 얼음 분쇄기(239)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12)에는, 상기 회전 축(236)의 회전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50)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상기 하우징(201)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 축(236)은 상기 모터(2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250)가 구동되면,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얼음은 상기 오거(238)에 의하여 상기 출구(231)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얼음 분쇄기(239)에 의하여 분쇄되어 상기 출구(38)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 바스켓(210)은, 상기 오거(238) 및 얼음 분쇄기(239)가 상기 도어(12)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나(도 7 참조), 이와는 달리 상기 오거(238) 및 얼음 분쇄기(239)는 상하 방향, 즉 상기 도어(12)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미국 특허 US 6082130에 이미 개시된다.
또한, 상기 오거(238) 및 얼음 분쇄기(239)는 상기 도어(12)에 대하여 소정 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한국 공개특허 2008-0052503에 이미 개시된다. 물론, 상기 오거(238) 및 얼음 분쇄기(239)의 경사진 각도나 방향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가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과 관련된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상기 하우징(20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저장 바스켓(210)은 상기 차단 부재(225)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차단 부재(225)는 상기 제 1 스프링(22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 벽 측으로 회동된다.
즉,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 부재(225)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과 하우징(201)의 사이에 개입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때, 상기 차단 부재(225)의 절개부(225a)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송신부(221)가 위치되며, 타측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함몰부(212)가 위치된다. 즉, 상기 송신부(22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절개부(225a) 및 함몰부(212)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거쳐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221)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상기 수신부(222)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222)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또 다른 함몰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송신부(221)의 신호는 상기 함몰부(212)를 통하여 상기 수신부(222)에 수신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송신부(22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수신부(222)에 용이하게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222)에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300 : 도 8 참조)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결합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빙실(100)에서의 이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 축(236)은 상기 모터(2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완전히 인출되어 상기 차단 부재(225)를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차단 부재(225)는 상기 제 1 스프링(226)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6에서 볼 때, 상기 차단 부재(225)는 상기 제 1 스프링(22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송신부(221)에서 상기 수신부(222)를 향하여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차단 부재(225)에 의하여 차단된다. 즉, 상기 신호는 상기 차단 부재(225)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수신부(222)로 전달되지 못한다.
상기 신호가 상기 수신부(222)로 전달되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인출을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빙실(100)에서의 이빙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송신부(221) 및 수신부(222)를 포함하는 센서(220)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 내부의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실시예에 서의 차단 부재(225)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에 저장되는 얼음의 높이가 상기 송신부(221) 및 수신부(222)의 높이까지 오르게 되면 상기 송신부(221)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얼음 표면에 의하여 간섭 또는 반사되어 상기 수신부(222)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만빙을 감지하고, 상기 제빙실(100)에서의 이빙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만빙이라고 판단되는 기준은 상기 송신부(221) 및 수신부(222)의 설치 높이에 따라 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16)의 후측에는, 상기 냉동실(16)로 공급될 냉기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 1 열교환기(51)와, 상기 제 1 열교환기(51)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16)로 불어주는 제 1 팬 모터(52) 및 제 1 송풍 팬(53)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100)에는, 공급된 물로부터 얼음이 제조되도록 하는 제빙기(110)와, 상기 제빙기(110)의 일측에 제공되며 외기와 열교환 되어 냉기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 2 열교환기(120)와, 상기 제 2 열교환기(120)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기(110) 측으로 불어주는 제 2 팬 모터(130) 및 제 2 송풍 팬(140)이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110)에는, 물이 공급되며 소정 형상의 얼음이 제조되도록 하는 아이스 트레이(미도시)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이빙되도록 구동하는 이빙 모터(115 : 도 8 참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얼음이 분리되도록 하는 소정의 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빙 모터(115)가 구동되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저장 바스켓(210) 측으로 낙하하여 저장된다.
한편, 상기 제빙 유닛(100)에는, 상기 얼음 토출구(105)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토출 조절 유닛(108)이 제공된다. 상기 토출 조절 유닛(108)은, 얼음이 상기 제빙기(110)에서 이빙되어 상기 얼음 저장부(200)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개방되며, 이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폐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토출 조절 유닛(108)은 상기 얼음 저장부(200)측에 제공되어 상기 얼음 유입구(205)를 선택적을 차폐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21)를 누르면, 상기 셔터(232)가 회동하면서 상기 출구(231)가 개방되고, 얼음은 상기 디스펜서 장치(2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기(110)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얼음 저장부(200)를 거쳐 상기 냉동실(16)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15)에 형성되는 냉기 유입공(19)과 냉동실(16)의 사이에는 복귀 덕트(60)가 구비된다.
상기 복귀 덕트(60)는 상기 냉장실(15)의 일측 벽으로부터 상기 격벽(17)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복귀 덕트(60)를 통하여 유동된 냉기는 냉동실 유입부(16a)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6)로 유입된다.
즉, 상기 복귀 덕트(6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냉기 유입공(19)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냉동실 유입부(16a)가 형성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빙기(110)를 거친 냉기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을 냉각시킨 후 상기 냉기 토출공(206)을 통하여 상기 복귀 덕트(60)로 유입되고, 상기 냉동실 유입부(16a)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6)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상기 냉동실(16)로 냉기를 불어주는 제 1 송풍팬(53) 및 상기 제빙실(100)로 냉기를 불어주는 제 2 송풍팬(140)과, 상기 냉장실 도어(15)에 제공되며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 여부 또는 만빙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220)와, 상기 냉장실 도어(15)의 개폐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70)와,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 또는 만빙 여부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이빙 모터(115)와, 상기 이빙 모터(115)의 구동에 따라 이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빙기(110) 및 상기 구성들과 연결되어 냉장고의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3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송풍팬(53) 및 제 2 송풍팬(140)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하여 별도로 제어되어, 각각 상기 냉동실(16) 및 제빙실(100)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220)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221) 및 수신부(222)가 포함된다.
상기 송신부(22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수신부(222)로 전달되면,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결합된 상태이거나,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만빙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어 상기 제빙기(110)로부터 이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송신부(22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수신부(222)로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탈거된 상태이거나,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만빙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단되어 상기 제빙기(110)로부터 이빙이 중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스위치(70)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폐쇄가 인식되면, 상기 제 2 송풍 팬(140)의 구동은 유지되어 상기 제빙실(100)로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빙기(110)로부터 상기 얼음 저장부(200)를 향하여 이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도어 스위치(70)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개방이 인식되면, 상기 제 2 송풍 팬(140)의 구동은 중단되어 상기 제빙실(100)로의 냉기 공급은 중단되어 냉기가 냉장고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110)로부터의 이빙이 중단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제빙기(110)로부터 냉장고 외부로 얼음이 토출되어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을 감지하는 구조에 있어서만 차 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스켓이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12)에는 얼음이 저장되도록 하는 얼음 저장부(2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 저장부(200)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수용을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01)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감지 부재(281)가 제공된다. 상기 감지 부재(281)는 상기 하우징(201)에 결합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부재(281)에는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감지 부재(281)가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일측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양측(좌우측)에 제공되거나,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후측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감지 부재(281)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인출입에 따라 상기 감지 부재(281)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부재(285)가 제공된다. 상기 접촉 부재(285)는 상기 하우징(2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부재(281) 및 접촉 부재(285)에는 접촉에 의하여 통전되 는 스위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합하여 감지 장치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 부재(285)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 부재(285)의 탄성 운동을 위한 제 2 스프링(286)이 제공된다. 상기 접촉 부재(285)는 상기 제 2 스프링(286)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 벽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스켓의 작동 및 착탈 감지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상기 하우징(20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 부재(285)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일측면과 상기 하우징(201)의 내측면 사이에 개입된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 부재(285)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때, 상기 접촉 부재(285)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에 의하여 가압되며, 상기 제 2 스프링(286)의 복원력은 상기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상쇄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상기 하우징(201)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부재(285)는 상기 감지 부재(281)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감지 부재(285)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결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부재(285)의 감지 신호는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결합에 따른 냉장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냉장고 작동에 관한 내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상기 하우징(201)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접촉 부재(285)는 상기 제 2 스프링(286)의 복원력에 의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된 다.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 부재(28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부재(285)가 회동되면 상기 접촉 부재(285)는 상기 감지 부재(281)로부터 이격되므로, 상기 감지 부재(281)에는 상기 접촉 부재(285)에 의한 신호가 단절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감지 부재(281)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분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탈거에 따른 냉장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냉장고 작동에 관한 내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와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냉기 공급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제 1 열교환기(51)와, 상기 제 1 열교환기(51)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16)로 불어주는 제 1 송풍 팬(53) 및 제 1 팬 모터(5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풍 팬(53)의 일측에는, 상기 냉장실(15)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열 교환기(51)에서 발생된 냉기 중 적어도 일부가 유동하는 냉기 덕트(56) 가 제공된다. 상기 냉기 덕트(56)는 상기 냉장실(15)과 냉동실(16)을 구획하는 격벽(17)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10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6)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장실(15)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격벽(17)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56)의 일측에는, 냉기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90)가 제공된다.
상기 댐퍼(9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열교환기(51)에서 생성된 냉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덕트(56)를 거쳐 상기 제빙실(1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00)로 유입된 냉기는 제빙을 위하여 사용된 후 상기 얼음 저장부(200)를 거치게 되며, 상기 복귀 덕트(60)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6)로 복귀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댐퍼(90)가 폐쇄된 상태에서, 냉기는 상기 냉동실(16)로 유입되며 상기 냉기 덕트(56) 내부를 유동할 수 없다. 결국, 냉기는 상기 제빙실(100) 및 얼음 저장부(200)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송풍 팬(53) 및 댐퍼(90)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되면 상기 댐퍼(90)는 폐쇄되며, 상기 냉기 덕트(56) 내부의 냉기 유동은 차단되므로 상기 제빙실(100) 및 얼음 저장부(200)로의 냉기 공급은 중단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기가 냉장고 외부로 불필요하게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폐쇄되면 상기 댐퍼(90)는 개방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냉기가 상기 제빙실(100)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빙기(110)에서의 이빙이 제어되는 내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빙실의 배치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3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12)에는,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기(355)와 상기 제빙기(355)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 바스켓(210)을 포함하는 제빙 장치(350)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 장치(350)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351) 및 상기 하우징(351)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35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기(355) 및 저장 바스켓(210)은 상기 하우징(351)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냉장실(15)에는, 상기 냉동실(16)에서 생성된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 덕트(58)가 제공된다. 상기 냉기 덕트(58)는 상기 냉동실(16)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격벽(17)을 관통하여 상기 냉장실(15) 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냉기 덕트(58)는 상기 냉장실(15)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며, 상기 제빙기(355)에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58)에는, 냉기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댐퍼(90)가 제공된다.
상기 댐퍼(90)는 상기 냉기 덕트(58)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냉기 덕트(58)의 내부 공간을 차폐함으로써 냉기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기 유동을 간단하게 살펴본다.
상기 제 1 열교환기(51)에서 발생된 냉기는 상기 송풍 팬(53)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16)로 유입되며, 상기 냉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덕트(58)를 통하여 상기 제빙기(35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 스위치(70)에 의하여 도어 개방 신호가 상기 제어부(300)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댐퍼(90)를 회동시켜 냉기 유동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빙기(355)로의 냉기 공급이 중단되므로, 냉기가 개방된 도어를 통하여 냉장고 외부로 불필요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90)는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냉기는 상기 제빙기(355) 및 저장 바스켓(210)으로 공급된 후, 상기 복귀 덕트(60)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6)로 복귀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4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 또는 만빙 여부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송풍팬(53) 및 제 2 송풍팬(140)이 ON 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열교환기(51)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제 1 송풍팬(53)을 통하여 상기 냉동실(16)로 공급되며, 상기 제 2 열교환기(12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제 2 송풍팬(140)을 통하여 상기 제빙실(100)로 공급된다 (S11).
이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100)로의 냉기 공급이 소정 시간동안 이루어지면, 상기 제빙기(110)에서의 제빙이 완료될 수 있다 (S12).
상기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센서(220)에 의하여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만빙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S13).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상기 하우징(201)으로부터 분리(탈거)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빙기(110)에서의 이빙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S11 단계로 복귀한다. 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만빙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빙기(110)에서의 이빙은 중단될 수 있을 것이다 (S14).
반면에,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상기 하우징(201)에 결합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이빙 모터(115)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S15). 상기 이빙 모터(115)가 구동되면, 얼음은 상기 제빙기(11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저장 바스켓(210)에 저장된다. 또는 상기 저장 바스켓(210)이 만빙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빙기(110)에서 이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S15).
도 15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된 경우,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시된다.
상기 제 1 송풍팬(53) 및 제 2 송풍팬(140)이 ON 되어 상기 냉동실(16) 및 제빙실(100)로 냉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S21).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 스위치(70)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개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S22).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1 송풍팬(53) 및 제 2 송풍팬(140)의 ON 상태는 계속 유지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2 송풍팬(140)은 OFF 된다.
상기 제 2 송풍팬(140)이 OFF 되면, 상기 제빙실(100)로의 냉기 공급은 중단되므로 냉기가 개방된 도어를 통하여 외부로 불필요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S23,S24).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되면 상기 제빙실(100)과 얼음 저장부(200)는 분리되므로, 상기 제빙기(110)에서의 이빙이 중단될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이빙 모터(115)는 OFF 되도록 제어된다 (S25).
도 1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4의 제어방법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분리 및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개방 중에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면 상기 이빙 모터(115)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도 14 및 도 15의 제어 방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6에는, 냉장실 도어(12)의 개방에 따른 댐퍼(90) 및 이빙 모터(115)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송풍팬(53)은 구동되고 상기 댐퍼(90)는 개방되어 상기 제 1 열교환기(51)에서 생성된 냉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냉기 덕트(56)를 통하여 상기 제빙기(110)로 공급될 수 있다 (S31).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 스위치(70)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12)의 개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S32).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 1 송풍팬(53)의 구동 및 상기 댐퍼(90)의 개방 상태는 계속 유지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댐퍼(90)는 차폐된다.
상기 댐퍼(90)가 차폐되면, 상기 제빙실(100)로의 냉기 공급은 중단되므로 냉기가 개방된 도어를 통하여 외부로 불필요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S33,S34).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12)가 개방되면 상기 제빙실(100)과 얼음 저장부(200)는 분리되므로, 상기 제빙기(110)에서의 이빙이 중단될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이빙 모터(115)는 OFF 되도록 제어된다 (S25).
한편, 상기 저장 바스켓(210)의 착탈 또는 만빙 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이빙 모터(115)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은 제 1 실시예(도 14 참조) 와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하여 상기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가 감지되고, 그에 따라 제빙기에서의 이빙 시기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제빙기에 공급되는 냉기를 단속할 수 있으므로, 냉기가 외부로 불필요하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제빙기의 이빙을 중단하여 얼음이 냉장고 외부로 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외관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스켓이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저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 바스켓이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 주는 플로우 챠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Claims (11)

  1. 송풍팬 구동을 제어하여 냉장실에 제공되는 제빙실에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빙실에서 제빙이 완료되면, 도어에 제공되는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빙실의 이빙 모터의 구동 여부가 결정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는, 송신부 및 수신부의 신호 송신 가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는, 감지 부재 및 접촉 부재의 접촉 여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스켓이 탈거되면 상기 이빙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고, 상기 저장 바스켓이 결합되면 상기 이빙 모터의 구동이 ON 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의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상기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송풍팬 및 이빙 모터의 구동은 OFF 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의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냉장실에 제공되는 덕트에서의 냉기 유동을 차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 구동을 제어하여 제빙실에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상기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의 개방 여부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빙실로의 냉기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냉동실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냉동실 및 제빙실로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냉기 공급 차단은 댐퍼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는 냉동실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송풍팬과, 상기 제빙실에 제공되는 제 2 송풍팬이 포함되고, 상기 냉기 공급 차단은 상기 제 2 송풍팬의 구동 OFF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로의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얼음 저장 바스켓의 착탈 여부 또는 만빙 여부에 따라 상기 제빙실의 이빙 모터의 구동이 제어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0090031646A 2009-04-13 2009-04-13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62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46A KR101626614B1 (ko) 2009-04-13 2009-04-13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2/758,170 US20100262295A1 (en) 2009-04-13 2010-04-12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CN201080016225.6A CN102388284B (zh) 2009-04-13 2010-04-13 冰箱控制技术
PCT/KR2010/002263 WO2010120091A2 (en) 2009-04-13 2010-04-13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EP10764630.9A EP2419692B1 (en) 2009-04-13 2010-04-13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46A KR101626614B1 (ko) 2009-04-13 2009-04-13 냉장고의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226A Division KR20160050016A (ko) 2016-04-22 2016-04-2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208A true KR20100113208A (ko) 2010-10-21
KR101626614B1 KR101626614B1 (ko) 2016-06-01

Family

ID=42935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646A KR101626614B1 (ko) 2009-04-13 2009-04-13 냉장고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62295A1 (ko)
EP (1) EP2419692B1 (ko)
KR (1) KR101626614B1 (ko)
CN (1) CN102388284B (ko)
WO (1) WO201012009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065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2919A (ko) * 2013-04-11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WO2024080534A1 (ko) * 2022-10-13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3524B (zh) * 2011-05-31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
KR101966043B1 (ko) * 2012-06-12 2019-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441873B1 (en) 2013-01-24 2016-09-13 Whirlpool Corporation Two-plane door for refrigerator compartment
US9557091B1 (en) 2013-01-25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Split air pathway
US20160370087A1 (en) * 2015-06-16 2016-12-2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led-air circulation structure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32166B1 (ko) * 2015-06-18 2017-05-0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CN106885419A (zh) * 2017-02-13 2017-06-2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制冰回风控制方法
US11525621B2 (en) * 2018-03-12 2022-12-13 Whirlpool Corporation Anti-rolling icebox gasket for refrigerator swing doors
US11060782B2 (en) 2019-06-26 2021-07-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ice dispenser clos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969A (ja) *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物品貯蔵装置
KR20080050003A (ko) * 2006-12-01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54983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6227A (ko) * 2007-01-11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6601A (en) * 1963-02-04 1964-09-01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545217A (en) * 1969-04-10 1970-12-08 Whirlpool Co Sensing arm mechanism for icemaker
US5711159A (en) * 1994-09-07 1998-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efficient refrigerator control system
KR100205792B1 (ko) * 1997-01-28 1999-07-01 윤종용 냉장고의 냉기 순환 방법 및 장치
US6314745B1 (en) * 1998-12-28 2001-11-1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nd a control system therefor
US6082130A (en) * 1998-12-28 2000-07-04 Whirlpool Corporation Ice delivery system for a refrigerator
US6722142B1 (en) * 2003-02-07 2004-04-20 Sub-Zero Freezer Company, Inc. Refrigerated enclosure
US7059141B2 (en) * 2003-04-29 2006-06-13 Imi Cornelius Inc. Combined ice and beverage dispenser and icemaker
KR100519305B1 (ko) * 2003-05-28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부에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
JP2005098602A (ja) * 2003-09-25 2005-04-14 Toshiba Corp 冷蔵庫
KR100607287B1 (ko) * 2004-01-28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제빙용 냉기 토출 유로구조
US7188479B2 (en) * 2004-10-26 2007-03-13 Whirlpool Corporatio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US7549297B2 (en) * 2005-05-18 2009-06-23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air control damper for ice compartment
EP1931928B1 (en) * 2005-09-02 2016-11-02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enser for refrigerator
US7469553B2 (en) * 2005-11-21 2008-12-30 Whirlpool Corporation Tilt-out ice bin for a refrigerator
US7707847B2 (en) * 2005-11-30 2010-05-0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dispensing assembly mounted with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EP3561414B1 (en) * 2005-12-06 2020-11-25 LG Electronics Inc.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610772B2 (en) * 2006-03-06 2009-11-03 Whirlpool Corporation Ice level sensing system for a bottom freezer refrigerator
KR20080020126A (ko) * 2006-08-30 2008-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2008057897A (ja) * 2006-08-31 2008-03-13 Nidec Sankyo Corp 製氷装置
KR20080026385A (ko) * 2006-09-20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436157B1 (ko) * 2006-09-20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080072610A1 (en) * 2006-09-26 2008-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icemaker
US8713949B2 (en) * 2007-04-27 2014-05-06 Whirlpool Corporation Ice level and quality sensing system employing digital imaging
KR100900292B1 (ko) * 2007-07-05 200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169261B (zh) * 2007-11-25 2011-09-07 梁福鹏 一种单个电器化的智能厨房
US8312735B2 (en) * 2008-03-12 2012-11-20 Whirlpool Corporation External tilt bucket for an appliance do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969A (ja) * 2005-06-03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物品貯蔵装置
KR20080050003A (ko) * 2006-12-01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54983A (ko) * 2006-12-14 200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6227A (ko) * 2007-01-11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065A (ko) * 2013-02-28 2014-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2919A (ko) * 2013-04-11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WO2024080534A1 (ko) * 2022-10-13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88284B (zh) 2014-04-30
EP2419692A4 (en) 2017-05-17
KR101626614B1 (ko) 2016-06-01
WO2010120091A2 (en) 2010-10-21
US20100262295A1 (en) 2010-10-14
EP2419692A2 (en) 2012-02-22
EP2419692B1 (en) 2019-06-05
CN102388284A (zh) 2012-03-21
WO2010120091A3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3206A (ko) 냉장고
KR20100113208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279393B1 (ko) 냉장고
KR101631322B1 (ko) 냉장고
KR101718995B1 (ko) 냉장고
KR20130028324A (ko) 냉장고
KR101776297B1 (ko) 냉장고
KR1018305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03948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52213B1 (ko) 냉장고
KR20110072393A (ko) 냉장고
KR101639441B1 (ko) 냉장고
KR101450654B1 (ko) 콤비 냉장고의 제빙기
KR20160050016A (ko) 냉장고
KR101690126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91226B1 (ko) 냉장고
KR101596502B1 (ko) 냉장고
KR101639440B1 (ko) 냉장고
KR101639444B1 (ko) 냉장고
KR20140078108A (ko) 모터 구동장치 및 냉장고
KR20080052206A (ko) 냉장고
KR2009013098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